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250B1 -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250B1
KR101834250B1 KR1020160142695A KR20160142695A KR101834250B1 KR 101834250 B1 KR101834250 B1 KR 101834250B1 KR 1020160142695 A KR1020160142695 A KR 1020160142695A KR 20160142695 A KR20160142695 A KR 20160142695A KR 101834250 B1 KR101834250 B1 KR 101834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heel
type
footbath
to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표
유원호
박승범
이경득
김대웅
유중현
Original Assignee
삼덕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덕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덕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2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2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2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fixed flat-foot insertions, metatarsal supports, ankle fla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체형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에서는 약한 족저근막인 평발에서는 발의 족궁을 형성하고 발을 보호하고, 강한 족저근막인 요족에서는 보행시 충격으로부터 발을 보호해서 과도한 족궁의 높이 변화를 막아주고, 발의 길이 변화와 전족부 각도 변화를 증가시켜서 보행자의 보행시 발의 족궁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윈드라스 기전을 막준다. 또한 보행자의 피로 저감을 가져온다.

Description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Arch system for preventing fatigues and plantar fasciitis}
본 발명은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발의 겉창과 중창사이에 끼워지는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레저 활동 인구의 증가로 과도한 발 사용이 문제를 일으키는 족저극막염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족저근막염은 주로 오래 서 있는 서비스 업종의 직장인과 과도한 레저 활동 등으로 발생하며, 발바닥 전체에 넓게 분포한 족저근막에서 보통 뒤꿈치 쪽 손상으로 통증을 유발합니다.
족저근막염의 발생 원인은 통상적으로 1) 과도한 회내, 2) 발의 구조적 문제 및 3) 윈드라스 기전(windlass mechanism)을 들 수 있습니다.
먼저 과도한 회내는 발이 걸음을 걷는 동안 발의 안쪽으로 반복적으로 하중을 받고, 이는 장력을 증가시켜 마치 고무줄이 더 이상 늘어나지 못하고 끊어지는 것처럼 족저근막염의 손상 원인으로 작용한다.
발의 구조적 문제로는, 발의 족궁이 낮은 평발의 경우 족저근막과 발 근육들의 힘이 상대적으로 약하여 지속적인 압력에 족궁이 무너져 고착된 경우이기 때문에 피로와 족저근막염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 반대로 족궁이 높은 요족의 경우에는 족저근막과 발 근육의 힘이 상대적으로 강하여 단단한 발로 분류된다. 하지만 발의 높은 족궁 때문에 발의 가운데 부분을 쓰지 못하고 체중이 뒤꿈치와 앞발바닥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족저근막의 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되고 또한 족저근막염에 걸리면 잘 낮지 않는 특징이 있다. 서로 상반된 발의 구조로 평발은 무릎과 근육 및 연부조적, 발의 안쪽에서의 손상이 쉽게 일어나고 요족의 경우는 발과 무릎의 골격의 손상과 발의 바깥쪽 손상이 쉽게 일어난다.
윈드라스 기전은 보행할 때 엄지 발가락이 보행자의 체중을 들어 올리게 되고, 발을 디딜 때도 엄지 발가락은 안전하게 내 디딜 수 있게 많은 힘을 쓴다. 이러한 동작은 엄지 발가락이 위로 올라가면 발의 족궁이 높아지면서 족저근막은 최대로 늘어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보행자의 체중이 실리게 되고 반복된 보행으로 족저근막이 상처를 입게 되어 족저근막염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족저근막염의 치료를 위해서 대부분 초음파 및 스트레칭, 약물치료, 깔창을 이용하고, 심지어는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현재 개시되어 있는 족궁 지지대는 신발의 내측과 외측에 부착된 TPU(열가소성폴리우레탄) 소재의 지지 장치가 발을 안정적으로 받쳐준다.
먼저, 깔창을 사용하면, 신발과 별도로 깔창을 구매하고 이를 신발에 맞추어 재단해야 한다. 깔창은 신발과 일체형으로 되어 있지 않아서 깔창이 안창에서 미끄러지기도 해서 발을 보호하기 어렵다.
그리고, 한국 특허 번호 10-0928712(등록일 2009년11월19일)의 요약서에서는 "본 발명은, 굽을 갖는 바닥창과, 상기 바닥창의 내부에 마련되는 안창과, 상기 바닥창의 둘레방향과 연결된 신발피로 이루어진 신발에 있어서, 상기 굽의 내부로부터 일 측을 향하여 일정한 깊이와 폭으로 형성한 공간과; 상기 공간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 측벽에 대향하게 마련한 축공과; 상기 굽에 마련된 제 1 스프링과; 상기 공간에 배치되어 일단이 상기 제 1 스프링과 접촉되고 양측 벽에 설치된 축이 상기 축공에 축설되어 좌우 회동하는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일 측에 접촉되고 일단이 상기 바닥창과 안창을 관통하여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제 2 스프링과; 상기 제 2 스프링 단부에 고착된 족궁보정판을 포함하여 발뒤꿈치 부분이 지면에 맞닿는 것으로서 상기 회동판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 타 측이 들려 발의 족궁부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신발을 신고 보행하면 발뒤꿈치에 실리는 사람의 체중에 의한 가압력이 회동판의 일 측을 가압하면 그 가압력이 축을 중심으로 회동판의 타 측을 들어 올려 족궁보정판이 발의 족궁 또는 족궁보형물을 지지 보정함으로써 변형된 족궁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켜 보행이 편리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으며, 변형된 또는 변형되어 가는 족궁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각종 통증 및 질병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라고 기재되어 있다. 여기서는 바닥창(밑창)에 2개의 스프링과 족궁 보정판이 제공되어 있어서, 신발의 바닥창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리고 이 발명으로 발의 구조적 문제인 평발인 경우에는 어느정도 효과가 있으나, 그외 1) 과도한 회내, 2) 발의 구조적 문제인 요족 및 3) 윈드라스 기전인 경우에는 별로 효과가 없다.
그리고 한국 공개번호 10-2009-0096719(공개일 009년09월14일)에서는 워킹(walking)/런닝(running)에서 발생되는 충격 응력이 무릎, 고관절 및 척추에 전달되지 않거나 단지 매우 한정된 정도로 전달되고, 동시에 생리적으로 올바른 롤링 운동이 달성되도록, 두 개의 안창 및 이 안창들 사이에 끼워지는 폼 인서트(foam insert)를 제공하는 신발을 제공한다. 여기서는 족저근막염에 대한 언급은 전혀 없다.
그리고 현재의 족궁 지지대는 신발의 내측과 외측에 각각 부착된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의 지지 장치가 발을 안정적으로 받쳐주어 어떤 지면 환경을 만나도 흔들림 없는 도보가 가능하다. 특히 발의 족궁와 가까운 내측의 지지 장치는 외측보다 높게 올라오도록 설계해, 장애물 등에 의해 발이 순간적으로 안쪽으로 접질리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이는 발을 안정적으로 받쳐주는 기능을 하지만,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예방이나 치료를 위한 것은 아니다.
한국 특허 번호 10-0928712(등록일 2009년11월19일) 한국 공개번호 10-2009-0096719(공개일 009년09월1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을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피로와 족저근막염의 발생 원인인, 1) 과도한 회내, 2) 발의 구조적 문제 및 3) 윈드라스 기전(windlass mechanism)을 방지하기 위한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족궁 높이, 발 길이, 전족부 각도와 연결해서 족궁 높이의 최대값과 최소값의 변화는 작아야 하고, 발길이와 전족부 각도의 최대값과 최소값 사이의 변화가 커야,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에 보다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발과 일체형으로 고정하며, 간단한 구성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경제적인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신발에 적용가능한 일체형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으로서,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은 신발의 겉창과 중창사이에 밑부분이 끼워지며,
갑피의 외측을 잡아주는 양측면부, 상기 양측면부에서 발뒤꿈치를 방향으로 연장하는,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뒤꿈치부와 상기 뒤꿈치부로부터 연장하여 발뒤꿈치를 에워싸서 발을 보호하는 U형부(4), 상기 양측면부에서 발가락 부분으로 연장하여 발가락 부분을 지지하는 앞꿈치부와, 상기 앞꿈치부와 상기 뒤꿈치부와 연결되는 종족의 주변 프레임(11)을 포함하는 족궁을 지지하는 중족의 족궁부를 포함하며,
상기 U형부와 양측면부의 두께는 신발의 뒤틀림을 막기 위한 강도를 갖도록, 상기 앞꿈치부와 중족의 족궁부보다 두꺼우며,
상기 중족의 족궁부는 중족의 주변 프레임의 네 지점과 연결되며, 발의 족궁을 들어 올려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하며, 착용자의 체중을 완충하는 탄성을 가지는 'X'자 모양의 교차대를 포함한다.
양호한 실시 예에서, 뒤꿈치부, 앞꿈치부와 중족의 족궁부의 높이를 정상인의 발 바닥의 형상과 동일한다.
양호한 실시 예에서, 양측면부는 주변 프레임)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며, 앞꿈치부와 교차대의 주변 프레임보다 두꺼운 3개 이상의 연장 빔과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빔의 강성은 착용자의 발이 신발 안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잡아 줄 정도의 강성을 가진다.
양호한 실시 예에서, 앞꿈치부의 주변 프레임에 발가락 부분이 놓여진다.
보다 양호한 실시 예에서, 족궁 보강구조를 포함하는 인솔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체형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에서는 약한 족저근막인 평발에서는 발의 족궁을 형성하고 발을 보호하고, 강한 족저근막인 요족에서는 보행시 충격으로부터 발을 보호해서 과도한 족궁의 높이 변화를 막아주고, 발의 길이 변화와 전족부 각도 변화를 증가시켜서 보행자의 보행시 발의 족궁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윈드라스 기전을 막준다. 또한 보행자의 피로 저감을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의 교차대의 상향 돌출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이 적용된 밑창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 예의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족궁 높이, 발이 길이, 전족부 각도의 정의를 설명하는 실제 측정하고 있는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양측면부의 빔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1의 부분 상세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1)을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1)은 신발의 겉창과 중창사이에 족궁 시스템(1)의 밑부분(2)이 끼워지며, 갑피의 외측을 잡아주는 양측면부(3), 양측면부(3)에서 발뒤꿈치를 방향으로 연장하는,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뒤꿈치부(5)와 뒤꿈치부(5)로 부터 연장하여 발뒤꿈치를 에워싸서 발을 보호하는 U형부(4), 양측면부(3)에서 발가락 부분으로 연장하여 발가락 부분을 지지하는 앞꿈치부(6)와, 앞꿈치부(6)와 뒤꿈치부(5)와 연결되는 종족의 주변 프레임(11)을 포함하는 족궁을 지지하는 중족의 족궁부(7)를 포함한다.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1)은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 요구하는 탄성과 강성을 충족하다면, 다른 재질, 예를 들어, 금속 등으로도 만들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1)은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소재로 해서 하나의 부재로 사출성형 되며, 밑부분(2)은 어느 정도의 탄력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두께가 그리 두껍지 않다. 그리고 U형부(4)와 양측면부(3)는 신발의 뒤틀림을 막기 위한 강도를 가져야 하기 때문에 밑부분(2), 앞꿈치부(6)와 중족의 족궁부(7)보다는 두껍게 만들어진다.
밑부분(2)은 발바닥의 외형을 따라서 형상되며, 뒷꿈치 부분은 둥근형상을 하고 발가락 부분은 주변 프레임(11)를 가로질려서 거의 직선을 이루는 앞꿈치부(6)를 포함한다. 밑부분은 중족의 족궁부(7)를 경계를 이루는 제1가로대(12), 주변 프레임(11)을 가로질려서 거의 직선을 이루는 뒤꿈치부(5)와 중족의 족궁부(7)를 경계를 이루는 제2가로대(13), 주변 프레임(11)을 가로질려서 거의 직선을 이루는 뒤꿈치부(5) 사이에 발바닥을 지지하기 위해 제공된 제3가로대(14)를 포함한다. 중족의 족궁부(7)은 주변 프레임(11)과 제1가로대(12)와 제2가로대(13)로 이루어진 사각형에서 대각선으로 교차해서 뻗은 'X'자 모양의 교차대(15;beam))를 포함한다. 주변 프레임(11)은 U형부(4)에서는 겉창과 안창 사이에 확고하게 끼워져서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면부(3)쪽에는 지면쪽으로 내려가고 중족의 족궁부(7)에서는 지면쪽에서 다소 올라가고 다시 앞꿈치부(6)에서는 내려가 있어서, 양측면부(3)의 강성을 보강하고, 중족의 족궁부(7)의 'X'자 모양의 교차대(15)를 발의 족궁쪽으로 들어올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뒤꿈치부와 양 측면 부분은 중족골 부위 갑피를 지탱하도록 되어 있다.
교차대(15)는 상향으로 중앙이 볼록하게 형상되어 있다. 이는 발의 족궁이 낮은 평발의 경우에, 상향으로 볼록한 교차대(15)에 의해 착용자가 발을 착용할 때 발의 족궁이 교차대(15)에 의해 높아져서 족저근막과 발 근육의 힘을 강하게 한다. 이로서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을 방지할 수 있다. 교차대(15)의 탄성에 의해 갑작스러운 하중이 걸리면 이를 완화하는 작용도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교차대(15)의 상향 정도인데, 이는 너무 높으면 요족이 되기 쉽기 때문이다.
뒤꿈치부(5), 앞꿈치부(6)와 중족의 족궁부(7)의 높이를 정상인의 발 바닥의 형상과 동일하게 하여, 착용자가 평족인 경우에, 교차대(15)에 의해 중족 족궁에도 체중이 실리도록 하여 발바닥 전체에 골고루 체중이 가도록 한다.
양측면부(3)는 도 6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프레임(11)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며, 앞꿈치부(6)와 교차대(15)의 주변 프레임보다 두꺼운 3개 이상의 연장 빔(31)과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빔(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앞꿈치부(6)와 교차대(15)의 주변 프레임은 겉창에 끼워지며, 양측면부(3)는 갑피의 양 옆을 지탱해주는 작용을 한다. 착용자의 발이 신발 안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잡아 줄 정도의 강성을 가져야 한다. 이 때문에 착용자가 걷는 동안 발의 안쪽으로 반복적으로 하중이 받지 않게 방지한다. 이로써 회내로 인한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 예를 도시하는 도 4를 참조하면,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1)을 설명하며, 도 1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여기서 생략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1에 설명한 부분도 여기에 참고로 사용될 수 있다. 족궁 시스템(1)은 신발의 겉창과 중창사이에 밑부분(2)이 끼워지며, 방지 족궁 시스템(1)은 갑피의 외측을 잡아주는 양측면부(3), 양측면부(3)에서 발뒤꿈치를 방향으로 연장하는,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뒤꿈치부(5)와 뒤꿈치부(5)로 부터 연장하여 발뒤꿈치를 에워싸서 발을 보호하는 U형부(4), 양측면부(3)에서 발가락 부분으로 연장하여 발가락 부분을 지지하는 3개의 돌기 형상을 가지는 E자 모양의 발가락 지지대(16)와 족궁을 지지하는 중족의 족궁부(7)를 포함한다.
밑부분(2)은 발바닥의 외형을 따라서 형상되며, 뒷꿈치 부분은 둥근형상을 하고 발가락 부분은 3개의 돌기 형상을 가지는 E자 모양을 하고 있고, 주변 프레임(11)은 밑부분(2)의 양 측면사이에 놓여 있다. 중족의 족궁부(7)는 중족의 주변 프레임(11)으로부터 반대 측의 발가락 지지대(16)중 하나의 돌기와 연결되는 대각선으로 교차해서 뻗은 'X'자 모양의 교차대(15)와 교차대(15)의 중심과 교차하며 양 측면부(3)와 연결되어 있는 가로대(21)를 포함한다. 상기 교차대(15)와 가로대(21)는 도시한 바와 같이
Figure 112017084364276-pat00001
형상을 하고 있다. 즉 중족의 족궁부(7)는 상기 교차대(15)와 가로대(21)의 중심은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상되어 있다. 이는 발의 족궁이 낮은 평발의 경우에, 상향으로 볼록한 중심(20)에 의해 착용자가 발을 착용할 때 발의 족궁이 교차대(15)와 가로대(21)에 의해 높아져서 족저근막과 발 근육의 힘을 강하게 한다. 이로서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을 방지할 수 있다. 교차대(15)와 가로대(21)의 탄성에 의해 갑작스러운 하중이 걸리면 이를 완화하는 작용도 한다.
발가락 부분을 지지하는 E자 모양의 발가락 지지대(16)의 3개의 돌기들이 발가락 부분이 놓여지고, 발가락의 굽힘 작용을 도 1에 도시한 실시 예에 비해서 자유롭게 해서 보행시 편안감을 준다.
끝으로, 앞꿈치부(6)의 주변 프레임에 발가락 부분이 놓여지고, 앞꿈치부(6)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엄지 발가락이 사람의 체중에 의해서 심하게 굽혀지지 않기 때문에, 착용자가 걷을 때 본 발명의 앞꿈치부(6)에 의해 위로 올라가지 못하기 때문에 윈드라스 기전을 야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착용자의 반복된 보행으로 족저근막에 상처를 주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체형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에서는 약한 족저근막인 평발에서는 발의 족궁을 형성하고 발을 보호하고, 강한 족저근막인 요족에서는 보행시 충격으로부터 발을 보호해서 과도한 족궁의 형성을 막아주고, 보행자의 보행시 발의 족궁이 과도하게 높아지는 윈드라스 기전을 막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1)에서의 교차대(15)의 상향 돌출을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교차대(15)의 상향 정도는 사람마다 달라서 여기서는 특정할 수가 없다. 그러나 양호하게는 4 내지 9mm인 것이 바람직하다. 4mm 이하면 평발의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9mm 이상이면 요족으로 되기 쉽다.
도 3은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1)이 적용된 밑창을 도시한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밑부분(2)은 안창과 겉창사이에 삽입되어 도시되어 있지 않고, 양측면부(3)와 U형부(4)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결과를 얻기 위해서 Raptor-E 적외선카메라 24대로 구성된 3차원 동작분석 측정 장비 사용하고, 카메라가 장착된 3차원 동작분석 시스템(3D Motion Analysis)이 120 Frame의 속도로 반사형 마커(Retro-reflective Marker)를 자동적으로 기록하고, Cortex 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3차원 공간 X, Y, Z 축에서의 반사형 마커의 움직임을 실시간 측정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이 제공된 신발의 경우를 B 타입, B 타입에 추가로 인솔에 족궁 보강 구조가 삽입된 경우를 A타입, 그리고 전족부 중앙부터 후족부 전방까지 넓은 구조물을 삽입하고 일반 인솔을 삽입한 경우를 C타입으로 했다. 그리고 신발의 사이즈는 남성용 265 ~ 270 mm를 사용했으며 피실험자 10명 평균치를 이용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족궁 높이
1) 족궁높이 최대값 분석 결과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족궁높이 최대값 분석 결과 러닝 시 Type A : 53.56㎜ < Type B : 54.38㎜ < Type C : 55.53㎜ 순으로 나타남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족궁높이 최대값 분석 결과 보행 시 Type B : 55.71㎜ < Type A : 55.86㎜ < Type C : 55.92㎜ 순으로 나타남
Type A Type B Type C B% C%
러닝 53.56 54.38 55.53 -1.50 -3.54
보행 55.86 56.71 55.92 -1.49 -0.10
*B %, C % 증감율(Type A에 대한 각 Type별 증감비율)=(Type A - 대조군)/대조군 ×100
2) 족궁높이 최소값 분석 결과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족궁높이 최소값 분석 결과 러닝 시 Type C : 40.57㎜ < Type A : 46.39㎜ < Type B : 46.33㎜ 순으로 나타남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족궁높이 최소값 분석 결과 보행 시 Type C : 43.61㎜ < Type A : 48.07㎜ < Type B : 48.21㎜ 순으로 나타남
Type A Type B Type C B% C%
러닝 46.39 46.33 40.57 0.12 14.34
보행 48.07 48.21 43.61 -0.29 10.22
*B %, C % 증감율(Type A에 대한 각 Type별 증감비율)=(Type A - 대조군)/대조군 ×100
3) 족궁높이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에 의한 족궁높이 변화량 분석 결과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하여 족궁높이의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에 의한 족궁 높이 분석 결과 러닝 시 Type A : 7.71㎜ < Type B : 8.06㎜ < Type C : 14.95㎜ 순으로 나타남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족궁높이의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에 의한 족궁 높이 분석 결과 보행 시 Type A : 7.85㎜ < Type B : 8.51㎜ < Type C : 12.31㎜ 순으로 나타남
Type A Type B Type C B% C%
러닝 7.17 8.06 14.95 -11.04 -52.04
보행 7.85 8.51 12.31 -7.75 -36.23
*B %, C % 증감율(Type A에 대한 각 Type별 증감비율)=(Type A - 대조군)/대조군 ×100
2. 전족부 각도
1) 전족부 각도 최대값 분석 결과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전족부 각도 최대값 분석 결과 러닝 시 Type C : 75.98°< Type B : 77.57°< Type A : 78.37°순으로 나타남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전족부 각도 최대값 분석 결과 보행 시 Type C : 77.41°< Type A : 78.80°< Type B : 79.68°순으로 나타남
Type A Type B Type C B% C%
러닝 78.37 77.57 75.98 1.03 3.14
보행 78.80 79.68 77.41 -1.10 1.79
*B %, C % 증감율(Type A에 대한 각 Type별 증감비율)=(Type A - 대조군)/대조군 ×100
2) 전족부 각도 최소값 분석 결과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전족부 각도 최소값 분석 결과 러닝 시 Type C : 48.83°< Type A : 53.88°< Type B : 56.20°순으로 나타남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전족부 각도 최소값 분석 결과 보행 시 Type C : 45.08°< Type A : 48.39°< Type B : 51.36°순으로 나타남
Type A Type B Type C B% C%
러닝 53.88 56.20 48.83 -4.12 10.34
보행 48.39 51.36 45.08 -5.78 7.34
*B %, C % 증감율(Type A에 대한 각 Type별 증감비율)=(Type A - 대조군)/대조군 ×100
3) 전족부 각도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에 의한 전족부 각도 변화량 분석 결과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하여 전족부 각도의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에 의한 전족부 각도 변화량 분석 결과 러닝 시 Type B : 21.37°< Type A : 24.49°< Type C : 27.15°순으로 나타남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하여 전족부 각도의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에 의한 전족부 각도 변화량 분석 결과 보행 시 Type B : 28.32°< Type A : 30.41°< Type C : 32.33°순으로 나타남
Type A Type B Type C B% C%
러닝 24.49 21.37 27.15 14.59 -9.79
보행 30.41 28.32 32.33 7.37 -5.93
*B %, C % 증감율(Type A에 대한 각 Type별 증감비율)=(Type A - 대조군)/대조군 ×100
3. 발길이
1) 발길이 최대값 분석 결과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발길이 최대값 분석 결과 러닝 시 Type C : 211.30㎜ < Type B : 211.44㎜ < Type A : 212.04㎜ 순으로 나타남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발길이 최대값 분석 결과 보행 시 Type B : 210.74㎜ < Type C : 210.98㎜ < Type A : 211.30㎜ 순으로 나타남
Type A Type B Type C B% C%
러닝 212.04 211.44 211.30 0.28 0.35
보행 211.30 210.74 210.98 0.26 0.15
*B %, C % 증감율(Type A에 대한 각 Type별 증감비율)=(Type A - 대조군)/대조군 ×100
2) 발길이 최소값 분석 결과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발길이 최대값 분석 결과 러닝 시 Type C : 190.78㎜ < Type A : 195.58㎜ < Type B : 196.65㎜ 순으로 나타남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한 발길이 최대값 분석 결과 보행 시 Type C : 190.78㎜ < Type A : 195.58㎜ < Type B : 196.65㎜ 순으로 나타남
Type A Type B Type C B% C%
러닝 195.58 196.65 190.78 -0.54 2.51
보행 189.65 191.87 187.17 -1.15 1.32
*B %, C % 증감율(Type A에 대한 각 Type별 증감비율)=(Type A - 대조군)/대조군 ×100
3) 발길이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에 의한 발 길이 변화량 분석 결과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하여 발길이의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에 의한 발길이 변화량 분석 결과 러닝 시 Type B : 16.19㎜ < Type A : 16.45㎜ < Type C : 20.52㎜ 순으로 나타남
- 3차원 동작분석을 통하여 발길이의 최대값과 최소값 차이에 의한 발길이 변화량 분석 결과 보행 시 Type B : 18.86㎜ < Type A : 21.65㎜ < Type C : 23.81㎜ 순으로 나타남
Type A Type B Type C B% C%
러닝 16.45 16.19 20.52 1.60 -19.83
보행 21.65 18.86 23.81 14.79 -9.07
*B %, C % 증감율(Type A에 대한 각 Type별 증감비율)=(Type A - 대조군)/대조군 ×100
4. 족관절 동작분석 결론
보행 또는 러닝 시 족궁의 유지는 족궁 높이, 전족부 각도, 발길이와 상관성을 가지며, 족궁의 높이 변화가 크다는 것은 족궁구조물이 초기 입각기와 말기 입각기 시 발의 족궁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었고, 족궁 시스템이 없는 C 타입보다는 본 발명의 실시 예인 A 및 B타입이 족궁의 높이의 편차가 적어서(표 3참조), 효과적으로 족궁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리고 전족부 각도 변화와 족관절에서의 발길이 변화이 많을수록 보행자의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예방에 효과적이므로, 본 발명의 보다 양호한 실시 예인 A타입이 B타입보다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예방에 보다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3: 양측면부
4: U형부
5: 뒤꿈치부
6: 앞꿈치부
7: 족궁부
15: 교차대
16: 발가락 지지대
21: 가로대

Claims (5)

  1. 신발에 적용가능한 일체형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으로서,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1)은 신발의 겉창과 중창사이에 밑부분(2)이 끼워지며,
    갑피의 외측을 잡아주는 양측면부(3), 상기 양측면부(3)에서 발뒤꿈치를 방향으로 연장하는,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뒤꿈치부(5)와 상기 뒤꿈치부(5)로 부터 연장하여 발뒤꿈치를 에워싸서 발을 보호하는 U형부(4), 상기 양측면부(3)에서 발가락 부분으로 연장하여 발가락 부분을 지지하는 앞꿈치부(6)와, 상기 앞꿈치부(6)와 상기 뒤꿈치부(5)와 연결되는 종족의 주변 프레임(11)을 포함하는 족궁을 지지하는 중족의 족궁부(7)를 포함하며,
    상기 U형부(4)와 양측면부(3)의 두께는 신발의 뒤틀림을 막기 위한 강도를 갖도록, 상기 앞꿈치부(6)와 중족의 족궁부(7)보다 두꺼우며,
    상기 족궁부(7)는 중족의 주변 프레임(11)의 네 지점과 연결되며, 발의 족궁을 들어 올려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하며, 착용자의 체중을 완충하는 탄성을 가지는 'X'자 모양의 교차대(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뒤꿈치부, 앞꿈치부와 중족의 족궁부의 높이를 정상인의 발 바닥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면부(3)는 주변 프레임(11)으로부터 측면으로 연장하며, 상기 앞꿈치부와 교차대의 주변 프레임(11)보다 두꺼운 3개 이상의 연장 빔(31)과 이들을 서로 연결하는 빔(3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착용자의 발이 신발 안에서 움직이지 못하게 잡아 줄 정도의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앞꿈치부의 주변 프레임에 발가락 부분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5. 신발에 적용가능한 일체형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으로서,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1)은 신발의 겉창과 중창사이에 밑부분(2)이 끼워지며,
    갑피의 외측을 잡아주는 양측면부(3), 상기 양측면부(3)에서 발뒤꿈치를 방향으로 연장하는, 발뒤꿈치를 지지하는 뒤꿈치부(5)와 상기 뒤꿈치부(5)로 부터 연장하여 발뒤꿈치를 에워싸서 발을 보호하는 U형부(4), 상기 양측면부(3)에서 발가락 부분으로 연장하여 발가락 부분을 지지하는 3개의 돌기 형상을 가지는 E자 모양의 발가락 지지대(16)와 족궁을 지지하는 중족의 족궁부(7)를 포함하며,
    상기 U형부(4)와 양측면부(3)의 두께는 신발의 뒤틀림을 막기 위한 강도를 갖도록, 상기 발가락 지지대(16)와 중족의 족궁부(7)보다 두꺼우며,
    상기 족궁부(7)는 중족의 주변 프레임(11)으로부터 반대 측의 발가락 지지 대(16)중 하나의 돌기와 연결되는 대각선으로 교차해서 뻗은 'X'자 모양의 교차대(15)와 교차대(15)의 중심과 교차하며 양 측면부와 연결되어 있는 가로대(21)를 포함하며, 발의 족궁을 들어 올려진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향으로 볼록한 형상의 중심을 가지며, 착용자의 체중을 완충하는 탄성을 가지는 '
    Figure 112017084364276-pat00008
    ' 모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KR1020160142695A 2016-10-31 2016-10-31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Active KR101834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695A KR101834250B1 (ko) 2016-10-31 2016-10-31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695A KR101834250B1 (ko) 2016-10-31 2016-10-31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4250B1 true KR101834250B1 (ko) 2018-03-06

Family

ID=61727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695A Active KR101834250B1 (ko) 2016-10-31 2016-10-31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42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18273A (ko) 2023-07-27 2025-02-05 김원준 발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055Y1 (ko) 2004-12-06 2005-04-19 (주)하나메디텍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JP2012075864A (ja) 2010-10-05 2012-04-19 Jione Frs Corp 履物の中敷き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055Y1 (ko) 2004-12-06 2005-04-19 (주)하나메디텍 족저근막 보호부를 구비한 족저근막염 안창
JP2012075864A (ja) 2010-10-05 2012-04-19 Jione Frs Corp 履物の中敷き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50018273A (ko) 2023-07-27 2025-02-05 김원준 발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61268A1 (en) Sole having the tilt surface and the knee joint-protecting shoe comprising the same
US20130145650A1 (en) Propulsive sole for impact distribution and round walking
JP2009512525A (ja) 一体型の中足骨部起伏部を有する履物
WO2017222579A1 (en) High heel shoe
KR200462847Y1 (ko) 무릎 관절 보호 및 오다리 교정이 가능한 기능성 신발 밑창
JP2009101139A (ja) ハイヒール用の機能性中敷
KR20140069009A (ko) 신발 및 신발 제조 방법
KR200414204Y1 (ko) 신발
KR20110004572A (ko) 건강을 위한 신발 밑창
KR101834250B1 (ko) 피로 저감과 족저근막염 방지 족궁 시스템
KR101524229B1 (ko) 스프링 매립 중창과 플랫폼을 구비하는 하이힐
KR101119566B1 (ko) 하체 근력강화를 유도하는 신발창
KR20110112975A (ko) 신발 밑창
JP3212230U (ja) 靴下
KR200455079Y1 (ko) 직선보행유도기능을 갖는 중창을 갖는 신발
KR101263614B1 (ko) 신발
US20230000203A1 (en) Footwear
KR100984263B1 (ko) 경사면을 갖는 밑창 및 이를 포함하는 무릎 관절화
JP5458257B2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KR100952153B1 (ko) 기능성 신발
KR101672477B1 (ko) 기능성 인솔
KR20110004571A (ko) 신발 밑창
KR20060035524A (ko) 원형신발바닥에 에어백이 내장된 건강 흔들 신발
KR101252287B1 (ko) 퇴행성 무릎을 위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2537894B1 (ko) 중창의 융기부에 의해 착용자의 엄지발가락을 밀착 지지하여 자세교정과 재활효과가 향상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