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713Y1 -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 - Google Patents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713Y1
KR200382713Y1 KR20-2005-0002881U KR20050002881U KR200382713Y1 KR 200382713 Y1 KR200382713 Y1 KR 200382713Y1 KR 20050002881 U KR20050002881 U KR 20050002881U KR 200382713 Y1 KR200382713 Y1 KR 2003827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ead bolt
door lock
driv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8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진
권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시큐어
Priority to KR20-2005-00028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7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7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7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4Cam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이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도어록 내부에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는, 도어록에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기어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터 축에 결합된 구동베벨기어와; 상기 데드볼트 축에 결합된 피동스퍼기어와;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치합하는 베벨기어치와 상기 피동스퍼기어에 치합하는 스퍼기어치가 연속적인 기어치를 이루도록 분할되어 설치된 채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회전하며 상기 구동베벨기어와 피동스퍼기어의 사이에 회전을 전달하는 중간복합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는, 도어록에서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구동베벨기어가 축에 결합된 채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치합하는 베벨기어치와 스퍼기어치가 연속적인 기어치를 이루도록 분할되어 설치된 채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회전하는 중간복합기어와; 상기 스퍼기어치에 치합하는 피동스퍼기어가 축에 설치되고 데드볼트의 축에 결합한 채 중간복합기어로부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회전시키고, 데드볼트 구동아암이 동일한 축에 일체로 설치된 엑츄에이터와; 도어록 핸들축에 결합되고 상기 데드볼트가 록킹 또는 언록킹 상태에 있음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 구동아암이 각기 접하게되는 두 캠턱을 가지면서, 캠턱이 데드볼트 구동아암을 미는 방향으로 도어록 핸들을 회전시키면 데드볼트를 언록킹 또는 록킹되도록 회전시키는 데드볼트 구동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A Gear Structure of a Door Lock and A Structre for Operating Deadbolt of the Door Lock}
본 고안은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조가 간이하여 모터의 회전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도어록 내부에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도어록은, 핸들(handle)등의 회전수단이 갖는 회전메카니즘에 의해 하우징 외부로 돌출 및 삽입되면서 일시적으로 록킹 및 언록킹되는 래치(latch)를 가지고 있고, 래치에 의한 록킹의 불안전함을 보완하고자 이와 별도로 또는 동시에 고유의 회전메카니즘으로 사용자의 의사에 따라 록킹 및 언록킹되는 데드볼트(deadbolt)를 가지고 있다.
도어록에 있어 래치와 데드볼트가 돌출 및 삽입되는 잠금장치는 본고안의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등록을 받은 특허 제361338호 및 제454859호에 이미 개시된바 있으며, 이와 같은 잠금장치의 대표적인 예를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잠금장치는 데드볼트(100)와 래치(200)가 하우징(300)의 내부에서 각기 상하로 구비된 돌출공을 통해 돌출되도록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데드볼트(100)는 데드볼트 플레이트(110)에 결합되고, 데드볼트 플레이트(110)의 후측 전후에는 캠턱(120)이 구비되며, 캠턱(120)에는 데드볼트구동축(510)의 회전에 의해서 각운동이 가능한 데드볼트캠(140)이 연접하여 설치되면서, 데드볼트구동축(510)이 회전하면 데드볼트캠(140)이 각운동하여 데드볼트 플레이트(110)를 전후로 밀게 됨으로써 데드볼트(100)가 슬라이드하여 록킹 및 언록킹 하게된다.
래치(200)는 래치스프링(210)이 탄력설치된 래치 플레이트(220)에 결합되어 항시 돌출공을 통하여 돌출되도록 힘을 받고, 래치구동축(450)에 의하여 각운동이 가능한 래치캠(240)이 링크(250)를 통하여 래치 플레이트(220)에 구비된 플레이트핀(230)에 연접하여 설치되면서, 래치구동축(450)이 회전하면 래치캠(240)이 링크(250)를 통해 래치플레이트(220)를 슬라이드시켜 래치(200)를 언록킹하게 되고, 래치구동축(450)에 외력이 제거되면 래치스프링(210)에 의하여 래치플레이트(220)가 복원되면서 래치(200)를 돌출시켜 다시 록킹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잠금장치를 작동시켜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도어록의 전체구조를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래치구동축에는 실외측에서부터 대략 외부핸들(400), 아웃사이드하우징(410), 스프링걸이(420), 언록킹캠돌리개(430), 래치구동연결용피스(440), 래치구동축(450), 래치구동연결용피스(460), 데드볼트구동캠(470), 인사이드하우징(480), 내부핸들(490) 순으로 결합이 되어 외부 핸들이나 내부 핸들을 회전시켜 래치를 구동하게 되고, 데드볼트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데드볼트구동축(510)에 실외측으로는 언록킹캠돌리개(430)에 연동하는 언록킹캠(500)이, 실내측으로는 데드볼트구동캠(470)에 연동하는 엑츄에이터(520)가 결합됨으로써 데드볼트를 구동하게 된다.
데드볼트의 구동은, 실외측에는 마그네트 도트형 카드키 등의 비상키로 작동되는 비상언록킹기구(525)가 구비되어 래치구동축(450)의 회전을 언록킹캠돌리개(430)로 전달하게 됨으로써 외부핸들(400)로 언록킹캠(500)을 돌릴 수 있게 되어, 전자회로가 고장이 나거나 암호를 잊었을 경우에도 외부핸들(400)의 조작으로 데드볼트를 기계적으로 구동시켜 도어 외부에서 도어를 열 수 있도록 하고, 이때 비상언록킹기구(525)에 관한 상세한 기술은 본고안 출원인의 등록실용신안 제330586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그에 의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반하여 통상적인 데드볼트의 구동은 엑츄에이터(520)가 기어 연결구조에 의하여 모터(530)에 연결됨으로써 모터(530)의 회전력으로 엑츄에이터(520)를 돌림으로써 이루어지거나 내부핸들(490)과 결합한 데드볼트구동캠(470)이 엑츄에이터(520)를 돌림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한 등록실용신안 제330586호의 이러한 데드볼트 구동구조는, 모터(530)에 동력을 제공하고 정회전 및 역회전 하도록 제어하는 전자제어회로와, 모터(530) 축에 결합된 구동기어(540)와, 구동기어(540)에 의하여 직선운동을 하는 랙기어(550)와, 랙기어(550)의 직선이동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하는 피동기어(560)가 형성된 엑츄에이터(520)를 가지고, 엑츄에이터(520)가 데드볼트구동축(510)에 결합됨으로써 모터(530)를 사용하여 데드볼트(100)를 록킹 및 언록킹할 수 있게된다.
이때 랙기어(550)에는 모터 축에 결합된 구동기어(540)와 맞물려서 구동기어(540)의 회전에 따라 랙기어(550)를 직선운동시키는 피동랙기어(550-1)와, 엑츄에이터(520)의 피동기어(56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랙기어(550-2)가 형성되어 있고, 구동랙기어(550-2)와 피동기어(560)사이에는 회전비와 토르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중간기어(550-3)을 설치하여도 된다.
즉, 데드볼트가 잠겨있는 동안에 아웃사이드하우징(410)의 입력키(5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코드와 동일한 키입력이 있으면 전자제어회로는 모터(530)를 구동하여 데드볼트(100)를 자동으로 언록킹하고, 도어가 열려있다가 닫히게 되면 도어록에 설치된 감지수단이 이를 감지하고 전자제어회로에 감지신호를 인가하여 모터(530)를 구동함으로써 데드볼트(100)를 자동으로 록킹하게 되는 것이다.
감지수단은 일예로 각기 도어록과 도어록이 닫히는 도어 프레임에 자석감지센서와 자석을 서로 대향 배치되도록 구비하여, 도어가 닫히면 자석감지센서가 자석을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전자제어회로에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데드볼트 구동캠(470)은 양편에 캠회전부가 형성되어 있고 엑츄에이터(520)가 이중의 일 캠회전부에 접해있어, 내부핸들(490)을 회전시키면 래치가 열리는 동시에 데드볼트 구동캠(470)이 엑츄에이터(520)를 회전시켜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래서 도어 내부에서는 내부핸들(490)을 돌리면 데드볼트가 잠겨 있어도 원터치로 도어를 열 수 있고, 도어 외부에서는 입력키(570)를 눌러서 암호를 입력하면 모터(530)가 구동되어 데드볼트가 열리며 외부핸들(490)로 래치를 열어서 도어를 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모터(530)의 축과 엑츄에이터(520)의 축을 다수의 기어에 의해 연결하여 도어록 내부에서 모터의 회전력을 엑츄에이터로 전달함에 있어, 이와 같은 종래의 데드볼트 구동구조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의 발생가능성이 높고 도어록 내부에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구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터와 엑츄에이터를 간이한 기어 연결구조로 연결함으로써 고장의 발생가능성을 줄이고 도어록의 크기를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는, 도어록에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기어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터 축에 결합된 구동베벨기어와; 상기 데드볼트 축에 결합된 피동스퍼기어와;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치합하는 베벨기어치와 상기 피동스퍼기어에 치합하는 스퍼기어치가 연속적인 기어치를 이루도록 분할되어 설치된 채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회전하며 상기 구동베벨기어와 피동스퍼기어의 사이에 회전을 전달하는 중간복합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간복합기어는 베벨기어치와 스퍼기어치가 180도의 각도범위로 분할 설치되어 연속적인 기어치를 이루며, 상기 중간복합기어의 회전각도범위는 90도인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중간복합기어의 스퍼기어치와 상기 피동스퍼기어의 기어비는 1:1인 것이 특징이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는, 도어록에서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구동베벨기어가 축에 결합된 채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치합하는 베벨기어치와 스퍼기어치가 연속적인 기어치를 이루도록 분할되어 설치된 채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회전하는 중간복합기어와; 상기 스퍼기어치에 치합하는 피동스퍼기어가 축에 설치되고 데드볼트의 축에 결합한 채 중간복합기어로부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회전시키고, 데드볼트 구동아암이 동일한 축에 일체로 설치된 엑츄에이터와; 도어록 핸들축에 결합되고 상기 데드볼트가 록킹 또는 언록킹 상태에 있음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 구동아암이 각기 접하게되는 두 캠턱을 가지면서, 캠턱이 데드볼트 구동아암을 미는 방향으로 도어록 핸들을 회전시키면 데드볼트를 언록킹 또는 록킹되도록 회전시키는 데드볼트 구동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데드볼트 구동아암은 엑츄에이터에서 상기 데드볼트 구동캠의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캠턱은 데드볼트 구동캠에서 상기 엑츄에이터를 감싸도록 돌출되어 데드볼트 구동아암에 접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이러한 기어 연결구조가 적용된 데드볼트 구동구조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 연결구조가 채택된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도 및 A-A의 단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각기 데드볼트가 잠겨있는 상태, 모터가 구동하여 데드볼트가 열린 상태, 내부 핸들을 회전시켜 데드볼트가 열린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데드볼트 구동구조의 분해 상태도이다.
도어록에서 본 고안에 따른 기어 연결구조 및 데드볼트 구동구조를 제외한 도어록의 나머지 구조는 공지의 여하한 도어록 구조가 적용 가능하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는 전술한 도 1 및 도 2의 도어록 구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데드볼트 구동구조는 도어록의 인사이드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도어를 기준으로 실내측에 위치하게 되면서 실외측에서 도어록을 해체하더라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데드볼트 구동구조는 모터(600)와, 모터(600)의 축에 결합된 구동베벨기어(610)와, 구동베벨기어(610)의 회전을 전달하는 중간복합기어(700)와, 내부핸들(490)의 축에 결합된 데드볼트 구동캠(800)과, 중간복합기어(700)의 회전 및 데드볼트 구동캠(800)의 회전을 데드볼트로 전달하는 엑츄에이터(9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모터(600)는 인사이드하우징(480) 내에서 그 축이 데드볼트구동축(510)을 향하여 수직이 되도록 견고하게 고정된 채, 도어록 내부의 배터리룸(580)에 장착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전자제어회로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하게 되고, 모터(600)의 축에는 구동베벨기어(610)가 결합된다.
중간복합기어(700)는 전체적으로는 구동베벨기어(610)에 치합하는 베벨기어의 형상으로 되어 인사이드하우징에 데드볼트구동축(510)과 평행하도록 설치된 채 자유스럽게 회전이 가능하되, 그 기어치는 180도 범위에 걸쳐서는 구동베벨기어(610)에 치합하는 베벨기어치(710)가 형성되고, 나머지 180도 범위에 걸쳐서는 스퍼기어치(720)가 형성된다.
따라서 중간복합기어(700)의 최대 회전각도범위는 베벨기어치(710)에 구동베벨기어(610)가 치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180도가 되나, 바람직하게는 90도 각도범위 내에서만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베벨기어(610)의 회전각도범위는 구동베벨기어(610)와 중간복합기어(700)의 베벨기어치(710) 기어비에 의하여 결정되는데, 예로써 구동베벨기어(610)의 베벨기어치와 중간복합기어(700)의 베벨기어치 비가 1:1 인 경우에는 중간복합기어(700)의 회전각도범위와 동일한 90도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엑츄에이터(900)는 데드볼트구동축(510) 상에서 데드볼트캠(140)과 결합하여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중간복합기어(700)의 스퍼기어치(720)에 치합하는 피동스퍼기어(910)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모터(60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 베벨기어에 의해 중간복합기어(700)가 역회전 또는 정회전하고, 이러한 회전은 스퍼기어에 의해 엑츄에이터(900)에 전달됨으로써 데드볼트캠(140)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여 데드볼트(100)를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데드볼트(100)가 도 4에서 도시된 것 처럼 잠겨있는 동안에 입력키(57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코드와 동일한 키입력이 있으면 모터(530)가 구동하여 도 5에서 도시된 것 처럼 데드볼트(100)를 자동으로 언록킹하고, 도어가 열려있다가 닫히게 되어 도어록에 설치된 감지수단이 이를 감지하면 모터(530)가 구동하여 다시 도 4에서처럼 데드볼트(100)를 자동으로 록킹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중간복합기어(700)의 스퍼기어치(720)와 엑츄에이터(900)의 피동스퍼기어(910)의 기어치 비에 의하여 데드볼트캠(140)의 회전각도가 결정되는데, 바람직하게는 1:1 을 이루면서 중간복합기어(700)가 90도 회전함에 따라 엑츄에이터(900)도 90도 회전하게 되는 것이 후술하는 데드볼트 구동캠(800)이 엑츄에이터(900)를 회전시키기에 용이하고 엑츄에이터(900)의 회전에 의해 데드볼트캠(140)이 데드볼트 플레이트(110)의 캠턱(120)을 밀어 슬라이드시키기에 적당하다.
중간복합기어(700)에서 구동베벨기어(610)와 피동스퍼기어(910)가 치합하는 위치는 중간복합기어(700)의 축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것이 통상적이나, 중간복합기어(700)가 최대 회전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할 때 양 기어치가 중간복합기어(700)의 각 대응하는 기어치(710,720)에서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는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위치할 수도 있으며, 예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중간복합기어(700)가 180도 범위로 기어치가 나뉘고 최대 회전각도범위가 90도 일때에는 최소 90도 각도를 형성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엑츄에이터(900)에는 데드볼트 구동아암(920)이 피동스퍼기어(910)와 동일한 축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채 일체로 구비된다.
데드볼트 구동아암(920)은 데드볼트구동축(510)에 수직된 대략 하트 형상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되, 래치구동축(4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돌출된다.
한편 데드볼트 구동캠(800)은 래치구동축(450) 상에서 래치구동연결용피스(460)에 의하여 래치캠(240) 및 내부핸들(490)과 결합하여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고, 엑츄에이터(900)를 감싸도록 돌출된 한쌍의 캠턱(810)을 가지되, 데드볼트(100)가 록킹 또는 언록킹 상태에 있음에 따라 데드볼트 구동아암(920)이 양 캠턱 중의 하나에 선택적으로 닿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데드볼트(100)가 도 4에서 도시된 것 처럼 록킹상태에 있을 때에는 데드볼트 구동아암(920)이 임의의 일 캠턱에 닿아 있으므로 이를 미는 방향인 일방향으로 내부핸들(490)을 회전시키면 도 6 에서와 같이 데드볼트(100)가 언록킹되는 동시에 데드볼트 구동아암(920)이 다른 캠턱에 닿게 되고, 데드볼트(100)가 언록킹상태에 있을 때에는 내부핸들(490)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다시 도 4 에서와 같이 데드볼트(100)가 록킹되는 동시에 데드볼트 구동아암(920)이 원래의 캠턱에 닿게 된다.
그러므로 실내측에서는 단순히 내부핸들(490)을 돌리는 것만으로 래치(200)를 록킹 및 언록킹하는 동시에 데드볼트(100)를 록킹 및 언록킹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기어 연결구조는 본 실시예에서 처럼 데드볼트 및 래치를 모두 가지는 도어록에서 데드볼트 구동구조의 일부로 사용되는것 외에, 래치는 가지지 않고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는 데드볼트만을 가지고 있어 보조적으로만 사용되는 도어록에 단독으로 적용될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에 따르면, 간이한 기어의 조합으로도 모터의 회전력을 데드볼트에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됨으로써 고장의 우려가 적어지고 도어록 크기의 소형화를 기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도어록의 록킹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데드볼트 구동구조를 가지는 통상의 도어록의 전체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어 연결구조가 채택된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내부도 및 A-A의 단면도.
도 4는 데드볼트가 잠겨있는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데드볼트 구동구조의 분해 상태도.
도 5는 모터가 구동하여 데드볼트가 열린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데드볼트 구동구조의 분해 상태도.
도 6은 내부 핸들을 회전시켜 데드볼트가 열린 상태에서 본 고안에 따른 데드볼트 구동구조의 분해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데드볼트 110: 데드볼트 플레이트
120: 캠턱 140: 데드볼트캠
200: 래치 210: 래치스프링
220: 래치플레이트 230: 플레이트핀
240: 래치캠 250: 링크
260: 체결공 270: 관통구
280: 체결핀 290: 커버
300: 하우징 400: 외부핸들
410: 아웃사이드하우징 420: 스프링걸이
430: 언록킹캠돌리개 440: 래치구동연결용피스
450: 래치구동축 460: 래치구동연결용피스
470: 데드볼트 구동캠 480: 인사이드하우징
490: 내부핸들 500: 언록킹캠
510: 데드볼트구동축 520: 워터치캠
525: 비상언록킹기구 530: 종래의 모터
540: 종래의 구동기어 550: 종래의 랙기어
560: 종래의 피동기어 570: 입력키
580: 배터리룸 600: 본 고안의 모터
610: 본 고안의 구동베벨기어 700: 본 고안의 중간복합기어
710: 본 고안의 베벨기어치 720: 본 고안의 스퍼기어치
800: 본 고안의 데드볼트 구동캠 810: 본 고안의 캠턱
900: 본 고안의 엑츄에이터 910: 본 고안의 피동스퍼기어
920: 본 고안의 데드볼트 구동아암

Claims (6)

  1. 도어록에서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기어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모터 축에 결합된 구동베벨기어와;
    상기 데드볼트 축에 결합된 피동스퍼기어와;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치합하는 베벨기어치와 상기 피동스퍼기어에 치합하는 스퍼기어치가 연속적인 기어치를 이루도록 분할되어 설치된 채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회전하며 상기 구동베벨기어와 피동스퍼기어의 사이에 회전을 전달하는 중간복합기어를 포함하는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복합기어는 베벨기어치와 스퍼기어치가 180도의 각도범위로 분할 설치되어 연속적인 기어치를 이루는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복합기어의 회전각도범위는 90도인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중간복합기어의 스퍼기어치와 상기 피동스퍼기어의 기어비는 1:1인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5. 도어록에서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구동베벨기어가 축에 결합된 채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구동베벨기어에 치합하는 베벨기어치와 스퍼기어치가 연속적인 기어치를 이루도록 분할되어 설치된 채 소정 각도범위 내에서 왕복회전하는 중간복합기어와;
    상기 스퍼기어치에 치합하는 피동스퍼기어가 축에 설치되고 데드볼트의 축에 결합한 채 중간복합기어로부터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데드볼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되도록 회전시키고, 데드볼트 구동아암이 동일한 축에 일체로 설치된 엑츄에이터와;
    도어록 핸들축에 결합되고 상기 데드볼트가 록킹 또는 언록킹 상태에 있음에 따라 상기 데드볼트 구동아암이 각기 접하게되는 두 캠턱을 가지면서, 캠턱이 데드볼트 구동아암을 미는 방향으로 도어록 핸들을 회전시키면 데드볼트를 언록킹 또는 록킹되도록 회전시키는 데드볼트 구동캠을 포함하는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데드볼트 구동아암은 엑츄에이터에서 상기 데드볼트 구동캠의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캠턱은 데드볼트 구동캠에서 상기 엑츄에이터를 감싸도록 돌출되어 데드볼트 구동아암에 접하게 되는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
KR20-2005-0002881U 2005-01-31 2005-01-31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 KR2003827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881U KR200382713Y1 (ko) 2005-01-31 2005-01-31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881U KR200382713Y1 (ko) 2005-01-31 2005-01-31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713Y1 true KR200382713Y1 (ko) 2005-04-22

Family

ID=43684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881U KR200382713Y1 (ko) 2005-01-31 2005-01-31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71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9084B2 (en) Lock assembly with modified structure
US6517127B1 (en) Electric door lock
KR100543831B1 (ko)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1853053B1 (ko) 데드볼트용 무부하 제어수단을 구비한 모티스
JP2009068311A (ja) サムターン装置
KR200423328Y1 (ko) 패 닉 기능이 내장된 모 티 스 장치
KR20110052832A (ko) 도어록 해정장치
US20210123267A1 (en) Lock that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aces
US20010010166A1 (en) Override mechanism for unlatching an electronic door lock
CN211473702U (zh) 基于槽轮传动的智能门锁
KR200382713Y1 (ko) 도어록의 기어 연결구조 및 도어록의 데드볼트 구동구조
KR100535243B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456973Y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0763884B1 (ko) 도어록 장치
KR100756333B1 (ko) 전자식 문 잠금장치용 백셋
KR101383289B1 (ko) 푸쉬-풀 구조의 도어락의 내부 강제잠금 구조체
KR101595853B1 (ko) 클러치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KR101037203B1 (ko) 개폐 기능이 개선된 디지털 도어록 장치
KR100930731B1 (ko) 회전형 데드볼트 및 회전형 데드볼트를 갖는 도어 록
CN107975305B (zh) 门锁用的内侧操作装置
KR200457974Y1 (ko) 클러치 기능을 갖는 디지털 도어록
KR101719956B1 (ko) 도어락용 모티스
KR101058354B1 (ko) 절전형 디지털 도어록 백셋
CN220726029U (zh) 一种智能门锁传动装置及智能门锁
US11555333B2 (en) Electronic lock having dislocated transmission mechanism ins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