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055Y1 -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 Google Patents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055Y1
KR200382055Y1 KR20-2004-0034566U KR20040034566U KR200382055Y1 KR 200382055 Y1 KR200382055 Y1 KR 200382055Y1 KR 20040034566 U KR20040034566 U KR 20040034566U KR 200382055 Y1 KR200382055 Y1 KR 2003820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oot
arch
posterior
plant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엽
Original Assignee
(주)하나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메디텍 filed Critical (주)하나메디텍
Priority to KR20-2004-0034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0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0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0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7/0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ultilayer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8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ventilated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edial arch, i.e. under the navicular or cuneiform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heel, i.e. the calcaneus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3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 A43B7/22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몰리는 압력을 줄이기 위한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족저근막염 안창은, 중족골두부를 경계로 하여 앞쪽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전족 지지부; 안창에 중족골두가 닿는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인 중족골두 지지부; 발의 내측 종족궁이 닿는 부분에 형성된 융기부인 내측 종족궁 지지부; 외측 종족궁이 닿는 부분에 형성된 융기부인 외측 종족궁 지지부; 중족골두부를 경계로 하여 뒷쪽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후족 지지부; 제1중족골두 부분에서 시작하여 설상골, 주상골, 종골, 입방골, 제5중족골두가 있는 부분까지 세워지는 벽으로 이루어진 후족 통제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에 있어서, 외측 종족궁이 닿는부분의 저면에 웨지(wedge)를 이루는 후족외측 웨지부; 내측 종족궁이 닿는부분의 저면에서 오목(凹)부를 형성하며,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창을 구비하는 후족내측 지지부; 상기 후족내측 지지부의 창 안에 충격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삽입하여 이루어진 족저근막 보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Plantar fasciitis insole with care means of plantar fascia}
본 고안은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몰리는 압력을 줄이기 위한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에 관한 것이다.
발은 몸을 지지해주고 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발은 몸무게를 지탱할 뿐 아니라 움직일 때의 추진력을 전달해야 하기 때문에 탄력성과 신축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발의 탄력성과 신축성에 크게 관련되는 것은 족궁(足弓)이며 이 족궁중 내측 종족궁을 감싸고 있는 근막이 족저근막이다.
보다 상세히는, 발은 정교하고 섬세한 기관으로서 약 26개의 뼈와 33개의 관절, 107개의 인대와 수많은 근육과 건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발의 일반적인 골격의 명칭에 대해 도 1a 및 도 1b에 제시되어 있다. 도 1a는 우측발을 발등에서 본 발의 골격을 나타내며, 도 1b는 우측발을 측면에서 본 발의 골격을 나타낸다.
발바닥에 우묵하게 들어간 것을 족궁(足弓)(arch)이라 하는데, 우리의 발은 세개의 족궁, 즉 내측 종족궁(縱足弓)(medial longitudinal arch), 외측 종족궁(lat.longitudinal arch), 횡족궁(橫足弓)을 가지고 있다. 도 1c 및 도 1d에서와 같이, 이 세개의 족궁 중, 몸의 정중부에 가까운 것을 내측 종족궁, 먼것을 외측 종족궁이라 하며, 발등부위의 5개의 중족골이 이루는 족궁을 횡족궁이라고 한다.
이 족궁들은 보행시 쿠션과 같은 역할을 하여 충격을 흡수한다. 특히, 도 2와 같이, 족저근막(Plantar Fascia)은 내측 종족궁을 정적으로 보강하는 두꺼운 막으로 종골의 내측돌기부분에서 시작되어 종(慫)으로 발앞부분에 부착되는데, 달리기, 점프등에서의 착지로 퍼졌다가 다시 수축하면서 착지의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족저근막은 달리기에서 착지직후의 발의 내전(뒤꿈치뼈가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과 동시에 부담을 받게된다.
족저근막염은 족저근막을 지나치게 사용함으로 인한 염증을 말한다. 다시말해, 족저근막염이란 내측 종족궁 부위의 발바닥 근육을 보호하는 근막인 족저근막에 과도한 충격이나 압박에 의하여 염증이 발생되며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발질환이다. 족저근막염은 선천적인 요족(종족궁이 높은발)이나 평발, 과체중이나 비만인 사람, 하이힐을 많이 신는 여성, 오래 달리거나, 점프를 많이 하는 운동선수(마라톤, 농구선수등)에게 많이 발생이 되며 일반인들도 최근 달리기 동호회 등을 중심으로 많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족저근막염환자의 생체역학적인 분석에 의하여,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통증 및 피로를 감소시키는 족저근막염용 안창이 요망된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족저근막염 발생부위의 압력해소가 기본이며, 보행시 발을 안정화시키며 적당한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고, 족저근막부위를 보호하는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보행주기는 발 뒤꿈치 접지기(Heel Contact Phase), 발바닥 접지기(Foot Flat Phase), 발뒤꿈치 들림기(Heel Off Phase), 발가락 들림기(Propulsion, Toe Off Phase), 유각기(Swing Phase), 다시 발 뒤꿈치 접지기의 순서로 이어지게 되며, 이러한 보행 주기별로 나타나는 발의 동작에 대해서는 발뒤꿈치 접지기에서는 회외전(supination)에서 부터 회내전(pronation)이 일어나고, 발뒤꿈치 들림기가 시작되는 순간에 회외전이 일어나며 발가락 들림기에서 발가락이 지면을 밀치고 전진을 하게 되는 것으로, 우리의 발은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경우에따라서 발은 회외전 상태에서 회내전 상태로의 시기 변화에서 체중이나 속도에 의해 많은 회내전이 일어나서 올려주어야 하는 시기를 지나치는 과회내전을 유발하게 된다. 이때 우리 몸에서의 압력지지부인 재거돌기 부위의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발이 외측으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회내전 상태에서 다시 회외전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무리한 발 들림 동작이 일어나야 하며 이는 발이 외측으로 회전하는 과회외전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과회내전과 과회외전은 발목의 과도한 움직임을 유발하게 되고 발목이 삐거나 보행의 속도와 무게의 중심이동(Weight Bearing)의 균형이 흐트러져서 운동 능력을 상실하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족저근막염용 안창은 보행시 발의 안정화를 위해 발목의 과도한 회전을 억제토록 하는 후족통제부를 구비하는 것이 요망된다.
일반적으로 족저근막염 환자 대부분이 발의 내측 종족궁 부위에 대한 통증으로 발의 압력을 무의식적으로 외측 종족궁 부위로 가게 보행하기 때문에, 보행시 내측이 들리게 되며 과회외전이 일어난다. 따라서 이 외측 종족궁 부위로 과도하게 몰리는 압력을 내측 종족궁 부위와 나누게 만들어서 과회외전을 막아주는 후족외측 웨지부가 요망된다.
인간의 발은 하체와 발과의 곧게 연결하는 족관절(발목) 부분을 가지고 있는데, 족관절은 정강이뼈와 발의 연결 부위를 말한다. 족관절 부분에는 보통 알려진 족관절이 있고 그 주위에 원위 경비관절과 족관절 밑에 거골하 관절(Subtalar Joint)이 있다. 이 거골하관절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재거돌기(載距突起 sustentaculum tali)로, 재거돌기는 종골과 거골을 연결하는 중요한 부위이다. 재거돌기는 인간이 보행할때 가장 피곤한 부위에 해당한다고 할 수있다.
재거돌기는 도 1b와 도 1e에 제시되어 있다. 도 1e는 재거돌기의 정상위와 비정상위를 비교 설명하는 설명도로, 도 1e의 (a)는 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재거돌기로서, 발의 장축에 대해 수직, 즉 90도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e의 (b)는 비정상적인 위치에 있는 재거돌기로서 발의 장축에 대해 90도를 이루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다시말해, 도 1e의 (a)에서와 같이, 재거돌기는 발의 장축에 대해서 정확하게 직각, 즉 90도를 이루며 그 위에 거골이 확실히 실려 있는 것이 정상적인 상태이다. 재거돌기는 높이가 낮으며, 평면상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돌출된 부위가 완만한 곡선을 가지고 있다. 인간의 신체 전체 압력의 대부분을 이부위에서 지탱하고, 전족부와 후족부에 힘을 분산하고, 춤추거나 하는 운동의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이 재거돌기는 인간의 직립 이족 보행시,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부위 중 하나로서, 재거돌기의 발바닥 부분에는 늘 높은 압력이 존재하며, 이는 족저근막에 염증이 발생이 되는 원인이 된다. 특히 족저근막염 환자에 있어서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주로 압력이 과도히 몰리며 이 부위에 염증이 주로 발생한다. 이에,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몰리는 압력을 줄이기 위한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고안은 과회외전 상태의 발을 정상 위치로 위치하게 하며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몰리는 압력을 줄이는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을 제공한다.
본 고안은 외측 종족궁 부위로만 과도하게 몰리는 압력을 내측 종족궁 부위에도 압력을 받을 수 있게 하여 압력이 골고루 전달되게 하며 과회외전을 막아주는 후족외측 웨지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을 제공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과회외전 상태의 발을 정상 위치로 위치하게 하며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몰리는 압력을 줄이는 족저근막염 안창을 제공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외측 종족궁 부위로만 과도하게 몰리는 압력을 내측 종족궁 부위에도 압력을 받을 수 있게 하여 압력이 골고루 전달되게 하며 과회외전을 막아주는 후족외측 웨지부룰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을 제공한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또다른 기술적 과제는,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몰리는 압력을 줄이기 위한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하는 족저근막형 안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족저근막염 안창은 중족골두부를 경계로 하여 앞쪽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전족 지지부; 안창에 중족골두가 닿는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인 중족골두 지지부; 발의 내측 종족궁이 닿는 부분에 형성된 융기부인 내측 종족궁 지지부; 외측 종족궁이 닿는 부분에 형성된 융기부인 외측 종족궁 지지부; 중족골두부를 경계로 하여 뒷쪽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후족 지지부; 제1중족골두 부분에서 시작하여 설상골, 주상골, 종골, 입방골, 제5중족골두가 있는 부분까지 세워지는 벽으로 이루어진 후족 통제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에 있어서, 외측 종족궁이 닿는부분의 저면에 웨지(wedge)를 이루는 후족외측 웨지부; 내측 종족궁이 닿는부분의 저면에서 오목(凹)부를 형성하며,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창을 구비하는 후족내측 지지부; 상기 후족내측 지지부의 창 안에 충격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삽입하여 이루어진 족저근막 보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족외측 웨지부는 상기 족저근막염 안창의 저면에서 제5중족골두에서부터 발뒤꿈치까지의 부분에 발바닥의 중심선에서부터 외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웨지(wedge)를 이루며,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족저근막 보호부는 상기 족저근막염 안창의 저면에서,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창을 구비하고 상기의 창안에 내측 종족궁 지지부보다 경도가 낮은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을 삽입하며, 상기 족저근막 보호부는 발포 천연고무 재질(Podian)이나 탄성이 없는 폴리우레탄 소재(Poron)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족내측 지지부는 적어도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족저근막염 안창은, 다수의 통기구멍들을 구비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발바닥 접촉패드부; 삼각형태에 가까운 원을 이루며 상기 발바닥 접촉패드부의 저면에 중족골두가 위치하는 부분에 부착되는 중족골두지지 패드부; 다수의 통기구멍들을 구비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중족골두지지 패드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발바닥 접촉패드부의 저면에 전족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부착되어지는 전족지지 패드부; 족저근막을 보호하기위한 창을 구비하며, 상기 발바닥 접촉패드부의 저면에 후족부가 위치하는 부분에 부착되어지는 제1후족지지 패드부; 족저근막을 보호하기위한 창을 구비하며, 상기 제1후족지지 패드부의 저면에 위치하는 제2후족지지 패드부; 상기 제2후족지지 패드부의 저면에 외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분에 웨지를 이루는 웨지 패드부; 상기 제1후족지지 패드부의 족저근막을 보호하기위한 창에 삽입되며, 충격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삽입하여 이루어진 족저근보호 패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족골두지지 패드부는 복원력이 약 3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족골두지지 패드부는 상기 발바닥 접촉패드부의 저면에서 제1 중족골두 외측에서부터 제2 중족골두, 제3 중족골두, 제4 중족골두가 위치하는 부분에 부착된다.
상기 제1후족지지 패드부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후족지지 패드부는 폴리에틸렌(PE)로 이루어다.
상기 족저근막보호 패드부는 발포 천연고무 재질(PODIAN)이나 탄성이 없는 폴리우레탄 소재(Poron)로 이루어진다.
상기 웨지 패드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웨지 패드부는 상기 제2후족지지 패드부의 저면에서 제5중족골두부터 발뒤꿈치까지의 부분에 발바닥의 중심선에서부터 외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웨지(wedge)를 이룬다.
상기 웨지 패드부와 상기 족저근막보호 패드부는 단차를 이룬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족저근막염 안창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족저근막염 안창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3의 족저근막염 안창의 저면도이다.
도 3의 안창(1)은 전족 지지부(10), 중족골두 지지부(20), 내측 종족궁 지지부(30), 외측 종족궁 지지부(40), 후족 지지부(50), 후족 통제부(60), 족저근막 보호부(70), 후족외측 웨지부(80), 후족내측 지지부(90)를 구비한다.
전족 지지부(10)는 중족골두부를 경계로 하여 앞쪽의 발바닥, 즉 전족부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전족부 지지부(10)는 후족부 지지부(50)보다 두께가 얇고 경도도 낮게하는데, 이는, 발이 발뒤꿈치 들림기에 발생하는 회외전에서 전족부의 높은 압력 부하를 줄여주기 위해서이다.
중족골두 지지부(20)는 안창에 중족골두가 닿는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로, 중족골두에 집중되는 압력을 분산한다. 즉, 중족골두 지지부(20)는 중족골두 부위에 몰리는 압력을 분산하여, 전족부에서 주로 중족골두부의 피부에 생기는 굳은살이나 티눈을 방지한다. 중족골두 지지부(20)는 제1 중족골두 외측에서부터 제2 중족골두, 제3 중족골두, 제4 중족골두에 위치하며, 횡아치의 형상으로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40%, 외측으로 60%의 경사면을 가지며, 중족골두 지지부(20)의 선단점은 중족골의 경사와 유사한 약 20도의 경사를 가지며 중족골두 지지부(20)의 후단점은 후족부 지지부와 약 8도의 경사로 만나게 된다. 여기서 중족골두 지지부(20)의 선단점은 중족골두 지지부(20)에서 제2중족골두와 제3중족골두 중간 지점에서 종족골두 끝부분이 닿는 부위(즉 기절골 끝부분과 중족골두 앞부부이 닿는 부분)를 가르키며, 중족골두 지지부의 후단점은 중족골두 지지부(20)에서 제2중족골지와 제3중족골지 중간 지점에서 중족골지의 끝부분이 닿는 부위(즉 중족골지와 설상골이 만나는 지점)를 가르키다.
내측 종족궁 지지부(30)는 발의 내측 종족궁이 닿는 부분에 형성된 융기부로, 내측 종족궁을 지지한다. 즉, 내측 종족궁 지지부(30)는 발의 종골에서부터 재거돌기를 지나 거골, 주상골, 설상골, 제1~3중족골두까지의 부위가 아치를 이루어 융기부를 형성한 것이다. 내측 종족궁 지지부(30)의 설상골 부분에서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약 25도로, 내측 종족궁 지지부(30)의 재거돌기부분에서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약20도로 할 수 있다.
외측 종족궁 지지부(40)는 발의 외측 종족궁이 닿는 부분에 형성된 융기부으로, 외측 종족궁을 지지한다. 즉, 외측 종족궁 지지부(40)는 종골에서 입방골을 지나 제 4~5중족골두까지의 부위가 아치를 이루어 융기부를 형성한 것이다. 외측 종족골 지지부(40)는 입방골 부분에서 지면과 이루는 각도는 약 15도로 할 수 있다.
내측 종족궁 지지부(30) 및 외측 종족궁 지지부(40)는 안창(1)과 발의 아치가 이루고 있는 공간을 없도록하여 안창과 발이 밀착되어, 정지시나 보행시 발바닥과 안창이 일체형이 될 수 있도록 하고 발바닥의 압력이 전체적으로 분산되게 한다. 내측 종족궁 지지부(30) 및 외측 종족궁 지지부(40)는 중족부 지지부라 할 수 있다.
후족 지지부(50)는 중족골두부를 경계로 하여 뒷쪽의 발바닥, 즉 후족부를 지지하는부분이다. 후족 지지부(50)의 가장자리의 일부분은 후족 통제부(60)와 곡선을 이루며 연결된다. 후족부 지지부(50)에서 후족 통제부(60)가 이루는 각도는 약27도로 할 수있으며, 이는 후족 지지부(50)와 후족 통제부(60)가 연결되어 약27도의 각도를 갖는 컵 형태의 "U자" 곡선를 이루어 발 뒤꿈치를 감싸게 하였다. 후족 지지부(50)에는 발을 움직일때 축이되는 재거돌기 등이 위치하므로 발을 안정화시키기위해 경도가 높아야 한다.
후족 통제부(60)는 발뒤꿈치에서 입방골, 중족골두까지의 가장자리에 세워진 벽으로, 후족 통제부(60)는 후족부 지지부(50)와 컵형태의 "U자" 곡선을 가지며 연결되어 있다. 즉 후족 통제부는 제1중족골두 부분에서 시작하여 설상골, 종골, 입방골, 제5중족골두가 있는 부분까지 세워지는 벽이다. 후족 통제부(60)는 발 모양과 같이 곡선을 이루며 후족부 지지부(50)와 연결되어, 안창과 발바닥이 일체화되게한다. 따라서 후족 통제부(60)는 후족부를 통제하여 발이 과회내전과 과회외전을 하는 것을 막으며 재거돌기가 90°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후족 통제부(60)의 벽의 높이는 제1중족골두에서부터 내측 종아치 가장자리 바닥의 높이로 종골의 가장자리 아래를 지나 입방골, 제5중족골 골단면 아래의 높이로 할 수 있다.
족저근막 보호부(70)는 안창(1)의 저면에서 발뒤꿈치 중앙부에서부터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를 지나 내측 종족궁 상단까지 창(공간)을 만들며, 이 창은 충격을 흡수되게 하기위한 공간으로, 이 창에 주위와 다른 충격 흡수력이 뛰어난 재질(발포 천연고무 재질(Podian)이나 탄성이 없는 폴리우레탄 소재(Poron))을 삽입하여 발뒤꿈치에서부터 재거돌기로 전달되는 압력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즉 족저근막 보호부(70)는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몰리는 압력을 줄여 발의 피로도를 떨어트린다.
후족외측 웨지부(80)는 도 4와 같이 안창(1)에 외측 종족궁이 닿는부분의 저면에 웨지(wedge)를 이룬다. 상세히는 후족외측 웨지부(80)는 도 4와 같이 안창(1)의 중앙 외측 바닥면, 다시말해 안창(1)의 저면(뒷면)에서 제5중족골두로부터 발뒤꿈치까지의 부분에 부착된다. 후족외측 웨지부(80)는 발바닥의 중심선에서부터 외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며 외측에서의 높이는 약 3mm인 웨지(wedge)를 이룬다. 후족외측 웨지부(80)는 강도가 강하며, 후족외측 웨지부(80)가 신발과 닿는 면은 편평한 면을 이룬다. 따라서 본발명의 안창을 착용시 발의 외측 종족궁부가 일정한 각도를 안정되게 유지 할 수 있으며, 이에따라 외측 종족궁 부위로 과도하게 몰리는 압력을 내측 종족궁 부위로 전달하여 발바닥의 압력이 골고루 전달되게 해준다.
후족내측 지지부(90)는 도 4와 같이 안창(1)의 내측 종족궁이 닿는부분의 저면에서 족저근막 보호부(70)를 제외한 부분이다. 후족내측 지지부(90)는 안창(1)의 내측 종족궁이 닿는 부분인 내측 종족궁 지지부가 융기되는 것과 맞추어, 오목(凹)부를 형성한다.
도 5는 도 3의 안창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안창의 단면도(A-A)이다.
도 5에 있어서, 안창(1)은 발바닥 접촉패드부(100), 전족지지 패드부(130), 중족골두지지 패드부(120),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 족저근막보호 패드부(160), 제2후족지지 패드부(170), 웨지 패드부(180)로 이루어진다.
발바닥 접촉패드부(100)는 발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으로, 땀을 배출하기위한 다수의 통기구멍들을 구비한 복원력이 45~55%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다. 즉 발바닥 접촉부(100)는 전족 패드부(130), 중족골두지지 패드부(120),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의 윗면에 부착된다.
중족골두지지 패드부(120)는 삼각형태에 가까운 원을 이루며, 복원력이 30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다. 중족골두지지 패드부(120)는 발바닥 접촉패드부(100)아래, 전족지지 패드부(130)위, 중족골두 지지부(20)의 저면에 부착된다. 또한 중족골두지지 패드부(120)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특수 스폰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족골두지지 패드부(120)는 안창(1)의 저면에서 제1 중족골두 외측로부터 제2 중족골두, 제3 중족골두, 제4 중족골두 위치하는 부분에 부착되며, 횡아치의 형상으로 중심부에서 내측으로 40%, 외측으로 60%의 경사면을 가지며 중족골의 경사와 유사한 약 20도(중족골두부의 선단점에서의 각도)의 경사에서 시작되어 후족부 지지부와 약 8도(중족골두부의 후단점에서의 각도)의 경사로 만나게 된다.
전족지지 패드부(130)는 중족골두 지지부(20)의 끝부분을 경계로 해서 앞쪽 부분의 패드이다. 전족지지 패드부(130)는 땀을 배출하기위한 다수의 통기구멍들을 구비하고 충격흡수가 우수한 폴리에틸렌(PE) 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다. 전족지지 패드부(130)는 전족부 지지부(10) 및 중족골두 지지부(20)의 저면에 위치하며, 중족골두지지 패드부(120)를 사이에 두고 발바닥 접촉부(100)에 부착되어진다.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는 중족골두 지지부(20)의 끝부분을 경계로 해서 뒷쪽의 부분의 패드로, 발바닥 접촉패드(100)의 밑면에서 전족지지 패드부(130)에 연결된다.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는 내측종족궁 지지부(30), 외측종족궁 지지부(40)를 구성하며,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에서 족저근막 보호부(70)가 위치하는 부위에는 창을 형성한다.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족저근막보호 패드부(160)는 족저근막 보호부(70)가 위치하는 부위로,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에 형성된 창에 위치하는 패드로, 경도 30~35인 발포 천연고무 재질(PODIAN)이나 탄성이 없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진다. 족저근보호 패드부(160)에서 사용한 발포 천연고무 재질이나 탄성이 없는 폴리우레탄은 충격 흡수력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보다 더 뛰어난다.
제2후족지지 패드부(170)는 중족골두 지지부(20)의 끝부분을 경계로 해서 뒷쪽의 부분의 패드로,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의 밑면에 위치하며, 또한 제2후족지지 패드부(170)에서 외측 종족궁 지지부(40)의 저면 부분에 웨지 패드부(180)가 위치한다. 제2후족지지 패드부(170)도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와 같이 족저근막 보호부(70)가 위치하는 부위에는 창을 형성한다. 제2후족지지 패드부(150)는 폴리에틸렌(PE)로 이루어진다.
웨지 패드부(180)는 후족외측 웨지부(80)를 구성하는 패드로, 제2후족지지 패드부(170)의 저면에서 외측 종족궁 지지부(40)의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웨지를 이루는 것이다. 웨지 패드부(180)는 안창(1)의 저면에서 제5중족골두로부터 발뒤꿈치까지의 부분이 발바닥의 중심선에서부터 외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이룬다. 그리고 웨지 패드부(180)는 경도가 높은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체중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한다. 웨지 패드부(180)에서 사용된 고밀도 폴리에틸렌은 강도가 크며 경도는 약 160이다.
도 6은 도 3의 안창(1)의 단면도는 족저근막보호 패드부(160)를 포함하는 단면도이다. 발바닥 접촉패드부(100)의 전족 지지부(10)의 저면에, 중족골두지지 패드부(120)를 사이에 두고 전족지지 패드부(130)가 부착된다. 발바닥 접촉패드부(100)의 후족 지지부(50)의 저면에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가 부착되고,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의 창에 족저근막보호 패드부(160)가 삽입되고, 제1후족지지 패드부(150)의 저면에 제2후족지지 패드부(170)가 부착된다.
도 7은 도 4의 후족외측 웨지부를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후족외측 웨지부는 단면이 평평하며, 족저근막보호 패드부(160)와는 단차를 이루며, 족저근막보호 패드부가 후족외측 웨지부보다 더 낮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족저근막염 안창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족저근막염 안창의 저면도이고, 도 10은 도 3의 족저근막염 안창의 양발의 저면도이다.
도 8에서 본 고안의 족저근막염 안창은 안창에서 발의 내측 종족궁와 외측 종족궁이 닿는 부분을 융기시킨 내측 종족궁 지지부(30)과 외측종족궁 지지부(40)를 구비하고 후족통제부(60)을 구비하여, 안창과 발이 밀착되어 일체화를 이를 수 있게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9 및 도10에서 본 발명의 족저근막염 안창은 후족외측 웨지부(80) 및 족저근막 보호부(70)를 구비하고 있으며, 후족외측 웨지부(80)는 발의 외측, 보다 상세히는 안창(1)의 저면에서 제5중족골두로부터 발뒤꿈치까지의 부분에 위치하며, 족저근막 보호부(70)는 발의 내측, 보다 상세히는 안창(1)의 저면에서 발뒤꿈치 중앙부에서부터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를 지나 내측 종족궁 상단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당업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족저근막염 안창은 과회외전 상태의 발을 정상 위치로 위치하게 하며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몰리는 압력을 줄인다.
본 고안의 족저근막염 안창은 후족외측 웨지부를 구비하여 외측 종족궁 부위로만 과도하게 몰리는 압력을 내측 종족궁 부위에도 압력을 받을 수 있게 하여 압력이 골고루 전달되게 하며 과회외전을 막아준다.
본 고안의 족저근막염 안창은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하여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몰리는 압력을 줄인다.
따라서 본 고안의 족저근막염 안창은 족저근막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족저근막염 환자의 보행패턴을 정상적인 보행패턴으로 이끌어주는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본 고안의 족저근막염 안창은 후족 통제부, 내측 종족궁 지지부, 외측 종족궁 지지부를 구비하여 안창과 발이 밀착되어 일체화를 이룬다.
도 1a는 우측발을 발등에서 본 발의 골격이다.
도 1b는 우측발을 측면에서 본 발의 골격이다.
도 1c는 발의 족궁의 위치 설명도이다.
도 1d는 발의 종족궁 설명도이다.
도 1e는 재거돌기의 정상위와 비정상위를 비교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우측발의 족저근막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족저근막염 안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족저근막염 안창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족저근막염 안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도 3의 족저근막염 안창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후족외측 웨지부를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족저근막염 안창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족저근막염 안창의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족저근막염 안창의 양발의 저면도이다.

Claims (13)

  1. 중족골두부를 경계로 하여 앞쪽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전족 지지부; 안창에 중족골두가 닿는 부분에 형성된 돌기부인 중족골두 지지부; 발의 내측 종족궁이 닿는 부분에 형성된 융기부인 내측 종족궁 지지부; 외측 종족궁이 닿는 부분에 형성된 융기부인 외측 종족궁 지지부; 중족골두부를 경계로 하여 뒷쪽의 발바닥을 지지하는 후족 지지부; 제1중족골두 부분에서 시작하여 설상골, 주상골, 종골, 입방골, 제5중족골두가 있는 부분까지 세워지는 벽으로 이루어진 후족 통제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에 있어서,
    외측 종족궁이 닿는부분의 저면에 웨지(wedge)를 이루는 후족외측 웨지부;
    내측 종족궁이 닿는부분의 저면에서 오목(凹)부를 형성하며,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창을 구비하는 후족내측 지지부;
    상기 후족내측 지지부의 창 안에 충격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삽입하여 이루어진 족저근막 보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염 안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외측 웨지부는
    상기 족저근막염 안창의 저면에서 제5중족골두에서부터 발뒤꿈치까지의 부분에 발바닥의 중심선에서부터 외측으로 높아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웨지(wedge)를 이루며,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염 안창.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족저근막 보호부는 상기 족저근막염 안창의 저면에서, 재거돌기가 있는 부위로부터 내측 종족궁이 위치하는 부위에 창을 구비하고 상기의 창안에 내측 종족궁 지지부보다 경도가 낮은 충격을 흡수하는 재질을 삽입하며,
    상기 족저근막 보호부는 발포 천연고무 재질(Podian)이나 탄성이 없는 폴리우레탄 소재(Poron)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염 안창.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족내측 지지부는 적어도 폴리에틸렌(PE)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저근막염 안창.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2004-0034566U 2004-12-06 2004-12-06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KR2003820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566U KR200382055Y1 (ko) 2004-12-06 2004-12-06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566U KR200382055Y1 (ko) 2004-12-06 2004-12-06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430U Division KR200386619Y1 (ko) 2005-03-10 2005-03-10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055Y1 true KR200382055Y1 (ko) 2005-04-19

Family

ID=4368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566U KR200382055Y1 (ko) 2004-12-06 2004-12-06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055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26Y1 (ko) 2009-02-09 2011-03-31 임옥순 자세교정용 기능성 인솔
KR20160001214U (ko) 2014-10-02 2016-04-12 (주) 거림케미칼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KR101834250B1 (ko) 2016-10-31 2018-03-06 삼덕통상 주식회사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KR20200096728A (ko) 2019-02-05 2020-08-13 조규남 류머티즘 통풍 환자용 신발 중창 및 깔창
IT202100032558A1 (it) * 2021-12-23 2023-06-23 Calzaturificio Giovanni Fabiani S R L Dispositivo di supporto per il pied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26Y1 (ko) 2009-02-09 2011-03-31 임옥순 자세교정용 기능성 인솔
KR20160001214U (ko) 2014-10-02 2016-04-12 (주) 거림케미칼 착용감이 향상된 관절보호 신발 안창
KR101834250B1 (ko) 2016-10-31 2018-03-06 삼덕통상 주식회사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KR20200096728A (ko) 2019-02-05 2020-08-13 조규남 류머티즘 통풍 환자용 신발 중창 및 깔창
IT202100032558A1 (it) * 2021-12-23 2023-06-23 Calzaturificio Giovanni Fabiani S R L Dispositivo di supporto per il pied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8602B2 (en) Basketball insole
US5694706A (en) Heelless athletic shoe
KR940004749B1 (ko) 구두창
KR101287391B1 (ko) 신발 안창
US4689898A (en) Running shoe
US6692454B1 (en) Shoe, ankle orthosis and method for protecting the ankle
US5727335A (en) Footwear for patients of osteoarthritis of the knee
US20040103561A1 (en) Footwear with orthopedic component system
US20020162250A1 (en) Unitary orthotic insert and orthopedic insole
JP2004000548A (ja) 履物ソール
EP3222161A1 (en) Improved heelless athletic shoe
US20010032400A1 (en) Footwear outsole having arcuate inner-structure
KR19980018221A (ko) 신발 충격흡수시스템
US5685092A (en) Physiological motion enhancing shoe sole
KR20210018435A (ko) 신발용 인솔
US7832122B2 (en) Shoe heel cup and shoe equipped with one such heel cup
KR200382055Y1 (ko)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KR100498615B1 (ko) 족저근막염 안창
US20110289802A1 (en) Shoe appliance with an orthopedic device
JP4116516B2 (ja) 靴底およびパッド
KR100465376B1 (ko) 후족 통제형 고기능성 안창
KR200386619Y1 (ko)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KR100668534B1 (ko) 양말형 기능성 깔창
KR200370683Y1 (ko) 운동용 고기능성 신발안창
KR200405337Y1 (ko) 발에 장착하는 기능성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