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305Y1 -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305Y1
KR200375305Y1 KR20-2004-0025312U KR20040025312U KR200375305Y1 KR 200375305 Y1 KR200375305 Y1 KR 200375305Y1 KR 20040025312 U KR20040025312 U KR 20040025312U KR 200375305 Y1 KR200375305 Y1 KR 2003753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dab
dmb
wireless transmitter
reproduc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훈
송동수
Original Assignee
케이.디이.티이 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치엔테크놀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디이.티이 전자주식회사, 주식회사 에이치엔테크놀리지 filed Critical 케이.디이.티이 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5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3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3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3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2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digital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2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MPEG신호 압축기술로 압축된 디지털의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신호를 저장 및 재생하는 휴대용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신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DAB/DMB의 변조 주파수 권역내 임의주파수 및 권역외의 일부 주파수 대역을 송신주파수로 사용하는 무선송신부를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내에 구성함으로써, 종래 이어폰이나 헤드폰과 같은 오디오 신호 출력부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별도의 장치 및 연결선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오디오 시스템이나 차량용 오디오 장치를 통해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의 오디오신호를 S/N비 80dB 이상의 높은 음질로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 및 음질을 향상시킨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A portable audio player which involves DAB/DMB transmitter in it}
본 고안은 MPEG신호 압축 기술로 압축된 디지털의 오디오 및 멀티미디어 신호를 저장 및 재생하는 휴대용의 오디오 신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변조 주파수 권역내 및 권역외의 일부 임의 주파수 대역을 송신주파수로 사용하는 무선송신부를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에 내장하여 오디오 신호의 무선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MPEG파일을 재생하기 위한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을 하여 왔으며, 최근에는 TCP를 바탕으로 한 인터넷상에서 AOD와 인터넷 DAB/DMB 방송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MPEG로 압축된 디지털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휴대장치가 개발되었으며,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로서,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재생하도록 마이크로 콘트롤러(1)와 MP3디코더 & D/A컨버터(2)를 포함하는 제어부(4), 오디오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5),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명력 입력부(6), 현재 재생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7) 및, 헤드폰이나 이어폰과 같은 외부의 오디오 신호 출력부(9)와 연결되는 출력잭(8)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는 명령 입력부(6)를 통해 제어부(4)의 마이크로 콘트롤러(1)로 명령을 입력할 때 그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 오디오신호를 재생할 경우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에서 저장부(5)에 저장되어 있는 오디오신호를 호출하고, 이때 호출된 오디오신호는 MP3디코더 & D/A컨버터(2)를 통해 디코딩되어 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변환이 이루어진 오디오신호는 출력잭(8)에 연결된 오디오 신호 출력부(9)를 통해 외부 출력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는 휴대를 목적으로 소형화는 되었지만, 출력잭(8)을 통해 오디오신호를 유선으로 소형 스피커 형태의 헤드폰이나 이어폰과 같은 오디오 신호 출력부(9)와 연결해야 그 사용이 가능한 바,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의 사용에 상당한 불편함이 따랐음은 물론, 특히 활동이 많은 경우 유선이 사용자의 활동을 방해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더불어, 종래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를 오디오 시스템이나 차량용 오디오 장치 등에 연결하여 사용할 경우, 그 연결에 필요한 장치 및 연결선이 필요할 수 밖에 없었다.
또한 기존의 아날로그 무선 RF방식을 사용할 경우에는 신호대 잡음비(S/N) 60dB 이하의 음질저하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불만이 따랐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DAB/DMB의 변조 주파수 권역내외의 임의 주파수 중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송신주파수로 사용하는 무선송신부를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 구성함으로써, 종래 이어폰이나 헤드폰과 같은 오디오 신호 출력부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별도의 장치 및 연결선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튜너가 구비된 오디오 시스템이나 카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기존에는 불가능한 S/N 80dB 이상 음질수준의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의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 및 음질수준을 향상시킨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오디오 신호 압축기술(MPEG)로 압축된 디지털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재생하도록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MP3디코더 및 D/A컨버터를 포함하는 제어부, 디지털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명령 입력부, 현재 재생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출력잭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에는 오디오 신호 압축 기술(MPEG)로 압축되어 저장된 오디오신호를 변조 및 증폭하여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무선 송신부는,
지상파 및 위성 DAB/DMB의 변조 주파수 권역내외의 임의 주파수를 송신주파수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는,
오디오신호를 DAB/DMB 엔코딩하여 무선송신부를 통해 무선방식으로 송신하거나 출력잭을 통해 유선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그 전송방식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스위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ITU-R의 시스템 A(일명 Eureka-147 DAB 표준, ETSI EN 300 401) 혹은 시스템 E(Rec ITU-R BO.1130-4)의 압축방식으로 엔코딩하고 프레임을 구성하여 전송신호를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는,
전환스위치에 의해 오디오신호의 무선 송신이 선택될 때 그 송신주파수를 선별할 수 있는 주파수 선별스위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휴대용의 오디오 파일 재생 장치에는,
외장형의 원격제어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 단말기에는,
명령 입력부와 동일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원격 명령 입력부, 상기 원격 명령 입력부에서 입력된 명령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명령신호 송신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는,
원격제어 단말기의 명령신호 송신부에서 송신된 명령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명령신호 수신부;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에는,
무선송신부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증폭 및 복조하는 외장형의 오디오신호 출력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외장형의 오디오신호 출력 단말기에는,
DAB/DMB에 대한 변조 주파수 권역내외의 주파수 중 사용하지 않는 임의 주파수 대역을 수신주파수로 가지면서 무선송신부에 의해 송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증폭 및 복조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를 통해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부;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 무선송신부가 내장된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예; MP3플레이어)의 구성을 보인 도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는 마이크로 콘트롤러(11)와 MP3디코더 & D/A컨버터(12)를 포함하는 제어부(10), 저장부(20), 명력 입력부(30), 표시부(40), 출력잭(50) 및, 무선송신부(1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는, 무선수신부(301)와 오디오신호 출력부(302)를 포함하는 외장형의 오디오신호 출력단말기(300)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본 고안의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장치는 제어부(10), 저장부(20), 명령 입력부(30), 표시부(40), 출력잭(50)의 통상적인 구성요소에 무선송신부(100)를 더 포함시킨 것으로, 상기 무선송신부(100)는 제어부(10)내의 MP3디코더 & D/A컨버터(12)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변조 및 증폭한 후 이를 외장형의 오디오신호 출력단말기(300) 또는, 튜너가 구비된 오디오 시스템이나 카오디오 시스템으로 무선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선송신부(100)는 진폭변조기, 믹서기, 수정발진소자, 주파수 체배기 및 전력증폭기 등으로 구성되어 오디오신호를 변조 및 증폭하여 송신하는 것으로, 이는 어느 특정된 무선송신회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오디오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무선송신회로의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무선송신부(100)는 FM의 30??300MHz 주파수 대역과 AM의 300??3000kHz 주파수 대역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의 송신주파수를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무선송신부(100)는 오디오신호를 DAB/DMB의 권역내 송신주파수는 물론 DAB/DMB 권역 이외로서 FM/AM의 고정주파수 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선택적으로 사용한 아날로그 신호를 복조한 송신주파수를 통해 일반 AM/FM 라디오를 통해서도 그 무선 송신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는 송신방식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스위치(101)와, 송신주파수를 선별하는 주파수 선별스위치(102)를 포함하고 있는 바,
상기 전환스위치(101)를 통해 무선의 송신방식을 선택한 후, 상기 주파수 선별스위치(102)를 통해 DAB/DMB의 권역내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의 송신주파수를 선택한다.
그러면, 상기 무선송신부(100)에서는 선별된 주파수대역의 송신주파수로 오디오신호를 무선 송신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외장형의 오디오신호 출력단말기(300)내에 구비된 무선수신부(301)는 저잡음증폭기, 믹서기, 전압제어 발진기, 중간주파수 처리기 및 DAB/DMB 변조 검파기 등으로 구성되어 무선송신부(100)로부터 송신된 오디오신호를 증폭 및 복조하는 것으로, 이의 수신주파수는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을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무선수신부(301)를 소형스피커로 이루어진 이어폰 내지 헤드폰과 같은 오디오신호 출력부(302)에 연결하는 경우, 상기 무선수신부(301)는 무선송신부(100)로부터 송신된 오디오신호를 증폭 및 복조한 후 이를 오디오신호 출력부(302)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상기 오디오신호 출력부(302)를 통해 이용자는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무선송신부(100)를 가진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는 무선수신부(301)와 오디오신호 출력부(302)를 포함하는 외장형의 오디오신호 출력단말기(3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바,
이용자는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와 오디오신호 출력단말기(300)를 서로 분리시킨 상태에서, 상기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으로 송신받아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선송신부(100)에서 송신주파수를 DAB/DMB 변조주파수 권역내의 주파수중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경우, DAB가 구비된 오디오시스템 및 카오디오시스템의 주파수를 상기 송신주파수에 맞춘다.
그러면, 이용자는 일반 튜너 혹은 DAB가 구비된 오디오시스템은 물론 카오디오 시스템의 스피커를 통해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 무선송신부가 내장된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 외장형의 원격제어 단말기(200)가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의 도면으로,
상기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는 원격명령 수신부(103)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외장형의 원격제어 단말기(200)에는 원격 명령 입력부(201), 명령신호 송신부(202)를 포함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원격 명령 입력부(201)를 통해 소정의 명령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입력되는 명령신호는 원격명령 송신부(202)를 통해 송신이 이루어지고, 상기 송신되는 명령신호는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내에 구비된 명령신호 수신부(103)에 의해 수신된 후 제어부(10)내의 마이크로 콘트롤러(11)로 전달되는 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는 저장부(20)에 오디오 신호 압축기술(MPEG)로 압축되어 저장된 디지털의 오디오신호를 재생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원격명령 입력부(201)는 오디오신호 재생에 필요한 몇가지 동작을 명령할 수 있는 것으로, 그 명령으로는 재생/멈춤/전진/후퇴 등이 있으며, 상기 동작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동작에 따라 이미 정해져 있는 명령신호가 원격명령 송신부(202)에서 출력되어 소정의 변조를 거쳐 그 송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변조되어 송신된 명령신호는 원격명령 수신부(103)를 통해 수신된 후 복조되어 제어부(10)내의 마이크로 콘트롤러(11)에 입력되는 바,
상기 마이크로 콘트롤러(11)는 입력되는 명령신호에 따라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원격명령 송신부(202) 및 원격명령 수신부(103)의 변조 및 복조회로는 어느 특정된 회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주파수 변조를 이용한 무선 제어의 경우 사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원격 명령 입력부(201) 및 원격명령 송신부(20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별도로 분리되는 외장형으로 그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무선수신부(301)를 가진 외장형의 오디오신호 출력단말기(300)에 내장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러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본 고안은 MP3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들어 컴팩트디스크플레이어, MD플레이어, MP3기능이 부가된 카세트 플레이어, PDA 및 MP3 기능이 부가된 휴대통신 단말기 등 오디오신호를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도 그 적용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의 예에서 열거한 휴대용 오디오신호를 외장형 오디오 출력장치로 무선전송하는 것을 유럽방식의 DAB 시스템인 Eureka-147 DAB 시스템에 적용한 예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Eureka-147 DAB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보여준다. Synchronization Channel은 프레임의 동기를 맞추는 데에 필요한 정보가 전송되는 부분이다.
FIB는 CIF의 구성을 정의하는 데이터 부분으로, 이 FIB를 해석하면 DAB 프레임의 전체구성 즉 Sub-channel 개수, Sub-channel의 길이, Sub-channel의 CIF내에서의 시작위치, Sub-channel의 종류(오디오, 스트림 데이터, 패킷 데이터, Service Information 등) 등을 알 수 있다.
CIF는 서비스의 내용자체가 들어가는 부분으로 Sub-channel들로 구성되어 있다. 각 Sub-channel은 오디오, 데이터, SI(Service Information) 등이 각각 들어가는 데이터 영역이며, 각 Sub-channel의 길이는 Sub-channel 마다 다를 수 있다.
도 5은 상기 Eureka-147 DAB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CIF 프레임 구성의 한 예시를 보여준다. 도 5의 CIF는 4개의 Sub-channel로 구성되어 있고 Sub-channel 0번과 1번은 오디오 채널, Sub-channel 2번과 3번은 데이터 Sub-channel로 구성되어 있다. 나머지 4번부터 63번까지는 사용되지 않은 채널이다.
도 6은 상기 Eureka-147 DAB 시스템에서 본 고안이 적용되었을 때의 CIF 프레임 구성의 한 예시를 보여준다.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에 내장된 무선 송신부에서 DAB 신호를 송출할 때에는 여러 개의 Sub-channel을 생성해도 상관없겠지만, 간단하게 위의 그림과 같이 1개의 Sub-channel만 구성하여도 차량용 오디오 재생기 등과 같은 오디오 재생 외부장치로 DAB 신호를 송출하는 데에는 충분하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 열거한 오디오 부문을 멀티미디어로 바꾸고, 상기 오디오장치를 멀티미디어 단말기로 대치하여 적용을 해보자.
그러면,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에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하여 DMB 송신프레임으로 변환하게 되는데, 한 가지 예를 들면 동영상의 경우 국제표준화기구인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MPEG-4 Part-10(ITU-R의 H.264와 동일한 규격임) 동영상 압축규격을 적용하여 동영상을 압축하고, 오디오는 MPEG-2 AAC(Advanced Audio Coding) 음성압축규격을 적용하여 오디오를 압축한 후, 특정지역에서 사용 중인 DMB 시스템의 프레임을 생성한다.
그리고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에 내장된 무선 송신부에서는 상기한 DMB 프레임을 변조하고 증폭하여 신호를 송출한다.
차량용 DMB 수신기와 같은 외부 멀티미디어 재생기에서는 무선 수신부가 DMB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하여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얻게 되고, 멀티미디어 데이터 중 동영상 데이터는 상기 MPEG-4 Part-10 규격을 적용하여 동영상을 복원하고, 오디오 데이터는 상기 MPEG-2 AAC 오디오 압축규격을 적용하여 오디오 PCM 데이터를 복원하게 되며, 동영상 데이터는 외부 멀티미디어 재생기에 장치되어 있는 LCD 등의 화면 출력기로, 오디오는 스피커 등의 오디오 출력장치를 사용하여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DMB 무선 송신부를 갖춘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와 차량용 DMB 수신기 등과 같은 외부 DMB 수신기를 사용하면, 상기 DAB 무선 송신기를 갖춘 휴대용 오디오 재생기와 차량용 DAB 수신기 등과 같은 외부 DAB 수신기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휴대용 멀티미디어의 멀티미디어 재생을 무선 연결의 방법에 의해 차량용 DMB 수신기와 같은 외부 DMB 수신기를 통해 멀티미디어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대용 재생장치에 동영상을 저장하여 이동하면서 차량용 DMB 단말기 등과 같은 외부 DMB 방송 수신기가 있는 곳이라면 어디에서든지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는 DAB/DMB의 변조 주파수 권역내외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대역을 송신주파수로 사용하는 무선송신부를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 구성함으로써, 먼저 오디오 부문의 효과를 보게 되면 종래 이어폰이나 헤드폰과 같은 오디오 신호 출력부의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해소함은 물론, 별도의 장치 및 연결선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튜너가 구비된 오디오 시스템이나 카오디오 시스템을 통해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의 오디오신호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사용상의 편의성과 음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더불어, 멀티미디어 부문의 효과를 보게 되면, 종전에는 유선으로 연결된 VCR과 같은 영상 저장장치가 설치된 곳에서만 녹화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었으나, 본 고안의 재생장치를 사용하면 별도의 장치 및 연결선 없이 DMB 단말기의 채널을 조정한 후 곧바로 동영상을 시청할수 있는 "포터블 VCR"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디지털멀티미디어 콘텐츠의 특징인 동영상의 영상필터링, 줌인, 줌아웃 등과 같은 디지털 재생장치의 특징을 그대로 나타내게 되므로, 이는 새로운 가전제품군의 발생을 기대할 수 있으며 추후 산업부문 등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제공할 기회를 갖게 되는 효과를 창출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MP3의 오디오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DAB/DMB 무선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DAB/DMB 무선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 외장형의 원격제어 단말기가 무선으로 연결된 상태의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는 DAB 시스템인 유럽방식 DAB 시스템의 전송프레임 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될 수 있는 DAB 시스템인 유럽방식 DAB 시스템에서의 오디오 채널, 데이터 채널 등의 Sub-channel들이 배치되는 하나의 실시예인 CIF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유럽방식 DAB 시스템에서 하나의 Sub-channel이 배치된 CIF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11; 마이크로 콘트롤러
12; MP3디코더 & D/A컨버터 20; 저장부
30; 명령 입력부 40; 표시부
50; 출력잭 100; 무선송신부
101; 전환스위치 102; 주파수 선별스위치
103; 원격 명령 수신부 200; 원격제어 단말기
201; 원격 명령 입력부 202; 명령 신호 송신부
300; 오디오신호 출력 단말기 301; 무선수신부
302; 오디오신호 출력부

Claims (10)

  1. 오디오 신호 압축기술로 압축된 디지털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거나 재생하도록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MP3디코더 및 D/A컨버터를 포함하는 제어부, 디지털의 오디오신호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하는 명령 입력부, 현재 재생장치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출력잭을 포함하는 통상적인 휴대용의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에는 오디오 신호 압축 기술로 압축되어 저장된 오디오신호를 변조 및 증폭하여 DAB 형식으로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DAB의 변조 주파수 권역내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을 송신주파수로 더 포함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장치에는,
    오디오신호를 무선송신부를 통해 무선방식으로 송신하거나 출력잭을 통해 유선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그 전송방식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스위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에는,
    전환스위치에 의해 오디오신호의 무선 송신이 선택될 때 그 송신주파수를 선별할 수 있는 주파수 선별스위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에는,
    DAB의 변조 주파수 권역외 주파수대역을 송신주파수로 더 포함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에는,
    무선송신부로부터 DAB형식으로 무선 송신되는 오디오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증폭 및 복조하는 외장형의 오디오신호 출력 단말기를 무선으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형의 오디오신호 출력 단말기에는,
    DAB/DMB에 대한 변조 주파수 권역내 주파수 및 권역 이외의 주파수 중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을 수신주파수로 가지면서 무선송신부에 의해 송신되는 DAB신호를 수신한 후 이를 증폭 및 복조하는 무선수신부와, 상기 무선수신부를 통해 복조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신호 출력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MPEG 신호 압축 기술로 압축되어 저장된 멀티미디어신호를 변조 및 증폭하여 DMB형식으로 무선 송신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DMB의 변조 주파수 권역내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대역을 송신주파수로 더 포함하여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는,
    멀티미디어 신호를 무선송신부를 통해 DMB 무선방식으로 송신하거나 출력잭을 통해 유선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그 전송방식을 선택적으로 전환시키는 전환스위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오디오신호 재생 장치.
KR20-2004-0025312U 2004-09-03 2004-09-03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KR2003753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312U KR200375305Y1 (ko) 2004-09-03 2004-09-03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312U KR200375305Y1 (ko) 2004-09-03 2004-09-03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215A Division KR100686194B1 (ko) 2004-09-03 2004-09-03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305Y1 true KR200375305Y1 (ko) 2005-03-11

Family

ID=43677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312U KR200375305Y1 (ko) 2004-09-03 2004-09-03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3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889B1 (ko) 음악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600790B1 (ko) 듀얼 방송 출력 기능을 갖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수신장치
KR100686194B1 (ko)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US7095866B1 (en) Wireless 900 MHz broadcast link
JP2005223443A (ja) 高速無線データ通信機における待機電力の削減システム
JP4515176B2 (ja) テレビ放送受信システム
KR101426948B1 (ko) Dmb 채널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375305Y1 (ko) Dab/dmb 무선 송신부를 가진 휴대용 오디오신호재생 장치
KR20030035745A (ko) 외부 오디오/비디오신호의 저장/재생기능을 가지며 위성신호, 케이블 신호, 지상파를 수용하는 디지털 셋탑박스
US20080168522A1 (en) Broadcast communication converter system and method
KR100505211B1 (ko) 데이터 전송장치
KR20030064595A (ko) 피아이피 기능을 구비한 방송 수신기
JP3135514B2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放送の受信装置
KR200296232Y1 (ko) 무선송신부가 내장된 휴대용 오디오화일 재생장치
KR100824278B1 (ko) 방송통신컨버터 및 그 동작방법
KR0155757B1 (ko)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 기록장치
KR100698648B1 (ko) 방송 끊김 방지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9980087256A (ko) 확장된 플레이 라디오 영상 카세트 녹음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030025602A (ko) 동영상 수신 기능을 갖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 수신기
KR200374673Y1 (ko) 트랜스미터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066593A (ko) Pvr장치의 채널별 음량 및 화질 설정값 자동 조정방법
US20040139479A1 (en) Content Receiving apparatus
JPH06338810A (ja) Fmモジュレータ
WO2005117276A1 (ja) 受信装置
KR100725180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