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926Y1 -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 - Google Patents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926Y1
KR200382926Y1 KR20-2005-0002900U KR20050002900U KR200382926Y1 KR 200382926 Y1 KR200382926 Y1 KR 200382926Y1 KR 20050002900 U KR20050002900 U KR 20050002900U KR 200382926 Y1 KR200382926 Y1 KR 2003829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ccentric pin
oil
sleeve
crankshaft
w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2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9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9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9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23Lubricat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type
    • F04B39/023Hermetic compressors
    • F04B39/0238Hermetic compressors with oil distribution channels
    • F04B39/0246Hermetic compressors with oil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rotating shaft
    • F04B39/0253Hermetic compressors with oil distribution channels in the rotating shaft using centrifugal force for transporting the o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23Lubricat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type
    • F04B39/023Hermetic compressors
    • F04B39/0269Hermetic compressors with device for spraying lubricant or with mist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04B39/0284Constructional details, e.g. reservoirs in the ca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크랭크축(20)의 상단에 상기 크랭크축(20)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되게 구비되고, 상기 크랭크축(20)의 내부로 형성되는 오일통로(5a)가 그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크랭크축(20)의 회전에 따라 원주운동하며 상기 오일통로(5a)와 연통되는 오일공급공(26)을 통해 오일을 분사하는 편심핀(22)과, 커넥팅로드(34)의 크랭크축연결부(40)에 체결되고, 내부로는 상기 편심핀(22)이 삽입되며, 상기 편심핀(22)과의 마모를 줄이기 위해 상기 오일공급공(26)으로부터 분사된 오일 중 일부를 저장하여 상기 오일로 상기 편심핀(22)과의 접촉부위를 윤활하는 저유홈부(30)가 함몰 형성되는 슬리브(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슬리브(28)와 편심핀(22) 사이에 적절한 유막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편심핀(22)의 마모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An Improvement Structure Of Abrasion Between An Eccentric Pin And A Sleeve In Hermatic Compressor}
본 고안은 밀폐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면접촉되어 크랭크축의 회전력을 커넥팅로드를 통해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접촉관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부용기(1t)와 하부용기(1b)로 이루어지는 밀폐용기(1)가 구비되고, 밀폐용기(1)의 내부에는 프레임(2)이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2)에는 고정자(3)가 고정되어 있고, 이와 같은 프레임(2)은 스프링(2s)에 의해 밀폐용기(1) 내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서는 크랭크축(5)이 설치되어 있다. 크랭크축(5)에는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크랭크축(5)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단에는 편심핀(5b)이 크랭크축(5)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핀(5b)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상기 편심핀(5b)에 의한 크랭크축(5)의 회전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균형추(5c)가 형성된다.
그리고 크랭크축(5)의 내부에는 오일통로(5a)가 형성된다. 상기 오일통로(5a)를 통해서는 밀폐용기(1)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는 오일(L)이 안내되어 프레임(2)의 상부로 전달되어 비산된다. 그리고, 크랭크축(5)의 하단부에는 오일(L)을 펌핑하여 오일통로(5a)로 전달하는 펌핑기구(5d)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오일통로(5a)는 상기 편심핀(5b)의 내부로도 연장되어 오일공급공(6)을 통해 상기 편심핀(5b)의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오일공급공(6)은 상기 오일통로(5a)에 연통되게 상기 편심핀(5b)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오일공급공(6)은 상기 오일통로(5a)에 연통되는 상단 오일공(6a)과 하단 오일공(6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 오일공(6a)은 상기 편심핀(5b)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압축기의 상단부로 오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 오일공(6b)은 상기 편심핀(5b)의 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편심핀(5b)과 슬리브(9) 사이로 오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편심핀(5b)이 원주운동할 때 상기 편심핀(5b)과 상기 편심핀(5b)에 면접촉하는 슬리브(9) 사이를 윤활하여 마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편심핀(5b)에는 슬리브(9)가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9)에는 상기 편심핀(5b)이 삽입될 수 있게 그 내부는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9)와 편심핀(5b) 사이는 약 수 미크론 정도의 갭이 형성되어 그 갭으로 오일이 윤활되고 상기 슬리브(9)가 상기 편심핀(5b)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커넥팅로드(10)는 피스톤연결부(10a), 몸체부(10b)와 크랭크축연결부(10c)로 구성되는데, 상기 슬리브(9)는 상기 크랭크축연결부(10c)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피스톤연결부(10a)는 피스톤(8)의 내측에 형성된 챔버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연결부(10a)는 상기 피스톤(8)이 실린더(7)의 압축실(7')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게 상기 피스톤(8)의 챔버에서 소정각의 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연결부(10a)는 내부가 소정직경으로 관통되어 상기 피스톤(8)과 핀(8a)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연결부(10a)에는 몸체부(10b)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10b)는 막대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피스톤연결부(10a)와 이하에서 설명될 크랭크축연결부(10c)를 연결한다.
상기 몸체부(10b)의 타단에는 크랭크축연결부(10c)가 구비된다. 상기 크랭크축연결부(10c)는 슬리브(9)가 압입가능한 정도의 내경을 가진다. 이는 상기 슬리브(9)가 상기 크랭크축연결부(10c)에 압입되어 상기 슬리브(9)와 크랭크축연결부(10c)가 일체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내부에 압축실(7')이 구비된 실린더(7)가 프레임(2)에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압축실(7')에는 커넥팅로드(10)의 피스톤연결부(10a)가 연결된 피스톤(8)이 설치된다. 그리고 실린더(7)의 선단에는 압축실(7')로 유입되고 배출되는 냉매를 제어하는 밸브어셈블리(11)가 설치된다. 상기 밸브어셈블리(11) 상에는 헤드커버(12)가 장착되고, 헤드커버(12)에는 흡입머플러(13)가 상기 압축실(7')로 냉매를 전달할 수 있도록 밸브어셈블리(11)와 연결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편심핀(5b)과 슬리브(9) 사이의 갭이 수 미크론으로 작으므로 그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편심핀(5b)의 윤활하기 위해 공급될 수 있는 오일의 양이 극히 적었다. 따라서 오일이 공급이 부족한 부분에서 상기 편심핀(5b)과 슬리브(9)는 금속 접촉(Metal Contact)을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재질이 약한 편심핀(5b)에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하단 오일공(6b)을 통해 상기 편심핀(5b)과 슬리브(9) 사이를 윤활하는데, 상기 편심핀(5b)과 슬리브(9)는 원주운동하므로 상기 하단 오일공(6b)을 통해 공급되는 오일은 원심력을 받아 높이방향 상단으로만 이동하여 윤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핀(5b)과 슬리브(9) 사이에서 하단 오일공(6b)보다 낮은 부분은 오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슬리브(9)의 내경이 밋밋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편심핀(5b)의 외주연과 면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슬리브(9)의 내주연은 상기 편심핀(5b)의 원주운동에 따라 전체적으로 상기 편심핀(5b)의 외주연과 면접촉이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이러한 편심핀(5b)과 슬리브(9)의 면접촉은 그 접촉면적이 넓기 때문에 그만큼 마찰도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편심핀(5b)과 슬리브(9) 사이의 마찰면적이 큼으로 해서 압축기의 입력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슬리브와 편심핀 사이에 적절한 유막이 형성되는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슬리브와 편심핀 사이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한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슬리브와 편심핀 사이에 오일이 공급되지 않는 부분은 서로 접촉되지 않게 하는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랭크축의 상단에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되게 구비되고, 상기 크랭크축의 내부로 형성되는 오일통로가 그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따라 원주운동하며 상기 오일통로와 연통되는 오일공급공을 통해 오일을 분사하는 편심핀과, 커넥팅로드의 크랭크축연결부에 체결되고, 내부로는 상기 편심핀이 삽입되며, 상기 편심핀과의 마모를 줄이기 위해 상기 오일공급공으로부터 분사된 오일 중 일부를 저장하여 상기 오일로 상기 편심핀과의 접촉부위를 윤활하는 저유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오일공급공은, 상기 편심핀의 상단으로 형성되어 압축기의 상단부로 오일을 분사하는 상단 오일공과, 상기 편심핀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로 오일을 공급하는 하단 오일공으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상기 슬리브의 내주연은 상기 하단 오일공 이하에서 외부로 테이퍼져 상기 편심핀과 접촉되지 않게 이격된다.
상기 저유홈부는 상기 슬리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슬리브와 편심핀 사이에 적절한 유막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편심핀의 마모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 기술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의 저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의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랭크축(20)은 프레임(2)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회전자(4)가 일체로 설치되어 고정자(3)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자(4)와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크랭크축(20)의 상단에는 편심핀(22)이 크랭크축(20)의 회전중심에 대해 편심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편심핀(22)이 형성된 반대쪽에는 상기 편심핀(22)에 의한 크랭크축(20)의 회전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균형추(24)가 구비된다.
그리고 크랭크축(20)의 내부에는 오일통로(5a)가 형성된다. 오일통로(5a)를 통해서는 밀폐용기(1)의 저면에 구비되어 있는 오일(L)이 안내되어 프레임(2)의 상부로 전달되어 비산된다. 이러한 오일통로(5a)는 상기 편심핀(22)의 내부로도 연장되어 오일공급공(26)을 통해 상기 편심핀(22)의 외부로 분사된다.
이때 상기 오일공급공(26)은 상기 오일통로(5a)에 연통되게 상기 편심핀(22)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오일공급공(26)은 상기 오일통로(5a)에 연통되는 상단 오일공(26a)과 하단 오일공(26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단 오일공(26a)은 상기 편심핀(22)의 상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압축기의 상단부로 오일을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상단 오일공(26a)에서는 상기 편심핀(22)의 원주운동을 하면서 오일통로(5a)를 따라 상승된 오일이 비산되어 압축기의 실린더(7)와 피스톤(8) 사이 등에 오일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하단 오일공(26b)은 상기 편심핀(22)의 측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 사이로 오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편심핀(22)이 원주운동할 때 상기 편심핀(22)과 상기 편심핀(22)에 면접촉하는 슬리브(28) 사이를 윤활하여 마모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편심핀(22)에는 슬리브(28)가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28)에는 상기 편심핀(22)이 삽입될 수 있게 그 내부는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슬리브(28)와 편심핀(22) 사이는 약 수 미크론 정도의 갭이 형성되어 그 갭으로 오일이 윤활되고 상기 슬리브(28)가 상기 편심핀(22)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슬리브(28)의 내주연에는 저유홈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저유홈부(30)는 상기 하단 오일공(26b)으로부터 분사되는 오일이 일시적으로 저장되어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 사이를 윤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저유홈부(30)는 오일을 저장하기 위해 내부로 함몰되므로 그 만큼 상기 편심핀(22)과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어 입력을 감소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저유홈부(30)는 도 6 및 도 7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리브(28)의 내주연에서 축선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28)의 내주연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유홈부(30)가 상기 슬리브(28)의 내주연을 따라 총 6개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유홈부(30)로 오일이 최대한 많이 저장될 수 있게 도 9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유홈부(30)가 반원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러한 반원형의 저유홈부(30)는 상기 슬리브(28)에 형성하는 것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슬리브(28)의 강도에도 최대한 적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저유홈부(30)는 그 내부로 오일이 저장될 수 있고 상기 슬리브(28)의 강도에 심각한 영향을 주지만 않도록 하여, 삼각형상 등 다른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슬리브(28)의 하단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져 그 내경이 확장되는 절결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절결부(32)는 상기 하단 오일공(26b) 이하에 대응되는 상기 슬리브(28)의 하단에 형성된다. 이러한 절결부(32)는 상기 슬리브(28)와 편심핀(22)이 상기 하단 오일공(26b) 이하에서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하단 오일공(26b)으로 분사되는 오일이 상기 편심핀(22)과 그에 면접촉하는 상기 슬리브(28)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 사이에서 높이방향으로 상승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하단 오일공(26b)으로부터 분사된 오일은 상기 하단 오일공(26b) 이상에 대응되는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 사이로는 공급되나, 상기 하단 오일공(26b) 이하에 대응되는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 사이로는 거의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오일이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발생되는 상기 편심핀(22)의 마모를 줄이기 위해 상기 하단 오일공(26b) 이하에 대응되는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가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절결부(32)가 구비되는 것이다.
커넥팅로드(34)는 피스톤연결부(36), 몸체부(38)와 크랭크축연결부(40)로 구성되는데, 상기 슬리브(28)는 상기 크랭크축연결부(40)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피스톤연결부(36)는 피스톤(42)의 내측에 형성된 챔버에 연결된다. 상기 피스톤연결부(36)는 상기 피스톤(42)이 실린더(7)의 압축실(7')을 따라 직선왕복운동할 수 있게 상기 피스톤(42)의 챔버에서 소정각의 범위내에서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피스톤연결부(36)는 내부가 소정직경으로 관통되어 상기 피스톤(42)과 핀(44)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 피스톤연결부(36)는 볼 형상으로 구성되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피스톤연결부(36)에는 몸체부(38)의 일단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몸체부(38)는 막대 형상으로 제작되어 상기 피스톤연결부(36)와 이하에서 설명될 크랭크축연결부(40)를 연결한다. 이러한 몸체부(38)는 크랭크축(20)의 회전운동을 상기 피스톤(42)의 직선왕복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부(38)의 타단에는 크랭크축연결부(40)가 구비된다. 상기 크랭크축연결부(40)는 슬리브(28)가 압입가능한 정도의 내경을 가진다. 이는 상기 슬리브(28)가 상기 크랭크축연결부(40)에 압입되어 상기 슬리브(28)와 크랭크축연결부(40)가 일체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슬리브(28)가 크랭크축(20)의 편심핀(22)에 끼워지면 상기 편심핀(22)이 상기 크랭크축(20)의 회전에 따라 원주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슬리브(28)는 상기 편심핀(22)의 외주연에 면접촉하며 상기 크랭크축연결부(40)와 함께 이동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이 인가되면 고정자(3)와 회전자(4)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자(4)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자(4)에는 크랭크축(20)이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자(4)의 회전과 함께 상기 크랭크축(20)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축(20)의 상단에는 상기 크랭크축(20)의 회전에 따라 편심핀(22)이 원주운동한다. 이러한 편심핀(22)의 회전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크랭크축(20)의 회전불균형은 균형추(24)에 의해 해소되게 된다.
상기 편심핀(22)은 원주운동하며 커넥팅로드(34)를 통해 피스톤(42)을 직선왕복운동하게 한다. 즉, 상기 커넥팅로드(34)의 크랭크축연결부(40)는 슬리브(28)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편심핀(22)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로드(34)의 피스톤연결부(36)는 피스톤(4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편심핀(22)이 원주운동하면 상기 크랭크축연결부(40)는 상기 슬리브(28)와 함께 상기 편심핀(22)에 이끌려 원주운동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피스톤연결부(36)는 상기 피스톤(42)을 밀고 당겨 상기 피스톤(42)이 직선왕복운동되게 한다.
이때 상기 크랭크축(20) 내부로 형성된 오일유로(5a)를 통해서는 오일이 상승하여 상기 편심핀(22)의 원주운동에 따라 상기 편심핀(22)의 오일공급공(26)으로부터 비산된다. 이렇게 비산된 오일은 압축기의 상단부에 공급되어 해당부위의 윤활을 돕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일유로(5a)를 통해 상승된 오일은 오일공급공(26) 중 상단 오일공(26a)과 하단 오일공(26b)을 통해 분사된다. 여기서 상기 상단 오일공(26a)을 향하는 오일은 상기 편심핀(22)의 상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상기 편심핀(22)의 원주운동에 따라 사방으로 비산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은 압축기의 피스톤(42)과 실린더(7) 사이 등 윤활이 필요한 공간에 뿌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 오일공(26b)을 향하는 오일은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 사이의 공간으로 분사된다. 즉, 상기 하단 오일공(26b)은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 사이의 면접촉에 의한 마찰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해 그 사이를 윤활하도록 오일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슬리브(28)의 내주연에 형성된 저유홈부(30)는 상기 하단 오일공(26b)을 통해 공급된 오일을 그 내부로 일시 저장한다. 따라서 오일은 상기 저유홈부(30)를 따라 상승되어 종국에는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 사이를 빠져 나가지만 그러는 동안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 사이를 충분히 윤활시켜 주게 된다.
그런데 상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하단 오일공(26b)을 통해 분사된 오일은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의 원주운동에 의해 원심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은 상기 하단 오일공(26b)의 형성위치로부터 상기 원심력에 의해 상단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오일 흐름의 특성으로 인해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하단 오일공(26b) 이하에 대응되는 상기 슬리브(28)의 하단은 테이퍼져 있다. 즉, 상기 슬리브(28)의 내주연 하단에 형성된 절결부(32)에 의해 상기 슬리브(28)는 상기 편심핀(22)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이 상기와 같이 하단 오일공(26b) 이상의 지점으로 상승된다 하더라도 상기 하단 오일공(26b) 이하에 대응되는 상기 편심핀(22)과 슬리브(28)는 서로 면접촉하지 않아 마모의 발생이 현저히 감소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슬리브와 편심핀 사이에 충분한 오일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슬리브의 내주연으로 오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다수개의 저유홈부가 함몰 형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슬리브와 편심핀 사이에 적절한 유막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편심핀의 마모가 억제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저유홈부에 의해 상기 슬리브와 편심핀의 접촉면적이 줄여 듦으로써 압축기의 입력이 개선되어 효율이 상승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편심핀에 형성되는 하단 오일공 이하에 대응되는 슬리브의 내주연은 하단으로 향하여 점차 그 내경이 커지는 절결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단 오일공으로부터 분사된 오일이 원심력에 의해 상부로만 전달된다 하더라도 슬리브와 편심핀 사이가 일정간격 이격됨으로써 상기 편심핀의 마모가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밀폐형 압축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접촉관계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의 저면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 실시예에 따른 슬리브의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구성에 대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크랭크축 22 : 편심핀
24 : 균형추 26 : 오일공급공
26a : 상단 오일공 26b : 하단 오일공
28 : 슬리브 30 : 저유홈부
32 : 절결부 34 : 커넥팅로드
36 : 피스톤연결부 38 : 몸체부
40 : 크랭크축연결부 42 : 피스톤

Claims (4)

  1. 크랭크축의 상단에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중심에서 편심되게 구비되고, 상기 크랭크축의 내부로 형성되는 오일통로가 그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에 따라 원주운동하며, 상기 오일통로와 연통되는 오일공급공을 통해 오일을 분사하는 편심핀과;
    커넥팅로드의 크랭크축연결부에 체결되고, 내부로는 상기 편심핀이 삽입되며, 상기 편심핀과의 마모를 줄이기 위해 상기 오일공급공으로부터 분사된 오일 중 일부를 저장하여 상기 오일로 상기 편심핀과의 접촉부위를 윤활하는 저유홈부가 함몰 형성되는 슬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공급공은, 상기 편심핀의 상단으로 형성되어 압축기의 상단부로 오일을 분사하는 상단 오일공과, 상기 편심핀의 측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로 오일을 공급하는 하단 오일공으로 구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의 내주연은 상기 하단 오일공 이하에서 외부로 테이퍼져 상기 편심핀과 접촉되지 않게 이격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홈부는 상기 슬리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
KR20-2005-0002900U 2005-01-31 2005-01-31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 KR2003829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900U KR200382926Y1 (ko) 2005-01-31 2005-01-31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900U KR200382926Y1 (ko) 2005-01-31 2005-01-31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926Y1 true KR200382926Y1 (ko) 2005-04-27

Family

ID=4368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900U KR200382926Y1 (ko) 2005-01-31 2005-01-31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9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191B1 (ko) 2006-12-18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191B1 (ko) 2006-12-18 201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밀폐형 압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4216B2 (en) High-pressure pump
JP2001221131A (ja) 噴射ポンプのタペット潤滑機構
CN107339163A (zh) 内燃机
KR200382926Y1 (ko) 편심핀과 슬리브 사이의 마모 개선구조
US5850777A (en) Floating wrist pin coupling for a piston assembly
KR100816835B1 (ko) 밀폐형압축기의 오일공급구조
KR19990060438A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오일공급구조
KR10059362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축과 회전자 조립구조
KR101053306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피스톤
KR100871129B1 (ko) 밀폐형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오일공급구조
JP2013122240A (ja) 冷媒圧縮機
US20140079579A1 (en) High-pressure fuel pump
KR100621379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KR20060130891A (ko) 왕복동형 압축기
KR200382935Y1 (ko) 밀폐형 압축기의 볼조인트 급유구조
KR200166643Y1 (ko) 차량의 엔진용 피스톤과 커넥팅로드의 연결구조
KR100621045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KR100736070B1 (ko)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윤활구조
KR100871131B1 (ko) 밀폐형 압축기의 크랭크축과 커넥팅로드 연결구조
KR100594424B1 (ko) 밀폐형 압축기의 커넥팅로드
KR200416400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슬리브와 커넥팅로드의 결합부
KR100487961B1 (ko) 이중용량 압축기의 래칭기구
JP2005146856A (ja) レシプロ圧縮機
KR200382924Y1 (ko) 밀폐형 압축기의 슬리브와 커넥팅로드의 결합구조
JP2013241848A (ja) 密閉型圧縮機および該密閉型圧縮機を備える冷蔵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