KR200383714Y1 -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 - Google Patents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714Y1
KR200383714Y1 KR20-2005-0004302U KR20050004302U KR200383714Y1 KR 200383714 Y1 KR200383714 Y1 KR 200383714Y1 KR 20050004302 U KR20050004302 U KR 20050004302U KR 200383714 Y1 KR200383714 Y1 KR 2003837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lamp
horizontal bar
support piece
band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진활
Original Assignee
(주)태경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경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태경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04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7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7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7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21V21/088Clips;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에 관한 것으로, 신호등에 결합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상측 모서리부에서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각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들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수평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클램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들과 상기 클램프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는 핀에 의해서 상기 클램프가 회동되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편과 일체로 성형된 각각의 고정부에 호의 형상을 갖는 밴드부재가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러므로, 신호등이 체결된 지지편을 수평바에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바의 직경 크기에 상관 없이 클램프를 수평바에 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fixing bracket for signal lamp}
본 고안은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등을 고정할 수 있는 보호금구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신호등의 설치 작업을 매우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및 건널목에는 지주를 기립 설치하고 그 지주의 상측에는 횡방향으로 수평바가 일체로 결합되어진다. 그리고, 이 수평바에는 전원부와 연결되어 보행자 및 차량을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정지 및 진행 신호를 표시하도록 하는 신호등이 설치되어진다. 이러한 신호등을 상기 수평바에 설치하기 위한 종래의 구조는 첨부된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신호등의 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지지편과, 이 지지편에 결합되는 체결밴드를 구비한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신호등의 체결 보호금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에는 지지편(120)의 일측에 반원 형상의 밴드부재(112b)가 결합되고, 그 타측에는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밴드부재(112b)에 결합되도록 다른 밴드부재(112a)가 구비되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신호등이 설치되는 수평바(B)의 직경에 따라 밴드부재(112a,112b)의 직경을 달리하여 다양한 종류의 밴드부재(112a,112b)를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고정하기 위해 양측부에서 볼트(132)와 너트(134)를 체결할 때에는 반드시 상기 밴드부재(112a,112b)를 지지해줘야 하는 별도의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등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측부 모두를 볼트(132)와 너트(134)로 체결하여야 함에 따른 작업의 난이성으로 인해 설치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국내 실용신안공보(출원번호 20-2004-0019160)의 "교통 신호등 고정용 보호금구"가 개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편(120)과 체결밴드(110)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밴드(110)는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2개의 밴드부재(112a,112b)들의 어느 일측 단부를 절첩될 수 있게 결합함에 의해 링 형상을 이루게 하여 수평바를 감싸도록 설치되어진다. 이러한 밴드부재(112a,112b)들의 다른 측단부는 외측으로 절곡하여 돌출부(114a,114b)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114a,114b)에는 결합공(116a,116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밴드부재(112a,112b)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밴드부재(112a)에는 걸림홈(118b)을 갖는 걸림턱(118a)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밴드부재(112b)에는 상기 걸림턱(118a)과 걸림홈(118b)이 삽입되어 지지되는 걸림공(118c)이 형성되어 상기 밴드부재(112a,112b)들을 접철될 수 있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공(118c)은 수직방향으로 끼움공(118d)을 이루게 형성하여 결합되어진다. 즉, 상기 걸림공(118c)과 끼움공(118d)은 "ㅜ"자 형상을 이루게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118a)을 결합할 때 밴드부재(112a)를 90도의 각도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끼움공(118d)을 통해 결합한 후, 상기 밴드부재(112a)를 다시 원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걸림공(118c)에 위치되게 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편(120)은 상기 밴드부재(112a,112b)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신호등의 측면에 체결나사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등을 고정 지지할 수 있게 체결공(122)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120)에는 통공(124a)이 형성되고, 이 통공(124a)을 통해 신호등을 고정 지지할 수 있게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공(122)을 통해 체결밴드(110)를 수평바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수단(1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체결수단(130)은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볼트(132)와 너트(134)로 이루어져 그 사이에 와셔(136a,136b)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신호등 체결보호금구는 도 1에서의 체결보다는 어느정도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나, 수평바와 밴드부재(112a,112b)의 직경이 정확해야 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즉, 밴드부재(112a,112b)의 양측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할 경우, 일측을 지지해줘야 하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 도 2에서와 같은 체결방법은 수평바와 체결밴드(110)의 직경이 상이할 경우 걸림턱(118a)과 걸림공(118c)의 체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또한, 걸림턱(118a)이 형성된 밴드부재(112a)를 90도 회전하여 끼움공(118d)에 삽입되도록 하는 체결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체결방법은 현장에서는 현실적으로 난해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즉, 신호등의 양측에는 상기 지지편(120)이 각각 결합되어 있고, 상당한 무게를 갖는 신호등을 작업자가 잡고 있는 상태에서 상측 밴드부재(112a)를 90도 회전함과 동시에, 밴드부재(112a,112b)들이 수평바와 밀착되도록 한 후 볼트(132)와 너트(134)를 이용하여 체결하는 작업을 높은 곳에서 행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신호등 체결보호금구는 지주와 결합된 수평바의 직경과 밴드수단의 직경이 동일해야만 안전한 체결상태가 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수평바의 직경에 따라 체결보호금구를 다양한 크기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신호등이 고정되는 수평바의 직경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제작된 보호금구를 사용할 수 있고,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신호등의 설치 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한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는, 신호등에 결합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상측 모서리부에서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각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들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수평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클램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들과 상기 클램프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는 핀에 의해서 상기 클램프가 회동되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어 회동되는 제1밴드부재와, 상기 제1밴드부재와 체결되는 제2밴드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밴드부재와 상기 제2밴드부재는 각각 호의 형상으로 구비된다.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끝단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진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에는 홀이 구비되어 볼트와 너트로 체결된다.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100)는 지지편(10)과 고정부(20a,20b), 클램프(3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편(10)은 금속부재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평판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10)의 하측방향에는 미끄럼 방지부(11)가 구비된다. 이 미끄럼 방지부(11)는 상기 지지편(10)에서 다수개의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가 상기 지지편(10)과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미끄럼 방지부(11)는 신호등의 측면에 체결되어 신호등과 지지편(10)이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11) 또는 상기 지지편(10)의 하측방향에는 두개의 통공(12a,12b)이 형성되어진다. 하나의 통공(12a)은 신호등의 측면에 체결되는 것이고, 다른 하나의 통공(12b)은 전선이 통과되어진다. 한편, 상기 지지편(10)은 4개의 모서리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들 모서리부 중 일측(하단) 방향에 구비된 2개의 모서리부는 라운드를 갖도록 형성되고, 그 타측(상단) 방향에 위치된 2개의 모서리부에는 각각 고정부(20a,20b)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0a,20b)는 상기 지지편(10)의 일면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그 중심부는 일부분이 절개되어진 절개부(21)가 구비된다. 또한, 내부에는 관통되어진 힌지공(22)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30)는 제1밴드부재(30a)와 제2밴드부재(30b)로 구성된다. 상기 제1밴드부재(30a)와 상기 제2밴드부재(30b)는 각각 호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일단은 상기 고정부(20a,20b)의 외주면과 동일하게 형성된 회동부(31a,31b)를 갖는다. 상기 회동부(31a,31b)는 상기 고정부(20a,20b)에 마련된 절개부(21)에 위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상기 힌지공(22)과 동일한 관통홀(3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30a,30b)들의 타측에는 상측방향으로 돌출되어진 체결편(35a,35b)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이 체결편(35a,35b)에는 홀(36a,36b)이 형성되어 볼트와 너트에 의해서 체결되어진다. 또한, 상기 제1밴드부재(30a)와 상기 제2밴드부재(30b)는 고정부(20a,20b)의 길이만큼 넓은 면적을 갖도록 구성되어진다.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편(10)은 신호등(4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이때, 미끄럼 방지부(11)가 신호등(40)과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클램프(30)는 기립 설치된 지주와 일체로 형성된 수평바(50)에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에 구비된 클램프(30)를 교체할 수도 있다. 즉, 수평바(50)의 직경에 따라 밴드부재(30a,30b)의 직경을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는 수평바(50)의 직경이 상당할 경우에만 해당될 것이다. 이는,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100)는 수평바(50)의 직경 크기에 상관 없이 체결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호의 형상을 갖는 밴드부재(30a,30b)들은 소정의 가요성(힘을 가하여 휠 수 있는 성질)을 갖고 있기 때문에 수평바(50)의 직경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되어도 체결이 가능하다. 또한, 수평바(50)의 직경에 따라 정확한 체결을 하고자 할 경우 제1밴드부재(30a)와 제2밴드부재(30b)를 각각 교체할 수도 있지만 일측의 밴드부재(30a)만 교체하여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100)는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거나 보완할 수 있다. 즉, 종래의 보호금구에서는 수평바의 직경에 따라 보호금구를 구비해야 하는 반면, 본 고안의 보호금구(100)는 수평바(50)의 직경에 상관없이 체결할 수 있으며, 수평바(50)의 직경이 크거나 작을 경우, 밴드부재(30a)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지편과 일체로 성형된 각각의 고정부에 호의 형상을 갖는 밴드부재가 회동되도록 구비된다. 그러므로, 신호등이 체결된 지지편을 수평바에 고정할 수 있다.
둘째, 밴드부재들은 지지편에 대하여 각각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수평바의 직경 크기에 상관 없이 클램프를 수평바에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바의 직경 크기에 따라 밴드부재를 교체하지 않아도 된다.
셋째, 수평바에 고정하는 체결수단이 하나의 볼트와 너트로 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의 작업자가 아닌 소수, 또는 한명의 작업자가 수평바에 신호등을 쉽게 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 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신호등의 체결 보호금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다른 신호등 고정용 보호금구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측면도,
도 6는 본 고안의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편 11 : 미끄럼 방지부
12a,12b : 통공 20a,20b : 고정부
21 : 절개부 22 : 힌지공
30 : 클램프 30a : 제1밴드부재
30b : 제2밴드부재 31a,31b : 회동부
32a : 관통홀 35a,35b : 체결편
36a,36b : 홀 40 : 신호동
50 : 수평바 100 : 보호금구

Claims (4)

  1. 기립 설치된 지주와 일체로 형성되어진 수평바에 신호등이 고정되어지는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에 결합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편과;
    상기 지지편의 상측 모서리부에서 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각각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들에 각각 체결되고, 상기 수평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클램프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들과 상기 클램프에는 힌지공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공에 삽입되는 핀에 의해서 상기 클램프가 회동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어 회동되는 제1밴드부재와;
    상기 제1밴드부재와 체결되는 제2밴드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밴드부재와 상기 제2밴드부재는 각각 호의 형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끝단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되어진 체결편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편에는 홀이 구비되어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에는 미끄럼 방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
KR20-2005-0004302U 2005-02-17 2005-02-17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 KR2003837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02U KR200383714Y1 (ko) 2005-02-17 2005-02-17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302U KR200383714Y1 (ko) 2005-02-17 2005-02-17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714Y1 true KR200383714Y1 (ko) 2005-05-06

Family

ID=43685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302U KR200383714Y1 (ko) 2005-02-17 2005-02-17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7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613B1 (ko) 2012-03-19 2012-08-23 안승범 신호등 고정용 보호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6613B1 (ko) 2012-03-19 2012-08-23 안승범 신호등 고정용 보호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767B1 (ko) 상호연결된 회전가능 부재를 가진 기다란 부재
KR101467161B1 (ko) 그레이팅 패널 체결용 고정구
SE520352C2 (sv) Stativ
KR200383714Y1 (ko) 신호등 체결 보호금구
US20070235596A1 (en) Conduit positioning system, device, and method
WO1993004249A1 (en) Guard rail fittings
JP2008236830A (ja) 幅可変トラフ橋
US5794760A (en) Apparatus for locking a circuit breaker
KR20110006207A (ko) 콘크리트 기둥 타설용 거푸집 고정밴드
JPH09317945A (ja) 配管用スライド金具
KR200467776Y1 (ko) 선박 블록의 전도 방지용 고정 지그
JP2010007800A (ja) 配設体の支持具
JP2014084935A (ja) 固定用ボルト
JP3184052U (ja) 手摺取付金具
JP5992083B1 (ja) 照明器具用脱落防止金具および脱落防止方法
KR200269709Y1 (ko) 낙석방지책용 와이어 고정크립
JP3525106B2 (ja) ネットブラケット
ES2766906T3 (es) Pieza de soporte para fijar objetos alargados, pieza de sujeción para colocar en una placa de soporte y disposición con una pieza de soporte y con una pieza de sujeción
JP4721491B2 (ja) 道路用反射装置
JP2022022748A (ja) 壁面用取付構造
KR20150003850U (ko) 생명줄 고정장치
KR200379595Y1 (ko) 펜스 고정용 조립체
KR0185336B1 (ko) 와이어링 하니스 제작 보오드
JP3071288U (ja) 立看板支持装置
KR200431183Y1 (ko) 송배전의 연선용 블록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