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345Y1 - street tree protection block - Google Patents

street tree protection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345Y1
KR200378345Y1 KR20-2004-0036392U KR20040036392U KR200378345Y1 KR 200378345 Y1 KR200378345 Y1 KR 200378345Y1 KR 20040036392 U KR20040036392 U KR 20040036392U KR 200378345 Y1 KR200378345 Y1 KR 200378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block
concrete
roadside
roadside protection
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39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태
Original Assignee
이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태 filed Critical 이상태
Priority to KR20-2004-0036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34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345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2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composed of a mixture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1C5/008, E01C5/02 - E01C5/20 except embedded reinforc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E01C9/005Coverings around trees forming part of the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0Paving elements having build-in shock absorbing devices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인도에 설치되는 가로수보호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콘크리트, 화강암 등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중심체에 우레탄을 부착하여 동해 또는 중성화 등 기타의 원인에 의한 콘크리트의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콘크리트가 충격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아니하고 보수 및 관리비용을 절감시키는 것과 함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가로수의 보호효과를 높이고 또한 그 중량을 감소시킴로서 재료절감 및 시공시에 양호한 작업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는 가로수보호블럭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adside protection block installed in India to protect roadside trees. It is composed of concrete, granite, etc., and the durability of concrete due to other causes such as the East Sea or neutralization is reduced by attaching urethane to the center body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Prevents the problem of concrete being easily broken by the impact, reduces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 without harming the aesthetics, facilitates identification, secures safety and increases the protection effect of roadside trees and its weight.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adside protection block having an effect of ensuring good workability at the time of material saving and construction by reducing the pressure.

Description

가로수보호블럭{street tree protection block}Street tree protection block

본 고안은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인도에 설치되는 가로수보호블럭에 대한 것으로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보행자에게 시각적으로 쉽게 인식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상의 안전성을 확보하며 한편 가로수의 보호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 위 가로수보호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roadside protection block installed in India to protect roadside trees. It prevents breakage by impact and makes it easy to be visually recognized by pedestrians, ensuring safety in walking and increasing the protection effect of roadside trees. It is about a protection block.

일반적으로 가로수를 보호하기 위하여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가로수보호블럭이 사용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가로수보호블럭에 있어서 번화가와 같이 보행자 및 이륜구동차 등의 통행이 많은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취성적 성질로 인하여 가로수보호블럭에 균열이 발생하거나 국부적으로 가로수보호블럭이 파손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In general, roadside protection blocks made of concrete are used to protect roadside trees. In the conventional roadside protection blocks, when there are many traffics such as pedestrians and two-wheeled vehicles such as downtown, cracks in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s due to the brittleness of concrete This occurs frequently or locally broken roadside protection block occurs.

이렇게 가로수보호블럭에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할 경우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이고 가로수에 대한 보호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므로 가로수보호블럭을 교체해야 하고 이러한 교체는 정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따라서 그 유지 및 보수에 있어서 막대한 비용의 지출이 초래되고 있다.If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cracks or breaks, it not only impairs the aesthetics of the city, but also prevents the roadside protection function. Therefore,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needs to be replaced. There is an enormous expenditure in the country.

한편 가로수보호블럭의 재료로서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가 사용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화강암이나 대리석이 사용되기도 한다. 화강암이나 대리석의 경우 콘크리트에 비해서 그 내구성이 탁월하다는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가격이 고가이기 때문에 그 사용은 매우 제한적이다.On the other hand, concrete is generally used for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and in some cases, granite or marble is used. Granite and marble have the advantage of superior durability compared to concrete, but their use is very limited due to the high price.

콘크리트는 다공질이기 때문에 수분을 흡수하고, 결빙점 이하의 온도에서는 흡수된 수분이 동결하게 되는데 이렇게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수가 동결하게 되면 체적이 약 9.1% 증대하기 때문에 팽창력이 발생하여 동결부의 주위에 응력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동결·융해의 반복은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저하시켜 균열을 발생시키거나 콘크리트의 파손을 가져오게 된다.As concrete is porous, it absorbs water and freezes the water absorbed at the temperature below freezing point. When the pore water freezes in the concrete, the volume increases by about 9.1%. To form. This freeze-thaw repetition lowers the durability of the concrete, causing cracking or damage to the concrete.

한편 경화된 콘크리트 내부로 대기중의 수분이나 이산화탄소가 침투하게 되면 이들은 콘크리트 중의 수산화칼슘과 결합하여 탄산칼슘을 형성하고, 그 결과 콘크리트가 갖고 있던 알칼리성이 점점 약화되면서 중성화되는 현상을 보이는데 이러한 중성화는 콘크리트의 강도 저하를 가져와 내구성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moisture or carbon dioxide in the atmosphere penetrates into the hardened concrete, they combine with calcium hydroxide in the concrete to form calcium carbonate. It is a major cause of reducing the strength and reducing the durability.

또한 가로수보호블럭의 재료로 사용되는 대리석, 화강암 및 콘크리트는 그 모두가 취성적 성질을 가진 것들이므로 충돌 등에 의해서 쉽게 균열을 보이거나 국부적으로 파손되는 등의 문제를 일으켜 도시의 미관을 해치는 것은 물론 정기적인 보수 공사가 요구되어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In addition, marble, granite, and concrete, which are used for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are all brittle, so they may easily crack or be locally broken by collisions, which not only hurts the aesthetics of the city, but also regularly. Personnel repair work is required, causing huge economic losses.

한편 화강암이나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종래의 가로수보호블럭의 경우에는 그 무게가 상당하여 현장에서 노무자들에 의해 공사가 이루어지는 경우 그 시공성 및 작업성의 측면에서도 매우 불량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oadside protection block formed of granite or concrete, the weight is considerable, and when the construction is performed by laborers in the field, there was a very poor problem in terms of workability and workability.

따라서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이 되면서도 충돌 등에 의한 균열이나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가로수보호블럭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어져 왔다.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the development of roadside protection blocks that can be easily identified at daytime as well as at night, but do not cause cracks or breakage due to collision.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동해 및 중성화 등 기타 원인에 의한 콘크리트의 열화를 방지하고 취성적 성질로 인하여 충격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고, 한편 주간에는 물론이고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가로수 보호효과를 높이고 또한 그 중량을 감소시켜 양호한 시공성 및 경제성을 보장하기 위한 가로수보호블럭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prevents deterioration of concrete due to other causes such as the East Sea and neutralization, and overcomes the problem of being easily damaged by the impact due to brittleness.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oadside protection block to ensure the safety and at the same time to increase the roadside protection effect and to reduce the weight to ensure good construction and economical efficienc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로수보호블럭의 제1실시예로서는, 일측의 모서리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중심체와 중심체의 표면 중 곡선으로 처리된 모서리의 양 측면에 형성된 우레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may include a corner formed at one side of a curvature and a urethane formed at both sides of a curvilinear body having a cuboid shape as a whole and a curved surface among the surfaces of the center body. It features.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가로수보호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22a)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roadside protection block 22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중심체(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형성되어 있으며 보행자나 차량 등과 접촉되기 쉬운 모서리(45)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모서리(45)가 첨예하게 됨으로써 국부적으로 용이하게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center body 12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and the corner 45, which is easily in contact with a pedestrian or a vehicle, is cur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from occurring.

우레탄(11a)은 콘크리트로 형성된 중심체(12)에서 모서리(45)의 양 측면에 부착되며 가로수보호블럭(22a)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파손을 방지하는 한편 수분이나 대기중의 산화물질 등이 중심체(12)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가로수보호블럭(22a)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을 한다.Urethane (11a)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edge 45 in the center body 12 formed of concrete and prevents damage by absorbing the impact applied to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22a, while moisture or oxides in the air Preventing penetration into the central body 12 serves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22a.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22a)의 제조방법은 먼저 경화된 중심체(12)위에 P-P 또는 PVC 등으로 된 합성수지계의 주형을 설치하고, 주형 안에 반고체 상태의 우레탄(11a)을 부어 넣은 후 이를 냉각시키게 되면 우레탄(11a)은 콘크리트로 구성된 중심체(12)와의 강한 부착력으로 인하여 중심체(12)에 견고하게 부착된다.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22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installs a mold of synthetic resin system made of PP or PVC on the cured central body 12, and then pours the semi-solid urethane 11a into the mold. When cooled, the urethane 11a is firmly attached to the central body 12 due to the strong adhesion to the central body 12 made of concrete.

우레탄(11a)을 중심체(12)에 접착하기 전에 중심체(12)의 상면에 형성되는 레이턴스 및 수분이나 먼지 등을 제거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것들이 있는 상태로 우레탄을 접착하게 되면 우레탄(11a)과 중심체(12) 사이에 충분한 부착력을 확보하기가 어려워 사용 중에 우레탄(11a)과 중심체(12)가 분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Before adhering the urethane 11a to the central body 12, the latencie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body 12 and moisture or dust should be removed. When the urethane is adhered with these materials, the urethane 11a and the central body ( This is because the urethane 11a and the central body 12 can be separated during use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adhesion force between the two.

우레탄(11a)의 두께는 그 사용 조건에 따라 달리할 수 있는 것이지만 통상적인 인도에 사용되는 경우라면 2.0 ~ 5.0 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중심체(12)의 높이는 5.0 ~ 7.0 cm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ckness of the urethane 11a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ditions of use, but if it is used for ordinary delivery, the thickness of the urethane 11a is preferably about 2.0 to 5.0 mm, and the height of the center body 12 is preferably 5.0 to 7.0 cm.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22b)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22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레탄(11a)은 도 1에서와 마찬가지로 경화된 콘크리트로 구성된 프레임(42)위에 P-P 또는 PVC 등으로 된 합성수지계의 주형을 설치하고, 주형안에 반고체 상태의 우레탄(11a)을 부어 넣은 후 이를 냉각시키는 방법으로 프레임(42)의 모서리(45)를 기준으로 양 측면에 덧씌워져 부착된다.Urethane (11a) is installed on the frame 42 made of hardened concrete, as shown in Figure 1, a synthetic resin-based mold made of PP or PVC, and poured into the mold semi-solid urethane (11a) to cool it In this manner, both sides of the frame 42 are attached to each other by being overlaid.

우레탄(11a)은 탄력을 가지는 소재이므로 차량 등의 충돌이 있는 경우 그 충격량을 흡수하게 되고 이로써 가로수보호블럭(22b)의 파손을 방지하여 도시의 미관을 해치지 아니하고 보수 및 관리비용의 절감을 가져오게 된다.Since urethane 11a is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it absorbs the amount of impact when there is a collision with a vehicle,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22b, thereby reducing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without compromis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do.

모서리(45)는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22b)이 가로수의 주위에 대하여 시공이 완료되면 인도상의 보행자 등과 직접적으로 충돌이 가능한 부분에 해당하고, 모서리(45)의 양 측면에 우레탄(11a)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rner 45 corresponds to a portion where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22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irectly collide with a pedestrian on a sidewalk when construction is completed about the roadside circumference, and urethane 11a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rner 45.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by impact.

프레임(42)은 콘크리트로 구성되며, 양측의 측면프레임(43)과 이를 연결하는 상부프레임(44)으로 형성되어 있다.Frame 42 is made of concrete, and is formed of the side frame 43 on both sides and the upper frame 44 connecting them.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부분을 프레임(42)으로 형성함으로써 재료가 절감되고 중량도 감소하므로 경제성과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ures 2a and 2b by forming the concrete portion into the frame 42, the material is reduced and the weight is reduced, thereby improving economics and workability.

한편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22b)은 백색, 노란색, 주황색, 녹색 등의 식별력이 강한 색채를 띠도록 제작된 우레탄(11a)을 콘크리트 프레임(42)에 부착함으로써 야간에도 그 식별이 용이하여 가로수 보호에 만전을 기할 수 있으며 또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22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s urethane (11a) made to have a strong color, such as white, yellow, orange, green, etc. to the concrete frame 42, the identification is easy even at night It is possible to ensure the protection of roadside trees an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22c)의 제3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2C is a 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22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레탄(11a)은 콘크리트로 구성된 박벽관(52)에 있어서 모서리(45)의 양 측면을 감싸면서 부착되어 있어 박벽관(52)을 보호하는 작용을 하고 녹색, 노란색, 주황색 등의 식별력이 강한 색채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가로수의 보호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는 것은 도 1에서의 설명과 같다.Urethane (11a) is attached while wrapping the both sides of the edge 45 in the thin wall tube 52 made of concrete to protect the thin wall tube 52 and strong colors such as green, yellow, orange By using the not only can improve the safety, but also can increase the protection effect of the roadside tree is the same as described in FIG.

박벽관(52)은 콘크리트로 구성되며 단면은 중공부(53)을 가지는 정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2a 및 도 2b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재료절감 및 중량감소로 인한 경제성과 작업성을 개선시키는 한편 배수로 역할도 겸하게 된다.Since the thin wall pipe 52 is made of concrete and the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square shape having a hollow portion 53, it improves the economy and workability due to material reduction and weight reduction, as described in FIGS. It also plays a role.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22d)의 제4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22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중심체(6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사각형의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원호의 형상으로 굽어져 있어 필요에 따라 굴곡된 가로수보호블럭(22d)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3, the central body 62 has a square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and is bent in a circular arc shape as a whole so that the center body 62 can be used when a curved roadside protection block 22d is required.

우레탄(11b)은 콘크리트로 구성된 중심체(62)에 있어서 모서리(45)의 양 측면을 감싸면서 부착되어 있고, 녹색, 노란색, 주황색 등의 식별력이 강한 색채를 사용함으로써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가로수의 보호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는 것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Urethane (11b) is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edge 45 in the center body 62 made of concret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afety by using a strong color, such as green, yellow, orange, etc.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rotection effect of the trees.

한편 도 3에 직접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중심체(62)는 도 2b나 도 2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42) 또는 박벽관(52)으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본 고안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lthough not shown directly in FIG. 3, the center body 62 may be formed of the frame 42 or the thin walled pipe 52 as shown in FIG. 2B or 2C.

지금까지는 중심체(12, 62), 프레임(42), 박벽관(52)이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것에 대해서만 설명되어 졌으나, 중심체(12, 62), 프레임(42) 및 박벽관(52)은 콘크리트뿐만 아니라 화강암이나 대리석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고 이러한 치환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것인 만큼 이러한 변형예들도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Until now, only the center body 12, 62, the frame 42, and the thin wall tube 52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posed of concrete, but the center body 12, 62, the frame 42 and the thin wall tube 52 are only concrete. But it may be composed of granite, marble, and the like, and such substitutions will be easily predi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us, all such modifications will b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중심체(12, 62), 프레임(42), 박벽관(52)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우레탄(11a, 11b)에 대해서만 설명되어 졌으나 충돌시의 충격 흡수가 가능하면서 투수 방지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라면 얼마든지 다른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 또한 본 고안의 범주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In addition, only the urethanes 11a and 11b, which are attached to the central bodies 12 and 62, the frame 42 and the thin walled pipe 52, have been described. It is also possible to use other synthetic resin materials, and such modifications will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은 동절기의 동결융해 및 차도의 배기가스로 인한 중성화 등 기타 원인에 의한 콘크리트의 열화를 방지하고, 콘크리트가 갖는 그 취성적 성질로 인하여 충격에 의해서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을 극복함으로써 미관을 해치지 아니하고 보수 및 관리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e roadside prot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prevents deterioration of concrete due to freezing and thawing in winter and neutralization due to exhaust gas of roadway, and is easily affected by impact due to its brittleness of concrete. By overcoming the problem of being damaged is to reduc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costs without harming the aesthetics.

또한 주간은 물론 야간에도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며 가로수 보호효과를 높이고, 또한 그 중량을 감소시킴로서 재료절감으로 인한 경제적 효과와 함께 운반 및 시공시에 양호한 작업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easy to identify during the day as well as at night to secure safety, increase the roadside protection effect, and reduce the weight, thereby economical effect due to material saving and good workability during transportation and construction. .

비록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례에 관하여 설명되어졌으나, 고안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mentioned above, various other possib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utility model claims are intended to include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도 1는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의 제1실시예에 대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a roadside prot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의 제2실시예에 대한 사시도.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roadside prot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도 2a에서의 B-B'에 대한 단면도.FIG. 2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 in FIG. 2A;

도 2c는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의 제3실시예에 대한 단면도.Figure 2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roadside prot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가로수보호블럭의 제4실시예에 대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of a roadside protection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재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in members in drawing>

11a, 11b : 우레탄 11a, 11b: urethane

12, 62 : 중심체 42 : 프레임12, 62: central body 42: frame

52 : 박벽관52: thin wall

22a, 22b, 22c, 22d : 가로수보호블럭22a, 22b, 22c, 22d: roadside protection block

Claims (7)

사각형의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일측의 모서리(45)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는 중심체(12)와,It has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of a square, the corner 45 on one side is formed in a curve, the central body 12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s a whole, 상기 중심체(12)의 표면 중 곡선으로 처리된 모서리(45)의 양 측면에 형성된 우레탄(11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블럭. Roadside protec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urethane (1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surface treated corner 45 of the center body (12). 2 개의 측면프레임(43)과 상기 2개의 측면프레임(43)을 연결하는 상부프레임(44)으로 형성되는 프레임(42)과,A frame 42 formed of two side frames 43 and an upper frame 44 connecting the two side frames 43; 상기 프레임(42)의 표면 중 곡선으로 처리된 모서리(45)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우레탄(11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블럭. Roadside protec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urethane (1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surface treated corner 45 of the frame (42). 중공부(53)를 가지는 박벽관(52)과,Thin-walled tube 52 having a hollow portion 53, 상기 박벽관(52)의 표면 중 곡선으로 처리된 모서리(45)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우레탄(11a)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블럭. Roadside protec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urethane (1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surface treated corner 45 of the thin wall pipe (52). 사각형의 일정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일측의 모서리(45)는 곡선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원호의 형상으로 굽어 있는 중심체(62)와,It has a constant cross-sectional shape of a square, the corner 45 on one side is formed in a curve, the center body 62 is curved in the shape of an arc as a whole, 상기 중심체(62)의 표면 중 곡선으로 처리된 모서리(45)의 양 측면에 형성된 우레탄(11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블럭. Roadside protec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urethane (11b)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urved surface treated corner 45 of the center body (62).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우레탄(11a, 11b)은 노란색, 주황색 및 녹색 중 선택되어 지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블럭.The urethane (11a, 11b) is a roadside protec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yellow, orange and green.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중심체(12, 62), 상기 프레임(42) 및 상기 박벽관(52)은 콘크리트 또는 화강암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블럭.The central body (12, 62), the frame 42 and the thin wall pipe 52 is a roadside protec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concrete or granite.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중심체(62)는 중공의 프레임(42) 또는 박벽관(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수보호블럭.The center body (62) is a roadside protection b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frame (42) or thin wall tube (52).
KR20-2004-0036392U 2004-12-22 2004-12-22 street tree protection block KR20037834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392U KR200378345Y1 (en) 2004-12-22 2004-12-22 street tree protection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392U KR200378345Y1 (en) 2004-12-22 2004-12-22 street tree protection bloc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477A Division KR20060071969A (en) 2004-12-22 2004-12-22 Sidewalk block and boundary stone of roa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345Y1 true KR200378345Y1 (en) 2005-03-14

Family

ID=43680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392U KR200378345Y1 (en) 2004-12-22 2004-12-22 street tree protection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345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216055U (en) Mounting seat with drainage pipe for luminous floor tile
CN102720123B (en) The road and bridge of dismounting capable of being combined
CN204551335U (en) A kind of road caution guardrail with detachable buffer stopper
KR20190113214A (en) Fixture for supporting fence pillar with protecting street flowerbed
KR200378345Y1 (en) street tree protection block
KR20110131633A (en) Median strip for road
KR200378344Y1 (en) boundary stone of road
CN210621560U (en) Road isolation system
KR20020094351A (en) A traffic lane restriction pole
KR200387387Y1 (en) Boundary stone of road
CN214656530U (en) Long service life&#39;s luminous ceramic tile
KR20060071969A (en) Sidewalk block and boundary stone of road
CN210066407U (en) Road side stone structure
CN210104593U (en) Blind-cleaning safety island
CN219547476U (en) High anticollision steel construction curb of factor of safety
KR200248484Y1 (en) Road boundary stone have buffer for prevention of tire
KR101253593B1 (en) Boundary stone
KR20020057771A (en) Self-Exiting Safety Road Sign
CN213449785U (en) Civil engineering is with enclosing fender device
CN210621522U (en) High-strength metal ion plastic spike
CN215631842U (en) Protective net device
CN204125873U (en) A kind of 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highroad isolation guardrail
CN1746429A (en) Recessive forced traffic fence
CN210621545U (en) Protector is kept apart in interim shutoff of road
CN219298024U (en) Safety is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