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702Y1 -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702Y1
KR200383702Y1 KR20-2005-0003664U KR20050003664U KR200383702Y1 KR 200383702 Y1 KR200383702 Y1 KR 200383702Y1 KR 20050003664 U KR20050003664 U KR 20050003664U KR 200383702 Y1 KR200383702 Y1 KR 2003837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ternet
internet phone
service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술
Original Assignee
(주)굿데이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굿데이텔레콤 filed Critical (주)굿데이텔레콤
Priority to KR20-2005-0003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7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7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7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59End-user terminal functionalities specially adapted for real-time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인터넷 폰은 인터넷프로토콜(IP)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컴퓨터 단말(17, 31)에 접속되는 인터넷 폰(51)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5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아이디(ID), 인터넷 전화번호, 프로토콜 아이디 및 이넘(ENum) 아이디를 포함하는 접속정보와, 상기 인터넷 폰(51)과 상기 컴퓨터 단말(17, 37)의 접속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셋업(Set-Up)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 21)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사용시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신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와 호가 연결된 수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향카드(3, 23)와; 상기 컴퓨터 단말(17, 37)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접속정보, 상기 음성데이터 및 상기 셋업 프로그램의 실행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컴퓨터 단말(17, 37)로부터의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유에스비(USB) 커넥터(11, 31)와; 상기 컴퓨터 단말(17, 37)과 접속시에 상기 셋업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셋업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접속정보를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음향 카드(3, 2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5, 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카드(3, 23)는 상기 음향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이어헤드셋(9)과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1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21), 상기 제어 모듈(25) 및 상기 음향카드(23)가 실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이어헤드 셋(29)은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4, 4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Internet Phon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고안은 데이터 통신 및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은 종래의 전화망의 대다수 역할을 대신하여 세계를 하나로 엮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은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기간망 확충과 사업자, 개인등에 의한 활발한 이용으로 사용도, 기술 등이 극적으로 발전했다.
인터넷은 유선전화가 가지지 못했던 장점들 이를테면, 데이터 전송의 탁월함 때문에 짧은 기간 동안 많은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이러한 인터넷의 급속한 변화의 계기는 데이터 전송이 용이한 전송로의 개발과 확충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초기 인터넷의 경우, 전화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톤펄스로 변환하는 모뎀에 의해 자료를 전송했다. 하지만, 이러한 모뎀은 전송속도가 현재 네트워크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때문에, 종래의 전화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및 인터넷의 사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전송로 및 네트워크의 확충과 이를 이용한 기업들의 발빠른 사업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가정과 기업이 거의 없을 정도의 수준이 되었다. 이 고속 데이터 전송을 위한 전송로와 네트워크는 기존의 유선 전화망의 일부를 광 전송로 변경하여, 유선전화망과 데이터 통신망을 연결하는 서버에의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과 데이터 통신을 위한 별도의 전송로와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음성과 분리된 독자적인 기능을 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또한, 이와 같은 네트워크 및 전송로의 높은 기술 수준과 편리성으로 인해 기존의 유선전화망을 이용하는 비중보다 이러한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하는 비중이 더욱 커져가는 실정이다. 유선전화망이 가졌던 가장 큰 특징은 실시간적인 음성통화의 제공이었다. 하지만, 유선전화망의 특징을 앞서 말한 데이터 통신망 특히, 인터넷에서도 제공받을 수 있게 됨으로서 유선전화망의 사용 범위와 사용자가 더욱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인터넷 기능을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음성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이 소개되면서, 이러한 유선전화망의 입지는 더욱 줄어들었다.
한편, 인터넷 또는 데이터 통신망은 접속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는 통신망내에서 호스트 컴퓨터를 상호 식별하기 위하여 고유한 인터넷 주소를 공인된 기관으로부터 할당 받아 사용한다. 이 인터넷 주소로 이용되는 IP(Internet Protocol)는 4바이트로 구성되어 있는데, 통신망 사용자의 급증으로 인하여 통신망에 접속하는 모든 단말기에 유일한 IP를 할당하기가 어려워지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업이나 단체에서 독자적으로 구축한 사설망(Private Network)에서 내부적으로는 자체 정의된 사설 IP를 사용하고, 외부 인터넷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터에만 공인된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도록 매핑해 주는 방법을 사용하여 필요한 IP 주소를 절약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이 IP 공유기 등에서 사용하는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기능이다.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망에서 음성통신만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 IP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데이터 통신망에서 음성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유선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전화번호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 필요하며, 데이터 통신망에서 사용되는 것이 바로 IP이다. 이 IP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망에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이다. 그리고 이 VoIP 서비스를 위한 통신 규약이 H.323 표준이다.
그런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공인 IP 주소를 할당 받은 단말기만이 VoI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사설 IP 주소를 할당 받은 단말기는 H.323 규격의 특성상 VoI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었다. 이러한 IP 주소는 크게 어느 한 단말기에 고정적으로 할당된 고정 IP 주소와 인터넷 접속을 필요로 할 때만 IP 주소를 할당하는 유동 IP 주소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고정 IP주소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단말기의 기하급수적 팽창으로 인해 4바이트로 표현되는 IP 주소를 모든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해졌다. 즉, 현재의 IPv4에서는 일반 사용자들에게 고정 IP 주소를 쉽게 할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격 자체도 고가이어서 일반 사용자들이 쉽게 고정 IP 주소를 이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IPv6가 제시되고 있으나, 이것이 표준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이로인해, 일반 사용자들이 인터넷을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의 서비스에 가입한 후 필요한 경우에만 ISP에 접속을 하여 ISP로부터, ISP가 할당 받은 IP 중 현재 사용하지 않는 IP주소중 하나를 임의로 할당 받아 사용하게 된다. 즉, 유동 IP를 이용하여 인터넷 또는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게 된다.
때문에, 현재 차세대 네트웍시스템이라고 불리는 홈네트워킹 시스템은 물론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에도 상당한 제한이 따르고 있다. 즉,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여 발신은 가능하지만, 착신지 주소가 정확하지 않기 때문에 착신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발신시에 사용한 IP 주소를 확인하여, 발신을 원하는 대상에게 제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인터넷 폰은 인터넷프로토콜(IP)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컴퓨터 단말(17, 31)에 접속되는 인터넷 폰(51)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5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아이디(ID), 인터넷 전화번호, 프로토콜 아이디 및 이넘(ENum) 아이디를 포함하는 접속정보와, 상기 인터넷 폰(51)과 상기 컴퓨터 단말(17, 37)의 접속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셋업(Set-Up)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 21)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사용시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신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와 호가 연결된 수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향카드(3, 23)와; 상기 컴퓨터 단말(17, 37)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접속정보, 상기 음성데이터 및 상기 셋업 프로그램의 실행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컴퓨터 단말(17, 37)로부터의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유에스비(USB) 커넥터(11, 31)와; 상기 컴퓨터 단말(17, 37)과 접속시에 상기 셋업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셋업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접속정보를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음향 카드(3, 2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5, 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카드(3, 23)는 상기 음향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이어헤드셋(9)과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1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리(21), 상기 제어 모듈(25) 및 상기 음향카드(23)가 실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이어헤드 셋(29)은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4, 4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시스템의 게이트 키퍼에 소정의 주기로 상기 접속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넷프로토콜(IP)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컴퓨터 단말에 접속되는 인터넷 폰에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아이디(ID), 인터넷 전화번호, 프로토콜 아이디 및 이넘(ENum) 아이디를 포함하는 접속정보와, 상기 인터넷 폰과 상기 컴퓨터 단말의 접속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셋업(Set-Up)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사용시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신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와 호가 연결된 수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 단말과 통신 채널을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정보, 상기 음성데이터 및 상기 셋업 프로그램의 실행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 단말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컴퓨터 단말과 접속시에 상기 셋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셋업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접속정보를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정보는 상기 시스템의 프록시 서버 IP 주소, 상기 컴퓨터 단말의 맥주소, 포트 정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정보를 상기 시스템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한 정보의 헤더에 포함된 아이피 주소를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시스템의 게이트 키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 정보는 소정의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 넘버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상기 시스템의 이용자 웹 및 에이알에스(ARS) 서버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접속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요금을 결제하기 위한 빌링 시스템에 접속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효과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은 메모리(1), 제어 모듈(5), 음향카드(3), 이어마이크셋(9) 및 USB 커넥터(40)를 구비한다.
메모리(1)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특히, 인터넷 폰(7) 사용자가 유동 IP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가입자 ID(Identification), 사용자의 인터넷 전화번호, 프로토콜 ID 및 E넘 ID가 저장된다. 메모리(1)는 인터넷 폰(7)이 컴퓨터 단말(17)과의 접속시에 제어모듈(5)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컴퓨터 단말(17)에 제공한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인터넷 폰(7)을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통신망과 통신을 위한 절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제어모듈(5)의 요청에 응답하여 절차정보를 제어모듈(5)에 제공한다.
음향카드(3)는 USB 커넥터(11)를 통해 전달되는 수신 음성 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데이터 통신망에서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송신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음향카드(3)에는 이어마이크셋(9)과의 연결이 가능한 커넥터(10)가 구비된다.
USB 커넥터(11)는 컴퓨터 단말(17)과 인터넷 폰(7)을 연결하여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컴퓨터 단말(17)에 제공함과 아울러, 컴퓨터 단말(17)로부터의 수신 음성 데이터를 음향카드(3)에 제공한다. ㄴ한, 인터넷 폰(7)과 컴퓨터 단말(17)의 초기 연결단계와 통신 종료단계에 컴퓨터 단말(17)과 인터넷 폰(7) 사이의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이러한 USB 커넥터(11)는 컴퓨터 단말(17)의 USB 컨트롤러(13)에 의해 제어받아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 USB 커넥터(11)는 현재의 규격으로 최대 12Mbyte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음향카드의 음성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오버플로(Overflow)는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USB 커넥터(11)는 컴퓨터 단말(17)의 DC 전원을 인터넷 폰(7)으로 공급하여, 인터넷 폰(7)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어마이크셋(9)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음향카드(3)에 제공함과 아울러, 음향카드(3)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이어마이크셋(9)은 사용자에게 음성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소형 스피커 또는 이어폰과,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를 구비하며, 음향카드(3)의 커넥터(10)에 연결된다.
제어모듈(5)는 음향카드(3) 및 USB 커넥터(11)의 동작을 제어하고, USB 커넥터(11)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채널을 통해 컴퓨터 단말(17)을 경유하여 데이터 통신망과 연결을 위한 초기화 및 연결 종료 절차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5)는 메모리(1)에 저장된 가입자 ID, 사용자의 인터넷 전화번호, 프로토콜 ID 및 E넘 ID를 데이터 통신망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통신망에 제공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설명에서 보다 자세히 언급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인터넷 폰(7)은 음향카드를 내장함으로 인해 음향카드가 없거나, 음향카드의 구동을 위한 드라이버가 다른 경우에도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신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27, 29)은 USB 커넥터(31), 메모리(21), 음향카드(23), 본체 송수신기(24), 제어모듈(25)을 가지는 본체부(27)와, 마이크(41), 배터리(43), 스피커(42) 및 셋 송수신기(45)를 가지는 이어헤드셋(29)를 구비한다.
본체부(27)는 컴퓨터 단말(37)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체부(27)는 컴퓨터 단말(37)을 경유하여 수신되는 수신 음성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에 의해 무선 이어헤드셋(29)에 제공하고, 무선 이어헤드셋(29)으로부터의 사용자 음성 신호 즉, 송신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컴퓨터 단말(37)을 통해 데이터 통신망에 제공한다. 이를위해 본체부(27)는 USB 커넥터(31), 메모리(21), 음향카드(23), 본체 송수신기(24), 제어모듈(25)을 구비한다.
이어헤드셋(29)은 본체부(29)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본체부(27)로부터의 수신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송신 음성 신호를 본체부(27)로 제공한다. 이를 위해, 이어헤드셋(29)은 마이크(41), 배터리(43), 스피커(42) 및 셋 송수신기(45)를 구비한다.
메모리(21)는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각종 정보가 저장된다. 특히, 인터넷 폰(27, 29) 사용자가 유동 IP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가입자 ID, 사용자의 인터넷 전화번호, 프로토콜 ID 및 E넘 ID가 저장된다. 메모리(21)는 인터넷 폰(27, 29)이 컴퓨터 단말(37)과의 접속시에 제어모듈(25)의 제어에 따라 저장된 정보를 컴퓨터 단말(37)에 제공한다. 이외에도, 사용자가 인터넷 폰(27, 29)을 이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통신망과 통신을 위한 절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고, 제어모듈(25)의 요청에 응답하여 절차정보를 제어모듈(25)에 제공한다.
음향카드(23)는 커넥터(31)를 통해 전달되는 수신 음성 데이터를 이어헤드셋(29)의 셋 송수신기(45)가 처리 가능한 데이터로 변환하여 본체 송수신기(24)에 제공함과 아울러, 본체 송수신기(24)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의 음성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통신망에서 전송이 가능한 디지털 송신 음성 데이터로 변환한다.
USB 커넥터(31)는 컴퓨터 단말(37)과 본체부(27)를 연결하여 사용자의 음성 데이터를 컴퓨터 단말(37)에 제공함과 아울러, 컴퓨터 단말(37)로부터의 수신 음성 데이터를 음향카드(23)에 제공한다. 또한, 본체부(27)와 컴퓨터 단말(17)의 초기 연결단계와 통신 종료단계에 컴퓨터 단말(27)과 본체부(27) 사이의 통신 채널을 제공한다. 이러한 USB 커넥터(31)는 컴퓨터 단말(37)의 USB 컨트롤러(33)에 의해 제어받아 통신 채널을 형성한다. 이 USB 커넥터(31)는 현재의 규격으로 최대 12Mbyte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음향카드의 음성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오버플로는 발생하지 않는다. 아울러, USB 커넥터(31)는 컴퓨터 단말(37)의 DC 전원을 본체부(27)로 공급하여, 인터넷 폰(27, 29)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체 송수신기(24)는 이어헤드셋(29)의 셋 송수신기(45)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형성된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음향카드(23)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셋 송수신기(45)로 제공한다. 또한, 본체 송수신기(24)는 셋 송수신기(45)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음향카드(23)에 제공한다. 이를 위핸 본체 송수신기(24)는 블루투스(Bluetooth), 유비쿼터스(Ubiqutous), 무선 랜(LAN), 또는 적외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에 적합한 무선 송/수신 모듈이 탑재된다.
제어모듈(25)는 음향카드(23) 및 USB 커넥터(31)의 동작을 제어하고, USB 커넥터(31)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채널을 통해 컴퓨터 단말(37)을 경유하여 데이터 통신망과 연결을 위한 초기화 및 연결 종료 절차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모듈(25)는 메모리(21)에 저장된 가입자 ID, 사용자의 인터넷 전화번호, 프로토콜 ID 및 E넘 ID를 데이터 통신망의 요청에 따라, 데이터 통신망에 제공한다.
마이크(41)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받아 셋 송수신기(45)에 제공한다.
스피커(42)는 셋 송수신기(45)로부터 수신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배터리(43)는 이어헤드셋(29)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셋 송수신기(45)는 본체 송수신기(24)와 근거리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수신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송신 음성 데이터를 본체부(27)에 제공한다. 이를 위해, 셋 송수신기(45)는 배터리(4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마이크(41)로 입력되는 사용자의 송신 음성 신호를 전송이 가능하도록 디지털화하여 본체부(27)에 제공한다. 아울러, 셋 송수신기(45)는 본체부(27)로부터의 수신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42)에 제공한다. 여기서, 셋 송수신기(45)는 수신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42)에 제공하기 전에 스피커(42)를 통해 출력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인터넷 폰을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으로, 이것은 일례일뿐이며 시스템에 따라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이후의 설명에서 인터넷 폰(51)은 컴퓨터 단말(17, 37)의 중계를 통해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를 제공받으므로, 인터넷 폰(51)을 대표로 하여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터넷 폰(51)을 이용한 통화 시스템은 인터넷(56), 공중 교환망(PSTN, 58), 이동 통신망(60), IP 공유기(53), 게이트 키퍼(55), 트렁크 게이트웨이(57), 프록시 서버(54)의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 및 인터넷 폰(51), 공중교환망(58)에 접속된 전화기 또는 수신 단말(59) 및 이동통신 망(60)에 접속된 이동 통신 단말기(61)로 구성된다.
트렁크 게이트웨이(57)는 호 제어 및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복합 주파수 부호) 톤 생성 기능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규격을 갖는 통신망인 인터넷(56), 공중교환망(58) 및 이동 통신망(60) 사이의 음성 통신이 가능하도록 신호의 규격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실행한다.
게이트 키퍼(55)는 ITU-T(국제 전기 통신 연합 :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Telecommunication)의 멀티미디어 통신 규격인 H.323 프로토콜에 정의된 실체(Entity)의 하나로서, 패킷 기반 네트워크(IP 기판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엔드포인트(예를들어, 게이트웨이, 터미널, 멀티포인트 컨트롤 유닛(MCU))들을 존(Zone)이라고 정의된 하나의 제어 영역으로 묶어 제어, 관리 및 등록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 게이트 키퍼(55)는 네트워크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인입된 호에 대한 허가 여부를 결정하는 인증 작업을 수행하고, 대역폭 변화 요구에 대한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이 게이트 키퍼(55)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변환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터넷 폰(51)의 전화번호와 IP주소 사이의 변환을 수행한다. 만일 사용자가 유동 I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객의 인터넷 폰(51)과 게이트 키퍼(55) 사이에 정기적인 정보교환을 통하여 가입자 ID, 인터넷 폰(51)의 전화번호, 프로토콜 ID 및 E넘ID의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게이트 키퍼(55)는 판단 결과에 따라 인터넷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IP 주소를 확인하여 데이터 통신망을 이용한 음성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사용자가 고정 IP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게이트 키퍼(55)는 변환 테이블의 인터넷 전화번호에 일치하는 IP주소가 고정되므로, 이러한 정기적인 정보교환의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IP 공유기(53)는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된 컴퓨터 다수의 단말 및 인터넷 폰(51)이 한정된 IP를 공유하여(53)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하도록 한다.
프록시 서버(54)는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음성 통신 서비스 즉, VoIP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프록시 서버 IP주소, 단말의 맥 주소(Media Access Control Address, MAC Address), 포트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저장부 및 외부 네트워크의 단말기와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외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상이한 통신 규격을 갖는 통신네트워크 간의 VoIP 통화가 가능하도록 호 제어 및 보코딩 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VoIP 게이트 웨이를 구비한다. 이 프록시 서버(54)는 내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접속된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패킷의 IP 헤더에 포함된 IP 주소의 네트워크 주소 변환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프록시 서버(54)는 VoIP 서비스 요청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에 데이터 저장부의 프록시 서버 IP 주소, 단말의 맥 주소, 포트 정보를 이용하여 패킷 내의 소스 IP 주소에 프록시 IP 주소를 포함하는 호 셋업 메시지를 게이트키퍼(55)로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VoIP 게이트 웨이를 제어하여 호 셋업 후에 할당된 포트 번호의 인터넷 폰을 포함한 단말(51)과 수신자 단말(59)간의 통화 데이터를 중계한다.
이를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사설망(52)에서의 인터넷 폰(51)이 VoIP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인터넷 폰(51)은 프록시 서버(54)의 IP 주소를 요청하여 제공받는다. IP 주소를 제공받은 인터넷 폰(51)은 해당 IP로 인터넷 폰(51)의 IP 및 포트에 관련된 필드 정보를 담은 메시지를 전송한다. 인터넷 폰(51)으로부터 메시지를 제공받은 프록시 서버(54)는 메시지를 분석하여 IP주소 및 포트에 관련된 필드를 수정하고, 수정된 메시지를 게이트 키퍼(55)로 전송한다. 이를 통해 각종 제어신호와 패킷은 프록시 서버(54)를 경유하여 목적지로 전달된다.
여기서, 프록시 서버(54)는 H.323뿐만 아니라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MGCP(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와도 연동이 가능하다. 이는 플록시 버버(544)는 단지 각각의 메시지에 대한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메시지의 내용을 변환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되는 VoIP 프로토콜에 상관없이 연동이 가능한 것이며 메시지 내의 주소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변환은 인터넷 폰(51)과 같은 단말단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게이트 키퍼(55)에서는 수신된 패킷에 프록시 IP 주소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프록시 IP주소를 매개로 한 통화 중계로 인식한다. 그리고, 게이트 키퍼(55)는 수신자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수신단말(59)을 호출하기 위해 H.323 표준을 이용해 수신단말(59)이 속하는 게이트키퍼(55)로 호 연결 셋업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프록시 중계 방식의 통화 요청에 따라서 인터넷 폰(51)의 IP주소 대신에 프록시 주소를 셋업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즉, 게이트 키퍼(55)는 수신자의 전화번호가 인터넷 폰 번호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셋업 메시지를 수신지 관할 게이트 키퍼(55)로 전송한다. 하지만, 수신자 전화번호가 공중교환망(58)을 경유하는 수신단말(59)이나 이동통신망(60)을 경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61)인 경우에는 케이트 키퍼(55)는 각 수신지 관할 트렁크 게이트웨이(57)로 셋업메시지를 전송한다.
프록시 IP주소를 포함한 셋업 메시지를 접수한 게이트 키퍼(55) 또는 트렁크 게이트웨이(57)는 인터넷(56), 공중교환망(58) 또는 이동 통신망(60)을 경유해 수신자 단말기(51, 59, 61)로 호를 전송한다. 호를 전송하여 수신자의 응답이 있으면 호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확인 메시지를 프록시 IP주소를 갖는 프록시 서버(54)로 전송하고, 프록시 서버(54)는 공유기 하단의 인터넷 폰(51)에게 호 연결을 요청한다. 이를 위해, 프록시 서버(54)는 인터넷 폰(51)의 포트 번호에 상응하는 사설 IP주소를 갖는 인터넷 폰(51)으로 중계전송한다. 이에 따라서, 프록시 IP주소를 매개로 하여 호가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도 3의 시스템에서의 호 개통 절차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IP 주소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인터넷 폰(51)은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우선 자신의 IP 주소를 컴퓨터 단말(17, 37)을 이용하여 IP 공유기(53)에 할당하도록 요청한다. 여기서, IP 주소의 살당 요구 및 공유기(53)의 IP주소 할당은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S10)
IP 공유기(53)는 인터넷 폰(51)으로부터의 IP 주소 할당 요구IP Address Allocation Request)에 응답하여, 사설 IP 주소를 할당하여 인터넷 폰(51)에 제공한다. 여기서, 사설 IP 주소의 할당은 공유기(53)가 관리하고 있는 사설 IP 주소의 풀(Pool)에서 할당되지 않은 사설 IP 주소를 선택하여 인터넷 폰(51)에 제공함으로서 수행된다. 또한, 공유기(53)는 자신이 할당할 사설 IP 주소의 전체 범위를 기억하고, 또한, 이미 할당된 사설 IP 주소들을 기억한다.(S20)
인터넷 폰(51)은 공유기(53)으로부터 할당 받은 사설 IP 주소를 자신의 IP 주소로 설정한다. 인터넷 폰(51)이 연결된 컴퓨터 단말(17, 37)이 다른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할당받은 사설 IP 주소를 이용하여 이용하게 된다. 즉, 컴퓨터 단말(17, 37)이 어떤 웹 사이트에 접속하려고 하는 경우, 컴퓨터 단말(17, 37)은 할당되 사설 IP 주소를 자신의 소스(Source) IP 주소로 하여 웹 사이트에 접속한다. 이때, 공유기(53)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 장치는 컴퓨터 단말(17, 37)로부터 수신한 패킷의 IP 헤더 내 소스 IP 주소로 포함되어 있는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경하여 외부 네트워크의 웹 사이트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인터넷 폰(51)아 IP 공유기(53)로부터 사설 IP 주소를 할당 받으면, 컴퓨터 단말(17, 37) 및 인터넷 폰(51)이 인터넷 접속에 필요한 과정을 종료한 후 VoIP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통화를 시도한다. 통화 시도에 의해, 수신측 단말(51, 59, 61)의 IP 정보(예를 들어, IP 주소, 포트 번호), 수신지 IP 정보(VoIP 서버의 IP 주소) 및 수신측 단말 전화번호 정보를 포함하는 호 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를 프록시 서버(54)로 전송한다.(S30)
호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 프록시 서버(54)는 호 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에 프록시 IP 정보를 삽입하여 수신지 주소인 게이트 키퍼(55)로 전송한다.(S40)
게이트 키퍼(55)에서는 수신된 패킷에 프록시 IP 주소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프록시 IP 주소를 매개로한 통화 중계로 인식한다. 이에 따라, 게이트 키퍼(55)는 수신자 전화번호에 해당되는 수신측 단말(51, 59, 61)를 호출하기 위해 H.323 표준을 이용해 인터넷 폰(51)의 IP 주소 대신 프록시 IP 주소를 셋업 메시지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이를통해 호 요청에 의한 인터넷 폰(51)과 수신측 단말(51, 59, 61)간의 호가 소통된다.(S50)
호가 연결되면, 프록시 서버(54)는 인터넷 폰(51)과 수신측 단말(51, 59, 61)의 사이에서 H.323 패킷 데이터를 중계하는 서버로서 동작하게 된다. 즉, 인터넷 폰(51)을부터의 송화 음성 데이터 패킷이 프록시 서버로 전송되면 프록시 서버(54)는 호 연결된 게이트 키퍼(55) 또는 트렁크 게이트웨이(57)로 소스 IP 주소에 프록시 IP 주소를 삽입하여 중계 전송한다.(S90, S100)
또한, 수신측 단말(51, 59, 61)의 수화 음성 데이터 패킷이 프록시 서버(54)로 전송되면, 프록시 서버(54)는 호 연결된 포트 번호에 연결된 사설 IP 주소를 갖는 인터넷 폰(51)으로 중계 전송한다.(S110, S120)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IP 공유기(53)의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사설 IP를 할당받은 인터넷 폰(51)이 VoI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IP 공유기(53)는 사설 IP 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구성 요소로서, 인터넷 폰(51)이 사설 IP 환경이 아닌 곳에 설치될 경우, 혹은 그외의 이유로 IP 공유기(53)가 구성되지 않는 경우는 IP 공유기(53)와 인터넷 폰(51)간에 실행되는 개통을 위한 과정이 인터넷 폰(51)과 프록시 서버(54) 간에 실행된다. 즉, 인터넷 폰(51) 또는 인터넷 폰(51)과 접속된 컴퓨터 단말(17, 37)에서 직접 프록시 서버(54)에 세션을 요청하고, 이에 응답하여 프록시 서버(54)가 게이트 키퍼(55)와 인터넷 폰(51) 사이의 통신을 중계하게 된다.
도 5는 도 4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인터넷 폰(51)을 컴퓨터 단말(17, 37)에 연결하여 동작시킨다.(S01)
사용자가 인터넷 폰(51)을 이용하여 VoIP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면, 인터넷 폰(51)은 컴퓨터 단말(17, 37)을 경유하여 호 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를 프록시 서버(54)에 제공한다.(S10)
호 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 프록시 서버(54)는 연결 요청이 있는 인터넷 폰(51)의 IP 주소가 공인 IP인지에 대해 판단한다.(S11)
호 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 인터넷 폰(51)의 IP 주소가 공인 IP이면, 호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를 수신한 프록시 서버(54)는 호 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를 수신지 주소인 게이트 키퍼(55)로 전송한다.(S40)
반면에, 호 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 인터넷 폰(51)의 IP 주소가 사설 IP 이면, 프록시 서버(54)는 호 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를 분석하여, 호 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에 IP 주소 및 포트에 관련된 필드를 수정한다.(S30)
프록시 서버(54)에 의해 관련된 필드가 수정되거나(S30), 프록시 서버(54)에 의해 호 연결 요청 패킷 데이터가 제공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게이트 키퍼(55)의 검증 및 변환 작업이 이루어진다.(S40, S50)
게이트 키퍼(55)에 의해 호 접속 요청 패킷 데이터가 수신측 단말(51, 59, 61)에 제공되면, 수신측 단말(51, 59, 61)로부터 접속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게이트 키퍼(55)를 경유하여 프록시 서버(54)에 제공된다.(S60, S70)
접속 완료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는 인터넷 폰(51)을 이용하여 음성 통화를 실행 할 수 있게 된다.(S60 ~ S120)
도 6은 본 고안의 인터넷 폰을 위한 원넘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이용하는 인터넷 폰(51), 인터넷 데이터 센터(73) 공중 전화망(58), 인터넷(56), 수신측 단말(59)및 웹 관리 시스템(66)을 구비한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73)는 게이트 키퍼(55), 인증 서버(74), PNP 서버(69), 빌링서버(70), 프록시 서버(54), ARS(54), 게이트 웨이(57) 및 데이터 베이스(72)로 구성된다.
또한, 웹 관리 시스템(66)은 관리자 웹(67), 이용자 웹(68) 및 웹 데이터 베이스(65)를 구비하며, 관리자 웹(67) 및 이용자 웹(68)에 의해 인터넷(56)을 경유하여 인터넷 폰(51) 및 인터넷 폰(51)이 접속된 컴퓨터 단말(17, 37)과 접속된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73)의 게이트 키퍼(55)는 원넘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내장하여 원점버 서비스 수행을 제어한다. 또한, 게이트 키퍼(55)는 게이트 웨이(57),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71), 인증서버(74)에 연결되며, 이용자웹(68) 및 데이터 베이스(72)에 연계프로그램을 부가하여 원넘버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입력 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원넘버 서비스(또는 인터넷 단일 전화번호 서비스 또는 E넘)로 E넘의 개념을 이용하여 인터넷 폰(51)의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이다.
한편, e넘(eNUM, tElephone NUmber Mapping 혹은 E.164 NUmber Mapping)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E.164를 인터넷주소체계로 변환해 주는 프로토콜이다. 즉 다양한 인터넷 관련기술(VoIP, FoIP, Teleconference)을 접목시킴으로 이용자는 e메일, 홈페이지, 일반전화, 인터넷전화, 이동전화, FAX 등 다양한 서비스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통합적인 성격의 새로운 개념의 주소체계로 볼 수 있다. E.164 번호란 국제전기통신연합에서 제정한 전화번호체계로서 각국 정부는 이에 따라 전화번호를 관리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유일성이 보장되는 체계다. E.164 번호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ITU와 IETF의 협의에 의해 결정된 e넘 루트 도메인인 e164.arpa를 활용한다. 즉, e넘은 전화번호를 인터넷 주소체계로 변환하여 다양한 인터넷 기반 서비스와 연결하는 것으로 전세계 어느 곳에서나 사용 가능하도록 계층적으로 분리된 DNS 기반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원넘버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가 유/무선 전화를 이용하여 공중교환망(58)을 통해 이용자웹(68) 또는 ARS(71)에 접속하여, 원넘버 서비스 가입자 번호를 다이얼링한다. 그러면, 게이트 키퍼(55)는 데이터 베이스(72)에 등록되어 있는 원넘버서비스 번호에 설정되어 있는 통신 서비스 번호를 검색한다. 통신 서비스 번호를 검출하면 게이트 키퍼(55)는 ARS(71)를 호출하여 관련정보를 안내하도록 ARS(71)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안내멘트에 따라 선택을 하면 게이트 키퍼(55)는 선택된 번호로 착신연결을 시도하고, 통화중이거나 부재중이면 재선택하도록 ARS(71)를 호출하여 안내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원넘버 서비스 번호를 이용자웹(68) 또는 ARS(71)를 통해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어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6의 시스템을 이용한 서비스는 도 6 내지 도 11을 첨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원넘버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200 단계에서 사용자(51)가 원넘버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인터넷(56)을 통해 이용자웹(68) 또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73)에 접속한다.
이용자 웹(68) 또는 인터넷 데이터 센터(73)에 접속한 사용자는 원넘버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등록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1)
서비스 등록을 원하면, 사용자(51)가 웹을 이용하여 접속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5)
반면에 서비스 등록을 선택하지 않으면, 사용자(51)가 착신모드의 진행 여부를 판단한다.(S203)
사용자(51)가 웹을 이용하여 접속한 경우, 원넘버 서비스 가입여부를 검색하게 된다.(S209)
서비스 가입여부를 검색한 후, 원넘버 서비스에 등록 및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S213)
등록 및 변경을 선택하면, 원넘버 서비스 등록 및 변경 모드를 진행하게 된다(S218)
반면에, 등록 및 변경을 원하지 않는 경우, S200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
S203 단계에서 착신 모드 진행 여부를 판단하여, 착신 모드를 진행한다고 판단하면, 게이트 키퍼(55)는 ARS(71) 호출하여 사용자(51)와 ARS(71)를 연결한다.
사용자(51)와 ARS(71)가 연결되면, 통화를 원할 경우 #1을 선택하도록 하고, 수신처 등록 및 변경을 원할 경우 #2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ARS 원넘버 서비스 안내멘트를 송출한다.(S211)
안내멘트에 의해 사용자가 #1을 선택하면, 사용자(51)에게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반면에 사용자가 #2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비밀 번호를 확인한다.(S217)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인증되면, 수정을 위한 안내멘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219)
사용자는 안내멘트에 따라, 수신처 등록모드(S220), 수신처 변경모드(S221) 또는 비밀번호 설정 및 해제(S222)등의 단계를 진행하고, 원넘버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도 8은 사용자가 다른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51)가 자신의 각종 통신 서비스 번호를 인터넷 연락전화번호에 이용자 웹(68) 또는 ARS(71)을 이용하여 등록을 진행하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원넘버 등록 및 변경모드(S218)을 사용자(51)가 선택하면, 이용자 웹(68) 또는 ARS(71)을 이용해 서비스에 대한 안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01)
서비스 안내에 따라 사용자(51)가 번호를 입력하고 확인하는 과정을 진행한다.(S301)
번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번호를 등록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5)
번호를 등록한다고 판단되면, 케이트 키퍼(55)는 웹 데이터베이스(65) 또는 ARS(71)와 연결된 데이터 베이스(65, 72)를 이용하여 번호를 등록한다.(S307, S309)
번호의 등록이 종료되면, 다른 번호를 등록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51)에게 판단하도록 한다.(S311)
사용자가 다른 번호를 등록 한다고 선택하면, 동륵할 수 있는 번호를 초과했는지 판단하여, 등록할 수 있는 번호의 수를 초과했으면 이에 대한 안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등록과정을 종료한다.(S313, S314, S319)
반면에, 번호를 등록할 수 있는 여분의 공간이 있으면, S303 내지 S309의 단계를 반복한다.
S311 단계에서 사용자가 다른 번호를 등록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가입완료(S317) 또는 등록 안내(S319)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등록과정을 종료한다.
도 9는 도 7의 S221 단계를 선택한 경우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에서 사용자가 수신처 변경모드를 선택하면(S221), 게이트 키퍼(55)는 데이터 베이스(72)의 인터넷 연락번호에 등록된 번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ARS(71)를 통해 번호 등록을 위한 음성 안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01)
ARS(71)에 의해 사용자에게 첫번째 번호가 제공되면, 이를 변경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한다.(S403)
사용자가 변경을 선택하면, 안내된 번호를 삭제하고, 변경할 번호를 입력받게 된다.(S407)
반면에, 사용자가 변경하지 않음을 선택하면, 수신처 변경을 종료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51)가 선택하도록 한다.(S411)
사용자(51)가 종료를 선택하면, 수신처 변경모드의 실행을 종료한다.(S420)
반명에, 사용자(51)가 수신처 변경모드를 종료하지 않는다고 선택하면, 게이트 키퍼(55)는 등록된 번호가 더 있는지 판단한다.(S413)
등록된 번호가 더 있다고 판단되면, S403 내지 S411의 단계를 다시 반복한다.(S414)
반면에, 등록된 다른 번호가 없다고 판단되면, 등록번호 수의 제한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17)
제한을 초과했다고 판단되면, 등록 과정을 종료한다.(S420)
반면에, 제한을 초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다른 번호를 신규등록 할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19)
사용자가 신규 등록을 선택하면, 등록할 번호를 입력받음과 아울러, 등록 수의 제한을 판단하여 수신처 변경모드를 진행 또는 종료한다.(S418, S420)
도 10은 도 7의 S220 단계의 착신모드를 선택한 경우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51)가 착신을 원하는 번호를 등록하기 위해 착신모드를 선택한다.(S220)
착신 모드를 선택한 사용자(51)에게 ARS(71)에 의해 등록번호 선택에 관한 안내멘트가 제공된다. 또한, 게이트 키퍼(55)는 등록할 번호가 저장되어 있는지 검색한다.(S501)
검색에 의해 등록 가능한 번호가 있으면 사용자가 번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한다.(S503)
사용자가 특정 번호를 선택하면, 게이트 기퍼(55)는 선택된 번호로 아웃 다이얼링(Out Dialing)한다.(S505)
아웃 다이얼링한 번호가 통화중이면 등록번호를 다시 선택하도록 사용자(51)에게 요청한다.(S509)
반면에, 통화중이 아니면 부재중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515)
등록번호를 다시 선택하면, 재 다이얼 여부를 사용자(51)가 선택하도록 한다.(S511)
사용자가 재 다이얼을 선택하면 S505, S507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반면에 재 다이얼을 하지 않는다고 선택하면, 착신모드를 종료한다.(s520)
한편, 부재중 여부를 판단하여, 부재중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사용자(51)와 착신을 연결하여 사용자에게 통화를 제공하고 착시모드 서비스를 종료한다.(S519, S520)
반면에, 부재중이라고 판단되면, 사용자(51)에게 부재중임을 알리는 안내 멘트를 제공하고 재 다이얼 여부를 사용자(51)가 선택하도록 한다.(S511)
도 11은 도 7의 S222 단계의 진행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51)가 비밀번호 설정 및 해제 모드의 진행을 선택하면(S222), ARS(71)는 비밀번호 설정 및 해제에 관한 안내멘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601)
안내멘트가 종료되면 ARS(71)는 사용자(51)로 하여금 비밀번호를 선택할 것이지의 여부를 선택하도록 한다.(S603)
사용자(51)가 비밀번호를 설정한다고 선택하면, ARS(71)로부터의 응답에 따라 게이트 키퍼(55)는 비밀번호 기능 설정을 수행하고, 비밀번호 설정 및 해제 모드를 종료한다.(S604, S620)
반면에, 설정하지 않음을 선택하면, 비밀번호를 해제할 것인지의 여부를 사용자(51)가 선택하도록 한다.(S607)
사용자가 해제를 선택하면, 게이트 키퍼(55)는 비밀번호 기능을 해제 한다.(S609)
반변에 해제를 선택하지 않으면, 비밀번호의 변경여부를 사용자(51)에게 물어본다.(S611)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변경하지 않음을 선택하면, 비밀번호 설정 및 해제 모드를 종료한다.(S620)
반면에 사용자가 비밀번호 변경을 선택하면, 사용자(51)로부터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받는다.(S613)
사용자(51)가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비밀번호에 대한 음성 안내를 사용자(51)에 제공하고, 등록할것인지 확인한다.(S615, S617)
사용자가 등록을 하지 않음을 선택하면 S613, S615의 과정을 반복한다.(S617)
반면에 사용자가 등록함을 선택하면, 비밀번호 기증 설정과정을 진행한 후 비밀번호 설정 및 해제 모드를 종료한다.(S619, S620)
이러한, 원넘버 서비스외에 도 6에 나타낸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터넷 폰 이용자에게 빌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과 도 12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빌링 서비스를 인터넷 폰(51)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가 ASP 플랫폼을 운용하는 망을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서비스 사업자는 관리자 웹(67)을 이용하여 상품을 만들고, 사용자는 정보를 등록하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게이트 키퍼(55), 게이트 웨이(57), 인증서버(74), 빌링 서버(70)를 포함하는 고가의 통신 장비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ASP 형태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초기 진입 장벽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PNP 서버(69) 및 프록시 서버(54)를 구서아형 지능화 및 집중화를 통한 플랫폼 구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는 인터넷 전화 선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리자 웹의 한 형태를 예를 들어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이용자웹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인터넷 폰(51)을 이용하여 인터넷 전화 선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미리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 관한 정보를 인터넷 폰(51)의 메모리(1, 21)에 저장한다.
인터넷 선불 전화 서비스 사업자는 도 12와 같이 ASP 플랫폼 사업자가 제공하는 관리자 웹(67)을 통해 각 인터넷 폰(51)의 메모리(1, 21)에 할당할 고유값(Unique Key), H323 ID, E164, 상품, 잔액을 포함하는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해당 인터넷 폰(51)이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 필요한 게이트 키퍼(55)의 IP 주소, 시그널링 포트/RAS 포트 정보와 사설 또는 방화벽 환경 하에서 필요한 프록시 서버(54) 및 포트 정보를 함께 기록한다.
도 14는 인터넷 폰과 PNP 서버와의 통신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인터넷 폰(51) 사용자는 인터넷 폰(51)을 컴퓨터 단말(17, 37)의 USB 포트에 설치하기만 하면 별도의 로그인 절차 없이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인터넷 폰(51)이 컴퓨터 단말(17, 37)에 설치되면 인터넷 폰(51)의 메모리(1, 21)에 저장된 인터넷 전화 소프트 폰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된다. 소프트 폰 프로그램에는 PNP 서버(69)의 주소가 지정되어 있으며, 이 PNP 서버(69)의 주소로 인터넷 폰(51)의 메모리(1, 21)에 저장된 고유값 및 IP주소를 전송하게 된다.
PNP 서버(69)는 데이터 베이스(105)에서 해당 고유값 정보를 확인한 후, 해당 정보가 없으면 에러코드를 반환하고, 정보가 있는 경우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위해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게이트 키퍼(55) 주소, H323 ID, E164와 같은 정보를 PNP 서버(69)로 반환한다.
또한, PNP 서버(69)는 인터넷 폰(51)이 전송한 정보 중 IP 주소를 분석하여 해당 IP가 NAt 서버인 경우 프록시 서버(54) 주소와 포트 정보를 함께 반환한다.
도 15는 사설 프록시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신호의 송수신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인터넷 폰(51) 내에서 자동 실행된 소프트 폰 프로그램은 PNP 서버(69)로부터 반환 받은 정보로 게이트 키퍼(55)에 자동등록한다.
종래의 인터넷 전화 서비스 이용자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게이트 키퍼(55)에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 했지만, 본 고안에서는 이를 인터넷 폰(51)에 저장된 소프트 폰 프로그램에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인터넷 폰(51)은 H323 프로토콜에서 정의한 대로, PNP 서버(69)에서 받은 정보를 게이트 키퍼(55)에 요청하고, 게이트 키퍼(55)는 인증서버(74)에 서비스 유무를 요청한다.
인증서버(74)는 이용자의 상태와 이용자가 요청한 전화번호의 요금과 잔액을 비교하여 통화가능 시간을 게이트 키퍼(55)에 제공한다.
인터넷 폰(51)이 사설 IP 환경에 설치된 경우 도 14와 같이 프록시 서버를 구성해서 사설 IP 정보를 프록시 서버(54)가 획득한 공인 IP 정보를 변환하여 게이트 키퍼(55)와 사설 IP 환경하에서의 인터넷 폰(51) 사이의 정보교환을 원할히 하도록 하여 정상적인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6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용자가 인터넷 폰(51)을 컴퓨터 단말(17, 37)에 설치하면, 도 16과 같은 화면이 컴퓨터 단말(17, 37)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의 구성은 크게 이용자 환경 및 기능 설정/조절 버튼, 상태 표시창, 부가서비스 설정 및 다이얼 버튼으로 구성된다.
대기상태 및 전화번호 입력 창은 핸드폰과 같이 전화를 걸 수 있는 준비상태를 표시하고 입력된 전화번호를 표시한다. 또한, 대기 상태 및 전화번호 입력 창은 선불 요금 잔액을 표시하며, 각종 기능 및 조절 버튼 사용시 상태를 표시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다이얼은 컴퓨터 단말(17, 37)의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통화를 원하는 수신측 단말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전화번호부 기능을 통해 전화번호를 등록하고, 등록된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전화걸기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착신전화 설정버튼은 자신이 부재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은 경우 연결 받고 싶은 전화번호를 설정하는데 이용된다. 착신전환은 사용자가 직접 전환연결을 원하는 번호로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설정된 번호는 데이터 베이스(72)에 사용자 정보와 함께 저장된다. 여기서, 공중교환망(58)에서 트렁크 게이트웨이(57)를 통하여 사용자의 인터넷 연락번호로 착신 연결을 하려고 할 때 이용자가 부재중이거나 접속 중이지 않으면 게이트 키퍼(55)는 데이터 베이스(72)를 검색하여 착신전환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착신전환이 설정되어 있으면, 일정한 규칙에 따라 해당 번호로 전환하여 사용자와 송화자를 연결한다.
아울러, 사용자는 온라인 계정 관리 버튼을 이용하여 이용자 웹(68)에 접속하고, 이를통해 개인정보 수정, 부가서비스 설정 및 충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선불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72), 빌링 서버(70)와 게이트 웨이(57)에 각각 잔액, 충전, 인증정보, 선불잔액, 통화가능 시간 계산 및 안내시스템이 내장되어 구성된다.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게 되면 데이터 베이스(72)의 정보를 이용하여 잔액 대비 통화 가능 시간을 빌링 서버(70)가 계산하여 잔액이 소진될것으로 예상되면 통화권한을 제한하기 전에 안내 시스템을 가동하여 이용자에게 공지한다. 또한,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실제 통화를 제한하는 제어 메시지를 게이트 키퍼(55)에 통보하여, 재충전이 이루어질 때까지 통화권한을 제한하고, 데이터 베이스(72)에 관련사항을 저장한다.
인터넷을 이용한 음성 통화 서비스의 제공이 가능한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메모리, 사운드 카드 및 컴퓨터 단말과의 연결을 위한 커넥터를 제공함과 아울러 메모리에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각종 정보 및 실행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인터넷 폰을 컴퓨터 단말의 커넥터에 연결함으로써 손쉽게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인터넷 폰은 사운드 카드를 내장하고, 컴퓨터 단말 또는 내장된 사운드 카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커넥터를 통해 컴퓨터 단말의 전원을 이용하여 동작하므로, 배터리의 부가문제와 사운드 카드의 설정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고안의 인터넷 폰은 이어헤드 셋과 인터넷 폰과의 연결을 유선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환경에 대한 적응성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인터넷 폰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프록시 서버의 IP 주소를 매개로 하여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위한 규약에 의해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사설 IP 환경하에서도 인터넷 전화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인터넷 폰을 이용한 서비스 방법은 사설 IP 사용으로 인한 착신 불능 및 복잡한 설정 절차를 간소화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기재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용신안 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터넷 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인터넷 폰을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시스템에서 호 개통 절차를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순서대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인터넷 폰을 위한 원넘버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원넘버 서비스의 수행을 위한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사용자가 다른 번호를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7의 S221 단계를 선택한 경우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은 도 7의 S220 단계를 선택한 경우의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도 7의 S222 단계의 진행을 보다 자세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12는 인터넷 전화 선불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관라자 웹을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이용자 웹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인터넷 폰과 PNP 서버의 통신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15는 사설 프록시 서비스 구현을 위한 신호의 송수신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의 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1 : 메모리 3, 23 : 음향카드
5, 25 : 제어모듈 7 : 인터넷 폰
9, 29 : 이어헤드 셋 11, 31 : 커넥터
13, 33 : USB 컨트롤러 15, 35 : CPU
17, 37 : 컴퓨터 단말 27 : 본체부
24 : 본체 송수신기 41 : 마이크
42 : 스피커 43 : 배터리
45 : 셋 송수신기 51 : 인터넷 폰
52 : 사설 네트워크 53 : 공유기
54 : 프록시 서버 55 : 게이트 키퍼
56 : 인터넷 57 : 트렁크 게이트웨이
58 : 공중교환망 59 : 수신측 단말
60 : 이동 통신망 61 : 이동통신 단말기
65 : 웹 데이터 베이스 66 : 웹 관리 시스템
67 : 관리자 웹 68 : 이용자 웹
69 : PNP 서버 70 : 빌링서버
71 : ARS 72 : 데이터 베이스
73 : 인터넷 데이터 센터 74 : 인증서버

Claims (3)

  1. 인터넷프로토콜(IP)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컴퓨터 단말(17, 31)에 접속되는 인터넷 폰(51)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폰(51)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아이디(ID), 인터넷 전화번호, 프로토콜 아이디 및 이넘(ENum) 아이디를 포함하는 접속정보와, 상기 인터넷 폰(51)과 상기 컴퓨터 단말(17, 37)의 접속시에 상기 사용자에게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셋업(Set-Up)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1, 21)와;
    상기 인터넷 전화 서비스의 사용시 상기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데이터 통신을 위한 송신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사용자와 호가 연결된 수신자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수신 음성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음향카드(3, 23)와;
    상기 컴퓨터 단말(17, 37)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상기 접속정보, 상기 음성데이터 및 상기 셋업 프로그램의 실행시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며, 상기 컴퓨터 단말(17, 37)로부터의 전원을 제공받기 위한 유에스비(USB) 커넥터(11, 31)와;
    상기 컴퓨터 단말(17, 37)과 접속시에 상기 셋업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상기 셋업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접속정보를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시스템에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음향 카드(3, 23)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모듈(5, 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카드(3, 23)는 상기 음향신호의 입출력을 위한 이어헤드셋(9)과의 접속을 위한 커넥터(1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21), 상기 제어 모듈(25) 및 상기 음향카드(23)가 실장되는 본체부와 상기 이어헤드 셋(29)은 음성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24, 4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폰.
KR20-2005-0003664U 2005-02-07 2005-02-07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3837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664U KR200383702Y1 (ko) 2005-02-07 2005-02-07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664U KR200383702Y1 (ko) 2005-02-07 2005-02-07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385A Division KR20060090473A (ko) 2005-02-07 2005-02-07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702Y1 true KR200383702Y1 (ko) 2005-05-09

Family

ID=43685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664U KR200383702Y1 (ko) 2005-02-07 2005-02-07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7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9299A2 (ko) * 2008-02-05 2009-08-13 Media Wave Corp Co., Ltd. 광대역 무선 인터넷 기반의 소프트 자동 접속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9299A2 (ko) * 2008-02-05 2009-08-13 Media Wave Corp Co., Ltd. 광대역 무선 인터넷 기반의 소프트 자동 접속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WO2009099299A3 (ko) * 2008-02-05 2009-11-05 주식회사 미디어웨이브콥 광대역 무선 인터넷 기반의 소프트 자동 접속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6328B2 (en) Caller-callee associ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ed devices with direct dial through thin client
JP3402190B2 (ja) オーディオ接続を確立する方法および分散型データベース
EP1915844B1 (en) Caller-callee association of a plurality of networked devices
KR100391965B1 (ko) 호접속시에전화단말과음성채널ip어드레스를관련시키는것이가능한전화통신방법
JP3576906B2 (ja) インターネット網に接続可能な電話通信装置と主電話制御装置とipアドレスを管理する方法
TWI404386B (zh) 使用對話啟動協定之多重註冊的通訊方法與系統
EP2087694B1 (en) Communication system
CN101375576A (zh) 使用pstn传送ip地址用于点对点文本、话音、视频或数据通信
US6950507B1 (en) System for working at a remote office PBX
US20050143057A1 (en) Method for forwarding call from cellular phone to IP phone
EP1879352B1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a group of subscriber terminals having a common identification
KR20020011668A (ko) 인터넷 전화통화 서비스 방법
CA2805058C (en) Video calls for external networks
US200600563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grated and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JP4001768B2 (ja) 構内電話交換システム、端末及びサーバ
KR200383702Y1 (ko)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60090473A (ko) 인터넷 폰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JP2002281151A (ja) コンピュータ通信網を基盤とする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H10233808A (ja) ゲートウェイ選択方法及び装置
KR20000072754A (ko) 인터넷과 공중전화망을 통하여 통신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및 시스템
WO2012071917A1 (zh) 一种voip的即时呼叫方法
KR100794127B1 (ko) 발신자 부담 웹투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09129A (ko) 유동 ip 인터넷 폰과의 통화 방법
KR100489944B1 (ko) 재택 근무를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16901Y1 (ko) 보이스 오버 아이피 서비스를 지원하는 아이피 공유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