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923Y1 -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923Y1
KR200375923Y1 KR20-2004-0033893U KR20040033893U KR200375923Y1 KR 200375923 Y1 KR200375923 Y1 KR 200375923Y1 KR 20040033893 U KR20040033893 U KR 20040033893U KR 200375923 Y1 KR200375923 Y1 KR 200375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aggregate
oil
separa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8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판식
Original Assignee
이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판식 filed Critical 이판식
Priority to KR20-2004-00338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9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4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perpendicularly or approximately perpendiculary to the plane of the scre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8Stretching devices for screens
    • B07B1/49Stretching devices for screens stretching more than one screen or screen section by the same or different stret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Landscapes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자갈을 분리하는 골재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고정본체(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동본체(2)의 내부에 걸름판(3)을 5단으로 하여 다단식으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고, 유동본체(2)의 상측 외부 중앙에는 유동본체(2)를 진동시키는 드럼(4)을 고정 설치하되 드럼의 내부에 냉각장치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는 드럼(4)을 작동시키는 모우터(5)를 설치하여 벨트에 의하여 연동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드럼에는 외부에서 펌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기름이 공급되게 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드럼의 내부에 냉각용 기름이 자동으로 순환 공급됨으로서 베어링의 과열과 마모를 방지하여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골재분리기 본체의 내부에는 드럼이 있던 공간을 이용하여 걸름판을 5단으로 설치하여 정밀하게 골재를 분리할 수가 있으며, 유동본체의 상측에 드럼과 모우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A Functioning Equipment of Aggregate Separator for Construction}
본 고안은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자갈을 분리하는 골재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골재분리기를 작동시키는 드럼을 본체의 상측에 설치하여 본체의 내부에 4단으로 되어 있는 걸름판을 5단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정밀하게 골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드럼을 작동시키는 모우터를 본체의 상측에 같이 설치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온 골재 분리기는 도 5에서와 같이 고정본체의 상측에 유동본체를 설치하되 유동본체의 상측에는 골재 유입용 호퍼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다단식으로 4단의 걸름판이 설치며 유동본체의 중앙부에는 유동본체 작동용 드럼이 설치되고 본체의 외부 하단에는 드럼작동용 모우터가 설치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의 골재 분리기는 본체의 내부에 4단으로 된 걸름판이 설치되고 이 걸름판이 설치된 유동본체를 모우터의 회전에 의하여 본체의 중앙부에 설치된 드럼이 회전하면서 진동을 일으키는 방법이기 때문에 드럼에 의하여 걸름판이 설치되지 못함으로서 불필요한 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요인이 되었다.
즉 본체의 중앙부에 횡으로 관통하여 드럼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드럼이 설치된 공간만큼 걸름판을 설치할 수가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드럼의 공간만큼을 지난 상태에서 걸름판을 설치함으로 골재분리기의 제작이 힘들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의 골재분리기는 드럼을 작동시키는 모우터가 지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부주의 할 경우 옷자락이나 손 또는 발이 모우터에 의하여 손상을 입게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골재 분리기는 드럼의 내부에 회전축을 받치는 베어링을 설치한 상태에서 방치함으로서 장기간 사용할 경우 베어링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골재분리기 본체의 중앙부에 드럼이 관통되어 있기 때문에 베어링을 교체하는 작업이 불편하였고, 또한 자주 베어링을 자주 교체함으로써 생산량을 감소시키고 불필요한 인력과 지출을 초래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골재 분리기 의 상부 외측 중앙부에 유동본체를 작동시키는 드럼과 모우터를 설치하여 작동되게 하고, 드럼에는 외부에서 펌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기름이 공급되게 함으로써 베어링의 과열과 마모를 방지함으로써 수명을 최대로 하였다.
또한 골재분리기 본체의 내부에는 드럼이 있던 공간을 이용하여 걸름판을 5단으로 설치하여 정밀하게 골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본체의 상측에 유동본체를 설치하되 유동본체의 상측에는 골재 유입용 호퍼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다단식으로 4단의 걸름판이 설치며 유동본체의 중앙부에는 유동본체 작동용 드럼이 설치되고, 본체의 외부 하단에는 드럼작동용 모우터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고정본체(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동본체(2)의 내부에 걸름판(3)을 5단으로 하여 다단식으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고, 유동본체(2)의 상측 외부 중앙에는 유동본체(2)를 진동시키는 드럼(4)을 고정 설치하되 드럼의 내부에 냉각장치를 설치하고, 그 일측에는 드럼(4)을 작동시키는 모우터(5)를 설치하여 벨트에 의하여 연동되게 하여서 된 것으로서, 미설명 부호 13은 골재가 투입되는 호퍼, 14는 진동을 흡수하는 코일스프링, 15는 진동발생용 회동축, 16은 드럼의 고정구 외측에 밀폐되게 체결되는 커버를 보인 것이다.
상기 냉각장치는 드럼(4)의 내부에 냉각용 오일을 펌프(6)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순환 공급되게 하되 드럼의 전면에 고정구(7)를 체결하되 고정구(7)의 일측에 오일공급공(8)과 오일배출공(9)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체결부(10)를 돌출 형성하여 부시(11)와 패킹(12)이 체결되도록 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본체(1)의 상측에 설치되어 있는 유동본체(2)의 상측에 설치된 모우터(5)가 작동하게되면 모우터(5)에 설치된 벨트에 의하여 드럼(4)에 설치된 편심 회전축이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유동본체(2)가 진동을 일으키면서 흔들리게된다.
상기와 같이 유동본체(2)에 진동이 발생하게 되면 호퍼로 투입된 골재는 진동에 의하여 경사지게 다단식으로 설치된 걸름판(3)을 타고 하단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골재는 유동본체(2)의 내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5단의 걸름판(3)은 상부는 크고 하단부는 좁게 구멍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골재가 크기에 따라 걸름판(3)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다단식으로 하단으로 떨어지게 되므로 인출공측에는 적절한 크기의 골재끼리 모이게 되므로 골재를 분리 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모우터(5)에 의하여 편심되게 회전되는 드럼(4)의 내부에는 냉각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드럼이 작동됨과 동시에 냉각용 오일이 펌프(6)에 의하여 공급되기 때문에 드럼과 베어링이 과부하를 일으키거나 열기에 의하여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냉각장치는 고정구(7)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오일공급공(8)을 통하여 오일이 공급되고 이 상태에서 모우터(5)에 의하여 회동축이 작동하여 회전하게 되면 회동축은 고정구(7)와 커버에 체결된 각각의 부시(11)에 의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때 오일공급공(8)을 통하여 공급된 오일은 고정구(7)의 내부에서 잔류하다가 회동축이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열기를 냉각시키면서 가열하게 되고, 가열된 오일은 대류현상에 의하여 상측으로 이동한 다음 오일배출공(9)을 통하여 배출되어 고정구(7)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오일은 냉각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구(7)에서 벗어나 탱크로 이동된 오일은 자연적으로 냉각하게 되고, 냉각된 오일은 펌프(6)에 의하여 다시 고정구(7)의 내부로 보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드럼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회전축이 오일에 의하여 냉각됨으로서 회전축을 지지하고 있는 베어링이 마모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품의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골재 분리기 의 상부 외측 중앙부에 유동본체를 작동시키는 드럼과 모우터를 설치하여 작동되게 하고, 드럼에는 외부에서 펌프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기름이 공급되게 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드럼의 내부에 냉각용 기름이 자동으로 순환 공급됨으로서 베어링의 과열과 마모를 방지하여 수명을 최대로 연장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골재분리기 본체의 내부에는 드럼이 있던 공간을 이용하여 걸름판을 5단으로 설치하여 정밀하게 골재를 분리할 수가 있으며 유동본체의 상측에 드럼과 모우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전체 개략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전체 개략 측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드럼부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5 는 종래의 골재 분리기를 보인 개략 측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고정본체 2. 유동본체 3. 걸름판
4. 모우터 5. 드럼 6. 펌프
7. 고정구 8. 오일공급공 9. 오일배출공
10. 체결부 11. 부시 12. 패킹

Claims (5)

  1. 고정본체의 상측에 유동본체를 설치하되 유동본체의 상측에는 골재 유입용 호퍼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다단식으로 4단의 걸름판이 설치며 유동본체의 중앙부에는 유동본체 작동용 드럼이 설치되고 본체의 외부 하단에는 드럼작동용 모우터가 설치된 것에 있어서,
    고정본체(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유동본체(2)의 내부에 걸름판(3)을 5단으로 하여 다단식으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고, 유동본체(2)의 상측 외부 중앙에는 유동본체(2)를 진동시키는 드럼(4)을 고정 설치하되 드럼의 내부에는 냉각장치를 설치하고, 드럼(4)의 일측에는 드럼(4)을 작동시키는 모우터(5)를 설치하여 벨트에 의하여 연동되게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드럼과 모우터를 유동본체의 상부 외측에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냉각장치는 드럼(4)의 내부에 냉각용 오일을 펌프(6)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순환 공급되게 하되, 드럼(4)의 전면에 고정구(7)를 체결하며 고정구(7)의 일측에 오일공급공(8)과 오일배출공(9)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체결부(10)를 돌출 형성하여 부시(11)와 패킹(12)이 체결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드럼의 내부에 냉각용 오일을 펌프에 의하여 순환 공급되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내부에 걸름판을 5단으로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KR20-2004-0033893U 2004-11-30 2004-11-30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KR200375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893U KR200375923Y1 (ko) 2004-11-30 2004-11-30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893U KR200375923Y1 (ko) 2004-11-30 2004-11-30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923Y1 true KR200375923Y1 (ko) 2005-03-10

Family

ID=4367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893U KR200375923Y1 (ko) 2004-11-30 2004-11-30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9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348B1 (ko) * 2013-05-28 2015-04-23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골재 진동 선별기용 일체형 가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348B1 (ko) * 2013-05-28 2015-04-23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골재 진동 선별기용 일체형 가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202933B2 (en) Centrifugal screen apparatus
KR20010089320A (ko) 원심 펠릿 건조기
US8758209B2 (en) Separator having a lubrication system for a short spindle drive
KR101545681B1 (ko) 고효율 진동탈수방식이 적용된 협잡물 종합처리기용 스크린장치
CA2667380C (en) Centrifugal concentrator
US20190201909A1 (en) Eccentric assembly for a cone crusher
CN201218226Y (zh) 泵装置
RU2583021C2 (ru) Вибрационная центрифуга
KR200375923Y1 (ko) 건축용 골재 분리기의 구동장치
RU2671483C2 (ru) Противовес с двумя масляными камерами
CN106795784B (zh) 用于将杂质从内燃机的润滑油中去除的装置
KR101170934B1 (ko) 탈수기의 간격조절 구조
KR20050107357A (ko) 건축폐기물 처리용 디스크 스크린
RU2003111919A (ru) Погружная нас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KR102286144B1 (ko) 3상 원심분리기
CN210474250U (zh) 一种用于水性涂料加工的干粉砂浆研磨装置
RU2447324C1 (ru) Входной модуль погружного электроцентробежного насоса
WO2016064269A1 (en) Centrifugal separator, cartridge unit therefor
KR100733968B1 (ko) 오일필터
RU2675707C1 (ru) В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кважинной жидкости от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RU2673493C1 (ru) Вх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ластовой жидкости
KR100753802B1 (ko) 오,폐수조내의 침전물 슬러지 제거장치
CN212238185U (zh) 分级机
JP2003328946A (ja) 冷凍空調用圧縮機
KR200278949Y1 (ko) 고액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