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572Y1 - 보강토 블록 - Google Patents

보강토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572Y1
KR200376572Y1 KR20-2004-0033355U KR20040033355U KR200376572Y1 KR 200376572 Y1 KR200376572 Y1 KR 200376572Y1 KR 20040033355 U KR20040033355 U KR 20040033355U KR 200376572 Y1 KR200376572 Y1 KR 200376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ll
reinforcement
side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3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희
최영준
Original Assignee
최진희
최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희, 최영준 filed Critical 최진희
Priority to KR20-2004-00333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5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5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강토 블록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 및 경사시공이 가능하고 격자보강재에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사면에 고정됨으로써 축조시 블록이 전후 좌우로 이동되지 않아 시공성이 우수하고, 시공후 사면에 보다 견고히 안정적으로 고정되며, 식생공을 구비하여 축조 후 식물이 생육됨으로써 친 환경적인 보강토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달성을 위한 본 고안은 옹벽의 외측을 형성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방돌출벽(20)과, 상기 전방돌출벽(20)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는 측벽(30)과, 상기 측벽(30)의 후단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고 상부에 다수의 보강재홈(41)이 형성된 후방벽(50)과, 상기 측벽(30)의 중심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여 전방으로는 식물이 생육되는 식생공(60)이 형성되고 후방으로는 채움공(61)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부면에 다수의 보강재홈(41)이 형성되어 있는 격벽(40)과, 상기 측벽(3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격벽(30)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전방돌기(31) 및 후방돌기(32)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보강토 블록{A breast wall block}
본 고안은 보강토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물생육공간을 구비하여 친환경적이며 격자형태의 보강재를 통해 경사면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어 토압이나 수압에 의해 쉽게 전도되지 않으며 블록의 축조시에도 이동되지 않아 시공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수직 및 경사시공이 가능한 보강토 블록에 관한 것이다.
하천변이나 강변은 물론 도로변, 절개지의 경사면이나 조경벽면 등의 각종 경사면에는 그 경사면의 토사가 유실되거나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망이나 블록을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블록은 경사면의 각도에 따라 수직으로 쌓아 올리거나 경사지도록 쌓아 올려 축조하게 되는데, 이때 블록의 축조시 전도되지 않고 보다 안정적으로 경사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블록의 후방에 보강재를 설치한 후 경사면의 내부에 삽입 고정하여 축조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강재는 블록의 후방에 앵커로 연결되고 경사면의 내부로 연장되어 삽입 설치되어 있어, 앵커만으로 블록을 고정하기 때문에 블록과 보강재와의 결합력이 약하여 블록의 축조에 의해 형성된 옹벽이 토압이나 수압에 의해 전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블록을 조적하거나 토사를 메우는 과정에서 블록이 토사의 압력에 의해 최초 조적한 위치에서 이동되어 정확한 위치로의 축조가 어려워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되는 것으로, 수직 및 경사시공이 가능하고 격자보강재에 끼워지도록 결합되어 사면에 고정됨으로써 축조시 블록이 전후좌우로 이동되지 않아 시공성이 우수하고, 시공후 사면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며, 식생공을 구비하여 축조 후 식물이 생육됨으로써 친 환경적인 보강토 블록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옹벽의 외측을 형성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방돌출벽과, 상기 전방돌출벽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는 측벽과, 상기 측벽의 후단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고, 상부에 다수의 보강재홈이 형성된 후방벽과, 상기 측벽의 중심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여 전방으로는 식물이 생육되는 식생공이 형성되고, 후방으로는 채움공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부면에 다수의 보강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격벽과, 상기 측벽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는 전방돌기 및 후방돌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블록의 평면도 및 정면도로서,
본 고안의 블록(10)은 블록을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할 경우 상기 옹벽의 외측으로 형성되고 아크형태로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방돌출벽(20)과, 상기 전방돌출벽(20)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는 측벽(30)과, 상기 측벽(30)의 후단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후방벽(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방벽(50)이 측벽(30)의 후단부를 밀폐함에 따라 블록(10)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은 상기 측벽(30)의 중심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격벽(40)에 의해 2등분되어 전방으로는 식물이 생육되는 식생공(60)이 형성되고, 후방으로는 채움공(6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10)은 다단으로 적층시 수직 또는 경사지게 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30)의 상부면에 전방돌기(31) 및 후방돌기(32)가 형성되되, 상기 전방돌기(31)와 후방돌기(32)는 격벽(40)을 중심으로 격벽(40)의 전방에는 전방돌기(31)가 형성되고, 후방으로는 후방돌기(32)가 형성된다.
상기 전방돌기(31)와 후방돌기(32)의 이격거리는 상부에 놓여지는 블록의 격벽(40)이 끼워질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또한 상기 격벽(40)과 후방벽(50)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보강재홈(41)을 구비한다.
한편 본 고안은 도 3, 도4 에서와 같이 상기 보강재홈(41)에 끼워지고 후방으로 연장되어 지중에 매설됨에 따라 상기 블록(10)을 보다 견고히 고정해주는 격자보강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격자보강재(70)는 보강재홈(41)에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는 세로보강재(71)와, 상기 세로보강재(71)를 폭방향으로 연결하여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가로보강재(72)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로보강재(72)는 세로보강재(72)의 하측으로 결합되어 보다 견고히 블록(10)의 격벽(40)과 후방벽(50)을 잡아주도록 한다. 이때 상기 가로보강재(72)는 상기 후방벽(50)과 격벽(40)의 전,후면을 견고히 잡아준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블록(10)을 다단으로 축조하되, 상하에 위치하는 블록(10)이 서로 엇갈리도록 적층하여 수직축조하고, 또한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축조하여 경사축조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블록의 축조방법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고안의 블록을 수직축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블록을 수직축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블록을 경사축조한 상태를 나타내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의 블록을 경사축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 는 본 고안이 블록에 격자보강재를 설치한 후 수직축조하여 사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고안이 블록에 격자보강재를 설치한 후 경사축조하여 사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블록(10)을 수직하게 축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면에 블록(10)을 차례대로 수평하게 배열하고, 블록의 보강재홈(41)에 격자보강재(70)가 끼워지도록 결합하여 후방으로 연장해 놓는다. 이때 상기 격자보강재(70)의 세로보강재(71)는 보강재홈(41)에 끼워지고 가로보강재(72)는 블록의 격벽(40)과 후방벽(50)을 견고히 잡아주게 된다.
이렇게 배열된 블록(10)의 상부에 블록(10)을 적층하되, 상부에 놓여지는 블록(10)은 하측에 위치한 블록(10)의 사이에 엇갈리도록 적층한다. 이때 상기 상부에 놓여지는 블록(10)의 격벽(40)은 하측에 놓여진 인접한 2개의 블록(10)의 전방돌기(31)와 후방돌기(32) 사이에 끼워지도록 놓여짐에 따라 후방돌기(32)는 채움공(61)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전방돌기(31)는 식생공(60)의 내부에 삽입되어 축조된다.
또한 상부에 놓여진 블록(10)의 보강재홈(41)에도 격자보강재(70)를 설치하여 블록(10)이 법면(100)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블록(10)을 수직하게 다단으로 축조하여 수직한 상태의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블록(10)을 경사지게 축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면에 블록(10)을 차례대로 수평하게 배열하고, 블록(10)의 보강재홈(41)에 격자보강재(70)가 끼워지도록 하여 후방으로 연장해 놓는다. 이때 상기 격자보강재(70)의 세로보강재(71)는 보강재홈(41)에 끼워지고 가로보강재(72)는 블록(10)의 격벽(40)과 후방벽(50)을 견고히 잡아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하게 배열된 블록(10)의 상부에 블록(10)을 적층하되, 상부에 놓여지는 블록(10)은 하측에 위치한 블록(10)의 사이에 엇갈리고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적층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에 놓여지는 블록(10)의 격벽(40)은 하측에 놓여진 인접한 2개의 블록(10)의 후방돌기(32)의 후방으로 안착됨에 따라 후방돌기(32)와 전방돌기(31)가 모두 식생공(6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위치하여 블록(10)이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축조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10)들의 상부에 놓여진 블록(10)의 보강재홈(41)에도 격자보강재를 설치하여 블록(10)이 법면(100)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블록(10)을 경사지게 다단으로 축조하여 경사진 형태의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아크형태의 전방돌출벽(20) 및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는 측벽(30)에 의해, 축조되는 블록(10)이 인접하는 블록(10)과 수평하게 놓여지지 않고 법면의 회전반경에 상응하도록 소정의 회전반경을 가지는 옹벽형태로 축조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경사진 법면, 수직한 법면, 경사 또는 수직하되 일정 각도의 회전반경을 가지는 법면에도 축조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식생공(60)에 식물이 생육되어 친환경적인 보강토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에 의해 기대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효과는, 수직, 경사, 일정각도의 회전 반경을 가지는 다양한 법면에 상응하도록 시공이 가능하고, 격자보강재를 이용하여 보다 견고히 블록을 잡아줌으로써 블록의 축조시 블록의 좌우 이동에 의한 블록의 시공성의 불편함을 해결하여 보다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블록 법면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 축조 후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블록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식생공에 식물이 생육됨에 따라 자연 친화적인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블록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블록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블록에 격자보강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블록에 격자보강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블록을 수직축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블록을 수직축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본 고안의 블록을 경사축조한 상태를 나타내 사시도,
도 8 은 본 고안의 블록을 경사축조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 는 본 고안이 블록에 격자보강재를 설치한 후 수직축조하여 사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 은 본 고안이 블록에 격자보강재를 설치한 후 경사축조하여 사면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블록 (20) : 전방돌출벽
(30) : 측벽 (31) : 전방돌기
(32) : 후방돌기 (40) : 격벽
(41) : 보강재 홈 (50) : 후방벽
(60) : 식생공 (61) : 채움공
(70) : 격자보강재 (71) : 세로보강재
(72) : 가로보강재 (100) : 법면

Claims (3)

  1. 옹벽의 외측을 형성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전방돌출벽(20)과,
    상기 전방돌출벽(20)의 양단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되, 내측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는 측벽(30)과,
    상기 측벽(30)의 후단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고 상부에 다수의 보강재홈(41)이 형성된 후방벽(50)과,
    상기 측벽(30)의 중심부를 폭방향으로 연결하여 전방으로는 식물이 생육되는 식생공(60)이 형성되고 후방으로는 채움공(61)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부면에 다수의 보강재홈(41)이 형성되어 있는 격벽(40)과,
    상기 측벽(30)의 상부에 형성되되, 상기 격벽(30)을 중심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는 전방돌기(31) 및 후방돌기(3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홈(41)에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보강재(71)와, 상기 세로보강재(71)를 폭방향으로 연결하여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가로보강재(72)로 이루어져 격벽(40)과 후방벽(50)을 잡아주고 법면의 내부에 고정되는 격자보강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격자보강재(70)의 가로보강재(72)는 세로보강재(71)의 하측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토 블록.
KR20-2004-0033355U 2004-11-25 2004-11-25 보강토 블록 KR200376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355U KR200376572Y1 (ko) 2004-11-25 2004-11-25 보강토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355U KR200376572Y1 (ko) 2004-11-25 2004-11-25 보강토 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229A Division KR100693478B1 (ko) 2004-11-25 2004-11-25 보강토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572Y1 true KR200376572Y1 (ko) 2005-03-10

Family

ID=43678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355U KR200376572Y1 (ko) 2004-11-25 2004-11-25 보강토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5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02B1 (ko) 2006-05-30 2007-08-22 중앙콘크리트(주)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성토부 축조방법
KR100750703B1 (ko) * 2006-05-30 2007-08-22 중앙콘크리트(주)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절토부 축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702B1 (ko) 2006-05-30 2007-08-22 중앙콘크리트(주)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성토부 축조방법
KR100750703B1 (ko) * 2006-05-30 2007-08-22 중앙콘크리트(주) 생태축조블록을 이용한 절토부 축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465B1 (ko) 압출 성형 스트립 보강재를 이용한 블록식 옹벽 축조시스템
KR100536620B1 (ko) 어소 및 옹벽용 블록
KR101331840B1 (ko) 옹벽 축조용 식생블록
KR100693478B1 (ko) 보강토 블록
KR200376572Y1 (ko) 보강토 블록
KR200404262Y1 (ko) 식생 보강토 옹벽블록
KR200440047Y1 (ko) 옹벽용 블록
KR100892421B1 (ko) 식생용 옹벽블럭
KR100927819B1 (ko) 토낭 축조식 옹벽 구축용 연결 패널
KR101366837B1 (ko) 식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KR101365658B1 (ko) 토낭 받침대
KR100631379B1 (ko) 환경 친화적인 보강토 옹벽용 조적식 식생 블록 및 이를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 방법
KR200394946Y1 (ko) 환경식생 옹벽블록
KR100794221B1 (ko) 친환경 식생옹벽
KR100536304B1 (ko) 식생옹벽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블럭식 옹벽 축조방법
JP2006522246A (ja) 護岸用ブロック
KR200442424Y1 (ko) 식생용 옹벽블록
KR200491914Y1 (ko) 조립형 옹벽 구조물
KR102116487B1 (ko) 옹벽
KR102321123B1 (ko) 우각부 블록 및 이를 구비한 벽체 구조물
KR101726154B1 (ko) 복합형 식생토낭옹벽
KR200381308Y1 (ko) 블록으로 축조된 환경친화적 옹벽
KR100593181B1 (ko) 축대옹벽블록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238975B1 (ko) 자연사면 복원 및 보강을 위한 테라스형 식생블록
KR100402203B1 (ko) 옹벽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1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