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156Y1 -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 Google Patents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156Y1
KR200379156Y1 KR20-2005-0000117U KR20050000117U KR200379156Y1 KR 200379156 Y1 KR200379156 Y1 KR 200379156Y1 KR 20050000117 U KR20050000117 U KR 20050000117U KR 200379156 Y1 KR200379156 Y1 KR 2003791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keyboard
keys
comput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01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민수
이은균
Original Assignee
한민수
이은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민수, 이은균 filed Critical 한민수
Priority to KR20-2005-00001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1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1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1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1Cordless key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손바닥에 두고 엄지 손가락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키보드는 12개의 한글/영문자 입력키 및 4개의 방향키를 포함한 키들이 배열되고 가로 폭이 5㎝가 넘지 않는 세로 자판 및 10개의 기능키,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키를 포함한 키들이 배열되고 가로 폭이 15㎝가 넘지 않는 가로 자판을 구비하고, 세로 자판 상단에 가로 자판 하단 중심부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T자형으로 구성된 자판부; 자판부의 키 눌림 및 떼임에 각각 대응하는 스캔 코드를 생성하는 스캔 코드 생성부; 및 스캔코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스캔 코드 신호를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컴퓨터 키보드를 사용자의 손 안에 두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키보드 설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엄지 손가락만으로 키 입력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채팅 또는 게임 프로그램을 수행하거나 인터넷 서핑을 할 때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Computer keyboard capable of key-inputting by only touching of user's thumb}
본 고안은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키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손바닥에 두고 엄지 손가락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컴퓨터 키보드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시스템이라 함은 1개 이상의 처리 장치와 주변 기기로 구성되며, 내부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 받고, 산술 연산이나 논리 연산과 같은 여러 종류의 실질적인 계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로서, 정보를 입력하여 그 정보를 정해진 과정대로 처리하고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기를 의미한다.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요소는 입력 장치, 출력 장치, 기억 장치, 연산 장치 및 제어 장치가 포함된다.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 장치로는 컴퓨터 키보드가 널리 사용된다.
컴퓨터 키보드는 컴퓨터 시스템의 일부분으로, 대략 가로 45㎝, 세로 15㎝ 정도의 판 위에 대략 100개 이상의 키(글쇠)들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열되어 있어서 키를 누르면 그에 대응한 신호를 컴퓨터 본체로 보내어 사용자가 컴퓨터 동작의 어떤 측면을 제어하거나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정보가 컴퓨터 키보드에서 컴퓨터 본체로 단방향으로만 전송되기 때문에 컴퓨터 키보드는 입력 전용 장치이다. 컴퓨터 키보드는 기능적으로 디스플레이와 더불어 완전한 입출력 장치를 구성한다.
종래 기술에 의한 컴퓨터 키보드는 대부분의 영문 타자기와 같이 쿼티(QWERTY)형으로 배열되어 있는 인쇄 가능한 표준 문자 세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컴퓨터 키보드의 제작 회사와 모델 또는 나라에 따라서 유럽 언어의 특수 문자, 한글과 한자 등 다양한 비표준 문자 또는 확장 문자 세트를 포함하고 있다. 대부분의 컴퓨터 키보드는 또한 키보드의 일정 영역에 계산기 모양의 숫자 키패드(numeric keypad)를 포함하고 있으며, 모든 키보드는 이들 문자 키 이외에 여러 가지 비문자 키를 포함하고 있다. 이들 비문자 키 중에서 컨트롤 키(Control key), 알트 키(Alt key), 시프트 키(Shift key) 등은 다른 어떤 키의 의미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 이스케이프 키(Escape key), 엔터 키(Enter key), 기능 키(Function key), 탭 키(Tab key) 등 다른 비문자 특수 키는 단독으로 또는 다른 키와 조합하여 누름으로써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하거나 화면상에서 텍스트 또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데 사용된다.
한편, 휴대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휴대폰 사용자들은 휴대폰에서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크기가 압축된 형태의 키패드를 이용하여 엄지 손가락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는데 익숙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데스크톱 컴퓨터나 노트북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 중에는 특히, 채팅, 게임 또는 인터넷 서핑을 하는 경우에 너무 큰 공간을 차지하는 종래의 컴퓨터 키보드를 불편하게 생각하는 사람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입력 장치로서 사용하면서 사용자의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엄지 손가락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는, 12개의 한글/영문자 입력키 및 4개의 방향키를 포함한 키들이 배열되고 가로 폭이 5㎝가 넘지 않는 세로 자판 및 10개의 기능키,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키를 포함한 키들이 배열되고 가로 폭이 15㎝가 넘지 않는 가로 자판을 구비하고, 상기 세로 자판 상단에 상기 가로 자판 하단 중심부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T자형으로 구성된 자판부; 상기 자판부의 키 눌림 및 떼임에 각각 대응하는 스캔 코드를 생성하는 스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스캔코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스캔 코드 신호를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엄지 손가락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컴퓨터 키보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의하면,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키보드(10)는 기능적으로 자판부(12), 스캔코드 생성부(14) 및 신호 전송부(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자판부(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자판(121) 상단에 가로 자판(122) 하단 중심부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T자형으로 구성된다.
세로 자판(121)은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들에 의해 감싸쥘 수 있도록 가로폭이 5㎝가 넘지 않도록 구현됨이 바람직하고, 그 위에는 기본적으로 12개의 한글/영문자 입력키(121a) 및 상하좌우 방향키(up key, down key, left key, right key)를 포함한 키들이 배열된다.
도 2에 의하면, 한글/영문자 입력키(121a)에서 제1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모음(ㅣ, ㅡ), 영문 입력을 위해 (A, B)가 배치되고, 제2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모음(ㅏ, ㅓ), 영문 입력을 위해 (C, D)가 배치되고, 제3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모음(ㅗ, ㅜ), 영문 입력을 위해 (E, F)가 배치되고, 제4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자음(ㄱ, ㅋ), 영문 입력을 위해 (G, H)가 배치되고, 제5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자음(ㄴ, ㄹ), 영문 입력을 위해 (I, J)가 배치되고, 제6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자음(ㄷ, ㅌ), 영문 입력을 위해 (K, L)이 배치되고, 제7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자음(ㅂ, ㅍ), 영문 입력을 위해 (M, N)이 배치되고, 제8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자음(ㅅ, ㅎ), 영문 입력을 위해 (O, P)가 배치되고, 제9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자음(ㅈ, ㅊ), 영문 입력을 위해 (Q, R)이 배치되고, 제10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모음(ㅑ, ㅕ), 영문 입력을 위해 (S, T)가 배치되고, 제11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자음(ㅇ, ㅁ), 영문 입력을 위해 (U, V, W)가 배치되고, 제12키에는 한글 입력을 위해 모음(ㅛ, ㅠ), 영문 입력을 위해 (X, Y, Z)가 배치된다.
한글/영문자 입력키(121a)의 각 키는 한글 입력 및 영문 입력을 위한 다수의 자소들이 배치되어 있는데, 키보드 디바이스 드라이버(24)는 한/영 키에 의해 한글 입력 모드와 영문 입력 모드를 구분하여 관리하고, 한글 입력 모드 또는 영문 입력 모드에서의 자소의 구분은 해당 키의 스캔 코드가 연속으로 입력되는 시간에 따라 구분할 수 있다. 즉, 영문 입력 모드에서 한글/영문자 입력키(121a)에서 제1키의 눌림 스캔 코드가 소정의 시간(예를 들어 0.5초)을 벗어난 시간 간격으로 연속하여 입력되면 'A'가 2번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 연속하여 입력되면 'B'가 1번 입력된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한글 입력 모드에서 한글/영문자 입력키(121a)에서 제4키의 눌림 스캔 코드가 소정의 시간을 벗어난 시간 간격으로 연속하여 입력되면 'ㄱ'이 2번 입력된 것으로 간주하고, 상기 소정의 시간 간격 이내에 연속하여 입력되면 'ㅋ'이 1번 입력된 것으로 간주한다.
12개의 키 위에 배치되는 한글 및 영문자는 컴퓨터(20)에 설치되는 키보드 디바이스 드라이버(24)가 채택하는 한글 오토메타 및 영문자 구성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세로 자판(121)에는 한글/영문자 입력키(121a) 및 상하좌우 방향키 이외에 문자 입력 및 추가적인 기능 지원을 위하여 이스케이프 키(ESC key), 홈/엔드 키(HOME/END key), 캡스록 키(CAPS LOCK key), 스페이스 키(SPACE key), 백스페이스 키(← key), 엔터 키(ENTER key), 한/영 키(Korean/English key), 인터넷 접속 키(www key) 등이 더 배열될 수 있다.
가로 자판(122)은 사용자가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으로 세로 자판(121)을 감싸쥔 상태에서 자판 위에 배치된 모든 키에 엄지 손가락이 도달할 수 있도록 가로 폭이 15㎝가 넘지 않게 구현됨이 바람직하고, 그 위에는 기본적으로 11개의 기능키(F1 키, F2 키, F3 키, F4 키, F5 키, F6 키, F7 키, F8 키, F9/F10 키, F11/F12 키, PRINT SCRN 키), 10개의 숫자/특수문자 입력키(1/! 키, 2/@ 키, 3/# 키, 4/$ 키, 5/% 키, 6/^ 키, 7/& 키, 8/* 키, 9/( 키, 0/) 키)를 포함한 키들이 배열된다. 전체적인 키의 숫자를 줄이기 위해 기능키 중에서 F9/F10 키와 F11/F12 키는 각각 하나의 키에 2개의 기능이 표시되는데, 각 기능의 구분은 해당 키의 스캔 코드가 연속으로 입력되는 시간에 따라 키보드 디바이스 드라이버(24)가 구분할 수 있다.
가로 자판(122)에는 기능키,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키 이외에, 시프트 키(SHIFT 키), 컨트롤 키(CTRL 키), 알트 키(ALT 키), 딜리트 키(DEL 키), 탭 키(TAB 키) 등의 특수 용도키와 특수문자 입력키(~/` 키, ,/< 키, ./> 키, ;/: 키, +/= 키, //? 키, "/\ 키) 등이 더 배열될 수 있다. 숫자/특수문자 입력키 및 특수문자 입력키에는 하나의 키에 2개의 숫자 또는 특수 문자가 표시되는데, 이들 숫자 또는 특수 문자의 구분은 해당 키의 스캔 코드가 입력될 때 시프트 키가 눌려져 있는지 여부에 따라 키보드 디바이스 드라이버(24)가 구분할 수 있다. 즉, 시프트 키, 컨트롤 키 또는 알트 키와 조합됨으로써 입력되는 문자 또는 기능의 경우, 시프트 키, 컨트롤 키 또는 알트 키의 스캔 코드가 입력된 후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어 1초) 이내에 대응하는 다른 키의 스캔 코드가 입력됨으로써 조합된 키 입력으로의 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판부(12) 상의 모든 키를 한 손의 엄지 손가락만으로 터치할 수 있다.
도 3은 사용자가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키보드(10)를 사용하는 양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스캔코드 생성부(14)는 자판부(12)의 키 눌림 및 떼임에 각각 대응하는 스캔 코드를 생성하고, 신호 전송부(16)는 스캔코드 생성부(14)에 의해 생성된 스캔 코드 신호를 컴퓨터(20)에 전송한다. 신호 전송부(16)는 컴퓨터 내의 신호 수신부(22)에 대응하는 것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컴퓨터 키보드에서의 스캔 코드 신호 전송 방식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전송부(16)와 신호 수신부(22)는 USB(Universal Serial Bus)와 같은 별도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신호 전송 방식에 있어서도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과 같은 무선 전송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20)의 신호 수신부(22)를 통해 입력된 스캔 코드 신호는 키보드 디바이스 드라이버(24)에 의해 문자 코드 또는 기능 코드로 해석되어 응용 프로그램(26)에 전달된다. 응용 프로그램(26)은 키보드 디바이스 드라이버(24)에 의해 해석된 문자 코드 또는 기능 코드를 입력 처리하여 필요한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키보드(10)에 컴퓨터 입력 수단 중 하나인 마우스 기능을 더 포함시켜 보다 함축적인 입력수단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고안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컴퓨터 키보드를 사용자의 손 안에 두고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키보드 설치 공간이 필요하지 않고, 엄지 손가락만으로 키 입력에 익숙한 사용자들이 채팅 또는 게임 프로그램을 수행하거나 인터넷 서핑을 할 때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키보드의 기능적 구성 및 컴퓨터 내에서 입력된 스캔 코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기능적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 키보드의 자판부에서의 키배치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사용자가 본 고안에 의한 컴퓨터 키보드(10)를 사용하는 양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컴퓨터 키보드 12 : 자판부
14 : 스캔코드 생성부 16 : 신호 전송부
20 : 컴퓨터 22 : 신호 수신부
24 : 키보드 디바이스 드라이버 16 : 응용 프로그램

Claims (5)

  1. 다수의 한글/영문자 입력키 및 다수의 방향키를 포함한 키들이 배열되고 가로 폭이 5㎝가 넘지 않는 세로 자판 및 다수의 기능키, 다수의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키를 포함한 키들이 배열되고 가로 폭이 15㎝가 넘지 않는 가로 자판을 구비하고, 상기 세로 자판 상단에 상기 가로 자판 하단 중심부가 일체형으로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T자형으로 구성된 자판부;
    상기 자판부의 키 눌림 및 떼임에 각각 대응하는 스캔 코드를 생성하는 스캔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스캔코드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스캔 코드 신호를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는 신호 전송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자판에는,
    이스케이프 키(ESC key), 홈/엔드 키(HOME/END key), 캡스록 키(CAPS LOCK key), 스페이스 키(SPACE key), 백스페이스 키(← key), 엔터 키(ENTER key), 한/영 키(Korean/English key), 인터넷 접속 키(www key) 등이 더 배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자판에는,
    시프트 키(SHIFT 키), 컨트롤 키(CTRL 키), 알트 키(ALT 키), 딜리트 키(DEL 키), 탭 키(TAB 키), 프린트 스크린 키(PRINT SCRN 키) 등의 특수 용도키와 특수문자 입력키 등이 더 배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USB 인터페이스에 의해 스캔 코드 신호를 컴퓨터 본체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전송부는,
    블루투스 방식을 적용하여 컴퓨터 본체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KR20-2005-0000117U 2005-01-04 2005-01-04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KR2003791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117U KR200379156Y1 (ko) 2005-01-04 2005-01-04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0117U KR200379156Y1 (ko) 2005-01-04 2005-01-04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0327A Division KR20060079922A (ko) 2005-01-04 2005-01-04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156Y1 true KR200379156Y1 (ko) 2005-03-18

Family

ID=43680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0117U KR200379156Y1 (ko) 2005-01-04 2005-01-04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1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gendran et al. Input Assistive Keyboard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Survey
US6789967B1 (en) Distal chording keyboard
Kölsch et al. Keyboards without keyboards: A survey of virtual keyboards
US7859830B2 (en) Mobile quick-keying device
SG125895A1 (en) Reduced keyboard system that emulates qwerty-type mapping and typing
WO2011033363A3 (en) A data entry device (ded)
US6142687A (en) One handed sequential alpha numerical keyboard
WO2000041062A3 (en) Text input system for ideographic and nonideographic languages
Oniszczak et al. A comparison of two input methods for keypads on mobile devices
JP2002222037A (ja) キー入力装置
KR20050048758A (ko) 터치스크린 또는 터치패드의 가상 버튼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1126734B1 (ko) 알파벳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379156Y1 (ko)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CN203950246U (zh) 具有键盘的平板电脑
KR20060079922A (ko) 엄지손가락 터치만으로 키입력이 가능한 컴퓨터 키보드
KR101637163B1 (ko) 문자입력장치
JP2008123114A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JP3899337B2 (ja) 文字入力システム、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3150299A (ja) 片手入力装置
KR20110002926U (ko)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JP5016087B2 (ja) キーボード
KR100709309B1 (ko) 한글 자음 입력장치
JP4922990B2 (ja) キー入力装置
KR20020078326A (ko) 다접점스위치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다접점스위치의문자배열방법
JP2001175391A (ja) 文字入力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