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978Y1 - 단열벽 고정구 - Google Patents

단열벽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978Y1
KR200375978Y1 KR20-2004-0031799U KR20040031799U KR200375978Y1 KR 200375978 Y1 KR200375978 Y1 KR 200375978Y1 KR 20040031799 U KR20040031799 U KR 20040031799U KR 200375978 Y1 KR200375978 Y1 KR 2003759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pport pin
heat insulating
fixing plate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1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준
Original Assignee
케이디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디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디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1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9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9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9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04B1/7633Dowels with enlarged insulation retaining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04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 F16B13/045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with parts gripping in the hole or behind the reverse side of the wall after inserting from the front having axially compressing parts allowing the clamping of an object tightly to the wa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평줄에 맞추도록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단열벽의 설치 작업을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단열벽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는 건물의 내벽에 단열재와 마감재가 차례로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단열벽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내벽에 고정되는 밑판과, 내벽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밑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단부 외주면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내벽에 부착되는 단열재를 관통 지지하는 지지핀과, 지지핀의 나사면에 대응되는 나사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지지핀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후면은 단열재를 내벽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고 전면은 마감재에 접하는 고정판과, 마감재 설치를 위한 수평 기준면으로 설치되는 수평줄을 수용하도록 고정판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열벽 고정구 {Device for fixing an insulating material}
본 고안은 단열벽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평줄에 맞추도록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어 단열벽의 설치 작업을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단열벽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이나 벽면에는 보온이나 열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단열벽이 시공된다. 단열벽을 시공할 때에는 벽체의 일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스티로폴 또는 유리면 소재의 단열재를 부착한 후, 단열재의 표면에 석고보드와 같은 내장재를 부착하여 마감한다.
초기에 사용되던 단열벽 시공방법에는 건축물 내벽에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으로 목재 지지대를 설치하여 고정하는 방법과, 구조물의 내벽에 접착제를 소정부위에 도포하여 접착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목재 지지대를 사용하는 방법에 따르면 값비싼 목재의 사용과 특수기능공의 필요로 인해 자재비와 인건비가 상승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목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벽에 못을 박아야 하므로 벽체 파손의 문제점이 있다.
접착제를 도포하여 단열벽을 설치하는 방법에 따르면, 벽체의 일측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단열재를 부착하고, 부착된 단열재 이면의 소정부분에 석고본드를 도포하여 내장재를 부착한다. 그런데 접착제 및 석고본드는 매우 고가이어서 벽체 및 단열재의 전면에 도포하지 못하므로 벽체와 단열재 및 내장재 사이에 빈 공간이 생겨 단열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석고본드의 도포 시에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내장재를 부착한 후에 숙련자가 수평을 잡아주는 등의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단열벽 고정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정구를 사용하는 단열벽의 설치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중심에 지지핀이 형성된 밑판을 벽체에 고정하고, 밑판의 지지핀에 단열재를 밀어 넣은 후 단열재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지지핀에 고정판을 결합시킴으로써 단열재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단열재의 설치가 끝나면, 고정판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위에 내장재를 부착함으로써 단열벽 설치가 완료된다.
단열벽의 설치가 완료된 후 내장재에 의해 마감된 벽면이 평평한 면을 이루기 위해서는 벽체에 부착되는 각각의 고정구의 고정판 높이가 일정하여 수평면을 형성해야 한다. 그러나 단열재가 설치되기 전의 내벽 상태에 따라 고정구의 고정판 높이가 불규칙해지기 때문에 고정구의 고정판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내장재를 부착하면 내장재에 접촉되지 않는 고정구도 발생된다.
이와 같이 내장재에 접촉되지 않는 고정구가 발생되면 내장재의 이음부분이 어긋나기 때문에 마감된 벽면이 고르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내장재의 설치 상태가 불량하여 부실 시공이 되는 문제가 있다.
고정구의 고정판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193233호에는 지지핀의 외주면에 나사면을 형성하고 고정판을 지지핀의 나사면에 나사 결합시키도록 한 기술이 개시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르면 고정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지만 작업자의 어림짐작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내장재의 부착을 위한 수평면을 만들기 위해서는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정밀도가 떨어져 단열벽의 설치가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벽체와 단열재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결로현상에 의해 벽체 면에 발생되는 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벽체 또는 단열재를 부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단열벽 고정구의 높이를 신속하고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단열벽의 설치 작업을 정확하면서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높이를 자유로이 조절하여 정확히 수평줄에 맞추도록 할 수 있어 단열벽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는 단열벽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벽체와 단열재 사이에 공간을 확보하여 온도 및 습도의 변화를 완충시키도록 한 단열벽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저렴하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단열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단열벽 고정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는 건물의 내벽에 단열재와 마감재가 차례로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단열벽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건물의 내벽에 고정되는 밑판과, 내벽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밑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단부 외주면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내벽에 부착되는 단열재를 관통 지지하는 지지핀과, 지지핀의 나사면에 대응되는 나사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지지핀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후면은 단열재를 내벽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고 전면은 마감재에 접하는 고정판과, 마감재 설치를 위한 수평 기준면으로 설치되는 수평줄을 수용하도록 고정판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한다.
고정판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돌출형성되고, 절개부는 돌기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핀의 외주연에는 밑판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지지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간격유지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밑판의 내벽에 접하는 면에는 접착용 스티커가 부착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을 통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구성과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측면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설치 상태도를 나타내는데, 도 4a는 마감재를 설치하기 전의 상태, 도 4b는 단열벽이 모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단열벽 고정구(1)는 건물의 내벽(2)에 단열재(3)와 마감재(4)가 차례로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단열벽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열벽 고정구(1)는 밑판(10)과 지지핀(20)과 고정판(30)과 절개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밑판(10)과 지지핀(20)은 일체로 형성되어 건물의 내벽(2)에 밑판(10)이 고정되고, 고정판(30)은 지지핀(20)에 나사 결합되도록 이루어지며, 절개부(40)는 고정판(30)에 일체로 형성된다.
밑판(1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건물의 내벽(2)에 고정되어 단열벽 고정구(1) 전체를 내벽(2)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지지핀(20)은 밑판(10)의 중앙에서 대략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데, 단부 외주연에는 나사면(21)이 형성된다.
밑판(10)이 건물의 내벽(2)에 고정되면 지지핀(20)은 내벽(2)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된 상태가 되므로, 이 상태에서 단열재(3)를 내벽 방향으로 밀어 넣어 설치하면 지지핀(20)이 단열재(3)를 관통하여 지지함과 아울러 지지핀(20)의 단부가 소정 길이만큼 단열재(3) 전면으로 돌출된다.
고정판(30)은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술한 지지핀(20)의 나사면(21)에 대응되는 나사공(31)이 중앙에 형성되어 지지핀(20)에 나사 결합된다. 고정판(30)이 지지핀(20)의 나사면(21)에 나사 결합되어 회전됨에 따라 고정판(30)은 지지핀(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단열벽 고정구(1)의 전체 높이의 조정이 가능하다. 고정판(30)이 지지핀(20)에 나사 결합되면 고정판(30)의 후면은 단열재(3)를 내벽(2) 방향으로 가압하며 고정하고, 전면은 마감재(4)에 접하며 마감재(4)를 지지한다.
고정판(3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40)가 형성되는데, 절개부(40)는 고정판(30) 상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기부(32)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상 돌기부(32)는 고정판(30)의 전면에 방사 방향으로 대략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4개가 설치되고, 절개부(40)는 돌기부(32) 상에 고정판(30)의 지름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단열벽 고정구(1)를 사용한 단열벽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열벽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물의 내벽(2)에 접착제(5)를 이용하여 단열벽 고정구(1)의 밑판(10)을 고정한다. 밑판(10)을 고정하면 지지핀(20)이 내벽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된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단열재(3)를 내벽 방향으로 밀어 넣어 설치하면 지지핀(20)이 단열재(3)를 관통하여 소정 길이만큼 단열재(3) 전면으로 돌출된다.
단열재(3) 전면에 돌출되는 지지핀(20)의 나사면(21)에 고정판(30)의 나사공(31)을 나사 결합시켜 고정판(30)을 회전시키면 고정판(30)이 지지핀(2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열재(3)를 내벽 방향으로 가압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내벽(2)에 단열벽 고정구(1)의 밑판(10)과 단열재(3)가 설치된 후에는 그 전면에 마감재(4)를 부착한다. 마감재(4)는 고정판(30)에 부착하기 때문에 각각의 고정판(30)은 내벽(2) 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 마감재(4) 부착을 위한 수평 기준면으로 수평줄(7)이 설치되면, 고정판(30)을 이 수평줄(7)에 맞추어 조정함으로써 마감재(4) 부착을 위한 수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시된 내벽(2)은 벽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를 나타내는데, 상측에 부착된 단열벽 고정구(1)의 고정판(30)이 하측의 고정판(130)보다 전면으로 돌출되므로 마감재(4) 부착을 위한 수평면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상측의 단열벽 고정구(1)의 고정판(30)을 회전시키면 고정판(30)이 내벽(2) 방향으로 이동하므로 내벽(2)에 대한 상측 단열벽 고정구(1)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하측 단열벽 고정구(100)의 고정판(130)과 정확한 수평을 맞추는 것은 고정판(30)의 돌기부(32)에 형성된 절개부(40)에 수평줄(7)이 수용될 때까지 고정판(30)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방법으로 가능하며, 이와 같이 절개부(40)를 수평줄(7)에 맞추어 각각의 고정판(30)의 높이를 조정하면 단열벽 고정구(1)의 각 고정판(30) 높이가 일정해지므로 정밀한 수평면이 완성되어 마감재(4)를 정확하게 부착할 수 있다.
마감재(4)를 고정판(30)에 부착할 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판(30)에 접착제(6)를 도포한 후, 그 위에 마감재(4)를 부착한다. 고정판(30)의 돌기부(32)는 접착제(6)에 매몰되어 접착제(6)가 고정판(30)에 강하게 부착되게 함으로써, 고정판(30)이 마감재(4)를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
이와 같이 단열벽 고정구(1)를 이용하면 마감재(4) 부착을 위한 수평면을 손쉽고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어, 단열벽 설치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를 이용한 단열벽 패널 제작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1)는 도 4에서와 같이 시멘트 재질의 벽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목재와 같은 재질의 패널(2a, 2b)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패널(2a,2b)을 접합시켜 단열벽 패널을 제작할 때에, 단열벽 고정구(1)를 설치하여 패널(2a,2b) 사이에 설치되는 단열재(3)를 고정함과 아울러 패널(2a,2b)을 안정적으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배면 사시도이다.
마감재의 설치는 상술한 접착제를 사용한 방법 이외에도 고정핀을 이용하여 마감재를 고정판에 부착하는 등의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벽 고정구의 내벽에 설치하기 위해 단열벽 고정구 밑판의 내벽에 접하는 면에 접착용 스티커(11)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단열벽 고정구(1) 밑판(10)을 고정하면 접착제의 양생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접착제 대신 접착용 스티커(11)를 이용한다면 공사기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측면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50) 지지핀(20)의 외주연에는 밑판(10)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지지핀(2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간격유지부재(51)가 형성된다.
간격유지부재(51)는 밑판(10)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단열재(3)를 내벽(2)으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시킨다. 이와 같은 간격유지부재(51)의 구조로 인하여 단열재(3)와 내벽(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결로현상에 의해 내벽(2) 면에 형성되는 습기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간격유지부재(51)가 구비된 단열벽 고정구(50)에 따르면 내벽(2)과 단열재(3)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층이 건물 외기의 온도·습도 변화를 효과적으로 완충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본 고안은 청구범위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단열벽 고정구에 따르면, 단열벽 고정구의 높이의 조절이 자유롭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밀하게 수평줄에 맞출 수 있어 단열벽의 설치 작업이 정확하면서도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벽 고정구의 간격유지부재에 의해 벽체와 단열재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므로 결로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습기가 쉽게 빠져나갈 수 있으며, 온도 및 습도의 변화를 완충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설치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를 이용한 단열벽 패널 제작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배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열벽 고정구의 측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100 : 단열벽 고정구 11 : 접착용 스티커
2 : 내벽 20 : 지지핀
3 : 단열재 21,31 : 나사공
4 : 마감재 30,130 : 고정판
5,6 : 접착제 32 : 돌기부
7 : 수평줄 40 : 절개부
10 : 밑판 2a,2b : 패널
51 : 간격유지부재

Claims (4)

  1. 건물의 내벽에 단열재와 마감재가 차례로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단열벽을 설치하기 위한 단열벽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내벽에 고정되는 밑판;
    상기 내벽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밑판에 일체로 형성되며, 단부 외주면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내벽에 부착되는 단열재를 관통 지지하는 지지핀;
    상기 지지핀의 나사면에 대응되는 나사공이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핀에 나사 결합됨에 따라 후면은 상기 단열재를 상기 내벽 방향으로 가압 고정하고, 전면은 상기 마감재에 접하는 고정판; 및
    상기 마감재 설치를 위한 수평 기준면으로 설치되는 수평줄을 수용하도록 상기 고정판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벽 고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부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절개부는 상기 돌기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벽 고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핀의 외주연에는 상기 밑판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며 상기 지지핀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간격유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벽 고정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밑판의 상기 내벽에 접하는 면에는 접착용 스티커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벽 고정구.
KR20-2004-0031799U 2004-11-10 2004-11-10 단열벽 고정구 KR2003759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99U KR200375978Y1 (ko) 2004-11-10 2004-11-10 단열벽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1799U KR200375978Y1 (ko) 2004-11-10 2004-11-10 단열벽 고정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254A Division KR20060042558A (ko) 2004-11-10 2004-11-10 단열벽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978Y1 true KR200375978Y1 (ko) 2005-03-11

Family

ID=43677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1799U KR200375978Y1 (ko) 2004-11-10 2004-11-10 단열벽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9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64Y1 (ko) 2008-10-01 2011-07-06 송정곤 단열재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4464Y1 (ko) 2008-10-01 2011-07-06 송정곤 단열재 고정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42558A (ko) 단열벽 고정구
KR102122685B1 (ko) 건물벽 마감재 고정조립체
KR200375978Y1 (ko) 단열벽 고정구
KR200388922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101758897B1 (ko) 벽체 외부마감 시공방법
JPS6311243Y2 (ko)
JPH0452344Y2 (ko)
KR200389550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KR200203658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RU15174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маячкового профиля
KR100661050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JPH0626661Y2 (ja) 鼻隠し取付装置
KR20230127807A (ko) 안전한 인테리어를 설치를 위한 지지장치
KR20220055884A (ko) 건물벽 마감재 고정장치
JPH0529295Y2 (ko)
RU2184196C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опора дл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JPS5844193Y2 (ja) 合成樹脂面板の取付け構造
JPS5853388Y2 (ja) 板材張着用保持具
JPH0227068Y2 (ko)
JPS5912326Y2 (ja) 板材取付用保持具
JPH0726688A (ja) 建造物における建造材の取付構造および取付用支持具
JPH0518426Y2 (ko)
JPS633443Y2 (ko)
JP3026122B2 (ja) 手す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