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975Y1 -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 Google Patents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975Y1
KR200376975Y1 KR20-2004-0035052U KR20040035052U KR200376975Y1 KR 200376975 Y1 KR200376975 Y1 KR 200376975Y1 KR 20040035052 U KR20040035052 U KR 20040035052U KR 200376975 Y1 KR200376975 Y1 KR 200376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s
pin
pet
side wall
toen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50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준기
Original Assignee
(주)엠아이펫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아이펫 filed Critical (주)엠아이펫
Priority to KR20-2004-00350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9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975Y1/ko
Priority to PCT/KR2005/002001 priority patent/WO2006062277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2Curry-combs;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Abstrac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에 관한 것으로, 애완동물의 발톱을 원하는 길이만큼 정확하게 깎을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는, 후단이 상호 결합되어 선단이 탄성적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선단부에 절단부(11a,12a)가 형성된 한 쌍의 상하부판(11,12)과, 이 상하부판(11,12)의 선단에 각각 천공된 구멍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13)과, 이 고정핀(13)의 상단(상부판(11)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되어 지렛대 역할을 하는 누름레버(14)와, 상기 상하부판 사이의 절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상하부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측벽부 중 제1측벽부(16a)에 지지되는 핀몸체(21), 상기 핀몸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판의 제2측벽부(16b)에 결합되어 상기 핀몸체와 상기 절단부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발톱의 삽입길이가 달라지도록 하는 노브(22)로 이루어진 길이조절 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애완동물용 발톱깎이{A nail clipper for pet}
본 고안은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의 발톱을 자를 때 발톱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에 관한 것이다.
애완동물의 발톱이 길게 되면 할큄을 당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가위나 발톱깎이를 이용하여 발톱을 깎아주고 있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발톱깎이(1)는 후단이 상호 결합되어 선단이 탄성적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선단부에 절단부(2a,3a)가 형성된 한 쌍의 상하부판(2,3)과, 이 상하부판(2,3)의 선단에 각각 천공된 구멍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4)과, 이 고정핀(4)의 상단(상부판(2)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되어 지렛대 역할을 하는 누름레버(5)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톱깎이를 이용한 애완동물의 발톱을 깎는 작업을 간략히 설명하면, 애완동물의 발톱(C)을 발톱깎이(1)의 상하부판(2,3)의 사이에 삽입하고, 누름레버(5)를 누르면 상하부판(2,3)이 서로 모아지면서 각각의 절단부(2a,3a)에 의해 삽입된 길이만큼의 발톱(C)이 잘려지게 되며, 누름레버(5)로부터 힘을 제거하면 상하부판(2,3)이 원상태로 벌어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발톱을 자를 때 사용자가 눈대중으로 발톱(C)을 삽입하기 때문에 발톱속의 신경을 잘라 출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애견의 경우에는 품종에 따라 발톱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야 한다. 즉, 발톱의 길이를 길게 하는 품종과 짧게 하는 품종이 있는데, 종래에는 사용자가 눈대중으로 발톱을 발톱깎이의 절단면 사이에 넣고 자르기 때문에 품종에 따른 애완동물의 발톱의 길이를 맞추지 못하여 상처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 명의 사용자가 한 마리의 애완동물의 발톱을 자르더라도 발톱을 삽입하는 길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한 마리의 애완동물의 발톱들의 길이가 균일하지 못한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애완동물의 발톱의 길이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애완동물용 발톱깎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든 발톱의 길이를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는, 절단부를 갖는 상하부판, 상기 상하부판을 조작하여 상기 절단부에 의해 발톱이 깎이도록 하는 누름부재와, 상기 상하부판의 사이에 상기 절단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애완동물의 발톱의 삽입정도를 구속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회전에 의해 절단부와의 거리가 달라질 수 있고, 전후로 슬라이딩되면서 절단부와의 거리가 달라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10)는, 후단이 상호 결합되어 선단이 탄성적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선단부에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단부(11a,12a)를 갖는 상하부판(11,12)과, 이 상하부판(11,12)의 선단에 각각 천공된 구멍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13)과, 이 고정핀(13)의 상단(상부판(11)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되어 지렛대 역할을 하는 누름레버(14)로 이루어진다.
상부판(11)은 대략 직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판(12)은 후술하는 발톱편 저장부(15)(도 2참고)의 형성을 위하여 그 선단부가 상부를 향해 개구된 대략 반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하부판(11,12)의 절단부(11a,12a)는 애완동물의 발톱을 깎을 때 발톱이 밀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깎이도록 서로 상하 대칭형의 호형상으로 형성된다. 왜냐하면 애완견의 발톱은 대략 산형태인데 절단부(11a,12a)가 직선형이면 발톱을 깎을 때 발톱이 밀리면서 상처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발톱깎이(10)는 발톱의 길이를 조절하여 정해진 길이만큼만 자르고, 모든 발톱의 길이를 균일하게 자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길이조절 핀(20)(도 3참조)이 채용된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길이조절 핀(20)은 상하부판(11,12) 사이의 절단부(11a,12a)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발톱과 맞닿으면서 발톱의 삽입길이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으로, 이하 길이조절 핀(2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 실시예 1 >
도 4a와 도 4b에서 보이는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핀(20)은 저장부(15)(도 3참조)의 내부에 삽입되며 대략 삼각단면의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발톱의 삽입을 구속하는 몸체(21) 및 몸체(21)의 일측에 형성되는 노브(22)로 이루어진다.
길이조절 핀(20)의 설치를 위하여 도 5에서와 같이, 상하부판(11,12)의 사이에는 각각 측벽부(16a,16b)가 각각 형성된다. 측벽부(16a,16b)는 그 하부가 바닥을 향해 절곡되어 서로 연결된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하부판(12)에 체결구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측벽부(16a,16b)는 길이조절 핀(20)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인 동시에 상하부판(11,12)과 함께 깎인 발톱편을 모으기 위한 발톱편 저장부(15)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1측벽부(16a)에는 발톱편 저장부(15)에 모인 발톱편을 버리기 위한 뚜껑(17)이 갖추어진다.
뚜껑(17)은 제1측벽부(16a)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하측이 측벽부(16a)에 힌지결합되면서 상단부에는 측벽부(16a)에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는 후크(17a)가 구비된다.
노브(22)는 제2측벽부(16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회전에 의해 핀몸체(21)의 위치를 조절한다.
핀몸체(21)는 삼각단면(예를 들어 두변의 길이가 동일한 이등변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면서 노브(22)가 편심 연결되어 절단부(11a,12a)와 제1면(21a), 절단부(11a,12a)와 제2면(21b)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한다. 이때, 제1면(21a)과 제2면(21b)에 의해 각각 깎이는 발톱의 길이는 예컨대 2㎜와 4㎜일 수 있다. 이 수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노브(22)는 도 4b에서 보이는 것처럼, 내측에 다수의 후크(22a)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제2측벽부(16b)에 탄력적으로 끼워 결합되고, 표면에는 핀몸체(21)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22b)가 형성된다. 표시부(22b)는 화살표의 형태일 수 있으며, 제2측벽부(16b)에는 표시부(22b)에 의해 지시되어 길이조절핀(20)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한 지시부가 표기된다. 상기 지시부는 발톱의 삽입길이(깎이는 발톱의 길이)를 표시하는 숫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애완동물의 품종에 따라 발톱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짧게 하여야 하며, 애완동물의 품종에 따라 발톱의 길이가 결정되면 길이조절 핀(20)을 조작한다.
예를 들어, 발톱의 길이를 많이 잘라내어 발톱을 짧게 하여야 하는 품종의 경우 절단부(11a,12a)와 핀몸체(21) 사이의 거리가 가깝도록 노브(22)를 조절한다. 즉, 도 6a에서 도시된 것처럼, 길이조절핀(20)의 제2면(21b)가 절단부(11a,12a)에 대응되도록 하면 절단부(11a,12a)와 핀몸체(21) 사이의 거리(a)(예컨대, 4㎜) 만큼의 발톱이 잘리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발톱을 깎이 위하여 발톱을 절단부(11a,12a) 사이에 삽입하면 발톱이 삽입되다가 핀몸체(21)의 제2면(21b)에 닿으면서 더 이상 삽입되지 않으며, 이어서, 누름레버(14)를 누르면 상하부판(11,12)이 모아지면서 절단부(11a,12a)에 의해 발톱이 깎이게 된다.
한편, 애완동물의 품종을 달리하여 발톱의 길이를 조금만 잘라내어 발톱을 길게 할 경우 절단부(11a,12a)와 핀몸체(21)의 거리가 멀도록 노브(22)를 조절한다. 즉, 도 6b에서 도시된 것처럼, 길이조절핀(20)의 제1면(21a)이 절단부(11a,12a)에 대응되도록 하면 절단부(11a,12a)와 핀몸체(21) 사이의 거리(b)(예컨대, 2㎜)만큼의 발톱이 잘리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발톱을 깎이 위하여 발톱을 절단부(11a,12a) 사이에 삽입하면 발톱이 삽입되다가 핀몸체(21)의 제1면(21a)에 닿으면서 더 이상 삽입되지 않으며, 이어서, 누름레버(14)를 누르면 상하부판(11,12)이 모아지면서 절단부(11a,12a)에 의해 발톱이 깎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조절 핀(20)과 절단부(11a,12a) 사이의 거리를 달리한 상태에서 발톱을 깎게 되면 발톱의 삽입길이가 동일하므로 모든 발톱을 균일한 길이로 깎을 수 있다.
< 실시예 2 >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핀(20)은 옆에서 볼 때 폭과 두께가 서로 다른 직사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그 이외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노브(22)의 회전에 의해 길이조절핀(20)의 장변 또는 단변이 절단부(11a,12a)에 대응되어 발톱의 삽입길이가 다르게 된다.
< 실시예 3 >
도 8a와 도 8b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길이조절 핀(20)은 측벽부(16a,16b)의 가이드공(23)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조절 핀(20)을 전후로 슬라이딩하면 절단부(11a,12a)와의 거리가 달라지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작용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에 의하면, 길이조절핀의 위치를 조절하여 발톱의 삽입정도를 구속하는 동시에 절단부와의 거리를 달리함으로써 애완동물의 발톱을 품종에 따라 적정길이로 깎을 수 있으므로 발톱을 깎이 위한 작업이 매우 단순하고, 애완동물의 발톱에 상해를 주지 않는다.
그리고, 길이조절핀이 조절된 상태에서 모든 발톱을 균일한 길이로 깎을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에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의 정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에 적용된 길이조절핀의 사시도와 이 길이조절핀이 결합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각각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에 적용된 길이조절핀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에 적용된 길이조절핀의 다른 예시도.
도 8a와 도 8b는 각각 본 고안에 애완동물용 발톱깎이에 적용된 길이조절핀의 또 다른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발톱깎이, 11 : 상부판
12 : 하부판, 13 : 고정핀
14 : 누름레버, 15 : 발톱편 저장부
16 : 커버, 20 : 길이조절핀

Claims (6)

  1. 후단이 상호 결합되어 선단이 탄성적으로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선단부에 절단부(11a,12a)가 형성된 한 쌍의 상하부판(11,12)과; 이 상하부판(11,12)의 선단에 각각 천공된 구멍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고정핀(13)과; 그리고, 이 고정핀(13)의 상단(상부판(11)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에 형성된 홈에 끼움 결합되어 지렛대 역할을 하는 누름레버(14)를 포함하는 발톱깎이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판 사이의 절단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좌우 폭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일측 단부가 상기 상하부판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측벽부(16a,16b) 중 제1측벽부(16a)에 지지되는 핀몸체(21), 상기 핀몸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상하부판의 제2측벽부(16b)에 결합되어 상기 핀몸체와 상기 절단부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발톱의 삽입길이가 달라지도록 하는 노브(22)로 이루어진 길이조절 핀(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핀의 핀몸체는 삼각단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노브가 편심 연결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상하부판 사이의 제2측벽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노브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핀몸체와 상기 절단부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핀의 상기 핀몸체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노브의 중심부에 연결되고, 상기 노브는 상기 상하부판 사이의 제2측벽부에 회전 가능하게 조립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핀몸체와 상기 절단부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판의 양측에 형성된 양측벽부(16a,16b)에는 각각 가이드공(23)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 핀은 그 좌우 양측이 상기 가이드공(23)에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 몸체(21),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전후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핀몸체와 상기 절단부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발톱의 삽입길이가 달라지도록 하는 노브(2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5.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판, 좌우 측벽의 사이에는 발톱편 저장부(15)가 형성되며, 상기 제1측벽부에는 상기 저장부를 개폐하는 뚜껑(17)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호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KR20-2004-0035052U 2004-12-09 2004-12-09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KR200376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52U KR200376975Y1 (ko) 2004-12-09 2004-12-09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PCT/KR2005/002001 WO2006062277A1 (en) 2004-12-09 2005-06-27 Nail clipper for p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5052U KR200376975Y1 (ko) 2004-12-09 2004-12-09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975Y1 true KR200376975Y1 (ko) 2005-03-10

Family

ID=36578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5052U KR200376975Y1 (ko) 2004-12-09 2004-12-09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76975Y1 (ko)
WO (1) WO200606227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25B1 (ko) * 2019-01-22 2019-05-14 남세인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KR102042367B1 (ko) 2018-11-08 2019-11-07 이보라 Led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KR20200042214A (ko) 2018-10-15 2020-04-23 이보라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한 led 광원 모듈
WO2021060581A1 (ko) * 2019-09-26 2021-04-01 류희원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KR20210071582A (ko) * 2019-12-06 2021-06-16 이보라 반려동물용 발톱 손질보조구
KR20240000107U (ko) 2022-07-08 2024-01-16 양승지 적외선 발생기가 있는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71115B (zh) * 2018-04-30 2020-11-24 张金发 一种猫用趾甲快速修剪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3947A (en) * 1975-01-09 1976-03-16 Voll Samuel T Toe nail clipper for dogs and other animals
US4449297A (en) * 1982-09-30 1984-05-22 Fuchs Dorothy J Clipping apparatus
US4982747A (en) * 1988-11-10 1991-01-08 Jnn International Nail clipper with nail positioning device
JPH0947317A (ja) * 1995-08-08 1997-02-18 Tec Corp 電動爪切り器
US5918375A (en) * 1997-09-17 1999-07-06 Rossi, Iii; John A. Nail clipper with measuring gauge
KR200243159Y1 (ko) * 2000-12-22 2001-09-25 강성분 애완동물용 안전 발톱깎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214A (ko) 2018-10-15 2020-04-23 이보라 탈착 및 부착이 가능한 led 광원 모듈
KR102042367B1 (ko) 2018-11-08 2019-11-07 이보라 Led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US10506796B1 (en) 2018-11-08 2019-12-17 Bo Ra Lee Claw clipper with LED for companion animal
WO2020096143A1 (ko) 2018-11-08 2020-05-14 이보라 Led가 구비된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KR101978625B1 (ko) * 2019-01-22 2019-05-14 남세인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WO2021060581A1 (ko) * 2019-09-26 2021-04-01 류희원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KR20210071582A (ko) * 2019-12-06 2021-06-16 이보라 반려동물용 발톱 손질보조구
KR102381213B1 (ko) 2019-12-06 2022-03-30 이보라 반려동물용 발톱 손질보조구
KR20240000107U (ko) 2022-07-08 2024-01-16 양승지 적외선 발생기가 있는 반려동물용 발톱깎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62277A1 (en) 2006-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40987A1 (en) Blade assembly
KR200376975Y1 (ko) 애완동물용 발톱깎이
US5459926A (en) Nail clipping and catching implement and collector assembly
KR970073897A (ko) 전기 면도기
US20080023956A1 (en) Fastening device for a ski skin
KR20050102137A (ko) 전기 면도기
US7003882B2 (en) Nail clipper
US7159595B2 (en) Pad for nail care devices
US3952439A (en) Animal tag
US20080168656A1 (en) Double ended clipper
KR101350392B1 (ko) 손톱 깎기
JP2020058754A (ja) 刃折ケース
JPH0614650Y2 (ja) 切爪飛散防止カバー付き爪切り
JP7062262B2 (ja) ヘアカットレザー
KR20170056392A (ko) 손톱 길이 조절구가 구비된 손톱깎이
KR200230986Y1 (ko) 손톱조각의 비산방지기능을 가지는 손톱조각수거함을 장착한 손톱깎이
JPS6112933Y2 (ko)
JP3075973U (ja) ロールペーパーカッター用取付部材
KR200393696Y1 (ko) 손톱깎이
KR200217597Y1 (ko) 손톱깍이
JPH031800U (ko)
JPH105457A (ja) ヘアーカッター
KR200172875Y1 (ko) 미용 기구
KR200428930Y1 (ko) 다중 컷팅구조를 갖는 가위
KR200362134Y1 (ko) 손톱깎이의 손톱 캡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