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628Y1 -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 Google Patents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628Y1
KR200376628Y1 KR20-2004-0034486U KR20040034486U KR200376628Y1 KR 200376628 Y1 KR200376628 Y1 KR 200376628Y1 KR 20040034486 U KR20040034486 U KR 20040034486U KR 200376628 Y1 KR200376628 Y1 KR 2003766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driven gear
drive chain
shaft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44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 자동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 자동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 자동화
Priority to KR20-2004-00344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6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6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6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20Parts of seeders for conducting and depositing se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씨앗이나 비료를 넣어 소량씩 규칙적으로 배출하는 호퍼를 탈부착시키는 호퍼 장탈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퍼의 배출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종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호퍼장착부에 설치된 구동체인과의 연결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 호퍼의 장착시 선단의 조립축을 축으로하여 누르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하부에 일정양의 씨앗을 규칙적으로 배출시키는 복수개의 배출롤러(21)가 장착되어 파종기의 장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퍼(20)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 축(22)의 일단에 종동기어(23)를 설치하고, 상기 종동기어(23)와 대응되는 위치의 전방의 구동축(12)에 제1스프로킷(13a)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후방에 제2스프로킷(13b)을 설치하여 상기 제1,제2스프로킷(13a)(13b)에 감기는 구동체인(14)을 설치하여 상기 종동기어(23)가 상기 구동체인(14)에 연결되어 동작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파종기로부터 별도의 몸체로 분리된 상기 다수의 호퍼는 그 일측의 종동롤러가 호퍼장착부의 구동축에 설치된 제1,제2스프로킷 및 그에 감겨있는 구동체인에 맞물려 동력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동기어와의 맞물림시 유연성을 갖는 구동체인 및 상기 구동체인을 이루는 핀에 의해 어떠한 경우에도 맞물릴 수 있는 여유가 있고, 또 호퍼 선단의 조립축을 조립홈에 끼운 후 후측을 누르게 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조립축을 축으로 회동하면서 구동체인과의 맞물림이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후측의 클램프에 자동적으로 결합완료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노약자라하더라도 오류없이 호퍼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분리시에는 상기 클램프의 걸림쇠를 후퇴시키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hoper}
본 고안은 씨앗이나 비료를 넣어 적량씩 규칙적으로 배출하는 호퍼를 탈부착시키는 호퍼 장탈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된 호퍼의 배출롤러를 결합시키면 호퍼장착부의 구동축에 의해 연동하는 체인에 맞물려 구동 되도록 하고, 또 호퍼의 장착시 선단의 조립축을 조립홈에 삽입하여 이를 축으로하여 누르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적은 힘으로도 체인과 맞물림됨과 동시에 후측의 클램프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호퍼의 장탈착이 용이하도록 한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파종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호퍼(5)가 파종기로부터 완전히 분리 가능하도록 별도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각 호퍼가 결합될 파종기에는 호퍼가 설치될 호퍼장착부(1)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각 호퍼(5)에는 배출롤러(6)와 상기 배출롤러 축(7) 일단에 종동기어(8)가 설치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상기 호퍼장착부(1)에는 각 호퍼(5)의 종동기어(8)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기어(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호퍼(5)의 하측 선단에 조립축(9)이 형성되고 후측에는 핀홀(h)을 갖는 고정편(P1)을 갖고, 이와 대응되는 호퍼장착부(1)에는 상기 조립축(9)이 결합될 조립홈(3)과 그 후측에 고정핀결합부(P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호퍼(5)를 장착할 때에는 상기 호퍼(5)의 조립축(9)을 상기 호퍼장착부(1)의 조립홈(3)에 끼우면서 종동기어(8)와 구동기어(2)를 치합시킨 후 후측의 고정편(P1)의 핀홀(h)을 고정핀결합부(P2)을 일치시키고 이에 고정핀(4)을 꽂아 결합을 완료 시킨다.
파종기를 동작시키면 구동기어(2)가 회전하면서 이와 맞물린 종동기어(8)를 회전시켜 각 호퍼(5)의 배출롤러(6)를 동작시킴으로써 씨앗을 파종하거나 시비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호퍼(5)를 분리할 때에는 후측의 핀홀(h)과 고정핀결합부(P2)에 끼워진 고정핀(4)을 뽑고 호퍼(5)를 들어올리면 상기 조립홈(3)의 조립축(9)이 이탈되면서 호퍼(5)가 완전히 분리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종기는 호퍼(5)를 장착시킬 때 조립축(9)을 조립홈(3)에 끼운 상태에서 구동기어(2)와 종동기어(8)를 맞물릴 때 종종 구동기어(2)와 종동기어(8)의 기어이가 치합되지 않고 그 끝단이 확대 도시된 도 1의 "A"에서와 같이 맞대응되어 호퍼(5)의 장착이 어려워지고 또 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이럴때에는 종동기어(8)를 수작업으로 전후로 약간씩 움직여 기어이의 위치를 변화시켜 치합이 가능해지도록 해주어야 하는데, 파종기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고령인 관계로 기계를 다루는 것이 서툴러 상기와 같은 치합불량의 오류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또 이러한 오류를 파종기의 고장으로 인식하여 수리를 의뢰하는 경우도 많아 시간 및 비용적 손실을 초래함에 따라 이에 대한 해결의 요구가 있었다. 심지어는 무리한 힘을 가하여 조립을 실시함에 따라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
이와 아울러 호퍼의 배출롤러(6)를 동작시키는 종동기어(8)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기어(2)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에 흙과 같은 이물질이 끼게 되면 구동기어(2)와 종동기어(8)간의 치합 불량은 더욱더 심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퍼(5)를 장착하기 위해 구동기어(2)와 종동기어)8)를 결합시킨 후에는 반드시 호퍼(5)의 후측에 결합핀(4)으로 고정시키는 조작이 반드시 필요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종래의 파종기 호퍼의 장탈착 구조에서 호퍼의 종동기어와 호퍼장착부의 구동기어간의 치합 불량을 해결해야하고, 이를 통한 호퍼의 장탈착이 용이하도록 해야하며, 결합시 결합핀을 체결해야하는 불편함을 제거해야하는 과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상기 호퍼에 설치된 종동기어에 동력을 전달하는 수단을 구동체인으로 구성하여 종동기어와의 치합시 구동체인의 핀에 의해 유연성을 갖도록 하고, 또 호퍼 하단 선단의 조립축을 조립홈에 끼운 후 후측을 누르게 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조립축을 축으로 회동하면서 후측의 클램프에 자동적으로 결합완료되도록 하고 또 분리시에는 상기 클램프의 걸림쇠를 후퇴시키면 용이하게 분리되게 함으로써 호퍼의 조립 및 분해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의 측면도이고, 도 3a,3b,3c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종기에는 씨앗을 파종하거나 비료를 시비하기 위한 호퍼(20)가 설치된다.
이 호퍼(20)는 복수개 구성되어 파종열에 따라 그 갯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씨앗 또는 비료의 용이한 투입을 위해 도 2a와 같이 호퍼장착부(10)로부터 완전히 분리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분리가능하도록 된 각 호퍼(20)의 하부에는 일정양의 씨앗을 규칙적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롤러(21)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롤러 축(22)의 일측에는 종동기어(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와 대응되는 호퍼장착부(10)에는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구동장치와 연결된 하나의 구동축(12)이 횡설되어 있으며, 상기 종동기어(23)와 대응되는 위치의 구동축(12)에는 제1스프로킷(13a)이 설치되어 있고, 그 후방에는 제2스프로킷(13b)이 나란히 설치되어 이에 구동체인(14)이 감겨있다. 이때 상기 제1,제2스프로킷(13a)(13b)과 구동체인(14)의 둘레에는 상부 즉, 호퍼가 결합되는 쪽이 개방된 기어박스(c)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호퍼(20)의 하측 선단부 양측에는 조립축(24)이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호퍼장착부(10)에는 기어박스의 양측 지지벽(15)에는 조립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홈(16)은 상기 조립축(24)을 안내하는 것으로 특히 호퍼(20)가 정확한 위치로 자리잡도록 해주는 역할과 종동기어(23)가 구동체인(14)과 적당한 장력으로 연결되도록 안내해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호퍼(20)의 후측에는 걸림턱(25)을 가진 돌출부(24) 형성되어 있고, 이와 대응되는 호퍼장착부(10)에는 클램프(17)가 설치되어 있다. 이 클램프(17)는 상기 걸림턱(25)과 반대의 턱(18)을 가지고 전후진하는 걸림쇠(17)가 있는데, 상기 걸림쇠(17)의 하부에는 판스프링 형태의 텐션부재(19)가 장착되어 전방으로의 탄력돌출 성질을 갖고 있다. 물론 텐션부재(19)는 코일스프링이어도 무방하다. 특히 도 3a,3b,3c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호퍼 장착구조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상술한 구조의 호퍼(20)를 장착하고자 할 때에는 도 3b와 같이 호퍼(20)의 하부 선단부의 조립축(24)을 상기 호퍼장착부(10)의 조립홈(16)에 삽입시킨다.
조립축(24)이 조립홈(16)에 삽입완료되면 호퍼(20)의 후측을 회동시킨다. 이 조작에 의해 호퍼(20)가 조립축(24)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먼저 종동기어(23)가 구동체인(14)에 물리게 되고 계속적인 회동에 의해 구동체인(14)을 가압하여 적당한 장력을 갖도록 해준다.
이어서 호퍼(20) 후측의 걸림턱(25)이 클램프(17)의 걸림쇠(18)에 맞대응되면 걸림쇠(18)는 텐션부재(19)을 압축시키면서 후퇴하게 되고 걸림턱(25)이 걸림쇠(18)를 지나게 되면 압축되어 있던 텐션부재(19)의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하여 도 3c와 같이 호퍼(20)의 걸림턱(25)에 걸리게 되어 호퍼(20)는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호퍼(20)의 장착과정에서 호퍼(20)의 기어이와 구동체인(14)의 핀부가 맞대응될 때가 있다. 하지만 조립축(24)을 축으로 호퍼(20)를 후측으로 회동시키는 동작에서 약간의 힘만 가하게 되더라도 지렛대원리에 의해 큰 힘을 가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구동체인(14)의 원형 핀의 회전에 의해 그리고 구동체인(14)의 유연성에 의해 회전각 변화와 더불어 그로인한 종동기어(23)의 회전이 유도됨에 따라 구동체인(14)에 맞물림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 구조에 의해 노약자라 하더라도 호퍼(20)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호퍼(20)를 호퍼장착부(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호퍼(20) 후측의 걸림턱(25)에 걸리있는 레버형태의 걸림쇠(18)를 손으로 후퇴시키면 호퍼(20)의 걸림턱(25)이 자유롭게 되므로 호퍼(20)는 전방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되고, 또 맞물려있는 종동기어(23)가 구동체인(14)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어서 호퍼(20)를 들어올리게 되면 호퍼(20) 선단의 조립축(24)이 안내홈으로부터 분리되므로 호퍼(20)는 용이하게 분리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파종기로부터 별도의 몸체로 분리된 상기 다수의 호퍼는 상기 종동롤러가 호퍼장착부의 구동축에 설치된 제1,제2스프로킷 및 그에 감겨있는 구동체인에 맞물려 동력이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종동기어와의 맞물림시 유연성을 갖는 구동체인 및 상기 구동체인을 이루는 핀에 의해 오류없이 확실한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호퍼 선단의 조립축을 조립홈에 끼운 후 후측을 누르게 되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조립축을 축으로 회동하면서 구동체인과의 맞물림이 이루어짐은 물론이고, 후측의 클램프에 자동적으로 결합완료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기계조작이 서투른 초보자 또는 노약자라하더라도 오류없이 호퍼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분리시에는 상기 클램프의 걸림쇠를 후퇴시키면 분리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의 측면도.
도 3a,3b,3c는 본 고안에 따른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설명 ***
10 - 호퍼장착부 12 - 구동축 13a,13b - 제1,제2스프로킷
14 - 구동체인 15 - 지지벽 16 - 조립홈
17 - 클램프 18 - 걸림쇠 19 - 텐션부재
20 - 호퍼 21 - 배출롤러 22 - 배출롤러축
23 - 종동기어 24 - 조립축 25 - 걸림턱
c - 기어박스

Claims (4)

  1. 하부에 일정양의 씨앗을 규칙적으로 배출시키는 복수개의 배출롤러(21)가 장착되어 파종기의 호퍼장착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호퍼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 축(22)의 일단에 종동기어(23)를 설치하고,
    상기 종동기어(23)와 대응되는 위치의 호퍼장착부 구동축(12)에 제1스프로킷(13a)을 그리고 상기 제1스프로킷과 나란하게 제2스프로킷(13b)을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제2스프로킷(13a)(13b)에 감기는 구동체인(14)을 설치하여 상기 호퍼의 조립시 종동기어(23)가 상기 구동체인(14)에 연결되어 동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20)의 하측 선단부 양측에 조립축(24)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축(24) 대응되는 호퍼장착부(10)에는 상기 종동기어(23)가 구동체인(14)과 연결되는 자리로 상기 조립축(24)을 안내하는 조립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20)의 후측에 걸림턱(25)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턱(25)과 대응되는 호퍼장착부(10)에 클램프(17)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17)는 상기 호퍼(20) 후측의 걸림턱(25)과 반대의 턱을 가지고 전후진하는 걸림쇠(18)를 갖고, 상기 호퍼장착부(10)에 지지되어 상기 걸림쇠(18)에 상기 걸림턱(25)방향으로 탄력돌출성향을 부여하는 텐션부재(19)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KR20-2004-0034486U 2004-12-06 2004-12-06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KR2003766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486U KR200376628Y1 (ko) 2004-12-06 2004-12-06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4486U KR200376628Y1 (ko) 2004-12-06 2004-12-06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0767A Division KR100752725B1 (ko) 2006-02-03 2006-02-03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628Y1 true KR200376628Y1 (ko) 2005-03-11

Family

ID=4367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4486U KR200376628Y1 (ko) 2004-12-06 2004-12-06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6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932A1 (en) * 2006-01-19 2007-07-26 Jang Jadonghwa Co., Ltd Sowing plow
KR20200077834A (ko)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그린맥스 복합형 정밀파종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83932A1 (en) * 2006-01-19 2007-07-26 Jang Jadonghwa Co., Ltd Sowing plow
JP2009502163A (ja) * 2006-01-19 2009-01-29 ジャン ジャドンガ シーオー エルティーディー 播種機
CN102550177A (zh) * 2006-01-19 2012-07-11 株式会社张自动化 播种机
KR20200077834A (ko) 2018-12-21 2020-07-01 주식회사 그린맥스 복합형 정밀파종기 및 그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9135B2 (ja) 播種機
US5024173A (en) Clutch for chemical dispenser for planter
US20030084830A1 (en) Garlic upright-positioning and planting device
JP4924802B2 (ja) 苗植付装置
KR100752725B1 (ko)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KR100752626B1 (ko) 원터치 탈부착 방식의 호퍼와 결합된 파종용쟁기
KR200376628Y1 (ko) 파종기의 호퍼 장탈착 구조
KR100606143B1 (ko) 원터치 착탈호퍼를 갖는 파종기
WO2010064676A1 (ja) 施肥装置
JP5061021B2 (ja) 移植機の苗トレイ送り装置
KR200433308Y1 (ko) 원터치 착탈호퍼를 갖는 파종기
KR20120113657A (ko) 파종기
KR20170099262A (ko) 조향핸들형 파종장치
JP2816929B2 (ja) 多条型直播装置
CN109121593B (zh) 山药播种机
JP7309586B2 (ja) 粉粒体供給作業機の供給装置伝動構造
JP6895529B2 (ja) スライダー移動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スライドファスナー
JP4982231B2 (ja) 遊技機
CN219269529U (zh) 一种青菜播种机
WO2018016096A1 (ja) 育苗箱用播種機の繰出しロールの掻出フォーク構造
CN110073787B (zh) 用于移栽机苗盘架的两排距间歇换排装置
JP3377235B2 (ja) 苗植付装置
KR200181025Y1 (ko) 마늘파종기
CN2896835Y (zh) 水稻超级栽植机秧盘纵向进给装置
CN211745284U (zh) 一种播种机槽轮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6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