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473Y1 -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473Y1
KR200382473Y1 KR20-2005-0001609U KR20050001609U KR200382473Y1 KR 200382473 Y1 KR200382473 Y1 KR 200382473Y1 KR 20050001609 U KR20050001609 U KR 20050001609U KR 200382473 Y1 KR200382473 Y1 KR 200382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luid chamber
cylinder
piston rod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16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정희
Original Assignee
석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희 filed Critical 석정희
Priority to KR20-2005-00016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4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0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 E05F3/1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 E05F3/108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liquid piston brakes with a spring, other than a torsion spring, and a piston, the axes of which are the same or lie in the same direction with piston rod protruding from the closer housing; Telescoping clo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4Cyl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6Pis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가 자동으로 닫힘과 동시에 닫히는 속도를 저감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인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장착되어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도어틀 중 어느 한곳에 장착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갖으며 그 내부 수용공간에 작동유가 채워진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 수용공간 내부에 그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와 도어틀 중 또 다른 한곳에 장착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 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 수용공간을 제1유체실과 제2유체실로 구획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유체실과 제2유체실을 연결하는 안내유로가 형성된 이격부재; 상기 안내유로를 통해 상기 제2유체실에서 상기 제1유체실 방향으로만 작동유가 안내되도록 상기 안내유로의 유로 중간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유로를 개폐하는 유패킹; 상기 제2유체실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제1유체실을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로드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상기 제1유체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안내유로가 차단된 경우 상기 제1유체실에 채워진 작동유가 상기 제2유체실 측으로 안내되어 도어의 닫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을 따라 요입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유 안내홈으로 구성됨으로써, 자동으로 도어가 닫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가 닫히는 속도를 줄여 사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AUTOMATIC DOOR CLOSING APPARATUS}
본 고안은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스톤과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을 갖으며 도어가 회동되는 속도를 조절하여 도어가 닫힐 시 발생되는 충격량을 저감함으로써, 충돌 시 발생되는 소음 및 도어의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옷장, 책꽂이 등과 같은 가구나 싱크대에는 스프링힌지에 의해 도어가 부착되며, 이러한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서, 특히 도어를 열 때보다는 닫을 때에, 서서히 닫을 때에는 괜찮겠지만 급작스럽게 닫을 경우에는 도어가 도어틀에 부딪히면서 심한 충격이 가해지고, 그 충격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며, 심할 경우에는 도어의 내부에 적재된 용기나, 도어가 파손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도어를 급작스럽게 닫을 때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손가락이 끼여 부상을 당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특히 어린아이들의 경우에는 가구나 싱크대 등의 도어를 부주의하게 닫는 경우가 많아서 상기한 문제가 더욱 많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가 자동으로 닫힘과 동시에 서서히 닫히도록 하여 충돌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함과 동시에 도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장착되어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도어틀 중 어느 한곳에 장착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갖으며 그 내부 수용공간에 작동유가 채워진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 수용공간 내부에 그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와 도어틀 중 또 다른 한곳에 장착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 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 수용공간을 제1유체실과 제2유체실로 구획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유체실과 제2유체실을 연결하는 안내유로가 형성된 이격부재; 상기 안내유로를 통해 상기 제2유체실에서 상기 제1유체실 방향으로만 작동유가 안내되도록 상기 안내유로의 유로 중간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유로를 개폐하는 유패킹; 상기 제2유체실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제1유체실을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로드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상기 제1유체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안내유로가 차단된 경우 상기 제1유체실에 채워진 작동유가 상기 제2유체실 측으로 안내되어 도어의 닫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을 따라 요입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유 안내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안내홈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점점 그 전체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내유로는 상기 제2유체실에 연통되도록 상기 이격부재의 타측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요입된 유입로; 상기 유입로의 끝단에 연통되어 상기 유입로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유로; 상기 수직유로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유패킹이 장착되는 유패킹 장착홈; 및 상기 유패킹 장착홈과 상기 제1유체실을 연통하는 유출로로 구성되고, 상기 유패킹은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작동유의 누출을 방지하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의 일측 끝단 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만큼 연장된 후, 그 끝단부에서 상기 유출로가 형성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가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장착되어 도어의 닫히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자동 닫힘장치가 장착된 도어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닫힘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3은 도어가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어가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구 및 싱크대의 본체에 형성되는 도어틀(1)에 힌지브라켓(2)이 결합되고, 상기 도어(3) 측에는 도어 힌지브라켓(4)이 결합되며, 상기 힌지브라켓(2)과 도어 힌지브라켓(4) 사이에는 상기 도어(3)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힌지(5)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브라켓(2)과 힌지(5)에는 자동 닫힘장치(6)가 장착되어 상기 도어(3)가 열릴 때에는 상기 자동 닫힘장치(6)의 전체 길이가 짧아지게 되고, 상기 도어(3)가 닫힐 때에는 상기 자동 닫힘장치(6)가 신장하면서 상기 도어(3)가 서서히 닫힐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닫힘장치(6)는 일측 끝단이 상기 힌지브라켓(2)에 힌지결합되고 일측이 개구된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실린더(10)와, 상기 실린더(10)의 내부 수용공간에 그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힌지(5)에 결합된 피스톤로드(20)와, 상기 실린더(10)의 개구부에 복개되고 그 중앙영역에 상기 피스톤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슬라이딩홀(31)이 형성되고, 상기 실린더(10)의 내측면 및 피스톤로드(20)의 외주면과 접하는 접촉면에 각각 오링(32)이 장착된 덮개부재(30)와,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일측 끝단에 확대된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10)의 내측면에 접하며 그 접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도시된 우측 방향, 즉 피스톤로드(20)가 돌출된 방향인 실린더(10)의 개구부 측에 형성된 제1유체실(11)과 도시된 좌측 방향, 즉 실린더(10)의 내측방향에 형성된 제2유체실(12)로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를 구획하는 이격부재(40)와, 상기 제2유체실(12)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실린더(10)의 내측면 끝단과 상기 이격부재(40)에 그 양끝단이 지지되는 스프링(5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실린더(10)의 내부 수용공간 즉, 상기 제1유체실(11)과 제2유체실(12) 내부에는 작동유체가 채워진다.
상기 실린더(1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 형상을 갖으며 그 내측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상기 실린더(10)의 내측방향으로 최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부재(40)가 접하는 끝단부 지점에서부터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실린더(10)의 외측방향으로 최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부재(40)가 접하는 타측 끝단부 지점까지 연장된 안내홈(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홈(13)은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인축 방향, 즉 상기 실린더(10)의 개구 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을 단계별로 확대하거나, 축소하여 상기 도어(3)의 닫힘속도를 장착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수 있으나,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인출 방향, 즉 상기 실린더(10)의 개구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격부재(40)가 실린더(10)의 개구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안내홈(13)을 통해 제1유체실(11)에서 제2유체실(12)로 이동되는 작동류의 량을 저감하여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서서히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린더(10)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선형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나,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실린더(13)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안내홈(13)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그 길이를 달리하여 상기 안내홈(13)을 통해 이동되는 작동유의 량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격부재(40)는 상기와 같이 상기 피스톤로드(20)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조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피스톤로드(20)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다. 즉, 상기 이격부재(40)는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는 삽입구(41)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갖으며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일측 끝단에 삽입된 상태로 그 양 끝단이 상기 피스톤로드(20)에 채워지는 씨링(42a, 42b)으로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격부재(40)의 내부에는 상기 제2유체실(12)에 접하는 타측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어 상기 제2유체실(12)에 연통되는 유입로(43a)와, 상기 유입로(43a)의 끝단에서 외측방향을 향해 직각 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유로(43b)와, 상기 수직유로(43b)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유로(43b)보다 확장된 공간을 갖으며 외주면까지 연장된 유패킹 장착홈(43c)과, 상기 유패킹 장착홈(43c)과 상기 제1유체실(11)을 연통하는 유출로(43d)로 이루어진 안내유로(4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패킹 장착홈(43c)에는 유패팅(44)이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10)의 내측면과 이격부재(40)의 외주면 틈새로 작동유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유로(43b)를 개폐한다.
상기 유패킹(44)은 링 형상을 갖으며 상기 실린더(10)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작동유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착부(44a)와, 상기 압착부(44a)의 일측 끝단에서 내측방향인 중심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후, 그 끝단부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된 개폐부(44b)로 이루어져 알파벳 유(U)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패킹(44)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페부(44b)가 상기 유출로(43d)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직유로(43b)를 개폐하도록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가 작동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실린더의 외부로 최대 인출된 위치에 위치하여 제2유체실(12)의 체적이 최대가 되며 상기 스프링(50) 또한 최대로 인장된 상태가 된다. 이때, 도어(3)를 열기 시작하면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실린더(10)의 내측 방향으로 이송되기 시작하여 스프링(50)의 압축이 시작됨과 동시에 제2유체실(12)에 채워진 작동유에 압력이 발생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2유체실(12)에 채워진 작동유에 압력이 발생되면 상기 작동유는 상기 이격부재(40)에 형성된 안내유로(43)인 유입로(43a)를 통해 유입된 후, 수직유로(43b)를 통해 안내된다. 상기 수직유로(43b)에 채워진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패킹(44)의 개폐부(44b)가 변형되면서 수직유로(43b)가 열리게 되면 그 틈새를 통해 작동유가 유출되고 유출된 작동유는 유출로(43d)를 통해 제1유체실(1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내홈(13)을 통해서도 작동유가 제2유체실(12)에서 제1유체실(1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실린더(10) 내측방향으로 이동을 진행하게 되고, 도어가 완전히 열려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최대로 인입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3)의 열림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를 열기 위해 가해졌던 힘이 제거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되었던 스프링(50)의 탄성력에 의해 이격부재(40)에 힘이 가해져 피스톤로드(20)가 실린더(10)의 외부방향으로 인출되고, 피스톤로드(20)가 인출되면서 상기 도어(3)에 힘이 가해져 도어(3)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40)가 제1유체실(11)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하게되면 상기 제1유체실(11)에 채워진 작동유가 유출로(43d)를 통해 역 유입되어 상기 유패킹(44)의 개폐부(44b)에 접하게 되면 상기 개폐부(44b)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수직유로(43b)를 막게 된다. 상기 개폐부(44b)에 의해 상기 수직유로(43b)가 막히면 작동유가 상기 수직유로(43b)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작동유가 안내유로(43)를 통해 제1유체실(11)에서 제2유체실(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유로(43)를 통해 작동유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홈(13)을 통해서만 작동유가 안내되어 도어(3)가 서서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홈(13)의 단면적이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인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작동유의 이동량이 작아지므로 도어(3)가 닫힐수록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이동속도가 저감되어 도어틀(1)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량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는 가구 및 싱크대의 본체에 형성되는 도어틀(1)에 힌지브라켓(2)이 결합되고, 상기 도어(3) 측에는 도어 힌지브라켓(4)이 결합되며, 상기 힌지브라켓(2)과 도어 힌지브라켓(4) 사이에는 상기 도어(3)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힌지(5)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브라켓(2)과 힌지(5)에는 자동 닫힘장치(106)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자동 닫힘장치(106)는 별도의 링크장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도어(3)가 열릴 때에는 상기 자동 닫힘장치(106)가 신장하게 되고, 상기 도어(3)가 닫힐 때에는 상기 자동 닫힘장치(106)의 길이가 짧아지게 되면서 상기 도어(3)가 서서히 닫힐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자동 닫힘장치(106)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이격부재(40)에 형성된 유입로(43a)가 실린더(110)의 개구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피스톤로드(20)에 삽입되고 그 양끝단이 씨링(42a, 42b)으로 고정되어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 수용공간을 도시된 좌측방향, 즉 실린더(110)의 내부방향에 형성되는 제1유체실(111)과, 도시된 우측방향, 즉 피스톤로드(20)가 돌출된 방향인 실린더(110)의 개구부측에 형성되는 제2유체실(112)로 구획하도록 장착되는 구조의 차이가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150)이 상기 제2유체실(112)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를 상기 실린더(10)의 내부방향을 향하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10)는 일측이 개구된 원통형 형상을 갖으며 그 개구부에는 상기 덮개부재(30)가 장착되고, 그 내측면에는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고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상기 실린더(110)의 내측방향으로 최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부재(40)가 접하는 끝단부 지점에서부터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실린더(110)의 외측방향으로 최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이격부재(40)가 접하는 타측 끝단부 지점까지 연장된 안내홈(113)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내홈(113)은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인입되는 방향, 즉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방향으로 갈수록 그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격부재(40)가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방향을 향할수록 상기 안내홈(113)을 통해 제1유체실(111)에서 제2유체실(112)로 이동되는 작동류의 량을 저감하여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서서히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실린더(110)의 내측면을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나선형으로 형성되어도 무관하나,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시되진 않았지만, 상기 실린더(110)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안내홈(113)을 형성하고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그 길이를 달리하여 상기 안내홈(113)을 통해 이동되는 작동유의 량이 점점 작아지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에 설명된 이외의 구조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3)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실린더(110)의 내부방향으로 최대 인입된 위치에 위치하여 제2유체실(112)의 체적이 최대가 되며 상기 스프링(150) 또한 최대로 인장된 상태가 된다. 이때, 도어(3)를 열기 시작하면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실린더(10)의 외측 방향으로 인출되기 시작하여 스프링(150)의 압축이 시작됨과 동시에 제2유체실(112)에 채워진 작동유에 압력이 발생되기 시작한다.
상기와 같이 제2유체실(112)에 채워진 작동유에 압력이 발생되면 상기 작동유는 상기 이격부재(40)에 형성된 안내유로(43)인 유입로(43a)를 통해 유입된 후, 수직유로(43b)를 통해 안내된다. 상기 수직유로(43b)에 채워진 작동유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패킹(44)의 개폐부(44b)가 변형되면서 수직유로(43b)가 열리게 되면 그 틈새를 통해 작동유가 유출되고 유출된 작동유는 유출로(43d)를 통해 제1유체실(11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안내홈(113)을 통해서도 작동유가 제2유체실(112)에서 제1유체실(111)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실린더(10) 외측방향으로 이동을 진행하게 되고, 도어가 완전히 열려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최대로 인출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3)의 열림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를 열기 위해 가해졌던 힘이 제거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되었던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이격부재(40)에 힘이 가해져 피스톤로드(20)가 실린더(110)의 내부방향으로 인입되고, 피스톤로드(20)가 인입되면서 상기 도어(3)에 힘이 가해져 도어(3)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을 시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격부재(40)가 제1유체실(111) 방향으로 이동을 시작하게되면 상기 제1유체실(111)에 채워진 작동유가 유출로(43d)를 통해 역 유입되어 상기 유패킹(44)의 개폐부(44b)에 접하게 되면 상기 개폐부(44b)가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면서 상기 수직유로(43b)를 막게 된다. 상기 개폐부(44b)에 의해 상기 수직유로(43b)가 막히면 작동유가 상기 수직유로(43b)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작동유가 안내유로(43)를 통해 제1유체실(111)에서 제2유체실(11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유로(43)를 통해 작동유의 이동이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홈(113)을 통해서만 작동유가 안내되어 도어(3)가 서서히 닫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홈(113)의 단면적이 상기 피스톤로드(20)가 인입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그 단면적이 점점 작아지는 구조로 형성되어 작동유의 이동량이 작아지므로 도어(3)가 닫힐수록 상기 피스톤로드(20)의 이동속도가 저감되어 도어틀(1)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량이 적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는 도어(3)가 닫힐 때, 그 닫히는 속도를 줄여 도어틀(1)과 부딪힐 때 발생되는 충격량을 저감함으로써, 도어(3) 및 도어틀(1)의 손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돌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자동 닫힘장치가 장착되어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함과 동시에 도어가 닫힐 때, 그 닫히는 속도를 줄여 도어틀과 부딪힐 때 발생되는 충격량을 저감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키고, 도어 및 도어틀의 손상을 방지하고, 소음을 저감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가 닫힐 때 도어와 도어틀에 손이 끼어 사용자가 상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자동 닫힘장치가 장착된 도어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 닫힘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3은 도어가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어가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자동 닫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자동 닫힘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 6은 도어가 열리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도어가 닫히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틀 3 : 도어
10, 110 : 실린더 11, 111 : 제1유체실
12, 112 : 제2유체실 13, 113 : 안내홈
20 : 피스톤로드 30 : 덮개부재
40 : 이격부재 43 : 안내유로
50, 150 : 스프링

Claims (8)

  1.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장착되어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도어틀 중 어느 한곳에 장착되고 내부 수용공간을 갖으며 그 내부 수용공간에 작동유가 채워진 실린더;
    상기 실린더의 내부 수용공간 내부에 그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은 상기 실린더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도어와 도어틀 중 또 다른 한곳에 장착되는 피스톤로드;
    상기 피스톤 로드의 일 측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실린더의 내부 수용공간을 제1유체실과 제2유체실로 구획하며, 그 내부에 상기 제1유체실과 제2유체실을 연결하는 안내유로가 형성된 이격부재;
    상기 안내유로를 통해 상기 제2유체실에서 상기 제1유체실 방향으로만 작동유가 안내되도록 상기 안내유로의 유로 중간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유로를 개폐하는 유패킹;
    상기 제2유체실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피스톤로드가 상기 제1유체실을 향해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피스톤로드에 힘을 가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상기 제1유체실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안내유로가 차단된 경우 상기 제1유체실에 채워진 작동유가 상기 제2유체실 측으로 안내되어 도어의 닫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을 따라 요입된 적어도 하나의 작동유 안내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부재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일측 끝단에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된 링 형상을 갖으며 그 양 끝단이 상기 피스톤로드에 고정되는 씨링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격부재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향할수록 그 전체 단면적이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실은 상기 이격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피스톤 로드가 돌출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유체실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체실은 상기 이격부재를 기준으로 상기 실린더의 내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유체실은 상기 피스톤 로드가 돌출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로는 상기 제2유체실에 연통되도록 상기 이격부재의 타측면에서 소정의 깊이로 요입된 유입로;
    상기 유입로의 끝단에 연통되어 상기 유입로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유로;
    상기 수직유로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수직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유패킹이 장착되는 유패킹 장착홈; 및
    상기 유패킹 장착홈과 상기 제1유체실을 연통하는 유출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패킹은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에 접촉되어 작동유의 누출을 방지하는 압착부; 및
    상기 압착부의 일측 끝단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연장된 후, 그 끝단부에서 상기 유출로가 형성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수직유로를 개폐하는 개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는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된 형상을 갖으며 상기 실린더의 개구부에 복개되고 그 중앙영역에 상기 피스톤 로드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덮개부재가 장착되며, 상기 실린더 및 피스톤 로드와 접하는 상기 덮개부재의 접촉면에는 오링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KR20-2005-0001609U 2005-01-19 2005-01-19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KR200382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09U KR200382473Y1 (ko) 2005-01-19 2005-01-19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1609U KR200382473Y1 (ko) 2005-01-19 2005-01-19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473Y1 true KR200382473Y1 (ko) 2005-04-20

Family

ID=4368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1609U KR200382473Y1 (ko) 2005-01-19 2005-01-19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47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8238A1 (de) * 2021-12-14 2023-06-21 Julius Blum GmbH Dämpfer für einen beschlag zur bewegbaren lagerung eines schwenkelementes oder eines auszugselement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98238A1 (de) * 2021-12-14 2023-06-21 Julius Blum GmbH Dämpfer für einen beschlag zur bewegbaren lagerung eines schwenkelementes oder eines auszugselementes
WO2023110537A1 (de) * 2021-12-14 2023-06-22 Julius Blum Gmbh Dämpfer für einen beschlag zur bewegbaren lagerung eines schwenkelementes oder eines auszugselement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1371B2 (en) Door damper
KR101693409B1 (ko) 가구가동부용 댐핑장치
US8104140B2 (en) Decelerating stop device for a movable member, in particular a furniture door or drawer, fittable to a stop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US9080365B2 (en)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EP2138662B1 (en) Automatic door closer
KR101343915B1 (ko) 가전 제품 도어의 싱글 힌지 댐핑 장치
SG185065A1 (en) Door closer, particularly for glass doors
US20170122020A1 (en) Appliance lid hinge assembly with snubber
KR20130041273A (ko) 가구용 댐퍼
KR100652128B1 (ko) 가구용 도어의 닫힘 충격 완충 장치
WO2010118934A1 (en) Decelerating device
EP1703060B1 (en) Damping device for pieces of furniture with compensation system for volume variations
WO2012150481A1 (en) Hinge
KR200382473Y1 (ko) 도어의 자동 닫힘장치
KR20220157961A (ko) 자동 폐쇄식 유압 완충 힌지
EP3795790B1 (en) A snap hinge with a damper device
KR100814074B1 (ko) 도어 개폐용 댐핑장치
KR20090095379A (ko) 서랍용 충격완화장치
EP3371406B1 (en) Hinge for the rotatable movement of a door, a shutter or the like
KR102019588B1 (ko) 도어 클로저
KR20100072882A (ko) 도어클로져용 댐퍼
CN111485783B (zh) 缓冲装置
KR200281220Y1 (ko) 냉장고의 도어 완충구
KR200435106Y1 (ko)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KR101762806B1 (ko) 소프트 다단 댐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