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172Y1 - 자동차용 조명등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172Y1
KR200379172Y1 KR20-2004-0028275U KR20040028275U KR200379172Y1 KR 200379172 Y1 KR200379172 Y1 KR 200379172Y1 KR 20040028275 U KR20040028275 U KR 20040028275U KR 200379172 Y1 KR200379172 Y1 KR 2003791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eam filament
glass bulb
low
low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2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규
Original Assignee
한국쓰리엘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쓰리엘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쓰리엘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82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1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1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60Q1/1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having dimm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시 등 내부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한편, 직접광과 반사광을 함께 착색하여 미적 효과를 향상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조명등은 투명한 유리 벌브 내에 로우 빔 필라멘트와 하이 빔 필라멘트를 가지며, 로우 빔 필라멘트의 하측에 쉐이드를 배치하고, 유리 벌브의 배부에 리플렉터를 갖고 있는 자동차용 조명등에 있어서, 10~30%의 광투과율을 갖는 내열 도료를 착색함으로서 이루어진 저투과광층을 유리 벌브 선단부에 형성함과 동시에 로우 빔 필라멘트의 외주에 위치된 유리 벌브에 50~90%의 광투과율을 갖는 내열 도료를 착색함으로서 이루어진 착색층을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조명등{Lamp for a vehicle}
본 고안은 개광시에 있어 등 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직접광과 반사광을 착색하는 자동차용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동차용 조명등은 로우 빔(20; low beam)일 때 황색과 담황색을 발광하면 광모 현상이 일어나기 어려우며, 반대 방향에서 주행하는 차에 주는 주의 효과가 높고 안전면에서도 유효하다는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하이 빔(21; high beam)에서는 백색광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먼 곳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도 널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목적의 자동차용 조명등에는 고휘도의 할로겐 전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램프 벌브(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벌브(14) 내의 전방에 로우 빔 필라멘트(15)가 설치되고 후방에는 하이 빔 필라멘트(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이 빔 필라멘트(16)는 램프 벌브(12)를 리플렉터(10)에 장착했을 경우, 초점 위치에 맞아 리플렉터(10)에서의 반사광이 하이 빔(21)으로 된다. 또한, 로우 빔 필라멘트(15) 하측에는 쉐이드(17; shade)가 장착되어 리플렉터(10)에서의 상향의 반사광을 차광하며, 로우 빔 필라멘트(15)의 상향의 광만이 유리 벌브(14)를 투과하여 리플렉터(10)에서 반사광이 로우 빔(20)으로 된다.
유리 벌브(14)의 선단부에는 선단 흑색부(18)의 도막이 설치되어 있다. 이 선단 흑색부(18)를 설치하는 것은 로우 빔 필라멘트(15)와 하이 빔 필라멘트(16)에서 발사되는 광선 중에서 전방에서의 직접 광을 완전히 차단하고 반대 방향의 차와 선행하는 차의 운전자의 시각에 들어가는 것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한다.
또한, 1개의 유리 벌브 내에 하이 빔 필라멘트와 로우 빔 필라멘트를 전후에 배치하고, 로우 빔 필라멘트의 유리 벌브의 외주만을 착색함과 동시에 하이 빔 필라멘트와 로우 빔 필라멘트 사이에 차광 부재를 개재한 것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우 빔 필라멘트(15)와 하이 빔 필라멘트(16)에서 전방으로 발사되는 직사광을 완전히 차단하기 위해 선단 흑색부(18)를 설치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선단 흑색부(18)에서 100% 차광하는 것으로서 차광에 의한 빛 에너지가 여로 변환된다. 선단 흑색부(18)는 일반적으로 내열성이 있는 유기물 도료로 만들어지나, 그 재질 특성에 의하여 외기중의 수분을 흡수하고, 그것이 점등 직후에 발생된 열에 의하여 도료 중에 포함된 휘발성 가스와 함께 증발하여 발연(發煙) 상태를 일으킨다. 그 결과 등 안을 뿌옇게 하여 조도 부족으로 되거나 도료의 열화를 일으킨다.
또한, 로우 빔 필라멘트의 광선중, 직접 광은 완전히 차단되어 리플렉터로의 반사광만이 착색되므로 광선이 단일색으로 되어 미적 효과가 떨어진다.
본 고안은 발광시의 등 내에 있어서 온도 상승을 억제함과 동시에 직접광과 반사광을 함께 착색하여 미적 효과를 향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투명한 유리 벌브 내의 전후에 로우 빔 필라멘트와 하이 빔 필라멘트를 가지며, 로우 빔 필라멘트의 하측에 쉐이드를 배치하고, 유리 벌브의 배부에 리플렉터를 갖고 있는 자동차용 조명등에 있어서, 유리 벌브의 선단부에 10~30%의 광투과율을 갖는 내열 도료를 착색함으로서 이루어진 저투과광층을 형성함과 동시에 로우 빔 필라멘트의 외주에 위치된 유리 벌브에 50~90%의 광투과율을 갖는 내열 도료를 착색함으로서 이루어진 착색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리플렉터(10)의 전면에는 렌즈(11)가 기밀 상태로 고착되어 있고, 또한 리플렉터(11)의 중심에는 램프 벌브(12)가 취부되어 있다.
램프 벌브(12)는 금구(13)와 유리 벌브(14)로 이루어지고, 유리 벌브(14)의 내부 전방에는 로우 빔 필라멘트(15)가 설치되며, 후방에는 하이 빔 필라멘트(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이 빔 필라멘트(16)는 램프 벌브(12)를 리플렉터(10)에 취부한 초점 위치에 있어 리플렉터(10)에서의 반사광이 하이 빔(21)으로 된다. 또한, 로우 빔 필라멘트(15)의 하측에는 쉐이드(17)가 장착되어 있어 로우 빔 필라멘트(15)의 윗 방향의 광만이 유리 벌브(14)를 투과하여 리플렉터(10)에서의 반사광이 로우 빔(20)으로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조명등의 램프 벌브(12)에 있어, 본 고안에서는 유리 벌브(14)의 선단부에 저투과광층(24)을 형성한다. 이 저투과광층(24)은 10~ 30%의 광투과율을 가지며, 착색된 내열 도료를 도포, 증착하는 방법으로 형성한 것으로서, 청, 녹, 황, 오렌지의 색으로 적절하게 선택된다.
이러한 유리 벌브(14)의 선단부에 저투과광층(24)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로우 빔 필라멘트(15)와 하이 빔 필라멘트(16)에서 전방으로 발사되는 광선중 10~30%만이 저투과광층(24)을 투과하여 착색된 투과직접광(26)으로 되므로, 먼저 반대 방향의 차와 선행하는 차의 운전자의 눈부심의 시각 장애를 방지하는 목적을 달성하면서 차광율이 종래와 비교하여 낮게 나오므로 광 에너지가 열 에너지로 변환되는 비율이 비교적 작게되어 등의 내부 온도 상승을 억제하고 발연 상태를 일으켜 등 내를 뿌옇게 하여 조명 부족이 되거나 열화를 초래하는 경우를 해소하는 게 가능하다.
이 로우 빔 중에서, 리플렉터(10)를 향해 발사된 광선(20a, 20b, 20c)은 리플렉터(10)에서 반사되어 로우 빔(20)으로서 출력된다. 동일한 형태로, 하이 빔 중에서 리플렉터(10)를 향해 발사된 광선(21a, 21b, 21c)은 리플렉터(10)에서 반사되어 하이 빔(21)으로서 출력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유리 벌브(14)의 선부에 저투과광층(24)을 형성하고, 로우 빔 필라멘트(15)의 외주에 위치한 착색층(25)을 형성한 것이다. 저투과광층(24)은 실시예 1과 같이 10~30%의 광투과율을 갖는 내열 도료를 도포, 증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한 것이지만, 착색층(25)은 50~90%의 광투과율을 갖는 내열 도료를 도포, 증착하는 등의 방법으로 형성한 것이다. 저투과광층(24)과 착색층(25)은 청, 녹, 황, 오렌지의 색으로 적절하게 선택된다. 저투과광층(24)과 착색층(25)의 색상은 동일 계통이나 다른 색이라도 문제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유리 벌브(14)의 선단부에 저투과광층(24)을 설치하는 것으로 로우 빔 필라멘트(15) 또는 하이 빔 필라멘트(16)로부터의 광선 중에서 저투과광층(24)을 10~30%만이 통과하여 반대 방향 차와 선행 차에 착색된다. 따라서, 빛 에너지가 열로 변환되는 비율이 작아져 등 내부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고 발연 상태를 일으켜 등 내를 뿌옇게 하여 조도 부족으로 되거나 도료의 열화를 초래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로우 빔 필라멘트(16)에서 리플렉터(10)를 향하여 발사된 광선(20d, 20e)은 착색층(25)을 통과할 때 착색되고 리플렉터(10)에서 반사되어 로우 빔(20)으로 출력된다. 따라서, 로우 빔의 직접광과 반사광을 함께 착색하기 때문에 반대 방향의 차 또는 선행하는 차에 다른 차와의 차이를 인식시키는 것이 가능한 등, 이 등을 장착한 차량의 특이성을 주장할 수 있고, 미적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하이 빔 중에서 리플렉터(10)를 향해 발사된 광선(21a, 21b, 21c)은 도 1과 같이 리플렉터(10)에서 반사되는 하이 빔(21)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하이 빔은 저투과광층(24)을 10~30%만이 직접광으로서 통과되어 반대 방향 차 또는 선행하는 차에 착색되어 빛 에너지가 열로 변환되는 비율이 작아져 등 내부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고 발연 상태를 일으켜 등 내를 뿌옇게 하여 조도 부족으로 되거나 도료의 열화를 초래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하이 빔 중에서 가운데 리플렉터(10)를 향하여 발사된 광선은 착색되지 않고 리플렉터(10)에서 반사되는 로우 빔으로서 출력됨으로서 백색광 출력시 보다 원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저투과광층(24)과 착색층(25)은 수 ㎛ 두께의 TiO2 증착막과 수 ㎛ 두께의 SiO2 증착막을 교호로 10층 또는 수십 층 형성하거나, 내열성의 도료를 도포함으로서 특정 색의 광만을 투과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유리 벌브의 선단부에 저투과광층을 설치하는 것으로 로우 빔 필라멘트 또는 하이 빔 필라멘트으로부터의 광선 중에서 저투과광층을 10~ 30%만이 통과하여 반대 방향 차와 선행 차에 착색된다. 따라서, 빛 에너지가 열로 변환되는 비율이 작아져 등 내부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고 발연 상태를 일으켜 등 내를 뿌옇게 하여 조도 부족으로 되거나 도료의 열화를 초래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고안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조명등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조명등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자동차용 조명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로우 빔과 하이 빔의 설명도.

Claims (4)

  1. 투명한 유리 벌브 내의 전후에 로우 빔 필라멘트와 하이 빔 필라멘트를 가지며, 로우 빔 필라멘트의 하측에 쉐이드가 배치되고, 유리 벌브의 배부에는 리플렉터를 갖는 자동차용 조명등에 있어서,
    유리 벌브의 선단부에는 착색된 내열 도료로 이루어진, 소정의 광투과율을 갖는 저투과광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등.
  2. 제 1 항에 있어서, 로우 빔 필라멘트의 외주에 위치된 유리 벌브에는 착색된 내열 도료로 이루어진, 소정의 광투과율을 갖는 착색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조명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투과광층의 광투과율은 10 내지 30%인 자동차용 조명등.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층의 광투광율은 50 내지 90%인 자동차용 조명등.
KR20-2004-0028275U 2004-10-06 2004-10-06 자동차용 조명등 KR200379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275U KR200379172Y1 (ko) 2004-10-06 2004-10-06 자동차용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275U KR200379172Y1 (ko) 2004-10-06 2004-10-06 자동차용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172Y1 true KR200379172Y1 (ko) 2005-03-17

Family

ID=4368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275U KR200379172Y1 (ko) 2004-10-06 2004-10-06 자동차용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1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65539B (zh) 车辆用前照灯
US9915403B2 (en) Vehicle lamp
JP6101680B2 (ja) 車両用灯具
JP4484275B2 (ja) 白熱電球
ITTO950640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per autoveicoli.
EP1763690A1 (en) Light system for a vehicle headlight unit
CN102217030B (zh)
KR200379172Y1 (ko) 자동차용 조명등
JP2006517328A (ja) 色温度の均一性改善のための遮光機構と干渉コーティングとを伴うランプおよび照明ユニット
JP3103397U (ja) 自動車用照明灯
JP6177228B2 (ja) 車両用灯具
CN209991399U (zh) 一种汽车照明灯结构
KR102555372B1 (ko) 차량용 램프
JP2014175231A (ja) 車両用灯具
KR101329275B1 (ko) 전기 램프
KR101735637B1 (ko) 차량용 램프
KR101937977B1 (ko) 차량용 램프
KR102065050B1 (ko) 차량용 램프
JP4618526B2 (ja) 自動車用前照灯
JPS635129Y2 (ko)
JP5324791B2 (ja) 車両用前照灯
JPH0425767Y2 (ko)
TW201641878A (zh) 車輛、燈具系統及其燈具裝置
JPH0447842Y2 (ko)
JPH06163010A (ja) 自動車用照明灯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