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898Y1 -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 Google Patents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898Y1
KR200375898Y1 KR20-2004-0033689U KR20040033689U KR200375898Y1 KR 200375898 Y1 KR200375898 Y1 KR 200375898Y1 KR 20040033689 U KR20040033689 U KR 20040033689U KR 200375898 Y1 KR200375898 Y1 KR 2003758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fixture
wall
body portion
jang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6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범
Original Assignee
박용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범 filed Critical 박용범
Priority to KR20-2004-00336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8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8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8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E04F2019/042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면과 벽체와 맞물리는 모서리부분에 설치하여 바닥면과 동일한 크기로 절단된 장판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면의 습기, 곰팡이, 시멘트 유해 독성 등 실내 유해 환경요소를 원할한 통풍작용을 통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 본드 등 별도의 생산비 및 원자재 추가없이 고정구만으로써 장판 시공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한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바닥면과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부에 장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몸체부 및 장착부를 포함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하측 단부에 각각 벽체와 장판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질의 제1밀착부 및 제2밀착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 후방측에 구비되어 장판을 끼워 넣어 조립할 수 있도록 만곡(彎曲)되게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FIXTURE FOR A FINISHING FLOOR COVERED WITH LAMINATED PAPER}
본 고안은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닥면과 벽체와 맞물리는 모서리부분에 설치하여 바닥면과 동일하게 절취된 장판을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닥면의 습기, 곰팡이, 시멘트 유해 독성 등 실내 유해 환경요소를 원할한 통풍작용을 통해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실리콘, 본드 등 별도의 생산비 및 원자재 추가없이 고정구만으로써 장판 시공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한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공간 또는 상공간에서는 바닥재인 장판(壯版) 등을 깔아 실내 유해 환경요소로 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장판을 바닥면에 설치하기 위해 종래에는 바닥면과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부에 장판을 꺾어 올려 임의의 길이로 절단하여 시공을 하여 마감한다. 상기와 같은 시공 방법은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꺾여 올라간 장판과 벽체와의 접합 부분이 벌어져 틈이 벌어져 공간이 생기고, 이 공간으로 먼지와 오물 등 이물질이 투입될 뿐만 아니라 바닥면과 장판 사이에는 인체에 유해한 바닥면의 습기, 곰팡이, 시멘트 유해 독성 등 실내 환경 유해요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6224호에 바닥면에 비닐장판을 설치시 방바닥 모서리에 양측단으로 "ㄴ"형 요부가 형성된 고정구를 각각 설치하고 고정구의 "ㄴ"형 요부로는 연결대의 양단을 끼워 조립을 한 후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접착본드 등으로 접착을 하는 장판용 접합 고정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06224호에 개시된 공지기술은 시공시 다수의 부품이 소요됨에 따른 생산비 및 원자재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설치시에도 작업공정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에 의하면 장요부에 단턱을 형성하여 부분적으로 생기는 습기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벽체와 맞닿는 부분 및 장판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 단턱은 그 공간부에 실내환경 유해요소 발생시 곰팡이 등으로 쉽게 통풍통로가 폐쇄되어 원할하게 공기가 통풍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공시 실리콘, 본드 등 별도의 생산비 및 원자재 추가없이 고정구만으로써 장판 시공을 마감할 수 있도록 한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구의 몸체부 후방측 중앙부에 지지대를 구비하여 벽체로 부터 고정구를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원할한 통풍작용을 통해 바닥면의 습기, 곰팡이, 시멘트 유해 독성 등 실내환경 유해요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에 의하면, 바닥면과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부에 장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몸체부 및 장착부를 포함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하측 단부에 각각 벽체와 장판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질의 제1밀착부 및 제2밀착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 후방측에 구비되어 장판을 끼워 넣어 조립할 수 있도록 만곡(彎曲)되게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 및 장착부는 불연성 재질로 형성하여 화재 등의 재해를 방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제1밀착부는 벽체와 맞물릴 수 있도록 후방측으로 소정각도 절곡되게 형성되고, 제2밀착부는 장착부에 끼워지는 장판과 맞물릴 수 있도록 하측으로 소정각도 절곡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바닥면 및 벽체와의 밀폐성을 향상시켜 이물질 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몸체부의 제1·2밀착부는 연질의 PVC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 중앙부에 벽체로 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대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벽체로 부터 고정구를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원할한 통풍작용을 통해 실내환경 유해요소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부에 장판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안내부가 구비되고, 이 안내부의 상면 소정위치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요철(凹凸)형상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부를 구비하여 장판이 고정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의 몸체부 및 장착부는 특수항균처리하여 제조함으로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부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가 바닥면 및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장판과 조립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가 바닥면 및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장판과 조립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닥면(200)과 벽체(300)가 맞닿는 모서리부에 장판(101)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몸체부(110) 및 장착부(120)를 포함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상·하측 단부에 각각 벽체(300)와 장판(101)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질의 제1밀착부(112) 및 제2밀착부(114)와, 상기 몸체부(110)의 하단부 후방측에 구비되어 장판(101)을 끼워 넣어 조립할 수 있도록 만곡(彎曲)되게 형성된 장착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110)는 상측 폭(a)보다 하측 폭(b)이 더 넓게 형성되도록 하여 장판 시공시 견고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110)의 제1밀착부(112)는 벽체(300)와 맞물릴 수 있도록 후방측으로 소정각도 절곡되게 형성되고, 제2밀착부(114)는 장착부(120)에 끼워지는 장판(101)과 맞물릴 수 있도록 하측으로 소정각도 절곡되게 형성함으로써 바닥면(200) 및 벽체(300)와의 밀폐성을 향상시켜 이물질 등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몸체부의 제1·2밀착부(112,114)는 연질의 PVC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측 중앙부에 벽체(300)로 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대(1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몸체부(110)의 후방측 중앙부에 벽체(300)로 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대(116)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벽체(300)로 부터 고정구(100)를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 지지대(116)을 중심으로 상·중·하측에서 1,2,3차 통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도 3 및 도 5참조). 이로 인해 실내환경 유해요소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지지대(116)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통풍방향은 장판 시공 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장착부(120)에 장판(101)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안내부(122)가 구비되고, 이 안내부(122)의 상면 소정위치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요철(凹凸)형상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부(124)가 구비되도록 하여 장판이 고정구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100)는 불연성의 재질로 형성하여 화재 등의 위험으로 부터 재해를 방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판의 색깔 등에 따라 그 외관을 달리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100)의 몸체부(110) 및 장착부(120)는 특수항균처리하여 제조함으로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내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에 의하면, 시공시 별도의 생산비 및 원자재 추가없이 고정구만으로써 장판 시공을 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고정구의 몸체부 후방측 중앙부에 지지대를 구비하여 벽체로 부터 고정구를 소정간격을 유지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원할한 통풍작용을 통해 실내환경 유해요소 등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부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가 바닥면 및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장판과 조립된 상태를 단면으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가 바닥면 및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장판과 조립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101 : 장판,
110 : 몸체부, 112 : 제1밀착부,
114 : 제2밀착부, 116 : 지지대,
120 : 장착부, 122 : 안내부,
124 : 이탈방지부, 200 : 바닥면,
300 : 벽체.

Claims (8)

  1. 바닥면과 벽체가 맞닿는 모서리부에 장판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비된 몸체부 및 장착부를 포함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하측 단부에 각각 벽체와 장판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연질의 제1밀착부 및 제2밀착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단부 후방측에 구비되어 장판을 끼워 넣어 조립할 수 있도록 만곡(彎曲)되게 형성된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장착부는 불연성의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제1밀착부는 벽체와 맞물릴 수 있도록 후방측으로 소정각도 절곡되게 형성되고, 제2밀착부는 장착부에 끼워지는 장판과 맞물릴 수 있도록 하측으로 소정각도 절곡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제1·2밀착부는 연질의 PVC 또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 중앙부에 벽체로 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지지대를 중심으로 상·하측에서 1·2차 통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에 장판이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만곡되게 형성되는 안내부가 구비되고, 이 안내부의 상면 소정위치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요철(凹凸)형상으로 이루어진 이탈방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장착부는 특수항균처리하여 제조함으로 세균으로부터 보호를 받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KR20-2004-0033689U 2004-11-29 2004-11-29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KR2003758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689U KR200375898Y1 (ko) 2004-11-29 2004-11-29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689U KR200375898Y1 (ko) 2004-11-29 2004-11-29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898Y1 true KR200375898Y1 (ko) 2005-03-10

Family

ID=4367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689U KR200375898Y1 (ko) 2004-11-29 2004-11-29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89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3482B1 (ko) * 2009-06-03 2009-08-25 김성준 바닥재 고정대
KR200448669Y1 (ko) 2008-05-22 2010-05-06 박융배 마루판재 고정구
KR101194267B1 (ko) 2010-05-19 2012-10-29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바닥재 탄지수단을 갖는 걸레받이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669Y1 (ko) 2008-05-22 2010-05-06 박융배 마루판재 고정구
KR100913482B1 (ko) * 2009-06-03 2009-08-25 김성준 바닥재 고정대
WO2010140787A2 (ko) * 2009-06-03 2010-12-09 Kim Sungjun 바닥재 고정대
WO2010140787A3 (ko) * 2009-06-03 2011-03-31 Kim Sungjun 바닥재 고정대
CN102449250A (zh) * 2009-06-03 2012-05-09 金圣准 地板材固定架
KR101194267B1 (ko) 2010-05-19 2012-10-29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바닥재 탄지수단을 갖는 걸레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611B1 (ko) 체결 시공되는 데코타일
US9267323B2 (en) Decorative gate covering
US9885184B2 (en) Stucco crack reduction at corners
TWI453329B (zh) 用於覆蓋地板邊沿之雙面護壁板及其連接件之系統
KR200375898Y1 (ko) 장판 시공 마감재용 고정구
CN102061789A (zh) 洁净区混凝土柱的包柱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758378B1 (ko) 고층용 창호
US20080163985A1 (en) Wall-mounted light-transmissive structure
EP1606473A1 (en) Floor panel with sealing lip
KR20130003853U (ko) 스크린 타입 루버의 조립구조
KR200232401Y1 (ko) 장판의 접합 고정구
KR200231812Y1 (ko) 쿠션용 바닥재
KR200213065Y1 (ko) 탄성날개를 가진 건축내장용 몰딩
KR20160123665A (ko) 건축용 외장패널 고정구조체
JP3165664B2 (ja) 外壁パネル
US20090064620A1 (en) Tray Ceiling System
JPH08209819A (ja) 腰壁の接続構造
JPH09184278A (ja) 造作材の突き合わせ構造
CN109930944B (zh) 隐藏副套的安装方法
KR101719457B1 (ko) 신속 설치 및 미려한 마감이 가능한 창호 리모델링용 마감 부재
JP2007270498A (ja) コンクリート目地部の化粧構造
JP3018325U (ja) 建具枠
JP2002332713A (ja) 天井膜材の取付構造
KR100597001B1 (ko)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JPH05141026A (ja) カーテンウオールにおける面材の縁枠式外れ止め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