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093Y1 -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093Y1
KR200377093Y1 KR20-2004-0033597U KR20040033597U KR200377093Y1 KR 200377093 Y1 KR200377093 Y1 KR 200377093Y1 KR 20040033597 U KR20040033597 U KR 20040033597U KR 200377093 Y1 KR200377093 Y1 KR 2003770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coupling
yep
assembl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5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삼
Original Assignee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35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0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0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2Welded joints; Adhesive joints
    • F16L47/03Welded joints with an electrical resistance incorporated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16L47/1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54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flexible
    • H05B3/56Heating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용융접합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시공되는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용융결합 후 용융부가 경화되는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이에프 수도관의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연결된 이에프 편수관의 경화되지 않은 용융부의 파손을 확실시 방지함으로써,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일단부에 편수부를 각기 일체로 갖고, 타단부가 편수부와 조립된 후 용융부내에 내장되어 있는 열전을 통전시켜 복수개의 편수관을 연속적으로 용융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통상의 이에프 편수관에 있어서, 상기 편수관의 편수부의 끝단부에 방사상으로 단층지고, 외주면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조립턱부와; 상기 편수관의 타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상기 조립턱부의 결합공과 일치되는 다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조립돌부와; 상기 결합공에 일축으로 조립되어 조립턱부와 조립돌부를 고정결합시키는 다수개의 결합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A fixing structure for joint of EF one way pipe}
본 고안은 이에프 수도관의 이음새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접합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시공되는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용융결합 후 용융부가 경화되는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이에프 수도관의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연결된 이에프 편수관의 경화되지 않은 용융부의 파손을 확실시 방지함으로써,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이에프 편수관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이에프 관의 일단부에 편수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써, 이러한 편수관은 복수개를 연속적으로 연결할 때 편수관의 편수부에 다른 편수관의 편수부가 없는 단부를 조립시키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설치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편수관은 편수부의 소정구간의 내부에 열선이 내장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상기 열선과 접속가능하도록 접속부가 구비되어 있어 복수개의 편수관이 상호 조립되어 있을 때 상기 접속부에 통전장비를 접속시켜 열선에 적정한 전력을 흐려주면 용융부가 열선의 열에 의해 용융되어 상호 융착되고, 융착이 완료되면 통전장비를 제거한 후 일정시간 동안 상호 연결된 편수관을 유동 없이 안정된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용융부가 완전시 경화되어 융착이 완료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편수관은 통전에 의한 융착작업이 완료된 후 용융되어 융착된 용융부가 완전히 경화되는 시간 동안 추가적인 편수관의 연결작업을 중단함으로써, 불완전하게 경화된 용융부가 유동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용융접합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시공되는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용융결합 후 용융부가 경화되는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이에프 수도관의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연결된 이에프 편수관의 경화되지 않은 용융부의 파손을 확실시 방지함으로써,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일단부에 편수부를 각기 일체로 갖고, 타단부가 편수부와 조립된 후 용융부내에 내장되어 있는 열전을 통전시켜 복수개의 편수관을 연속적으로 용융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통상의 이에프 편수관에 있어서, 상기 편수관의 편수부의 끝단부에 방사상으로 단층지고, 외주면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조립턱부와; 상기 편수관의 타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상기 조립턱부의 결합공과 일치되는 다수개의 결합공을 갖는 조립돌부와; 상기 결합공에 일축으로 조립되어 조립턱부와 조립돌부를 고정결합시키는 다수개의 결합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분기관의 고정지그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에프 편수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에프 편수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편수관의 조립돌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이에프 편수관(10)의 이음새 고정구조는 편수관(10)의 일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편수부(20)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립턱부(21)와, 상기 편수부(20)가 형성되어 있는 않은 편수관(10)의 단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조립돌부(30)와, 상기 조립턱부(21)와 조립돌부(30)를 결합하는 다수개의 결합핀(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립턱부(21)는 상기 편수관(10)의 편수부(20)의 끝단부에 방사상으로 단층지고, 외주면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공(22)을 갖으며, 상기 결합공(22)은 원형, 비대칭 또는 다각형의 형상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천공된다.
상기 조립돌부(30)는 상기 편수관(10)의 타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상기 조립턱부(21)의 결합공(22)과 일치되는 다수개의 결합공(31)을 갖으며, 상기 결합공(31)은 원형, 비대칭 또는 다각형의 형상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부(30)의 다른 실시예는 조립돌부(30)의 측면부를 따라 다수개의 결합홈(32)을 갖는 것이다.
상기 다수개의 결합홈(32)은 조립돌부(30)의 일측면을 따라 요부지게 형성되며, 그 형상은 상기 결합핀(40)의 외주면 형상과 일체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결합핀(40)은 소정 길이의 막대형상에 헤드부를 일체로 갖는 형상으로써 상기 결합공(22)(31)에 일축으로 조립되어 조립턱부(21)와 조립돌부(30)를 고정결합시키며, 그 단면은 원형, 비대칭 또는 다각형의 형상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첨부도면중 미설명부호 50은 용융부, 60은 열선, 70은 접속부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이에프 편수관(10)은 복수개의 편수관(10)을 상호 조립시킨 후 상기 다수개의 결합핀(40)을 상기 조립턱부(21) 및 조립돌부(30)의 결쳐진 결합공(22)(31)에 일축으로 끼움조립시켜, 이에프 편수관(10)의 연결상태를 고정시킨 다음, 접속부(70)에 통전장비를 접속시켜 열선(60)에 대한 통전을 실시하여 용융부(50)을 용융접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용융접합된 편수관(10)은 상기 결합핀(40)에 의한 고정결합으로 편수관(10)을 유동시키더라도 용융부(50)의 유동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용융접합된 부위의 파손이 발생될지 않기 때문에 용융부(50)가 완전히 경화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즉시 다음 편수관(10)의 연속적인 연결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개 고정구조에 의하면, 용융접합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시공되는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용융결합 후 용융부가 경화되는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바로 다음 이에프 수도관의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으면서도 연결된 이에프 편수관의 경화되지 않은 용융부의 파손을 확실시 방지함으로써,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에프 편수관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에프 편수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단면하여 도시한 결합상태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편수관의 조립돌부를 도시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편수관 20: 편수부
30: 조립돌부 40: 결합핀

Claims (3)

  1. 일단부에 편수부를 각기 일체로 갖고, 타단부가 편수부와 조립된 후 용융부내에 내장되어 있는 열전을 통전시켜 복수개의 편수관을 연속적으로 용융결합시킬 수 있도록 제작된 통상의 이에프 편수관에 있어서, 상기 편수관(10)의 편수부(20)의 끝단부에 방사상으로 단층지고, 외주면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공(22)을 갖는 조립턱부(21)와; 상기 편수관(10)의 타단부의 외주면을 따라 방사상으로 돌출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상기 조립턱부(21)의 결합공(22)과 일치되는 다수개의 결합공(31)을 갖는 조립돌부(30)와; 상기 결합공(22)(31)에 일축으로 조립되어 조립턱부(21)와 조립돌부(30)를 고정결합시키는 다수개의 결합핀(4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돌부(30)는 일측면을 따라 요부지게 형성되는 다수개의 결합홈(32)을 갖으며, 상기 결합홈(32)은 상기 결합핀(40)의 외주면 형상과 일체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22)(31) 및 결합핀(30)은 원형, 비대칭 또는 다각형상의 단면중 어느 한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KR20-2004-0033597U 2004-11-26 2004-11-26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KR200377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597U KR200377093Y1 (ko) 2004-11-26 2004-11-26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597U KR200377093Y1 (ko) 2004-11-26 2004-11-26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093Y1 true KR200377093Y1 (ko) 2005-03-08

Family

ID=4367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597U KR200377093Y1 (ko) 2004-11-26 2004-11-26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0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83A1 (ko) * 2014-07-04 2016-01-07 권태웅 파이프 결속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3183A1 (ko) * 2014-07-04 2016-01-07 권태웅 파이프 결속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7900B2 (en) Induction connecting sleeve for connecting weldable thermoplastic elements by means of fusion
KR200377093Y1 (ko)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KR100521758B1 (ko)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KR101837909B1 (ko) 유체 분배용 관 접속구조 및 접속방법
KR200378656Y1 (ko) 이에프 편수관의 이음새 고정구조
KR20040096757A (ko) 합성수지관 융착구조
JP7365176B2 (ja) 継手
JP2007071323A (ja) コルゲート管の接続方法
JPH10220676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KR200275923Y1 (ko) 열융착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WO2021065776A1 (ja) 電気融着継手
JP2019173915A (ja) 継手部材並びに管継手及び弁装置
KR100405219B1 (ko) 가두리 양식장용 파이프 융착기
JPH10246381A (ja) 合成樹脂管用電気融着継手
KR200245150Y1 (ko) 열 융착부를 일체로 갖는 합성수지관
KR200268378Y1 (ko) 합성수지관의 수밀벨트용 연결판
JP2002188785A (ja) 電気融着式管継手
KR200174640Y1 (ko) 합성수지재관 이음관(A joint member of synthetic resin tube)
KR200251564Y1 (ko) 이음부가 형성된 합성수지관
KR200253938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이음관
JP2002257284A (ja) 電気融着継手
KR200268377Y1 (ko) 합성수지관용 분기 이음관
JP4295597B2 (ja) 光源装置とその外部リード部分の溶接方法
KR200330150Y1 (ko) 파이프 용융결합구의 열선피복구조
JP4260359B2 (ja) 電気融着サドル系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