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4278B1 - 방송통신컨버터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방송통신컨버터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4278B1
KR100824278B1 KR1020050088189A KR20050088189A KR100824278B1 KR 100824278 B1 KR100824278 B1 KR 100824278B1 KR 1020050088189 A KR1020050088189 A KR 1020050088189A KR 20050088189 A KR20050088189 A KR 20050088189A KR 100824278 B1 KR100824278 B1 KR 100824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ntent
broadcast communication
communication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715A (ko
Inventor
최상기
Original Assignee
(주)허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허니 filed Critical (주)허니
Priority to KR1020050088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4278B1/ko
Publication of KR2007003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4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4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1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물을 수신하여 해당 방송물을 디지털 인코딩 변환 저장하며 외부의 등록 IP 주소로 전송하는 방송통신 컨버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방송물을 생성하여 공중방송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방송 소스와, 상기 방송물을 수신하여 디지털 인코딩 변환하여 방송통신 콘텐츠로 생성하여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한 후,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으로 전송하는 방송통신컨버터를 구비한다. 상기 방송통신컨버터는, 공중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한 방송물 중에서 원하는 채널을 튜닝하는 튜너와, 상기 수신한 방송물을 디지털 인코딩 변환하여 방송통신 콘텐츠로서 생성하는 인코더와, 소정의 메모리 기록매체로서, 상기 생성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등록 IP 주소를 가진 외부에 있는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TV, 방송, 난시청, 디지털, 인코딩, IP, 재생

Description

방송통신컨버터 및 그 동작방법{Broadcasting Communication Converter and method for opera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통신컨버터 시스템을 도시한 그림.
도 2는 방송통신컨버터의 내부 구성 블록도.
도 3, 도 4는 방송통신컨버터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방송소스 110: 공중파방송국
120: 케이블 TV방송국 150: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
160: 웹하드디스크 170: 외부 방송통신 콘텐츠
200: 방송통신컨버터
본 발명은 방송물을 수신하여 해당 방송물을 디지털 인코딩 변환 저장하며 외 부의 등록 IP 주소로 전송하는 방송통신 컨버터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난 1954년 미국에서 엔티에스시(NTSC) 컬러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이 시작된 이후 컬러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 사람들에게 가장 친근한 정보원이자 오락물 제공자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해왔다. 상기 아날로그 방송은 일정 반경의 공중망을 통하여 아날로그 방식의 전송이 이루어지는데, 아날로그 TV는 이를 수신하여 브라운관을 통해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기술적인 측면에서 TV는 최대의 화면에 최고의 화질을 제공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 왔다. 디지털 방송은 이러한 과정에 의해 등장하게 되었다. 즉, 종래의 아날로그 TV가 날로 대형화하면서 가전업계는 몇 가지 기술적인 한계에 부딪히고, 기존 방송 및 수신기 규격으로는 40인치 이상의 초대형 TV에서 선명한 화면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점과 브라운관을 사용할 경우 부피가 너무 커 가정용으로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점이 디지털 TV의 등장 배경이 되었다. 바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시작된 것이 바로 지난 1960년대부터 전세계 가전업계와 방송업계 주도 아래 시작된 고선명 TV(HDTV; High Definition TV) 개발 프로젝트다.
이후 발전을 계속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의 방송 및 통신은 디지털화를 중심으로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즉, 디지털 압축 기술을 이용하여 방송 프로그램을 디지털로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이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 지상 방송을 통하여 한국, 미국, 유럽, 아시아에서 상용화되고 있거나 상용화될 예정이며, 우리나라를 비롯해 선진국들이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는 이러한 디지털 방송의 이점은 복합적이다. 이는 HDTV가 종래의 NTSC와 같은 아날로그 TV 보다는 화질과 음질 면에 서 훨씬 뛰어날 뿐 아니라 다양하고 선명한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이점 때문에 멀티미디어 시대에 가장 완벽한 제품으로 꼽히고 있다.
그런데, 상기 아날로그 방송 및 디지털 방송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아날로그 방송의 경우 방송되는 아날로그 방송물을 녹화 및 재방영하는데 있어서 제한성이 있었다. 종래에 아날로그 방송을 즉석녹화 또는 예약녹화하기 위해서는 방송되는 내용물을 VTR의 테이프에 녹화하여, 추후 이를 VTR로 재생하여 아날로그 TV로만 감상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녹화 테이프 보관에 불편함이 있었고, 또한 재생에 있어 VTR과 아날로그 TV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마찬가지로, DMB 방송과 같은 디지털 방송의 경우, 디지털 방송물을 녹화하여 디지털 파일로 저장했다 하더라도, 이를 감상하기 위해서는 모니터를 구비한 별도의 컴퓨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둘째, 녹화된 방송물을 시청권한을 가진 정당한 다른 제3자에게 재전송하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아날로그 방송의 경우 그 공공성으로 인해 누구나 무료 시청할 수 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난시청 지역의 경우 아날로그 방송을 시청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난시청 지역의 시청자의 경우, 유료 케이블을 이용하거나 녹화된 별도의 유료 비디오 테이프를 빌려 시청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방송 중에서 지상파 DMB 방송의 경우 그 공공성으로 인해 유료인 위성 DMB 방송과 달리 무료 시청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송출 기지국 반경에 속하지 않는 난시청 지역의 경우 지상파 DMB 시청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안출된 것으로서, 방송되고 있는 방송물을 디지털 변환하여 별도의 저장부에 방송통신 콘텐츠로서 저장한 후, 추후에 이를 재생 시청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오디오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녹화된 녹화파일 콘테츠를 무료 시청권을 가진 제3자에게 전송하여 줌으로써, 해당 제3자가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를 수신하여 무료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방송물을 생성하여 공중방송망을 통하여 제공하는 방송 소스와, 상기 방송물을 수신하여 디지털 인코딩 변환하여 방송통신 콘텐츠로 생성하여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한 후,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으로 전송하는 방송통신컨버터를 구비한다. 상기 방송통신컨버터는, 공중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한 방송물 중에서 원하는 채널을 튜닝하는 튜너와, 상기 수신한 방송물을 디지털 인코딩 변환하여 방송통신 콘텐츠로서 생성하는 인코더와, 소정의 메모리 기록매체로서, 상기 생성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를 유무선통신망 을 통하여 등록 IP 주소를 가진 외부에 있는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으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공중파방송국, 케이블TV방송국과 같이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소스로부터 방송을 수신하여 원하는 채널을 튜닝하는 과정과, 상기 채널 튜닝된 방송물을 디지털 인코딩하여 생성한 방송통신 콘텐츠를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저장된 방송통신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소정의 IP 주소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의 일반적 관례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송통신컨버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방송통신컨버터(200)는 방송 소스(100)로부터 방송을 수신하여 이를 디지털 변환하여 소정의 방송통신 콘텐츠로 녹화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방송통신 콘텐츠 를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15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외부의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150)은 공중망으로부터 직접 방송콘텐츠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방송통신컨버터(200)를 통해 디지털 변환 녹화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의 방송 소스(100)는 공중파방송국(110), 케이블TV방송국(120)과 같이 소정의 방송물을 제작하여 제공하는 방송국의 서버로서, 공중방송망을 통해 소정의 방송물을 방송통신컨버터(200)로 제공한다. 상기 공중파 방송국(110)은 NTSC 방식의 아날로그 방송, 지상파 DMB와 같은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기지국으로서 별도의 시청료없이 방송을 공공 대중에게 제공하는 방송 기지국이라면 그 제한이 없을 것이다.
방송통신컨버터(200)는, 방송소스(100)로부터 제공된 방송물을 실시간으로 방송통신컨버터(200)내의 재생 수단을 이용하여 재생하거나, 외부에 있는 별도의 TV(도1에서는 도시되지 않음)에서 재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방송통신컨버터(200)는 방송소스(100)로부터 제공된 방송물을 실시간으로 디지털 변환하여 방송통신 콘텐츠로 저장하며 이렇게 변환 저장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150;웹하드디스크 또는 외부 방송통신컨버터)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150)으로의 전송을 위해, 방송통신컨버터(200)는 외부 해당 장치의 고유 아이피(IP) 주소를 등록 저장하고 있으며, 이렇게 등록 저장된 아이피 주소로 방송통신컨버터에 저장되어 잇던 방송통신 콘텐츠가 전송된다.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150)은 방송통신컨버터로부터 소정의 방송통신 콘 텐츠를 수신하는 곳으로서, 웹하드디스크(160) 또는 외부 방송통신컨버터(170)와 같이 방송통신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웹하드디스크(160)는 웹상의 파일저장수단으로서 방송통신컨버터(200)로부터 전송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수신 받아 저장하며, 사용자는 어느 때나 웹하드디스크(160)에 저장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재생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외부 방송통신컨버터(170)는 방송통신컨버터(200)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컨버터로서, 방송통신컨버터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외부 방송통신컨버터(170)는 방송통신컨버터(200)로부터 전송되어 온 방송통신 콘텐츠를 컨버팅하여 저장 및 재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웹하드디스크(160) 및 외부 방송통신컨버터(170)는 각각의 고유 아이피(IP) 주소를 가지고 있어, 방송통신컨버터(200)는 이러한 아이피 주소를 이용하여 웹하드디스크(160) 또는 외부 방송통신컨버터(170)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외부 방송통신컨버터(170)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부에 구비될 수 있음으로써, 방송 시청이 불가능한 지역에서도 방송통신컨버터가 구비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이용하여 방송이 재생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통신컨버터의 내부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서의 방송통신컨버터(200)는 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여 녹화 저장하는 장치를 일 실시 예로서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도 2에 도시한 아날로그 방송 을 수신하여 녹화하는 방송통신컨버터에 대하여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녹화 저장하는 방송통신컨버터에도 동일하게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도 2의 방송통신컨버터의 내부 구성 블록을 설명하면, 공중파 방송국(110;또는 케이블 TV 방송국)이 방송물을 생성하여 공중 방송망을 통하여 전송하게 되면, 방송통신컨버터(200)내의 방송수신 포트(212)는 이를 수신하여 튜너(210)에 전달하게 된다. 튜너(210)는 선택된 방송채널을 튜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수신한 방송 채널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주파수를 동조시키는 튜닝을 수행한다. 인코더(208)는 상기 튜닝된 아날로그 방송을 디지털 인코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디지털 인코딩은 YUV 아날로그 형식의 방송물을 RGB 디지털 형식의 방송물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변환 방식은 종래에 다양한 공지된 방식에 의해 변환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 [수학식 1]은 YUV-RGB 변환의 일 예를 도시한 수학식이다.
[수학식 1]
R = Y + 0.956U + 0.621V
G = Y + 0.272U + 0.647V
B = Y + 1.1061U + 1.703V
상기 인코더를 통해 디지털 변환된 디지털 인코딩물은 시스템버스(206)를 거 쳐 저장부(202)에 방송통신 콘텐츠로서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202)는 하드디스크(Hard Disk),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방송통신컨버터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외부 메모리 카드로서 별도로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디코더(216)는 저장부(202)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통신 콘텐츠를 시스템버스(206)를 통해 읽어 와서 YUV 형식으로 아날로그 디코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디코더(216)는 디코딩을 위한 필요한 코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AV컨트롤러(218)는 디코더(216)(로부터 수신된 녹화물을 오디오와 영상을 각각 분리하여 방송통신컨버터 내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220)와 스피커(222)로 출력한다. 따라서 방송통신컨버터(200) 내의 디스플레이부(220)와 스피커(222)를 통해 녹화물이 자체 재생됨으로써, 외부 TV와 같은 별도의 재생장치가 필요 없게 된다.
한편, 디코딩된 녹화물은 자체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지 않고, 비디오포트(214)를 이용하여 외부 TV(250)와 같은 별도 외부 재생 장치를 통하여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포트(214)는 외부 TV에 녹화물을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통신모뎀(226)과 통신포트(228)는 저장부내에 저장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외부에 있는 웹하드디스크나 외부 방송통신컨버터에 전송하는데, 상기 통신모뎀은 유무선통신망과의 전송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통신포트는 유무선통신망의 레이어(layer)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통신모뎀/통신포트는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뎀(226)과 통신포트(228)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전송되어 오는 방송통신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함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따라서 통신모뎀 및 통신포트가 외부의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방송통신 콘텐츠를 수신한 경우, 수신된 방송통신 콘텐츠는 시스템 버스(206)를 거쳐 저장부(202)에 저장될 수 있다.
전원부(230)는 방송통신컨버터의 내부 각 구성블록에 전원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입력패드(224)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UI(User Interface)이며, 제어부(204)는 상기 각 구성블록 및 시스템 버스를 제어하여 디지털 변환 녹화 및 저장 및 외부 전송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공중파방송국 또는 케이블 TV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방송을 저장한 후 외부에 있는 웹하드디스크 또는 외부 방송통신컨버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공중파방송국 또는 케이블TV방송국과 같은 방송소스(100)에서 공중망을 통하여 전송할 방송물을 생성하여 방송물을 전송(S302)하면, 방송통신컨버터(200)는 이 를 수신(S304)하여 원하고자 하는 채널을 튜닝하여 해당 튜닝된 채널을 디지털 인코딩(S306)하여 시스템버스를 통하여 저장부에 저장(S308)한다. 상기 디지털 인코딩되어 생성되는 방송물은 방송통신 콘텐츠로 부르기로 함은 이미 기술한 바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디지털 인코딩되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파일을 방송통신 콘텐츠라 칭할 것이다.
한편,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미리 등록된 수신 IP 주소의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150)으로 전송(S310)한다. 상기의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150)이라 함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수신받는 IP 주소를 갖는 목적 매체로서,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은 웹하드디스크 또는 외부 방송통신 콘텐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유무선통신망에 실린 방송통신 콘텐츠는 지정된 수신 IP 주소에 따라, 웹하드디스크에 저장되거나 다른 외부 방송통신컨버터에 전송되어 해당 외부 방송통신컨버터에서 재생(S312)된다.
한편, 도 3은 방송통신컨버터가 방송소스로부터 방송을 수신하여 실시간 재생 없이 디지털 인코딩 변환 저장한 후 외부의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하였는데, 방송통신컨버터는 방송소스로부터 수신한 방송을 실시간 재생하면서 동시에 이를 디지털 인코딩 저장하여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과 달리 별도의 방송 재생 과정(S402)을 포함시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재생은 비디오포트를 이용하여 외부에 있는 TV에서 재생이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외부 TV 재생 없이 방송통신컨버터 내에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통해서 자체 재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자체 재생의 경우 저장부에 저장된 방송콘텐츠가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후 A/V 컨트롤러를 거쳐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를 통해 재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방송통신컨버터로부터 소정의 방송통신 콘텐츠를 수신한 외부 방송통신컨버터의 경우, 수신한 방송통신 콘텐츠를 자신의 기록매체에 저장하면서 동시에 수신한 방송통신 콘텐츠를 디코딩하여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재생은 비디오포트 통해 외부의 TV에서 재생가능하며 또한, 자체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를 통해 재생이 가능함은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방송통신컨버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허 범위는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균등 범위에도 미침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방송물을 실시간으로 재생함과 동시에 통신형 디지털 파일인 방송통신 콘텐츠로 자동 변환하여 이를 등록된 IP 주소에 실시간으로 전송하여 줌으로써, 종래 아날로그 비디오 플레이어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디지털 파일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며, 방송통신컨버터에서 전송되는 방송통신 콘텐츠를 난시청의 원격지에서도 실시간으로 수신/재생/저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 다. 따라서 시청자가 시청권을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녹화가 불편하여 저장을 못한 방송물, 난시청 지역이어서 확보하지 못한 방송물을 타 지역의 방송통신컨버터의 디지털 파일인 방송통신 콘텐츠를 수신하여 해결할 수 있기 때문에 난시청 지역에 대한 효과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또한, 자동차와 같이 아날로그 방송의 수신이 어려운 이동체의 경우 광대역폭 무선통신 서비스 가입만으로 자신의 집에서 유선으로 보는 것과 동일한 실시간 전 채널 방송시청이 가능함으로써, DMB 가입과 같은 별도의 이동체 방송서비스에 가입할 필요가 없이 훨씬 다양한 방송물을 실시간으로 혹은 저장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비디오온디맨드(VOD) 방식으로 시청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삭제
  2. 공중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한 방송물 중에서 원하는 채널을 튜닝하는 튜너와,
    상기 수신한 방송물을 디지털 인코딩 변환하여 방송통신 콘텐츠로서 생성하는 인코더와,
    소정의 메모리 기록매체로서, 상기 생성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등록 IP 주소를 가진 외부에 있는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으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소정의 코덱에 따라 상기 저장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아날로그 디코딩하여 디코딩 콘텐츠를 생성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디코딩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와,
    상기 디코딩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어를 담당하는 A/V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방송통신컨버터.
  3. 공중방송망을 통하여 수신한 방송물 중에서 원하는 채널을 튜닝하는 튜너와,
    상기 수신한 방송물을 디지털 인코딩 변환하여 방송통신 콘텐츠로서 생성하는 인코더와,
    소정의 메모리 기록매체로서, 상기 생성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를 유무선통신망을 통하여 등록 IP 주소의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으로 전송하는 제어부와,
    상기 방송통신콘텐츠 타겟과의 외부 통신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통신포트를 포함하며,
    소정의 방송물을 생성하여 공중방송망을 통하여 제공하며 공중파 아날로그/디지털 방송국, 케이블 방송국을 포함하는 방송제공 서버인 방송 소스로부터, 상기 방송물을 수신하여 디지털 인코딩 변환하여 방송통신 콘텐츠로 생성하여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한 후,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으로 전송하는 방송통신컨버터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컨버터 장치.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송통신컨버터는, 상기 방송물을 수신하여 디지털 인코딩 변환 저장과 동시에 상기 방송물을 실시간으로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컨버터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방송물을 실시간으로 재생함은 외부에 있는 TV를 통하여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컨버터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방송물을 실시간으로 재생함은 상기 방송통신컨버터 내에 존재하는 재생장치를 통해 자체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컨버터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은,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 저장이 가능한 웹하드디스크, 외부에 존재하는 외부 방송통신컨버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컨버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외부 방송통신컨버터는, 수신한 방송통신 콘텐츠를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함과 동시에 수신한 방송통신 콘텐츠를 실시간 디코딩하여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컨버터 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방송통신 콘텐츠 타겟은, 각각 고유의 IP 주소가 할당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컨버터 장치.
  11. 삭제
  12. 청구항 3에 있어서, 방송통신컨버터는,
    소정의 코덱에 따라 상기 저장된 방송통신 콘텐츠를 아날로그 디코딩하여 디코딩 콘텐츠를 생성하는 디코더와,
    상기 디코딩된 디코딩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
    상기 디코딩 콘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스피커로 출력하는 제어를 담당하는 A/V 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는 방송통신컨버터 장치.
  13. 공중파방송국, 케이블TV방송국과 같이 방송을 제공하는 방송소스로부터 방송을 수신하여 원하는 채널을 튜닝하는 제1과정과,
    상기 채널 튜닝된 방송물을 디지털 인코딩하여 생성한 방송통신 콘텐츠를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저장된 방송통신콘텐츠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소정의 IP 주소로 전송하거나, 상기 방송통신콘텐츠가 외부에 있는 또 다른 제2방송통신콘텐츠로 전송되어 상기 제2방송통신콘텐츠에서 저장/재생되는 제3과정
    을 포함하는 방송통신컨버터의 동작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1과정에서 상기 채널 튜닝된 방송물을 실시간으로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컨버터의 동작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2과정에서 소정의 기록매체에 저장된 방송통신콘텐츠 를 디코딩하여 해당 방송통신컨버터 내의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재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통신컨버터의 동작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3과정에서 전송된 방송통신콘텐츠가 외부의 웹하드디스크에 저장되는 제4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송통신컨버터의 동작방법.
  17. 삭제
KR1020050088189A 2005-09-22 2005-09-22 방송통신컨버터 및 그 동작방법 KR100824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189A KR100824278B1 (ko) 2005-09-22 2005-09-22 방송통신컨버터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189A KR100824278B1 (ko) 2005-09-22 2005-09-22 방송통신컨버터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715A KR20070033715A (ko) 2007-03-27
KR100824278B1 true KR100824278B1 (ko) 2008-04-24

Family

ID=4134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189A KR100824278B1 (ko) 2005-09-22 2005-09-22 방송통신컨버터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4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431B1 (ko) * 2007-12-28 2009-10-14 (주)비욘위즈 컨버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984A (ja) 1998-02-27 1999-09-17 Nec Corp 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配信方法
KR20030041639A (ko)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인큐시스템즈 인터넷을 이용한 텔레비젼 방송 수신시스템 및 텔레비젼방송 수신방법
KR20040032651A (ko) * 2002-10-10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 텔레비전 시스템
KR20050066802A (ko) * 2003-12-27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KR20060022470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케이티 티브이 수신 신호를 인터넷으로 중계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984A (ja) 1998-02-27 1999-09-17 Nec Corp データ配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配信方法
KR20030041639A (ko) * 2001-11-21 2003-05-27 주식회사 인큐시스템즈 인터넷을 이용한 텔레비젼 방송 수신시스템 및 텔레비젼방송 수신방법
KR20040032651A (ko) * 2002-10-10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웹 텔레비전 시스템
KR20050066802A (ko) * 2003-12-27 2005-06-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을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방법
KR20060022470A (ko) * 2004-09-07 2006-03-10 주식회사 케이티 티브이 수신 신호를 인터넷으로 중계하는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715A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177682A (ja) 番組配信システムおよび録画再生装置
JP2009020527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9021748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サーバ装置、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387129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웹 pvr 시스템 및 방법
US20080168522A1 (en) Broadcast communication converter system and method
KR100824278B1 (ko) 방송통신컨버터 및 그 동작방법
KR10117130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데이터 저장장치 및 방법
JP2004096394A (ja) テレビ受信システム、テレビ受信装置及び携帯端末
JP2009152927A (ja) コンテンツの再生方法および再生システム
CN101361364B (zh) 电子节目指南提供设备和方法
JPH09284741A (ja) 放送受信装置
JP6425423B2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システム
KR100669538B1 (ko) 개인 비디오 녹화기를 이용한 개인화 방송방법 및 그시스템
JP2004274718A (ja) 表示装置および再生装置およびそれらに用いる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US20070035668A1 (en) Method of routing an audio/video signal from a television's internal tuner to a remote device
KR100808666B1 (ko) 통신형콘텐츠 디지털비디오레코더 및 그 동작방법
KR20100010098A (ko)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배포 방법
JP2008199337A (ja) 放送受信機器
JP2006270722A (ja) ストリーム配信システム、受信装置、選局方法およびサーバ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840567B1 (ko) 와이브로가 적용된 개인용 영상 녹화기 및 그 이용 방법
JP2006197109A (ja) 放送受信装置
KR200375304Y1 (ko) 일체화된 시스템 제어 및 역다중화부를 구비하는 개인용비디오 녹화시스템
KR100538984B1 (ko) 다중 코덱을 사용한 퍼스널 비디오 레코더
KR100529126B1 (ko) Pvr의 영상 서비스 방법
US20060053454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VOD content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