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005Y1 -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005Y1
KR200377005Y1 KR20-2004-0035536U KR20040035536U KR200377005Y1 KR 200377005 Y1 KR200377005 Y1 KR 200377005Y1 KR 20040035536 U KR20040035536 U KR 20040035536U KR 200377005 Y1 KR200377005 Y1 KR 2003770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wheel
mounting bracket
bicycle
suppor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5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주
노성호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55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0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0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0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7/00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ssisting ba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xle Suspensions And Sidecars For 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일측에 허브축(15)이 관통하는 축관통공(35)이 형성되고 타측에 프레임(1)의 일측을 감싸는 프레임연결부(33)가 구비되는 한쌍의 장착브라켓(31)과, 상기 각각의 장착브라켓(31)의 하부에 체결되고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고 하단의 지지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정용축공(47)이 형성된 지지브라켓(40)과, 상기 지지브라켓(4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바퀴(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브라켓(31)중 변속기(20)가 설치되는 쪽의 것에는 상기 변속기(20)가 안착되는 간섭회피공간(38)을 형성하기 위해 단차부(37)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는 변속기가 설치된 자전거에 장착가능하고, 변속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보조바퀴조립체는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하여 자전거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뒷바퀴에 적용할 수 있어 제품 적용성이 큰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Supplementary wheel assembly for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뒷바퀴를 보조하는 주행중 자전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바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는 일반적으로 프레임의 전후에 각각 구비되는 앞바퀴와 뒷바퀴를 회전시켜 이동하는 것이다. 하지만, 어린이나 초보자의 경우 앞바퀴와 뒷바퀴만으로 중심을 잡기가 힘들어, 뒷바퀴의 양단에 별도의 보조바퀴를 설치하여 주행중에 자전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서 뒷바퀴의 양단에 해당되는 프레임의 후단에 각각 보조바퀴조립체가 설치된다.
최근에 다양한 종류의 자전거에 보조바퀴를 달아 어린이나 초보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보조바퀴어셈블리가 제공되나, 최근에 출시되는 자전거에는 거의 대부분 변속기가 설치되어 있어, 변속기와 보조바퀴조립체 사이의 간섭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변속기는 뒷바퀴의 허브축 일측에 설치되어 뒷바퀴 측방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자전거의 사용시에 외부와 쉽게 부딪쳐 변속기가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변속기가 설치된 자전거에 장착할 수 있는 보조바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변속기를 보호할 수 있는 보조바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하게 구성되는 보조바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뒷바퀴에 적용할 수 있는 보조바퀴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일측에 허브축이 관통하는 축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프레임의 일측을 감싸는 프레임연결부가 구비되는 한쌍의 장착브라켓과, 상기 각각의 장착브라켓의 하부에 체결되고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고 하단의 지지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정용축공이 형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중 변속기가 설치되는 쪽의 것에는 상기 변속기가 안착되는 간섭회피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단차부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장착브라켓의 하부에 체결되고 장착브라켓의 하부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뒷바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보조바퀴가 설치되는 고정용축공이 다수개가 연통되어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장착브라켓에 단차부가 구비되는 쪽의 것이 그렇지 않은 쪽의 것보다 그만큼 짧게 형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관통공은 상기 프레임연결부가 연결되는 프레임 부분의 다양한 각도에 대응하여 장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변속기가 설치되는 쪽의 장착브라켓에는 간섭회피공이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바퀴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지지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보조바퀴의 회전중심이 되는 바퀴축에는 볼트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고정용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바퀴축의 반대쪽에서 상기 볼트부에 체결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볼트부에는 걸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축공이 인접하는 고정용축공과 연통되는 부분의 일측 단부에 걸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는 변속기가 설치된 자전거에 장착가능하고, 변속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보조바퀴조립체는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하여 자전거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으며,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뒷바퀴에 적용할 수 있어 제품 적용성이 큰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보조바퀴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자전거가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보조바퀴조립체의 구성이 배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이 개략측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이 분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자전거의 프레임(1)에는 자전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장착된다. 상기 프레임(1)의 중간쯤에는 안장(3)이 설치된다. 상기 안장(3)은 사용자가 앉는 부분이다. 상기 프레임(1)의 선단에는 헤드파이프(5)가 설치되고, 상기 헤드파이프(5)를 핸들축이 관통하는 핸들(7)이 헤드파이프(5)에 대해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핸들(7)의 핸들축에는 앞포크(9)가 일체로 동작되게 설치되고, 상기 앞포크(9)에는 앞바퀴(1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1)의 후단에는 뒷바퀴(13)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뒷바퀴(13)의 회전중심과 동축으로 일측방으로 돌출되게 허브축(15)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1)의 중간 아래쪽에는 크랭크축(17)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축(17)의 양단부에는 페달(19)이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축(17)은 체인과 이 체인이 걸어감아지는 스프라켓을 통해 뒷바퀴(13)를 회전시킨다. 상기 스프라켓은 상기 크랭크축(17) 및 허브축(15)과 각각 동축으로 설치되어 체인의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허브축(15)에는 다수개의 스프라켓이 설치되어 상기 체인이 선택적으로 걸어진다. 상기 체인이 스프라켓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도록 하는 것은 변속기(20)에 의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뒷바퀴(13)의 양측에는 보조바퀴조립체(30)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바퀴조립체(30)는 상기 뒷바퀴(13)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쌍으로 구성된다. 이제 도 2에서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 실시예의 보조바퀴조립체(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장착브라켓(31)은 거의 탄성변형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장착브라켓(31)의 상단 일측에는 프레임연결부(33)가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연결부(33)는 상기 프레임(1)의 후단 일측에 안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연결부(33)는 안착되는 프레임(1)의 외관과 대응되는 내면 형상을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반원통형상으로 프레임연결부(33)가 구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31)의 일측에는 상기 허브축(15)이 관통하는 축관통공(35)이 형성된다. 상기 축관통공(35)을 허브축(15)이 관통하고 상기 프레임연결부(33)가 프레임(1)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허브축(15)에 너트가 죄어지면 상기 장착브라켓(31)이 고정된다. 상기 축관통공(35)은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상기 프레임연결부(33)가 안착되는 프레임(1)의 부분, 즉 트레이스테이의 각도가 다른 프레임(1)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장착브라켓(31)중 변속기(20)가 설치되는 쪽의 것에는 간섭회피공(36)이 역시 장공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공(36)은 상기 변속기(20)를 프레임(1)에 장착하는 볼트(도시되지 않음)와 장착브라켓(31)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장착브라켓(31)중 일측, 즉 상기 변속기(20)가 있는 쪽의 것에는 단차부(37)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37)는 상기 장착브라켓(31)의 하단부 일부가 상단부에 비해 뒷바퀴(1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단차부(37)가 형성되어 상기 장착브라켓(31)과 뒷바퀴(13)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변속기(20)가 위치된다. 이와 같이 변속기(20)가 위치되는 공간을 간섭회피공간(38)이라 칭하기로 한다.
지지브라켓(40)은 상기 장착브라켓(31)의 하단부에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브라켓(40) 역시 상대적으로 두꺼운 금속판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폭은 좁고 길이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브라켓(40)은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브라켓(31)의 하단부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연결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41)에서 대략 직각으로 뒷바퀴(13)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연장부(43)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부(43)의 길이는 상기 장착브라켓(31)에 단차부(37)가 있는 경우에는 그 만큼 짧아지고, 단차부(37)가 없는 경우에는 연장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상기 연장부(43)의 끝에는 다시 상기 연결부(4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4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45)도 상기 연장부(43)에 대해 대략 직각으로 절곡된다.
상기 지지부(45)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정용축공(47)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용축공(4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볼트부(63)가 관통하여 설치되는데, 상기 뒷바퀴(13)의 직경에 따라 보조바퀴(60)가 설치되는 위치를 달리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고정용축공(47)은 볼트부(63)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것이 다수개 차례로 연통되어 장공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각각의 고정용축공(47)의 가장자리 길이를 상대적으로 더 길게 하여 볼트부(63)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연결부(41)와 연장부(43)를 연결하는 부분에는 엠보싱(49)이 형성된다. 상기 엠보싱(49)은 상기 연결부(41)와 연장부(43)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을 보강하여 지지브라켓(40)의 강도를 상대적으로 높여준다.
보강대(50)는 상기 장착브라켓(31)과 지지브라켓(40) 사이를 연결하여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대(50)는 일단부가 상기 장착브라켓(31)에 리벳(52)으로 체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지지브라켓(40)의 연장부(43)에 체결된다. 물론 상기 장착브라켓(31)에 보강대(50)를 연결하는 리벳(52)은 지지브라켓(40)의 연결부(41) 선단을 관통하여 보강대(50), 장착브라켓(31) 및 지지브라켓(40)을 동시에 체결할수 있다. 하지만, 상기 보강대(50)는 반드시 사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없을 수도 있다.
상기 장착브라켓(31)과 지지브라켓(40)은 서로 겹치는 부분이 용접되어 서로 결합된다. 물론 상기 장착브라켓(31)과 지지브라켓(40)을 하나의 금속판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보조바퀴(60)는 상기 지지브라켓(40)의 지지부(4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바퀴(60)를 상기 지지부(45)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바퀴축(62)이 상기 지지부(45)에 체결된다. 상기 바퀴축(62)은 상기 보조바퀴(60)의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바퀴축(62)의 일단부에는 스톱퍼플랜지(62')가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플랜지(62')를 기준으로 상기 바퀴축(62)의 반대쪽에는 볼트부(6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볼트부(63)는 상기 지지부(45)의 고정용축공(47)중 어느 일측을 관통한다.
상기 스톱퍼플랜지(62')와 볼트부(63)에 일체로 걸이돌기(63')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63')는 상기 인접하는 고정용축공(47)이 서로 연통되는 부분 양단에 걸어져 바퀴축(62)이 지지브라켓(40)에 대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볼트부(63)에 아래에서 설명될 체결너트(64)를 죌 때, 상기 걸이돌기(63')가 상기 고정용축공(47)의 연통되는 부분의 일단에 걸어져 있음으로 해서 바퀴축(62)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볼트부(63)에는 체결너트(64)가 체결된다. 상기 체결너트(64)는 상기 보조바퀴(60)가 구비되는 지지부(45)의 반대쪽에서 상기 볼트부(63)에 체결된다. 도면부호 65,65'는 와셔이다.
그리고,상기 바퀴축(62)의 선단에는 바퀴축(62)에 보조바퀴(6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핀(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핀공(66)이 형성된다. 상기 핀공(66)에는 상기 와셔(65)가 바퀴축(62)에 삽입된 상태에서 핀이 삽입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보조바퀴조립체(30)는 어린이나 초보자가 자전거를 보다 안정적으로 탈 수 있도록 뒷바퀴(13)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보조바퀴조립체(30)는 일단 장착브라켓(31)과 지지브라켓(40) 및 보강대(50)를 미리 제작하고, 상기 보강대(50)의 양단을 리벳(52)으로 장착브라켓(31) 및 지지브라켓(40)에 체결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31)의 하단부와 지지브라켓(40)의 연결부(41)를 용접으로 결합한다. 물론 상기 장착브라켓(31)과 지지브라켓(40)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지지브라켓(40)의 지지부(45)에는 바퀴축(62)이 볼트부(63)와 체결너트(64)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상기 볼트부(63)가 지지부(45)의 고정용축공(47)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볼트부(63)측에 구비되는 걸이돌기(63')는 상기 지지브라켓(40)의 고정용축공(47)이 서로 연통되는 부분 일단에 위치되어 걸어져, 체널너트(64)를 죌 때, 볼트부(63)(실질적으로 바퀴축(62))를 별도의 공구로 잡지 않아도 된다.
상기 볼트부(63)가 상기 고정용축공(47)을 관통하는 위치는 상기 뒷바퀴(13)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 즉, 상기 뒷바퀴(13)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큰 것일 경우에는 고정용축공(47)의 상대적으로 하측을 관통하고, 뒷바퀴(13)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것일 경우에는 고정용축공(47)의 상대적으로 상측을 관통한다.
즉, 도 5a에는 뒷바퀴(13)가 20인치인 경우가 예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5b에는 18인치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도 5a에서는 보조바퀴(60)의 회전중심인 바퀴축(62)이 상대적으로 고정용축공(47)의 하측에 있고, 도 5b에서는 상기 바퀴축(62)이 상대적으로 고정용축공(47)의 상측에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브라켓(31)이 프레임(1)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뒷바퀴(13)의 외측으로 나온 허브축(15)은 상기 장착브라켓(31)의 축관통공(35)을 관통하고, 상기 프레임연결부(33)는 상기 프레임(1)의 일측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변속기(20)가 설치된 쪽의 허브축(15)에는 상기 단차부(37)가 구비된 장착브라켓(31)이 설치된다. 이는 상기 간섭회피공간(38)에 변속기(20)가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장착브라켓(31)을 가조립한 상태에서 상기 허브축(15)에 체결너트(64)를 체결하여 장착브라켓(31)을 고정한다. 물론, 상기 장착브라켓(31)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허브축(15)의 외측에 짐받이다리(도시되지 않음)나 흙받이다리(도시되지 않음)를 더 설치하고 상기 체결너트(64)를 허브축(15)에 장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장착브라켓에 단차부를 형성하였으므로 변속기가 설치된 자전거에서도 보조바퀴조립체를 설치하여 어린이나 초보자가 자전거를 쉽게 타고 배울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장착브라켓에 형성된 단차부가 뒷바퀴와 장착브라켓의 사이에 간섭회피공간을 형성하여 변속기가 위치되게 하므로 별도의 부품없이도 변속기를 외력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장착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금속판을 프레스가공하여 제작하고, 이들을 용접에 의해 체결하므로 상대적으로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보강대를 사용하여 이들의 강도를 보다 크게 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지지브라켓의 지지부에 형성된 고정용축공을 지지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뒷바퀴의 크기에 따라 보조바퀴의 위치를 달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보조바퀴조립체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바퀴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생산자는 한가지의 보조바퀴조립체만 생산하면 되므로 상대적으로 생산관리가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서 바퀴축을 지지브라켓에 장착할 때, 바퀴축의 볼트부가 지지브라켓에 대해 걸이돌기와 고정용축공의 결합에 의해 회전되지 않으므로 볼트부에 체결너트를 보다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조바퀴의 분해조립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보조바퀴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자전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보조바퀴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보인 개략측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을 분해하여 보인 분해도.
도 5a는 본 고안 실시예의 보조바퀴조립체를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뒷바퀴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b는 본 고안 실시예의 보조바퀴조립체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뒷바퀴에 장착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프레임 3: 안장
5: 헤드파이프 7: 핸들
9: 앞포크 11: 앞바퀴
13: 뒷바퀴 15: 허브축
17: 크랭크축 19: 페달
20: 변속기 30: 보조바퀴조립체
31: 장착브라켓 33: 프레임연결부
35: 축관통공 40: 지지브라켓
41: 연결부 43: 연장부
45: 지지부 47: 고정용축공
49: 엠보싱 50: 보강대
52: 리벳 60: 보조바퀴
62: 바퀴축 63: 볼트부
63': 걸이돌기 64: 체결너트

Claims (6)

  1. 일측에 허브축이 관통하는 축관통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프레임의 일측을 감싸는 프레임연결부가 구비되는 한쌍의 장착브라켓과,
    상기 각각의 장착브라켓의 하부에 체결되고 다수회 절곡되어 형성되고 하단의 지지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고정용축공이 형성된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장착브라켓중 변속기가 설치되는 쪽의 것에는 상기 변속기가 안착되는 간섭회피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단차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장착브라켓의 하부에 체결되고 장착브라켓의 하부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뒷바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연결부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고 보조바퀴가 설치되는 고정용축공이 다수개가 연통되어 장공형태로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장착브라켓에 단차부가 구비되는 쪽의 것이 그렇지 않은 쪽의 것보다 그만큼 짧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브라켓과 지지브라켓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축관통공은 상기 프레임연결부가 연결되는 프레임 부분의 다양한 각도에 대응하여 장공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변속기가 설치되는 쪽의 장착브라켓에는 간섭회피공이 장공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바퀴는 상기 지지브라켓의 지지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보조바퀴의 회전중심이 되는 바퀴축에는 볼트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의 고정용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바퀴축의 반대쪽에서 상기 볼트부에 체결너트가 체결되고, 상기 볼트부에는 걸이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용축공이 인접하는 고정용축공과 연통되는 부분의 일측 단부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KR20-2004-0035536U 2004-12-14 2004-12-14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KR2003770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36U KR200377005Y1 (ko) 2004-12-14 2004-12-14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536U KR200377005Y1 (ko) 2004-12-14 2004-12-14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005Y1 true KR200377005Y1 (ko) 2005-03-14

Family

ID=43678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536U KR200377005Y1 (ko) 2004-12-14 2004-12-14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0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048A (ko) * 2015-04-28 2016-11-07 김영복 자전거의 보조바퀴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8048A (ko) * 2015-04-28 2016-11-07 김영복 자전거의 보조바퀴 조립체
KR101694235B1 (ko) 2015-04-28 2017-01-09 김영복 자전거의 보조바퀴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631B2 (en) Fork release mechanism of bicycle
JP4777236B2 (ja) 自転車
US20120167709A1 (en) Length adjustable bicycle crank
CN101130379B (zh) 自行车后拨链器
US20090137354A1 (en) Bicycle rear derailleur
JP4910189B2 (ja) 自転車のフレーム
JP3645877B2 (ja) 自転車用リアディレーラ
EP3378751B1 (en) Rear fender supporting structure of saddle-type vehicle
JP2013147199A (ja) 走行練習用自転車
US8403350B2 (en) Seatstay suspension mount
US7044874B2 (en) Bicycle rear derailleur
US7240907B2 (en) Tricycle crank structure
JPH0660593U (ja) 自転車用のリヤディレーラ用ブラケット
KR200377005Y1 (ko) 자전거용 보조바퀴조립체
JP2011235884A (ja) 子供用自転車シートの装着アセンブリ
JP3877347B2 (ja) 自動2輪車のチェーンケース
EP1342658B1 (en) Bicycle rear derailleur
GB2439298A (en) Rear wheel axle adjustment for chain tensioning
US20030141694A1 (en) Child's bicycle
US20050229741A1 (en) Highly efficient pedal crank for bicycles
KR200306897Y1 (ko) 편심 휠
KR102538476B1 (ko) 자전거 프레임
KR200308948Y1 (ko) 퀵보드 겸용 자전거
KR200413657Y1 (ko) 자전거의 보조바퀴브라켓 장착구조
JP4723349B2 (ja) 補助操作杆付幼児用乗物の連結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補助操作杆付幼児用乗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