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432Y1 -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 Google Patents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432Y1
KR200379432Y1 KR20-2004-0036993U KR20040036993U KR200379432Y1 KR 200379432 Y1 KR200379432 Y1 KR 200379432Y1 KR 20040036993 U KR20040036993 U KR 20040036993U KR 200379432 Y1 KR200379432 Y1 KR 200379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wire
outer conductor
conductor
insulator
igni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9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미애
Original Assignee
송미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미애 filed Critical 송미애
Priority to KR20-2004-00369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025Other 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2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natural or synthetic rub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08Cables with several layers of insulat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1875Multi-layer sheath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18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wear,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Sheaths; Armouring
    • H01B7/24Devices affording localised protection against mechanical force or pressure

Abstract

본 고안은 심선의 외부도체가 이중 압출 성형되어 케이블 커팅시 외부도체에 가해지는 손상에 의해 외부도체가 단선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심선에 대한 절연체의 그립성이 향상되어 커팅부위에서 절연체가 밀려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점화플러그에 고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심선(40)과, 이 심선(40)의 외주면에 피복되는 절연체(50)와, 이 절연체(50) 외부에 피복되는 외피(60)로 구성되는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심선(40)은 내부도체(42)와, 이 내부도체(42) 외주면에 도전성 카본이 포함된 수지재가 압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제1 외부도체(44)와, 이 제1 외부도체(44)의 외주면에 도전성 실리콘이 압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제2 외부도체(46)로 구성되어, 케이블 커팅시 제2 외부도체(46)가 부분적으로 손상되어도 심선(40)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Ignition cable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심선이 쉽게 단선되지 않으며, 절연체와 심선간 그립성이 매우 양호한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은 점화코일에서 발생되는 대략 20,000V의 고전압 신호를 배전기와 점화플러그에 전달하는 수단이다. 종래 이그니션 케이블은 구리 등과 같이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선을 이용하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금속선은 매우 높은 고주파 노이즈를 발생시켜 차량의 전자제어장치(ECU)나 카오디오 등과 같은 전기제품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최근에는 고주파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고분자 전도성 물질을 이용하여 이그니션 케이블을 제조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이그니션 케이블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그니션 케이블은 크게 고주파 노이즈가 적은 도전체로 이루어진 심선(10)과, 이 심선(10)에 피복되는 절연체(20)와, 절연체(20) 외부에 피복되는 외피(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심선(10)은 탄소섬유, 유리섬유(glass fiber), 또는 아라미드섬유(aramid fiber)로 이루어진 내부도체(12)와, 이 내부도체(12) 외주면에 도전성 카본이 포함된 수지재를 압출 성형한 외부도체(14)로 구성된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 고주파 노이즈를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해, 외부도체(14) 표면에 흑연을 코팅하여 도전성 피막층(16)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절연체(20)와 외피(30) 사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사(22)가 개재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이그니션 케이블은 배전기나 점화플러그에 접속하기 위해 케이블 단부를 커팅할 때, 케이블의 직경이 정밀하지 않거나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종종 외부도체(14)의 표면에 손상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외부도체(14)가 손상되면,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해 휘거나 구부리는 과정에서, 외부도체(14)의 손상 부위가 깊어지거나 외부도체(14)가 단선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점화플러그에 강력한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고전류가 인가되지 못하게 되어, 엔진의 기동력이 저하되거나 시동이 걸리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종래 이그니션 케이블은 외피(30)와 절연체(20)를 벗겨낸 후, 심선(10)을 단자에 접속시키는 과정에서, 케이블의 길이가 짧은 경우 절연체(20)가 심선(10)에서 슬립되어 외부도체(14)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도체(14)가 노출되면 케이블의 절연이 파괴되어, 누전 또는 점화불량 등의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이그니션 케이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심선의 외부도체를 이중으로 압출성형하여 외부도체의 단선에 기인한 점화플러그의 점화불량을 방지하며, 절연체와 심선간 그립성을 향상시켜 케이블이 짧은 경우에도 절연체가 심선에서 슬립되지 않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점화플러그에 고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심선(40)과, 이 심선(40)의 외주면에 피복되는 절연체(50)와, 이 절연체(50) 외부에 피복되는 외피(60)로 구성되는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심선(40)은 내부도체(42)와, 이 내부도체(42) 외주면에 도전성 카본이 포함된 수지재가 압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제1 외부도체(44)와, 이 제1 외부도체(44)의 외주면에 도전성 실리콘이 압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제2 외부도체(46)로 구성되어, 케이블 커팅시 제2 외부도체(46)가 부분적으로 손상되어도 심선(40)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외부도체(46)의 표면에 고주파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해 흑연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도전성 피막층(4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연체(50)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그니션 케이블의 단부를 절결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은 통상 심선(40)과, 절연체(50)와, 외피(60)로 구성되는 이그니션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심선(40)이 내부도체(42)와, 이 내부도체(42)의 외주면에 1차 압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제1 외부도체(44)와, 이 제1 외부도체(44)의 외주면에 2차 압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제2 외부도체(46)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도체(42)는 통상의 이그니션 케이블에서와 마찬가지로, 고주파 노이즈가 적은 탄소섬유, 유리섬유, 또는 아라미드섬유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외부도체(44)는 도전성 카본이 포함된 수지재로 성형되며, 상기 제2 외부도체(46)는 도전성 실리콘으로 성형된다. 이와 같이, 심선(40)의 외부도체가 제1 외부도체(44)와 제2 외부도체(46)로 이중 압출 성형됨으로써, 케이블 커팅시 제2 외부도체(46)의 표면에 부분적인 손상이 발생되어도, 케이블을 휘거나 구부리는 과정에서 제2 외부도체(46)의 손상이 이종재질인 제1 외부도체(44)로 확대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도체 전체가 단선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심선(4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노이즈를 보다 확실하게 제거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외부도체(46)의 표면에는 흑연을 코팅하여 도전성 피막층(48)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50)는 심선(40)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비전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계에 제 3성분으로 디엔성분을 공중합시킨 EPDM으로 형성된다. EPDM은 내전압 및 내열성이 우수한 점 이외에도 높은 그립성을 갖는다. 따라서, 심선(40)에 대한 그립성이 매우 좋아, 케이블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에도 절연체(50)가 제2 외부도체(46)에 대해 밀려나지 않게 된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체(50)와 외피(60) 사이에는 케이블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사(52)가 개재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심선(40)의 외부도체가 제1 외부도체(44)와 제2 외부도체(46)가 이중 압출 성형되어 형성됨으로써, 케이블 커팅시 제2 외부도체(46)의 표면에 부분적인 손상이 가해져도 이 손상이 제1 외부도체(44)로 확대되지 않아 외부도체 전체가 단선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점화플러그에 안정적으로 고전류를 인가하여 강력한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절연체(50)가 그립성이 양호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케이블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도 절연체(50)가 심선(40)에 대해 밀려나지 않으므로, 커팅부위에서 절연파괴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이그니션 케이블의 단부를 절결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그니션 케이블의 단부를 절결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횡방향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심선 42. 내부도체
44. 제1 외부도체 46. 제2 외부도체
48. 도전성 피막층 50. 절연체
60. 외피

Claims (3)

  1. 점화플러그에 고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심선(40)과, 이 심선(40)의 외주면에 피복되는 절연체(50)와, 이 절연체(50) 외부에 피복되는 외피(60)로 구성되는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에 있어서, 상기 심선(40)은 내부도체(42)와, 이 내부도체(42) 외주면에 도전성 카본이 포함된 수지재가 압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제1 외부도체(44)와, 이 제1 외부도체(44)의 외주면에 도전성 실리콘이 압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제2 외부도체(46)로 구성되어, 케이블 커팅시 제2 외부도체(46)가 부분적으로 손상되어도 심선(40)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외부도체(46)의 표면에 고주파 노이즈를 흡수하기 위해 흑연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도전성 피막층(4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50)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KR20-2004-0036993U 2004-12-28 2004-12-28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KR200379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93U KR200379432Y1 (ko) 2004-12-28 2004-12-28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993U KR200379432Y1 (ko) 2004-12-28 2004-12-28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488A Division KR100568498B1 (ko) 2004-12-28 2004-12-28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432Y1 true KR200379432Y1 (ko) 2005-03-21

Family

ID=4368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993U KR200379432Y1 (ko) 2004-12-28 2004-12-28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43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4385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strain relief clamp
CN1744391A (zh) 同轴连接器
JP5454187B2 (ja) ケーブル固定方法及びケーブル接続部
JP2008517577A (ja) 幾何学的な応力緩和要素を高電圧ケーブル終端部に付与する方法
US6781061B2 (en) Flat shield cable
US20180076609A1 (en) Cold Shrinkable Cable Terminal, Cold Shrinkable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Terminating Cable
US20160137146A1 (en) Shielded wire and wire harness
KR200379432Y1 (ko)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KR100568498B1 (ko) 자동차 이그니션 케이블
US20070049112A1 (en) Coaxial cab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EP0696033B1 (en) Winding-type noise-suppressing high-tension resistive cord
JP2003045240A (ja) シールドフラット電線
JP4609821B2 (ja) 電力ケーブル接続部
JP6628245B2 (ja) アルミニウム導体ケーブルの端末接続部
JP2019193515A (ja) ケーブル接続部
KR20110001138U (ko) 자동차용 이그니션 케이블
JP5238016B2 (ja) 接続母線
WO2015030012A1 (ja) シールド電線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2005197068A (ja) シールド接続構造
KR102053271B1 (ko) 고전압 케이블의 차폐접지부 및 그 제조방법
JP6880536B2 (ja) 電力ケーブルの端末構造
US4047783A (en)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
KR20090104367A (ko) 자동차용 점화 니크롬선 케이블
JPH09224325A (ja) 電力ケーブル接続部
JPH11289650A (ja) 電力ケーブル端末部のゴムモールド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2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