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1980Y1 - 책걸상용 높낮이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걸상용 높낮이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1980Y1
KR200381980Y1 KR20-2005-0002109U KR20050002109U KR200381980Y1 KR 200381980 Y1 KR200381980 Y1 KR 200381980Y1 KR 20050002109 U KR20050002109 U KR 20050002109U KR 200381980 Y1 KR200381980 Y1 KR 2003819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tube
insertion tube
bookcase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1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최상제
Original Assignee
김영기
최상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기, 최상제 filed Critical 김영기
Priority to KR20-2005-00021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19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19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19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 또는 걸상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는 책걸상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며 수직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용 결합공들이 형성된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상부로 삽입되며 책걸상의 상부와 결합된 채 승강하면서 책걸상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수직이동관;
상기 수직이동관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관통설치되는 작동레버; 및
상기 수직이동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 방향에 따라 삽입관의 결합공들과의 걸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직이동관의 승강을 제한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책걸상용 높낮이조절장치{Height adjuster for desk and chair}
본 고안은 책상 또는 걸상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에 설치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일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10)과, 이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승강이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10)의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일측으로 끼워져 고정되는 수평관(30)을 구비한다.
상부프레임(20)에는 복수개의 결합공(21)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관(30)의 내측으로 하부프레임(10)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21)에 걸리는 걸림봉(40)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걸림봉(40)은 결합공(21)의 외측면에 걸리는 걸림돌기(41)을 가지며 수평관(30)의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으로 걸림봉(40)을 잡아당길 수 있는 손잡이(42)가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봉(4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50)이 설치되어 걸림봉(40)이 상부프레임(20)의 결합공(10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의 조작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320)를 잡아당기면 스프링(50)이 걸림돌기(41)에 의해 압축되면서 걸림봉(40)이 수평관(30)의 내부로 인입되며, 상부프레임(20)은 하부프레임(10) 내에서 승강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부프레임(20)의 결합공(21)과 걸림봉(40)이 수평상태로 일치되도록 상부프레임(20)을 조절하여 책걸상을 원하는 높이로 맞춘다.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책걸상이 셋팅되면, 사용자는 잡아당겼던 손잡이(42)를 놓는다. 이렇게 하면, 스프링(50)으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았던 걸림봉(40)이 전진하면서 걸림봉(40) 단부가 상부프레임(20)에 형성된 결합공(21)에 걸림으로써 상부프레임(20)의 승강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책걸상의 높낮이를 자신의 체형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 손잡이(42)를 수평방향으로 잡아 당겨야 하므로 큰 조작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걸림이 이루어지는 수평관(30)이 하부프레임(10)의 외측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손상되기 쉽다.
또한, 수평관(30)이 책상 및 걸상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어 통행시 다리나 바지가 수평관(30)에 걸리게 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으며 책걸상의 미관 또한 저하된다.
뿐만 아니라, 책걸상의 높이를 높힐 경우, 상부지지관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21)이 외부로 드러나게 되므로 결합공(21)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결합공(21)이 손상되면 걸림봉(40)이 결합공(21)측으로 삽입되지 못해 높이조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상부프레임(20)과 하부프레임(10) 사이의 틈새로 인하여 책걸상의 유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 유동부위에 마찰이 심화되면 상기 틈새를 통해 하부프레임(10)의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 상부프레임(20)의 승강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책상의 상부지지관에 다수의 결합공(21)을 형성시키고, 특히 하부프레임(10)의 외측에 수평관(30)을 부착시켜야 하므로 기존의 책걸상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른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작이 용이하고 책걸상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설치되며 지주부의 유동이 방지되며 일반 책걸상에 설치하기가 용이한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책걸상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며 수직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용 결합공들이 형성된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상부로 삽입되며 책걸상의 상부와 결합된 채 승강하면서 책걸상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수직이동관과, 상기 수직이동관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관통설치되는 작동레버과, 상기 수직이동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 방향에 따라 삽입관의 결합공들과의 걸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직이동관의 승강을 제한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수단은 수직이동관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작동레버와 연결되며 작동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고정부재의 하부에서 일정구간 승하강을 반복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승하강시 고정부재의 내측에서 일정구간을 왕복이동하면서 삽입관의 결합공과의 걸림 및 해제를 반복하는 걸림편와, 고정부재의 하단에 고정되어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직이동관의 내측에는 작동레버와 결합된 연결편과, 양단이 각각 연결편의 하부와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편의 회전을 통해 이동부재를 상승시키도록 견인하는 작동와이어가 설치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이동부재가 삽입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에는 이동부재의 하강시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하향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하향플랜지의 단부는 삽입관의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상부를 향하여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대되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시 수직이동관의 급작스런 낙하로 인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수직이동관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수단의 지지부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직관의 하단으로 노출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으로부터 끼워져 수직프레임의 내측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될 때 탄성부재의 좌굴을 방지하는 지지봉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는 바닥을 지지하도록 책걸상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F)에 설치되어 책걸상의 상부와 연결된다.
여기서 본 고안의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는 책상 또는 걸상의 수직프레임(F)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책상의 수직프레임(F)에 설치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본 고안은 수직프레임(F)의 내측에 삽입되며 수직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용 결합공(101)들이 형성된 삽입관(100)과, 상기 삽입관(100)의 상부로 삽입되며 책걸상의 상부와 결합된 채 승강하면서 책걸상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수직이동관(200)과, 상기 수직이동관(200)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관통설치되는 작동레버(300)와, 상기 수직이동관(2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100)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레버(300)의 회동 방향에 따라 삽입관(100)의 결합공(101)들과의 걸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직이동관(200)의 승강을 제한하는 걸림수단(4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관(100)은 수직프레임(F)의 내측에 밀착삽입된다. 이 삽입관(100)에는 높낮이 조절용 결합공(101)들이 수직방향으로 균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관(100)의 상단에는 수직프레임(F)의 상단면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외측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11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관(100)은 자체적으로 분해조립이 가능하도록 요홈(102)이 형성된 일측과 상기 요홈(102)에 대응되는 돌기(103)를 가진 타측으로 분리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관(100)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삽입관(100)의 결합공(101) 부위의 강도를 보강을 위하여 삽입관(100)의 제작시 삽입관(100)의 내측에 일체로 성형되는 소정의 보강부재(미도시)를 더 가질 수 있다.
수직이동관(200)은 상측으로는 책걸상의 상부와 결합되고 하측으로는 수직프레임(F)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수직이동관(200)의 양단에는 책걸상의 상부와 수직프레임(F)의 내측으로 각각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 결합용 플랜지(201)가 형성된다.
상기 수직이동관(200)의 상부 일측에는 수직이동관(200)의 전후면을 관통하는 관통공(202)이 형성되며, 이 관통관을 통해 작동레버(30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작동레버(300)는 수직이동관(200)의 관통공(202)에 끼워지는 끼움부(310)와, 상기 끼움부(310)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형상의 손잡이(320)로 구성된다.
상기 끼움부(310)는 관통공(202)을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되고, 여기에 수직이동관(200)의 외측면에 지지되는 링부재(340)가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링부재(340)의 외측으로 상기 끼움부(310)의 단부와 결합되는 볼트(350)가 끼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300)는 수직이동관(20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링부재(340)에 의해 수직이동관(200)으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된다.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20)를 회동시켜 수직이동관(200)에 관통된 끼움부(31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가방과 같은 소지품 등을 걸어놓을 수도 있다.
상기 수직이동관(200)의 하부에는 삽입관(100)에 밀착되게 삽입되어 상기 작동레버(300)의 회동 방향에 따라 삽입관(100)의 결합공(101)들과의 걸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직이동관(200)의 승강을 제한하는 걸림수단(400)이 설치된다.
상기 걸림수단(400)은 수직이동관(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410)와, 상기 고정부재(410)를 통해 작동레버(300)와 연결되어 작동레버(300)의 회동방향에 따라 고정부재(410)의 하부에서 일정구간 승하강을 반복하는 이동부재(420)와, 상기 이동부재(420)의 승하강시 고정부재(410)의 내측에서 일정구간을 왕복이동하면서 삽입관(100)의 결합공(101)과의 걸림 및 해제를 반복하는 걸림편(430)과, 고정부재(410)의 하단에 고정되어 이동부재(4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재(44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410)는 상기 수직이동관(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몸체(411)와, 몸체(411)의 하단에 형성된 수직보스(412)들과, 몸체(411) 일측에 형성되어 상부는 수직이동관(200)과 연통되는 결합홈(413)으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411)는 개방상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개방상부는 수직이동관(200)의 결합용 플랜지(201)에 끼워져 스크류 결합된다.
몸체(411)의 하단에는 삽입관(100)으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삽입부(415)가 형성된다. 이 탄성삽입부(415)는 하단에 외측으로 갈수록 돌출량이 감소되게 경사진 돌기(415a)를 가진다. 이 돌기(415a)는 고정부재(410)이 삽입관(100)으로 삽입될 때, 삽입관(100)의 내측면에 의해 눌리면서 몸체(41) 내측으로 함몰됨으로써 고정부재(410)를 삽입관(100)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결합홈(413)의 중앙에는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수용홈(413a)이 형성된다. 이 수용홈(413a)의 내측으로 탄성부재(414)와 걸림편(430)이 차례로 수용된다. 상기 걸림편(430)은 이동부재(420)의 상승시 탄성부재(414)를 압축시키면서 수용홈(413a)의 내측으로 인입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413)에는 수용홈(413a)의 상하 양측으로 지지돌기(413b)가 각각 인접하여 형성된다. 이 지지돌기(413b)들은 상기 걸림편(430)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걸림편(430)의 상하단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413)의 상부는 고정부재(410)의 몸체(411) 상부와 연통된다.
상기 이동부재(420)는 고정부재(410)의 보스(412)에 끼워지는 몸체(421)와, 이 몸체(421)의 상단 일측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410)의 결합홈(413)에 끼워져 작동레버(300)와 연결되는 견인부(422)를 가진다. 상기 견인부(422)의 중앙에는 수직방향의 장공(422a)이 형성되어 수용홈(413a)에 끼워진 걸림편(430) 및 고정부재(410)의 결합홈(413)에 형성된 지지돌기(413b)들과 간섭되지 않고 승강 이동할 수 있다.
견인부(422)의 양측벽은 내측에 위치되는 걸림편(430)의 양면에 밀착되게 형성되며, 걸림편(430)의 수평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홈(423)을 가진다. 상기 걸림편(430)의 전후면에는 상기 안내홈(423)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형성된 돌출면(431)을 갖는다.
상기 안내홈(423)은 양측벽의 바깥쪽을 향해 수렴된 빗면을 가진 삼각형상으로서, 이 안내홈(423)의 내측에 수용되는 걸림편(430)은 견인부(422)가 승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에 밀려 수평방향으로 연동된다. 이에 따라, 걸림편(430)은 고정부재(410)의 외측으로 출몰되며, 이 과정에서 삽입관(100)의 결합공(101)과의 걸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재(420)의 상부에는 고정부재(410)의 수직보스(412)와 결합되는 소정의 홈들이 형성되고 상기 홈들에 끼워져 수직보스(412)의 외측으로 끼워져 이동부재(420)의 상승시 압축됨으로써 하강하는 이동부재(42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탄반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24)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420)의 하부에는 보스(412)의 하단에 고정되는 스크류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되어 고정부재(410)와 함께 삽입관(100) 내로 삽입됨으로써 이동부재(4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재(44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440)는 하부를 향해 확장되게 테이퍼진 형상을 가진다. 상기 이동부재(420)의 하단으로는 상기 이동부재(420)가 고정부재(41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이동부재(420)의 하강시 지지부재(440)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하향플랜지(4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향플랜지(421)의 단부는 고정부재(410)의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상부를 향하여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대되는 단턱(421a)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이동관(200)의 내측에는 작동레버(300)와 결합된 연결편(210)과, 양단이 각각 연결편(210)의 하부와 이동부재(420)의 견인부(422)에 연결되어 연결편(210)의 회전과 함께 이동부재(420)를 상승시키도록 견인하는 작동와이어(220)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연결편(210) 하부와 견인부(422) 상부에는 각각 작동와이어(220)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공(211,425)이 형성되며, 작동와이어(220)의 단부는 작동 중 상기 걸림공(211,425)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적절히 절곡된다.
한편, 본 고안은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시 수직이동관(200)의 급작스런 낙하로 인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수직이동관(200)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수단(400)의 지지부재(440)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수직관(500)과, 상기 수직관(5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직관(500)의 하단으로 노출되는 탄성부재(510)와, 상기 탄성부재(510)의 하단으로부터 끼워져 수직프레임(F)의 내측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탄성부재(510)가 압축될 때 탄성부재(510)의 좌굴을 방지하는 지지봉(52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관(500)은 반드시 수직이동관(200)에 고정되지 않고 걸림부재의 일측에 고정되어도 무방하며, 이때 수직관(500)의 내측에 위치되는 탄성부재(510) 역시 수직이동관(200)이나 걸림부재(400)의 일측에 상단이 지지되기만 하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볼트가 상기 수직관(500)의 일측을 통과하여 수직이동관(500)에 체결된 것을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작동레버(300)를 일측으로 회동시키면 수직이동관(200)의 내측에 설치된 연결편(210)이 작동레버(300)의 끼움부(310)를 따라 회전하면서 끼움부(310)에 연결된 작동와이어(220)를 상부로 끌어올린다.
상기 작동와이어(220)는 상부로 끌려 올라가면서 작동와이어(220) 하단에 연결된 견인부(422)를 상승시키게 되고, 견인부(422)의 상승됨에 의하여 상기 견인부(422)를 포함한 이동부재(420) 전체가 고정부재(410) 하단의 보스(412)들을 따라 상기 보스(412)에 설치된 탄성부재(424)를 압축시키면서 상승한다.
이와 동시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430)은 수용홈(413a) 내에서 걸림편(430)의 하부를 지지하고 있던 탄성부재(414)를 압축시키면서 견인부(422)의 내벽면에 형성된 안내홈(423)의 빗면을 따라 이 수용홈(413a) 내측으로 인입된다.
걸림편(430)이 수용홈(413a) 내측으로 인입되면, 걸림편(430)과 삽입관(100)의 결합공(101)과의 걸림상태는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지지부재(440)의 외측면에 밀착되었던 이동부재(420)의 하향플랜지(421)가 지지부재(440)의 외측면으로부터 이탈되면서 삽입관(100) 내측면으로부터 압착된 상태도 해제된다. 이에 따라, 본 높낮이 조절장치는 삽입관(100) 내에서 수직으로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 상태하에서는 사용자가 삽입관(100)의 결합공(101)에 걸림편(43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수직이동관(200)을 잡고 삽입관(100)으로의 삽입정도를 달리하면서 자신이 원하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책걸상의 높이가 셋팅한 사용자가 작동레버(300)에 인가되고 있는 조작력을 제거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410)의 하부에 압축된 탄성부재(4240)의 탄반력에 의하여 작동와이어(220)가 원래위치로 복귀하면서 이동부재(420)가 하강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420)가 하강되면 이동부재(420)의 견인부(422) 또한 하강되면서 수용홈(413a)에 인입되었던 걸림편(430)이 견인부(422)의 안내홈(423) 경사면을 따라 삽입관(100)의 결합공(101)측으로 수평으로 이동되어 삽입관(100)의 결합공(101)에 걸림으로써 책걸상의 높이가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413a)의 양측에 형성된 지지돌기(413b)들은 상기 걸림편(430)의 상하단을 지지하여 결합공(101)과 수용홈(413a)으로 원활하게 수평이동되도록 안내하며, 작동레버(300)는 하강하는 견인부(422)와 연결된 작동와이어(220)를 따라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한편, 수직프레임(F)의 내측으로 수직관(500)과, 상기 수직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직관의 하단으로 노출되는 탄성부재(510)와, 상기 탄성부재(510)의 하단으로부터 끼워져 수직프레임(F)의 내측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봉(520)이 더 구비된 경우, 상기 수직이동관(200)의 급작스런 낙하로 인해 수직프레임의 바닥과 충돌함으로써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책걸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책걸상 상부의 하중으로 인해 수직이동관(200)이 급작스럽게 하강될 경우, 수직관(500) 내측의 탄성부재(510)가 수직프레임(F)의 바닥에 지지된 상태에서 수축되면서 수직이동관(200)이 수직프레임(F)의 바닥과 충돌하지 않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때, 지지봉(520)은 탄성부재(510)의 내측에서 수축 및 이완되는 탄성부재(510)가 좌굴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에 의하면, 결합공이 형성된 삽입관을 수직프레임에 미리 삽입하고 상기 삽입관의 내측에상기 결합공과의 걸림이 작동레버의 회동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 걸림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손잡이를 잡아당겨 작동시키는 종래의 방법에 비하여 큰 조작력이 요구되지 않아 간편하게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걸림수단이 책걸상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외력에 의한 손상이 방지되고 통행중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삽입관이 수직프레임에 밀착 삽입되고 이 삽입관의 내측면에 이동부재 및 지지부재가 긴밀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수직프레임과의 유동이 발생되지 않아 종래와 같이 유동부위의 마찰로 인한 수직프레임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결합공이 형성된 삽입관이 삽입되므로 종래와 같이 수직프레임에 높낮이 조절용 결합공과 같은 별도의 가공이 요구되지 않아 기존의 책걸상에 적용하기가 매우 용이하며, 상기 결합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저하되거나 결합공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 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조작부 분해사시도.
도 5a 및 5b는 각각 도 2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걸림편이 삽입관의 결합공과의 걸림이 해제 및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a 및 6b는 각각 본 고안을 구성하는 이동부재의 승하강시 견인부에 형성된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편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삽입관 101...결합공
200...수직이동관 210...연결편
220...작동와이어 300...작동레버
400...걸림수단 411...몸체
412...보스 413...결합홈
410...고정부재 420...이동부재
421...하향플랜지 422...견인부
430...걸림편 440...지지부재
500...수직관 510...탄성부재
520...지지봉 F...수직프레임

Claims (5)

  1. 책걸상을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수직프레임의 내측에 삽입되며 수직방향으로 높낮이 조절용 결합공들이 형성된 삽입관;
    상기 삽입관의 상부로 삽입되며 책걸상의 상부와 결합된 채 승강하면서 책걸상의 높이를 가변시키는 수직이동관;
    상기 수직이동관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관통설치되는 작동레버; 및
    상기 수직이동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관에 밀착되게 삽입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회동 방향에 따라 삽입관의 결합공들과의 걸림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수직이동관의 승강을 제한하는 걸림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수직이동관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를 통해 작동레버와 연결되며 작동레버의 회동방향에 따라 고정부재의 하부에서 일정구간 승하강을 반복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승하강시 고정부재의 내측에서 일정구간을 왕복이동하면서 삽입관의 결합공과의 걸림 및 해제를 반복하는 걸림편; 및
    고정부재의 하단에 고정되어 이동부재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관의 내측에는 작동레버와 결합된 연결편과, 양단이 각각 연결편의 하부와 이동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편의 회전을 통해 이동부재를 상승시키도록 견인하는 작동와이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이동부재가 삽입관의 내측면에 밀착 고정되도록 하부를 향해 확장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하단에는 이동부재의 하강시 상기 지지부재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하향플랜지가 형성되되, 상기 하향플랜지의 단부는 삽입관의 내측면에 압착되도록 상부를 향하여 그 두께가 점진적으로 증대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시 수직이동관의 급작스런 낙하로 인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수직이동관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수단의 지지부재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수직관과, 상기 수직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직관의 하단으로 노출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의 하단으로부터 끼워져 수직프레임의 내측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가 압축될 때 탄성부재의 좌굴을 방지하는 지지봉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20-2005-0002109U 2005-01-24 2005-01-24 책걸상용 높낮이조절장치 KR2003819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109U KR200381980Y1 (ko) 2005-01-24 2005-01-24 책걸상용 높낮이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109U KR200381980Y1 (ko) 2005-01-24 2005-01-24 책걸상용 높낮이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1980Y1 true KR200381980Y1 (ko) 2005-04-15

Family

ID=4368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109U KR200381980Y1 (ko) 2005-01-24 2005-01-24 책걸상용 높낮이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19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392B1 (ko) 2005-11-14 2007-07-20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걸상 높낮이 조절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8392B1 (ko) 2005-11-14 2007-07-20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걸상 높낮이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32688B (zh) 用于安装在两个基本平行的表面之间的张力安装杆
KR100572392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KR20090032431A (ko) 차량용 손잡이 높이조절장치
CN206102140U (zh) 一种新型头枕
KR200381980Y1 (ko) 책걸상용 높낮이조절장치
EP2390447B1 (en) Bracket with front coupling for carriages of sliding wings or doors
KR100563441B1 (ko) 책걸상용 높낮이 조절장치
CN210715436U (zh) 一种连接件及应用该连接件的休闲床
CN109276067B (zh) 一种座椅扶手高度调节结构
KR101235354B1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커튼행거
CN106669102B (zh) 可无段调整的支架组
JP2002054369A (ja) 巻上ブラインド装置
KR102168844B1 (ko) 의자 등받이의 높이 조절 장치
CN112716201B (zh) 餐盘组件与扶手的装配结构及儿童餐椅
CN213154918U (zh) 一种座深调节机构及其座椅
US20120186375A1 (en) Manual Height Adjustable Assembly For A Crib
CN219125641U (zh) 一种家具升降器
CN220631617U (zh) 一种自动填充调节的靠背椅
CN221356523U (zh) 一种遮阳帘滑块结构
CN215105751U (zh) 花洒固定装置
KR102525338B1 (ko)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CN219877792U (zh) 一种扶手安装结构
KR101130506B1 (ko) 좌판의 높낮이가 조절 가능한 좌식의자
CN214016784U (zh) 挂墙座椅靠背
CN213016162U (zh) 一种可移动式爬梯及应用有该爬梯的组合营具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