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997Y1 - 자전거용 바엔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바엔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997Y1
KR200376997Y1 KR20-2004-0035391U KR20040035391U KR200376997Y1 KR 200376997 Y1 KR200376997 Y1 KR 200376997Y1 KR 20040035391 U KR20040035391 U KR 20040035391U KR 200376997 Y1 KR200376997 Y1 KR 200376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handle
mounting ring
bicycle
en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주
김남식
Original Assignee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천리자전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5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9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9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2Handlebars; Handlebar stems
    • B62K21/125Extensions; Auxiliary handle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18Connections between forks and handlebars or handlebar 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26Handlebar g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용 바엔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핸들에 착탈되는 장착링(30)과, 상기 장착링(30)에 일체로 결합되고 장착링(30)에서 핸들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프레임(34)과,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잡는 부분으로 상기 손잡이프레임(34)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프레임(34)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그립(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링(30)과 손잡이프레임(34)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그립(38)은 금속을 제외한 사출성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그립(38)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안착되는 엄지안착단(40)이 선단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립(38)의 외주면 일측에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이 안착되는 요철부(42)가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바엔드조립체는 상대적으로 제조원가가 싸고, 사출성형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그립을 형성하여 사용환경에 맞는 것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립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취향을 가지는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자전거용 바엔드 조립체{Bar ends assembly for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손위치를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는 자전거용 바엔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전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자전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은 프레임(1)에 장착된다. 먼저, 상기 프레임(1)에는 사용자가 앉는 안장(2)이 대략 그 중간 쯤에 설치된다. 상기 안장(2)은 그 높이가 조절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프레임(1)의 선단에는 헤드파이프(3)이 구비되는데, 상기 헤드파이프(3)를 관통하여서는 핸들축(5)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핸들축(5)에는 핸들(7)이 설치된다. 상기 핸들(7)은 상기 핸들축(5)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양손으로 각각 잡아 조향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핸들축(5)중 헤드파이프(3) 하부로 연장된 부분은 앞포크(9)와 연결된다. 상기 앞포크(9)에는 전륜(1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앞포크(9)는 상기 전륜(11)의 회전중심 양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7)을 핸들축(5)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앞포크(9)가 회전하면서 전륜(11)의 진행방향이 결정된다.
상기 프레임(1)의 후단부에는 후륜(13)이 설치된다. 상기 후륜(13)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에는 크랭크축(15)이 설치되고, 상기 크랭크축(15)의 양단에는 페달(15)이 설치된다. 상기 크랭크축(15)의 회전중심과 동축으로 구동스프라켓(17)이 구비되고, 상기 후륜(13)의 회전중심에는 종동스프라켓(17')이 구비된다. 상기 종동스프라켓(17')은 다수개로 구성되어 변속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스프라켓(17)과 종동스프라켓(17')에는 체인(19)이 걸어감아져 페달(16)의 구동력을 후륜(13)으로 전달한다.
한편, 산악자전거 등과 같이 안장(2)의 높이가 핸들(7)의 높이와 거의 같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상체가 핸들(7)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구성되는 경우에 보조적으로 바엔드조립체(20)가 사용된다. 도 2를 참고하여 상기 바엔드조립체의 구성을 설명한다.
장착링(21)은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핸들(7)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링(21)의 절개된 부분의 폭을 조절하기 위해 체결구(2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구(22)는 볼트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죄어짐에 의해 상기 장착링(21)의 절개된 부분의 폭을 좁혀주어 장착링(21)이 핸들(8)에 체결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22)가 풀어짐에 의해 상기 장착링(21)의 절개된 부분 사이의 폭을 넓혀주어 장착링(21)이 핸들(8)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장착링(21)에는 손잡이부(23)가 길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23) 역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링(21)에 직교하게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착링(21)과 손잡이부(23)는 각각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용접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손잡이부(23)는 바엔드조립체(20)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부(23)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았을 때, 각각의 손가락이 손잡이부(23)에 밀착되도록 요철부(24)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24)가 있음으로 해서 사용자의 손이 손잡이부(23)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상기 손잡이부(23)는 일반적으로 금속재질의 파이프를 가공하여 형성하는 것이어서, 그 선단에는 캡(25)이 구비된다. 상기 캡(25)은 상기 손잡이부(23)의 내부를 차폐하여 볼 수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바엔드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요철부(24)를 손잡이부(23)에 형성하기 위해서는 금속 파이프를 요철부(24)에 대응되는 형상의 금형에 넣고, 파이프의 내부에 유압을 가하는 포밍에 의해 형성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포밍가공은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3)를 형성하기 위한 파이프를 대략 타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압출하고, 상기 요철부(24)를 절삭가공에 의해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상기 요철부(24)가 형성되는 부분의 단면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압출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압출가공후에 다시 절삭가공을 하여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제조가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바엔드조립체(20)는 손잡이부(23)가 금속재질로 만들어 졌으므로, 특히 겨울과 같은 때에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때, 차가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바엔드조립체(20)는 전체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어 일부가 파손되거나 사용자가 손잡이부(23)의 모양이 다른 것을 사용하려면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가 간단한 자전거용 바엔드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손이 직접 닿는 그립의 구성을 금속 이외의 다른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 바엔드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그립만을 교체할 수 있는 바엔드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핸들에 착탈되는 장착링과, 상기 장착링에 일체로 결합되고 장착링에서 핸들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프레임과,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잡는 부분으로 상기 손잡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프레임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그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링과 손잡이프레임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그립은 금속을 제외한 사출성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그립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안착되는 엄지안착단이 선단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립의 외주면 일측에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이 안착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그립의 외주면중 손바닥이 닿는 부분은 손바닥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고 표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링은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상의 것으로 체결구에 의해 절개된 폭이 조절되어 핸들에 착탈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바엔드조립체는 상대적으로 제조원가가 싸고, 사출성형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그립을 형성하여 사용환경에 맞는 것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립만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취향을 가지는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바엔드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바엔드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장착링(30)은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원통형상으로,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링(30)은 자전거의 핸들 양단이 그 내부를 관통하게 핸들에 설치된다. 상기 장착링(30)은 그 내면이 핸들의 외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장착링(30)의 절개된 부분의 폭을 조절하는 체결구(32)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구(32)는 죄어짐에 의해 상기 장착링(30)의 절개된 부분의 폭을 좁혀 핸들의 외면에 장착링(30)의 내면이 밀착되게 한다. 상기 체결구(32)가 풀어지면 상기 장착링(30)의 절개된 부분의 폭을 넓혀 핸들에서 장착링(30)이 분리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장착링(30)에는 손잡이프레임(34)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손잡이프레임(34)은 원통형상의 금속파이프가 사용되었다. 하지만, 상기 손잡이프레임(34)이 반드시 원통형상의 파이프일 필요는 없으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되면 된다. 상기 손잡이프레임(34)은 상기 장착링(30)에 용접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손잡이프레임(34)과 상기 장착링(30)은 서로 직교하게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프레임(34)의 선단은 경사지게 절단되어, 상단경사부(36)를 구비한다. 상기 상단경사부(36)는 아래에서 설명될 그립(38)의 엄지안착단(40)과 대응되는 부분이다.
그립(38)은 금속재질을 제외하고 사출성형이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립(38)은 합성수지 재질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상기 그립(38)은 상기 손잡이프레임(36)의 외면을 둘러싸도록 손잡이프레임(36)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손잡이프레임(36)의 내부에는 일측 단부로 개구되게 프레임삽입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삽입공은 상기 손잡이프레임(36)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그립(38)의 선단에는 엄지안착단(40)이 형성된다. 상기 엄지안착단(40)은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가 그립(38)을 손바닥과 네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엄지안착단(40)에 안착시켜 보다 견고하게 그립(38)을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그립(38)의 외주면 일측에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요철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요철부(42)에 의해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을 그립(38)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그립(38)의 외주면중 사용자의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는 돌기(43)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43)는 사용자의 손바닥이 그립(38)에 밀착된 상태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돌기(43)가 형성되어 있는 그립(38)의 표면은 손바닥의 표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엔드조립체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그립(138)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상이면서 상대적으로 단순화된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그립(138)선단에도 엄지안착단(140)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을 안착시킬 수 있다. 상기 그립(138)의 외주면 일측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이 안착될 수 있는 요철부(142)가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바엔드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엔드조립체는, 예를 들면 산악용 자전거와 같이 핸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자전거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주행되는 노면의 경사도에 따라 사용자가 원래의 핸들을 잡던지 바엔드조립체의 그립(38)을 잡으면 되는 것이다.
상기 바엔드조립체는 상기 핸들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설치된다. 즉, 상기 체결구(32)를 풀어 상기 장착링(30)의 절결부가 벌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이 중앙을 관통하도록 상기 장착링(30)을 핸들에 장착한다.
다음으로는, 상기 장착링(30)의 설치위치와 그립(38)의 연장방향을 세팅하고 상기 체결구(32)를 죄어서 상기 장착링(30)이 핸들에 체결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체결구(32)를 일차로 약간 죈 상태에서 장착링(30)의 정확한 설치위치와 그립(38)의 연장방향을 설정하고, 체결구(32)를 완전히 죄어도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그립(38)의 연장방향은 지면에 대해 수직상방 보다는 약간 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하는 것이 사람의 체형상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그립(38)은 상기 손잡이프레임(34)에서 분리가능하다. 물론 일정 이상의 힘을 주어야 그립(38)을 손잡이프레임(34)에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하던 그립(38)을 제거하고 다른 다양한 그립(138)을 상기 손잡이프레임(34)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자전거의 다양한 사용환경이나 사용자의 취향이나 감각에 맞춰 다양한 그립(38)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바엔드조립체를 사용할 때는, 손바닥과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으로 그립(38)을 감싸 잡는다. 이때, 상기 네 손가락이 상기 요철부(42)에 안착되도록 하면 사용자의 손이 그립(38)을 보다 정확하고 견고하게 잡을 수 있다. 특히, 엄지손가락을 엄지안착단(40)에 놓게 되면 보다 편안한 상태로 그립(38)을 손으로 잡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립(38)을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만을 설명했으나, 보다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고, 여러가지 복합 재료로 그립(38)을 만들 수도 있다. 즉, 합성수지 재질로 그립(38)을 사출성형하고 손바닥이 닿는 부분에는 별도로 땀흡수가 좋은 재질을 덛대어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요철부(42) 대신에 그립(38)의 외면 전체를 둘러 미끄럼 방지를 위한 돌기를 형성한다든지 다양한 구성으로 그립(38)을 만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링(30)과 체결구(32)의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외에도 다양한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장착링이 손잡이프레임측에 일부가 일체로 구비되고 나머지는 분리되어 형성되고, 이 분리된 부분이 나사에 의해 손잡이프레임측에 일체로 된 장착링의 부분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전거용 바엔드조립체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프레임을 제조하는데 별다른 가공이 필요없고, 바엔드조립체의 외관을 구성하는 그립을 합성수지 등을 사용하여 사출성형하므로 상대적으로 제작이 용이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가 실제로 손으로 잡는 부분이 금속재가 아닌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 특히 겨울과 같이 기온이 낮을 때 사용이 편리한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그립을 사용자의 취향이나 자전거가 사용되는 환경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그립을 다양한 재질 및 형상으로 만들 수 있어 바엔드조립체를 다양한 디자인으로 만들 수 있어 사용자의 선택의 폭을 넓혀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자전거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바엔드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바엔드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그립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장착링 32: 체결구
34: 손잡이프레임 36: 상단경사부
38: 그립 40: 엄지안착단
42: 요철부

Claims (4)

  1. 핸들에 착탈되는 장착링과,
    상기 장착링에 일체로 결합되고 장착링에서 핸들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손잡이프레임과,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잡는 부분으로 상기 손잡이프레임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고 손잡이프레임을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그립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바엔드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링과 손잡이프레임은 금속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그립은 금속을 제외한 사출성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바엔드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이 안착되는 엄지안착단이 선단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그립의 외주면 일측에는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손가락이 안착되는 요철부가 형성되며, 그립의 외주면중 손바닥이 닿는 부분은 손바닥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고 표면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바엔드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링은 길이방향으로 일측이 절개된 원통형상의 것으로 체결구에 의해 절개된 폭이 조절되어 핸들에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바엔드조립체.
KR20-2004-0035391U 2004-12-13 2004-12-13 자전거용 바엔드 조립체 KR200376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391U KR200376997Y1 (ko) 2004-12-13 2004-12-13 자전거용 바엔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391U KR200376997Y1 (ko) 2004-12-13 2004-12-13 자전거용 바엔드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997Y1 true KR200376997Y1 (ko) 2005-03-14

Family

ID=4367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391U KR200376997Y1 (ko) 2004-12-13 2004-12-13 자전거용 바엔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9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00Y1 (ko) * 2007-09-17 2010-01-26 김기룡 자전거용 후사경 장착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500Y1 (ko) * 2007-09-17 2010-01-26 김기룡 자전거용 후사경 장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3087B2 (en) Bicycle handle-bar grip
US6003405A (en) Bicycle handlebar bar ends
US8057338B2 (en) Bicycle sprocket apparatus with reinforcement between sprockets
US4248448A (en) Bicycle enabling a substantially full length prone riding position
US20030029270A1 (en) Bicycle pedal adapter
US20090223320A1 (en) Handlebar grip
US6928897B2 (en) Bicycle handlebar extension with intergral armrest
US7017930B2 (en) Bicycle fork with tensioned damping member
ES2020486A6 (es) Un manillar para bicicletas, particularmente bicicletas de carreras.
US20090229403A1 (en) Bicycle Handle
KR200376997Y1 (ko) 자전거용 바엔드 조립체
US20080163719A1 (en) Handlebar palm support
US20040045132A1 (en) Ergonomic handle for bicycle
CN202175146U (zh) 摩托车方向把的把套
JP3103310B2 (ja) 自転車用ハンドル
JPH10297568A (ja) バーハンドル車のナックルガード
US11420705B2 (en) Handlebar
US8539859B2 (en) Bicycle handlebar with palm support
US6951344B2 (en) Child's bicycle
US7637339B2 (en) Number plate for a straddle type vehicle
US6742795B2 (en) Handlebar for two wheeled vehicle
CN214451593U (zh) 自行车把手的可替换辅助件结构
US5311792A (en) Hand lever for motorcycles or similar vehicles
TWI746301B (zh) 自行車把手之可替換輔助件結構
JP2002068044A (ja) 自動二輪車用ハンドル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