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502Y1 -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502Y1
KR200383502Y1 KR20-2005-0004649U KR20050004649U KR200383502Y1 KR 200383502 Y1 KR200383502 Y1 KR 200383502Y1 KR 20050004649 U KR20050004649 U KR 20050004649U KR 200383502 Y1 KR200383502 Y1 KR 2003835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one
cooking vessel
natural stone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6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석
Original Assignee
김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석 filed Critical 김명석
Priority to KR20-2005-00046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5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5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502Y1/ko
Priority to EP05010630A priority patent/EP1692986A1/en
Priority to JP2005003484U priority patent/JP3112579U/ja
Priority to US11/175,080 priority patent/US20060185662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금속재질인 조리용기 전체를 하드 아노다이징(경질피막) 처리하여 부식을 방지하며, 내부에 소정 높이까지 보온효과 및 우수한 광물질을 배출하는 자연석을 안착함과 아울러 상기 자연석을 안착하지 않은 조리용기의 상단부 외측에 손잡이를 리벳팅하여 조리용기를 쉽게 들 수 있도록 한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는 내부에 음식물을 담아 익힐 수 있는 공간을 갖으며, 금속재질이고, 상단부 둘레에 다수 개의 설치홀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부식방지를 하며, 열전도율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 전체를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하여 형성한 코팅층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서 설치홀 하부까지 안착되어 외부의 열 및 광물질을 음식물에 전달하는 자연석과, 상기 본체의 코팅층 형성 후 설치홀에 삽입되는 리벳에 의해 본체와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는 용기 본체의 강도를 증대시키고, 본체 외부면에 긁힘을 방지하며, 자연석의 이탈 방지 및 손잡이의 강도를 증대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a cooking pot having stone}
본 고안은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재질인 조리용기 전체를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하여 부식을 방지하며, 내부에 소정 높이까지 보온효과 및 우수한 광물질을 배출하는 자연석을 안착함과 아울러 상기 자연석을 안착하지 않은 조리용기의 상단부 외측에 손잡이를 리벳팅하여 조리용기를 쉽게 들 수 있도록 한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조리용기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들어, 상기 조리용기가 열전도도는 높으나 보온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내면 전체에 걸쳐 돌을 적층한 구조가 제안되고 있다.
그래서, 상기 조리용기는 외부에서 가해지는 열을 흡수하여 돌에 의해 내부에 균일하게 전달되면서 보온되기 때문에 밥을 지을 경우 뜸이 완전히 들어 맛이 좋은 밥을 즐길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용기는 내부면 전체에 걸쳐 돌을 적층하기 때문에 손잡이를 설치하기 위해 돌에 구멍을 뚫어야 하나 돌이 깨어지기 때문에 손잡이를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조리용기는 금속재질이기 때문에 부식 방지를 위해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여야 하는 바, 돌로 인해 구멍을 뚫지 못하므로 통전집게를 사용하여 임의의 둘레를 집고 공기 중에서 전류를 통전시킴으로 인해 통전집게 부위를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조리용기의 본체 상단부에 통공된 설치홀에 통전집게를 삽입하여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본체 전체에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고, 본체 내부에서 설치홀 하부까지 자연석을 안착함과 아울러 설치홀에 손잡이를 리벳팅함으로써 조리용기를 손쉽게 들 수 있도록 한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음식물을 담아 익힐 수 있는 공간을 갖으며, 금속재질이고, 상단부 둘레에 다수 개의 설치홀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부식방지를 하며, 열전도율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 전체를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하여 형성한 코팅층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서 설치홀 하부까지 안착되어 외부의 열 및 광물질을 음식물에 전달하는 자연석과, 상기 본체의 코팅층 형성 후 설치홀에 삽입되는 리벳에 의해 본체와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10a)는 내부에 음식물을 담아 익힐 수 있는 공간을 갖으며, 금속재질이고, 상단부 둘레에 다수 개의 설치홀(22)을 형성한 본체(20)와, 상기 본체(20)의 부식방지를 하며, 열전도율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 전체를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하여 형성한 코팅층(30)과, 상기 본체(20)의 바닥면에서 설치홀(22) 하부까지 안착되어 외부의 열 및 광물질을 음식물에 전달하는 자연석(40)과, 상기 본체(20)의 코팅층(30) 형성 후 설치홀(22)에 삽입되는 리벳(52)에 의해 본체(20)와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5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일례로써, 조리용기(10a)는 냄비를 도시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용기(10a)의 본체(20)는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부를 개방하며, 내부에 공간을 갖는다.
또한, 상기 본체(2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본체(20)는 비교적 가벼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조리용기(10a)의 본체(20)는 상단부 둘레에 다수 개의 설치홀(22)을 통공 형성한다.
이때, 상기 설치홀(22)은 본체(20)의 둘레에서 마주하는 위치에 각각 한 쌍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20)는 부식 방지와 열전도율 및 강도의 증가를 위해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하여 표면에 코팅층(3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하드 아노다이징(경질피막) 처리는 알루미늄 표면에 산화피막을 입히는 작업을 말한다.
즉, 상기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는 대기 중에서 안정한 산화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재료, 즉 알루미늄, 티타늄 등을 적정한 산화합 용액에서 전기를 가해서 표면에 인공 산화피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기 본체(20)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를 위해서 이다.
그리고, 상기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시 코팅층(30)은 전해액의 종류, 농도, 전압, 전류의 성질, 전류밀도, 온도, 전해시간, 액의 신고 등에 따라 다르므로 알루미늄의 재질, 가공상태에 적합한 조건을 선정해야 하며, 공지된 하드 아노다이징법의 종류 중 적절한 공법으로 행하되 코팅층(30)의 두께는 50㎛ 이상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본체(20)는, 통상적으로,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시 통전을 위해 통전집게(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는데, 이 통전집게를 설치홀(22)에 끼워 고정한 상태로 코팅층(30)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둘레 전체에 코팅층(3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20)는 내부에 자연석(40)을 안착한다.
이때, 상기 자연석(40)은 본체(20)의 내부면과 동일한 형상을 하여 상호 밀착되도록 하고, 상호 결합은 공지된 공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연석(40)은 본체(20)의 내부면에서 소정 높이까지, 즉, 설치홀(22) 아래 부분까지 안착된다.
그래서, 상기 본체(20)는 설치홀(22)에 손잡이(5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자연석(40)은 보온성이 증대되고, 다양한 광물질, 특히, 미네랄, 원적외선 등을 방출하는 맥반석이나 화강암 등이다.
이때, 원적외선이란 파장 5-25 마이크론의 눈에 보이지 않는 광선으로 다량 발생할 경우 여러 가지 유익한 성질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장이 길어 물체 깊숙이 침투하며 물질의 분자를 쉽게 진동시켜 스스로 열을 내게 만든다.
이러한 작용으로, 상기 본체(20)는 외부의 열기를 공급받으면서 자연석(40)에서 방출되는 원적외선으로 인해 음식물 깊은 곳까지 쉽게 익힌다.
또한, 상기 자연석(40)은 가장자리를 본체(20)의 내측면에서 중앙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본체(20)는 자연석(40)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위에 단턱(24)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본체(20)는 손잡이(5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50)는 자연석(40)이 안착되지 않은 본체(20)의 상단부에 설치됨으로써 자연석(40)을 파괴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0)는 설치홀(22)을 통해 결합되기 때문에 최소한 한 쌍씩 구비되어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50)는 설치홀(22)에서 본체(20)와 통상적인 볼트와 너트로 결합시, 장기간의 경과 후 나사 풀림으로 인해 수시로 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래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50)는 리벳(52)을 사용하여 리벳팅에 의해 본체(20)에 결합된다.
즉, 상기 리벳(52)은 설치홀(22)에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손잡이(50)의 하단부를 관통하여 망치 등에 의해 끝단이 타격됨으로써 직경이 상대적으로 커지면서 길이가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본체(20)와 손잡이(50)를 밀착시키며 결합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조리용기(10b)는 그리들(griddle)을 나타낸다.
상기의 조리용기(10b)는 본체(20)의 둘레에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고 내부에 자연석(40)을 장착 한 후 손잡이(50)를 부착하여 형성된 구조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여 상세히 언급하지 않으며, 미설명된 부호도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에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를 도시한 것으로, 조리용기(10c)는 후라이팬을 나타낸다.
상기의 조리용기(10c)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되며, 자연석(40)을 내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손잡이(50)를 본체(20)에만 장착한다.
그리고,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는 금속재질인 본체 내부에 자연석을 안착함으로써 보온성이 증대되고, 다량의 광물질을 방출하여 음식물이 익는데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조리용기는 본체 둘레 전체에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를 함으로써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조리용기는 본체 내부에 자연석을 안착한 상태에서 자연석이 설치되지 않은 본체 상단부에 손잡이를 결합함으로써 비교적 무거운 본체를 쉽게 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은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고안은 알루미늄과 같은 강도가 약한 금속본체에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를 함으로써, 본체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고안은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를 하는 코팅층으로 인해 본체의 긁힘 현상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고안은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를 통해 자연석의 안착상태를 견고히 하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고안은 손잡이 부분에도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가 됨으로써, 자연석으로 인해 상당한 하중을 갖는 본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잡이의 강도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10c: 조리용기 20: 본체
22: 설치홀 30: 코팅층
40: 자연석 50: 손잡이
52: 리벳

Claims (1)

  1. 내부에 음식물을 담아 익힐 수 있는 공간을 갖으며, 상단부 둘레에 다수 개의 설치홀을 형성한 금속재질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부식방지를 하며, 열전도율 및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둘레 전체를 하드 아노다이징 처리하여 형성한 코팅층과;
    상기 본체의 바닥면에서 상기 설치홀 하부까지 안착되어 외부의 열 및 광물질을 음식물에 전달하는 자연석과;
    상기 본체의 코팅층 형성 후 상기 설치홀에 삽입되는 리벳에 의해 상기 본체와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
KR20-2005-0004649U 2005-02-22 2005-02-22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 KR2003835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49U KR200383502Y1 (ko) 2005-02-22 2005-02-22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
EP05010630A EP1692986A1 (en) 2005-02-22 2005-05-17 Cookware
JP2005003484U JP3112579U (ja) 2005-02-22 2005-05-20 天然石を備えた調理容器
US11/175,080 US20060185662A1 (en) 2005-02-22 2005-07-05 Cookw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49U KR200383502Y1 (ko) 2005-02-22 2005-02-22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502Y1 true KR200383502Y1 (ko) 2005-05-03

Family

ID=34936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649U KR200383502Y1 (ko) 2005-02-22 2005-02-22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85662A1 (ko)
EP (1) EP1692986A1 (ko)
JP (1) JP3112579U (ko)
KR (1) KR2003835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66710B2 (en) * 2007-06-14 2011-06-28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Cookware article with substantially flush rivets
US7966709B2 (en) * 2007-06-14 2011-06-28 Meyer Intellectual Properties Limited Cookware article with internally flush rivets
DE102008029422A1 (de) * 2008-06-23 2009-12-24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Kochgefäß
US20230068407A1 (en) * 2021-08-27 2023-03-02 Survivor Products Llc Pressure-coo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42910A (en) * 1921-08-29 1923-01-23 Steinhardt Arthur Electrically-heated vessel
DE603530C (de) * 1933-12-13 1934-10-03 Rausch Karl Kochgefaess aus Porzellan, Steingut, Glas o. dgl. mit Blechmantel
US3734077A (en) * 1972-03-15 1973-05-22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 Heat-retaining food server
US3837895A (en) * 1972-05-18 1974-09-24 Olin Corp Organic resin-glass-metal composite
US3983275A (en) * 1974-07-29 1976-09-28 Swiss Aluminium Ltd. Cookware prepared from high temperature aluminum base alloys
US4258695A (en) * 1977-12-08 1981-03-31 Vrle T. Minto Stored heat cooking utensil
US4250215A (en) * 1979-02-26 1981-02-10 General Housewares Corp. Cooking utensil with non-stick cooking surface
US4538590A (en) * 1984-05-22 1985-09-03 J & L Importers, Inc. Cookware having integrally formed natural stone bottom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625098A (en) * 1984-10-16 1986-11-25 Joe Do S Cookware having integrally formed natural stone bottom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R2827869B1 (fr) * 2001-07-26 2007-04-13 Seb Sa Revetement anti-adhesif presentant une resistance amelioree a la rayure et a l'abrasion
US6802432B1 (en) * 2003-06-17 2004-10-12 First Enamel Industrial Corp. Enamel cooking wa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92986A1 (en) 2006-08-23
US20060185662A1 (en) 2006-08-24
JP3112579U (ja) 200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3502Y1 (ko) 돌을 구비한 조리용기
EP1952735B1 (en) Induction cookware
JP6224086B2 (ja) 陽極処理され電気化学的に着色された外面を備える調理容器を得る方法
RU2016110261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емкости для тепловой кулинарной обработ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имеющей окрашенную твердо анодированную внешнюю поверхность
CN101869426A (zh) 安全型电磁感应加热非金属锅
FR3070245A1 (fr) Support de cuisson multicouches pouvant etre chauffe par induction
CN204015926U (zh) 一种石墨内胆电饭锅
WO2017067581A1 (en) Dishwasher-safe induction cookware
CN203935086U (zh) 一种石墨煎锅
CN211155426U (zh) 手柄组件和锅具
WO2007006978A1 (fr) Ustensile de cuisson
CN107087981A (zh) 一种家用电火锅锅具
FR2625494A1 (fr) Revetement d'email charge de billes de verre pour fond d'ustensiles de cuisson et ustensiles ainsi revetus
KR101141739B1 (ko) 조리용기의 넘침 방지장치
CN208941679U (zh) 锅具和煮食设备
CN202287746U (zh) 新型多层锅
JP3163421U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ステーキ皿
CN207428916U (zh) 电磁炉用陶瓷锅
CN206151186U (zh) 一种钛合金炒锅
CN201519037U (zh) 一种表面陶瓷化的铝合金锅
KR200346523Y1 (ko) 전자렌지용 조리기
CN212755251U (zh) 一种新型不粘电热锅
KR20180006002A (ko) 바닥면에 단열공간이 형성된 뚝배기
CN201005531Y (zh) 一种新型复合煮食容器
CN218683728U (zh) 一种燕窝厨具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