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907Y1 -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마감재 - Google Patents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907Y1
KR200382907Y1 KR20-2005-0002406U KR20050002406U KR200382907Y1 KR 200382907 Y1 KR200382907 Y1 KR 200382907Y1 KR 20050002406 U KR20050002406 U KR 20050002406U KR 200382907 Y1 KR200382907 Y1 KR 200382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filling
interior
filler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한성
김종기
Original Assignee
김종기
강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기, 강한성 filed Critical 김종기
Priority to KR20-2005-0002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9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9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96/205Composite panels, comprising several elements joined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20Furniture panels or like furniture elements
    • A47B2096/207Furniture panels consisting of a frame with interchangeable insertable pane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4Keyplates; Ornaments or the like

Landscapes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는 장방형단면의 각재본체의 일측면상에 충진홈이 각재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충진홈내에는 원형단면을 갖으며 동전형태로 절단된 다수의 숯으로 제조된 충진재가 접착고정되고 상기 충진홈상에는 상기 충진홈의 형상에 맞게 대응되게 형성되며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덮개창이 부착고정되어,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나 건축자재상에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시키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습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성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를 부착시켜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충진된 충진재가 설치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finish material for interior and furniture}
본 고안은 침대, 책상, 장농, 식탁다리 등의 가구나 문짝, 벽의 모서리등의 실내에 부착되어 벽지 등에서 발생되는 포름알데히드와 같은 유해물질을 흡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원적외선과 같은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발산하여 실내거주자들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에 부착되거나 실내의 벽면에 부착되며 세라믹, 옥돌, 참숯, 황토와 같은 원적외선이 발생되는 충진재가 내부에 고정되고 이와 같이 충진재에 의하여 발산되는 원적외선에 의하여 실내거주자의 건강의 증진을 보조하면서 한편으로는 전자파나 포름알데히드가스나 악취와 같은 유해성분을 충진재중의 참숯이 흡착시키게 되며 덮개창과 덮개창상에 형성된 통기공을 통하여 충진고정된 충진재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게 되어 내용물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과 같은 신축건물의 입주후에 이유없이 온몸에 붉은 반점이 생기고 천식과 두통 또는 기관지염과 같은 호흡기계통의 질병이 입주인들에게 자주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는 마감재와 건축자재와 새로운 가구 등에서 배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대부분 발암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상온에서 가스상으로 존재하게 되므로 실내잔류시에는 대부분이 호흡기계통에 의하여 호흡에 의하여 인체에 흡수되며 대표적인 유해한 물질로는 포름알데히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마감재와 건축자재 또는 새로운 가구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배출은 길을 경우에는 10년이상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이 연구결과 밝혀졌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호흡을 통하여 장기간 마실 경우에는 일반 정상인들에게도 유해함은 물론이고 유아나 노약자들에게는 인체에 치명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 가장 탁월한 방법은 자주 환기를 시켜야 하는 것이나 먼지나 소음때문에 환기가 어려우며 특히 여름철에는 에어컨을 가동하기 때문에 환기가 어렵고 겨울철에는 난방문제때문에 환기가 어려워 환기가 제대로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대생활에서 컴퓨터를 비롯한 전자기기들의 사용이 증대됨에 따라 실내에서 전자파의 발생이 증대되어 실내거주자들의 건강을 악화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나 건축자재상에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시키고 전자파를 흡수하면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습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성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를 부착시켜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충진된 충진재이 설치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들은 장방형단면의 각재본체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상에 충진홈이 각재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충진홈내에는 숯, 세라믹, 옥 또는 황토로 제조된 충진재가 접착고정되고 상기 충진홈상에는 상기 충진홈의 형상에 맞게 대응되게 형성되며 외기와 통하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덮개창이 부착된 본 고안에 따른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A)는,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단면의 각재본체(1)의 일측면상에 충진홈(2)이 각재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충진홈(2)내에는 원형단면을 갖으며 동전형태로 절단된 다수의 숯으로 제조된 충진재(3)가 접착고정되고 상기 충진홈(2)상에는 상기 충진홈(3)의 형상에 맞게 대응되게 형성되며 다수의 통기공(4)이 형성된 덮개창(5)이 부착고정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진재(3)로 원형으로 절단된 천연숯이 사용되었으나, 버려지는 숯가루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숯가루와 황토를 50대 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므로서 숯과 황토가 가지는 효능을 달성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가를 저렴하게 한 충진재(3)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옥돌이나 세라믹등의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유익한 다른 재질이 혼용되거나 별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숯가루를 이용한 참숯충진재의 제조방법은 숯가루와 황투가루를 골고루 물과 함께 교반하여 끈기있게 오래 반죽한 다음 평면판재로 만든 틀속에 넣고 미리 준비한 각종모양으로 조각된 글씨체, 그림 등이 목도장형식으로 제조된 것으로 찍게 되면 다양한 형태의 숯충진재가 성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덮개창(5)은 목재판과 같은 불투명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부에 수납된 충진재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투명아크릴판이나 반투명채색 아크릴판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A)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형단면의 각재본체(1)의 양측면상에 충진홈(2)이 각재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2개의 충진홈(2)내에는 원형단면을 갖으며 동전형태로 절단된 다수의 숯으로 제조된 충진재(3)가 접착고정되고 상기 각 충진홈(2)상에는 상기 충진홈(3)의 형상에 맞게 대응되게 형성되며 다수의 통기공(4)이 형성된 덮개창(5)이 부착고정되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A)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홈(2)내에 격벽(6)으로 구분된 3개의 구분수납실(7)이 형성되어 각 구분수납실에는 부착되는 충진재인 천연옥, 세라믹, 참숯으로 구분수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A)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농의 문의 가장자리에 장식용 테두리로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도5에는 침대의 측판과 후드에 부착사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며, 도6에는 실내의 벽면의 하단 가장자리에 사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방문이나 씽크대의 문에도 부착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A)는 가구나 실내에 설치될 경우 장판이나 벽지 등에서 발생된 인체에 유해한 휘발성물질들은 본 고안의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A)의 통기공(4)을 지나 충진재(3)로 사용되는 숯의 미세한 공극사이에 포획되며 이와는 반대로 본 고안의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A)의 충진재(3)에서는 원적외선이 발산되어 통기공(4)을 지나 실내로 방출되므로 실내거주자들은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에 노출되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는 장방형단면의 각재본체의 일측면상에 충진홈이 각재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충진홈내에는 원형단면을 갖으며 동전형태로 절단된 다수의 숯으로 제조된 충진재가 접착고정되고 상기 충진홈상에는 상기 충진홈의 형상에 맞게 대응되게 형성되며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된 덮개창이 부착고정되어,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나 건축자재상에 이러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흡착시키고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을 방사하며 습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기능성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를 부착시켜 실내거주자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충진된 충진재가 설치된 내부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내용물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1a,1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의 분해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의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의 덮개창이 개방된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가 부착된 장농의 정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가 부착된 침대의 사시도
도6은 본 고안의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가 부착된 벽면의 하단부의 사시도
도7은 본 고안의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가 코너용마감재로 사용된 것을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각재본체 2. 충진홈
3. 충진재 4. 통기공
5. 덮개창

Claims (4)

  1. 각재본체(1)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상에 충진홈(2)이 각재본체(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충진홈(2)내에는 충진재(3)가 충진되고 상기 충진홈(2)상에는 상기 충진홈(3)의 형상에 맞게 대응되게 형성되며 다수의 통기공(4)이 형성된 덮개창(5)이 부착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3)는 숯이 절단사용되거나, 숯분말 10~90중량%와 황토분말 90~10중량%가 혼합건조된 것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3)는 옥돌, 세라믹이 추가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황토분말과 숯분말로 성형된 참숯충진재는 외표면에 장식문양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 마감재
KR20-2005-0002406U 2005-01-26 2005-01-26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마감재 KR200382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406U KR200382907Y1 (ko) 2005-01-26 2005-01-26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406U KR200382907Y1 (ko) 2005-01-26 2005-01-26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907Y1 true KR200382907Y1 (ko) 2005-04-27

Family

ID=43684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406U KR200382907Y1 (ko) 2005-01-26 2005-01-26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9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944B1 (ko) * 2019-06-21 2020-06-24 이기하 가구의 모서리 마감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944B1 (ko) * 2019-06-21 2020-06-24 이기하 가구의 모서리 마감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2907Y1 (ko) 시각적으로 보이는 참숯충진재가 설치된 인테리어 가구마감재
KR100779997B1 (ko) 원적외선 방사 침대
KR101645559B1 (ko) 공기 질 개선효과와 결로현상 방지구조를 갖는 이동식 황토방
KR101358462B1 (ko) 옻칠을 이용한 온돌침대용 숯판 및 그 숯판 제조방법
KR20120021004A (ko) 항균성 나노소자 자연석재 패널을 이용한 난방 장치 및 이를 갖는 사우나 장치
KR101068591B1 (ko) 건축용 실내 벽면 마감재
KR200466442Y1 (ko) 황토 부재
KR20000072344A (ko) 가구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상판재의 제조방법
KR100363864B1 (ko) 칸막이용 적층판 및 이에 사용되는 외판재의 제조방법
KR200347441Y1 (ko) 황토와 대나무숯이 내장된 가구
JP3183289U (ja) 複合機能性桐材付き家具
KR200482798Y1 (ko) 애완동물용 집
KR200400640Y1 (ko) 침구
KR101609093B1 (ko) 친환경 조립식 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0441698Y1 (ko) 숯 성형체를 이용한 패널
KR20070114526A (ko) 건축물용 벽 구조물
KR20000004431A (ko) 숯이 내재된 소파장치
KR100717868B1 (ko) 건강 목재 패널
KR200306120Y1 (ko) 숯팩을 이용한 건물의 공기정화 구조
KR20110115309A (ko) 기능성 가구 장식판넬
KR20140019133A (ko) 친환경 황토패널
KR101088684B1 (ko) 소음, 진동, 전자파, 시멘트 독성, 결로, 곰팡이 균을 차단하는 공동주택용 테라피 독립 실 및 그 시공방법
KR101187169B1 (ko) 황토 부재 및 그 제조방법
WO2005110742A1 (en) Air drain of wood-charcoal-different material composite for humanbody-favored building material
KR200355407Y1 (ko) 칸막이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