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832Y1 - 회전식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회전식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832Y1
KR200377832Y1 KR20-2004-0034691U KR20040034691U KR200377832Y1 KR 200377832 Y1 KR200377832 Y1 KR 200377832Y1 KR 20040034691 U KR20040034691 U KR 20040034691U KR 200377832 Y1 KR200377832 Y1 KR 200377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central separator
vehicle
connecting memb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중대
조광호
Original Assignee
조중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중대 filed Critical 조중대
Priority to KR20-2004-0034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8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차량충돌시 차량회전에 의한 2차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회전식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중앙분리대는 원통형 회전체와, 상단 연결부재와, 하단 연결부재와, 베어링 결합부 및, 차광막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중앙분리대는 중앙분리대와의 충돌에 따른 차량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충돌차량의 속도를 천천히 줄어들게 하여 추돌에 의한 2차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회전식 중앙분리대{A ROTATIVE MEDIAN STRIP}
4차선 이상의 도로에서 차도를 방향별로 분리하기 위하여 중앙분리대가 시설된다. 중앙분리대는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대향차의 전조등 빛이 반대방향에서 오는 차량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최근에는 도로의 경관을 꾸미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단순히 차량의 중앙선 침범을 방지기 위한 방어벽구조로 이루어진 철재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중앙분리대가 사용되어왔으나, 근래 들어서는 내구성 및 충격흡수도를 높인 다양한 형태의 중앙분리대(출원번호20-2003-12264호, 20-2003-13145호, 20-2003-17332호 등)가 개발되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중앙분리대와의 충돌에 의한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중앙분리대는 현재까지 개발되지 못했다. 또한, 기존의 중앙분리대는 철판 등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져 충돌차량의 운전자에게 충격이 직접적으로 전달되었으며, 속도가 갑자기 줄어듦으로 인해 추돌에 의한 2차 사고의 발생율도 높은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차량과의 충돌시 차량의 회전을 막아 2차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며, 충돌차량의 속도를 천천히 줄여 차량운전자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추돌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회전식 중앙분리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중앙분리대는, 일정간격마다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원통형 회전체와, 상기 다수개의 원통형 회전체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상단 연결부재와, 상기 다수개의 원통형 회전체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하단 연결부재 및, 상기 원통형 회전체와 상기 상단 연결부재 및 하단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회전체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원통형 회전체는, 일정경도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 파이프와 상기 원통형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는 다수개의 고무쿠션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통형 파이프의 표면에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단 연결부재는 양 측면부에 오목한 굴곡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굴곡 라인에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중앙분리대는, 상기 다수개의 원통형 회전체 사이마다 반대차선 차량의 불빛을 차단하는 차광막이 번갈아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차광막은 공지된 것으로 그 구성은 상세히 설명하지 아니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기존의 중앙분리대(100)에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발생하는 2차사고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중앙분리대(100)는 철재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이루어져 차량(200)이 충돌하는 경우 그 충격이 차량운전자에게 그대로 전달되어 위험할 뿐만 아니라 차량(200)의 충돌부위와 중앙분리대(100)와의 강한 마찰로 인하여 충돌지점을 축으로 충돌차량이 회전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뒤따라 오는 차량(300)과의 2차 충돌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중앙분리대(300)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중앙분리대(300)는 상단 연결부재(320)와 하단 연결부재(330)사이에 다수개의 원통형 회전체(310)가 일정간격 마다 일렬로 배치되며, 상기 원통형 회전체(310) 사이마다 반대차선 차량의 불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막(350)이 번갈아 설치되고, 중앙분리대를 지면에 고정하는 지지수단(360)이 일정간격마다 설치된다. 상기 원통형 회전체(310)는 상기 상단 연결부재(320) 및 하단 연결부재(330)와 베어링 결합부(340)를 통해 결합하여 중앙축(313)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원통형 회전체(310)는, 금속도금 파이프로 이루어진 원통형 파이프(311)와 상기 원통형 파이프(311)의 외주면을 감싸는 다수개의 고무쿠션체(31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원통형 파이프(311)의 표면에는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된다.
도 3은 상기 상단 연결부재(320)의 단면도이다. 상단 연결부재(320)는 철재로 이루어진 사각파이프(321)와 상기 사각파이프(321)를 감싸며 양측면에 오목한 요철부(322-1)를 갖는 고무외피(3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철부(322-1)에는 야간시 차량을 가이드하기 위한 고휘도 반사지(323)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고무외피 대신 철재로 이루어진 철재외피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고무외피의 경우 두께가 약 2~3㎝ 인 것이 바람직하고, 철재외피의 경우 3T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 베어링 결합부(340)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러스트 볼베어링을 통해 상기 원통형 회전체(310)를 상기 상,하단 연결부재(320,330)와 결합하여 상기 원통형 회전체(310)가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예의 베어링 결합부(3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회전체(310)와 결합하는 상부저널(342)과, 상·하단 연결부재와 결합하는 하부저널(343)과, 상기 상·하부저널(342,343) 사이에 위치한 볼(341)과, 상기 볼(341)의 정위치를 잡아주는 리테이너(344)와, 상기 상·하부저널(342,343)을 감싸서 고정하는 결합부 하우징(345)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저널(342)은 회전체 결합구(342-1)를 구비하여 상기 원통형 회전체(310)의 축(313) 말단부와 결합하게 되고, 상기 결합부 하우징(345)은 연결부재 결합구(345-1)를 구비하여 상기 상·하단 연결부재(320.330)와 결합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 결합부(340)는 본 실시예에서 서술한 것 이외에도 본 고안의 출원시 기술수준을 기준으로 상기 원통형 회전체(31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작한 본 고안의 시제품 사진이며, 도 6은 상기 시제품의 베어링 결합부를 확대하여 찍은 사진이다.
상술한 실시예와 도면은 고안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이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상기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중앙분리대는, 차량과의 충돌시 상기 원통형 회전체가 회전하게 되어 차량의 회전에 의한 2차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돌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차량을 천천히 정치시키게 되어 추돌에 의한 2차사고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회전식 중앙분리대는 상기 원통형 파이프와 상기 상단 연결부재에 부착되는 고휘도반사지로 인해 야간에 안전운행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중앙분리대에 비해 설치부피가 작아 도로의 운행폭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중앙분리대와 차량과의 충돌에 의한 2차사고 발생원리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단 연결부재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결합부의 평면도 및 정면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중앙분리대의 시제품사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회전식 중앙분리대 시제품의 베어링결합부 확대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포의 설명>
100 : 종래의 중앙분리대 200 : 차량
310 : 원통형회전체 320 : 상단 연결부재
330 : 하단 연결부재 340 : 베어링 결합부
350 : 차광막 360 : 지지수단

Claims (5)

  1. 일정간격마다 일렬로 배치되는 다수개의 원통형 회전체;
    상기 다수개의 원통형 회전체의 상단부가 결합되는 상단 연결부재;
    상기 다수개의 원통형 회전체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하단 연결부재; 및
    상기 원통형 회전체와 상기 상단 연결부재 사이 및 상기 원통형 회전체와 상기 하단 연결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회전체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베어링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중앙분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회전체는,
    일정경도 이상의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형 파이프; 및
    상기 원통형 파이프의 외주면을 감싸는 다수개의 고무쿠션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중앙분리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파이프는, 표면에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중앙분리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연결부재는, 양 측면부에 오목한 굴곡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굴곡 라인에 고휘도 반사지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중앙분리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원통형 회전체 사이마다 차광막이 번갈아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중앙분리대.
KR20-2004-0034691U 2004-12-07 2004-12-07 회전식 중앙분리대 KR200377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691U KR200377832Y1 (ko) 2004-12-07 2004-12-07 회전식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691U KR200377832Y1 (ko) 2004-12-07 2004-12-07 회전식 중앙분리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1908A Division KR20060062907A (ko) 2004-12-06 2004-12-06 회전식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832Y1 true KR200377832Y1 (ko) 2005-03-11

Family

ID=4367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691U KR200377832Y1 (ko) 2004-12-07 2004-12-07 회전식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83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58B1 (ko) 2006-09-21 2007-06-12 재 술 나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0777774B1 (ko) 2006-08-11 2007-11-20 강철규 도로 난간용 충격 흡수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7774B1 (ko) 2006-08-11 2007-11-20 강철규 도로 난간용 충격 흡수 장치
KR100727058B1 (ko) 2006-09-21 2007-06-12 재 술 나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7832Y1 (ko) 회전식 중앙분리대
KR102060503B1 (ko) 가공배전선로가 구비된 전신주 추돌 방지 장치
KR20060062907A (ko) 회전식 중앙분리대
KR100256394B1 (ko)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가드레일
Borkowski et al. Numerical simulation of the standard TB11 and TB32 tests for a concrete safety barrier
CN109706855A (zh) 一种智能交警机器人用的防撞缓冲式交警岗台
KR200357786Y1 (ko) 교각충돌 방지장치
KR200362995Y1 (ko) 롤러가 부착된 차량용 범퍼
KR101073539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CN108104007A (zh) 一种隧道多重缓冲护栏
KR19990069351A (ko) 도로의 탄성회전식 충격완화장치
CN219710153U (zh) 一种道路防撞装置
KR200401497Y1 (ko) 폐타이어를 활용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200229392Y1 (ko) 차량충격 완충용 가드레일
CN102322031B (zh) 桥墩及工程建筑的防撞防护方法及防撞导向轮装置
WO2006052115A1 (en) Device for relieving the impact of collision of vehicles on roads
KR200223975Y1 (ko) 특수필터 완충재와 고무커버를 이용한 충격흡수시설
KR101980608B1 (ko) 범퍼 결합 롤러를 통한 차량 안전장치
CN211571538U (zh) 一种施工用具有缓冲防护功能的防撞墩
CN218757164U (zh) 一种土木工程用道路桥梁防撞护栏
KR200358879Y1 (ko) 도로용 안전가드레일
KR100534301B1 (ko) 차량의 스트럿 마운팅 볼트용 보행자 보호 캡 구조
KR20070012603A (ko) 원통의 회전 성질을 이용한 충격 흡수용 중앙분리대
CN211713817U (zh) 一种急转弯车道外侧护栏的防撞结构
JP2010071034A (ja) 道路用防護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