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857Y1 -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 Google Patents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857Y1
KR200374857Y1 KR20-2004-0033132U KR20040033132U KR200374857Y1 KR 200374857 Y1 KR200374857 Y1 KR 200374857Y1 KR 20040033132 U KR20040033132 U KR 20040033132U KR 200374857 Y1 KR200374857 Y1 KR 2003748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ided
cathode
electrolytic cell
conductive diamo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길
Original Assignee
박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길 filed Critical 박상길
Priority to KR20-2004-0033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8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8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8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C02F2001/46147Diamond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분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으로 전해조를 구성하여 전기분해되는 전해액으로 살균과 수질유지에 사용하며 폐수처리와 유기 무기 합성에 사용할 수 있는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며, 일측에 배출구(4) 또는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전극터미널(3)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2개의 전극홀더(1); 2개 전극홀더(1) 사이에 형성되는 전해조(2); 전해조(2)의 내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다이아몬드 피막이 형성된 전극; 전극에 연결하는 전원;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An electrolyzer having conductive diamond electrode }
본 고안은 전기분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으로 전해조를 구성하여 전기분해되는 전해액으로 살균과 수질유지에 사용하며 폐수처리와 유기 무기 합성에 사용할 수 있는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수처리를 위한 전기분해장치를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이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분해장치는 물에 2개의 전극을 투입시켜 직류전류를 흐르게 하면 한방향의 전극(양극)으로부터 산소가스가, 다른 방향에 있는 전극(음극)에서는 수소가스가 발생된다.
전기분해장치에 사용하는 전극은 백금, 귀금속, 티탄전극등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백금, 이산화납 등의 전극을 사용한 전기분해장치는 처리장치가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하며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을 다른 장소에서 실시할 수 있으나, 전위창이 좁고, 물의 전기분해가 우수하며, 합성 분해능력이 낮고, 전류효율이 낮으며 전극의 안정성이 약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도성 다이아몬드 전극을 이용한 전기분해장치를 사용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살균과 소독을 할 수 있는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에 배출구 또는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전극터미널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2개의 전극홀더; 2개 전극홀더 사이에 형성되는 전해조; 전해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다이아몬드 피막이 형성된 전극; 전극에 연결하는 전원; 으로 구성되며, 전해조는 무격막으로 다이아몬드 피막이 한면에만 피복된 편면양극전극과 편면음극전극을 설치하고, 편면양극전극과 편면음극전극 사이에 처리액이 통과하거나, 전해조는 무격막으로 편면양극전극과 편면음극전극 사이에 양면피복전극을 설치하고, 편면양극전극과 양면피복전극의 음극 사이와 양면피복전극의 양극과 편면음극전극 사이를 처리액이 통과하거나, 전해조는 무격막으로 편면양극전극과 편면음극전극 사이에 양면피복전극을 2개 이상 설치하고, 편면양극전극과 양면피복전극의 음극사이와 양면피복전극의 양극과 그 다음 양면피복전극의 음극 사이와 양면피복전극 양극과 편면음극전극 사이에 처리액이 통과하거나, 전해조는 편면양극전극과 편면음극전극을 설치하고, 편면양극전극과 편면음극전극 사이에 격막을 설치하며, 처리액은 편면양극전극과 격막 사이와 편면음극전극과 격막 사이를 각각 분리되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일측에 배출구 또는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전극터미널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2개의 전극홀더; 2개 전극홀더 사이에 형성되는 전해조; 전해조 내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다이아몬드 피막이 형성되는 전극; 전극에 연결하는 전원; NaOCl 또는 NaCl을 Cl2환산 산화제 농도로 0.6ppm 이상이 되도록 첨가하여 전해조를 통과하는 처리액; 으로 구성되는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a, 도 2b, 도 2c는 본 고안의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의 무격막 전극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의 격막 전극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전해처리한 수돗물에서 레지오넬라균의 접촉시간에 따른 불활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전해처리한 NaOCl을 첨가한 수돗물에서 레지오넬라균의 접촉시간에 따른 불활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전해처리한 NaHCO3를 첨가한 DI물에서 접촉시간에 따른 레지오넬라균의 불활성화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전해처리하여 NaSO4를 첨가한 DI물에서 접촉시간에 따른 레지오넬라균의 불활성화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다이아몬드 전극과 다른 전극을 사용하였을때 페놀분해 정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다이아몬드 전극과 PbO2전극을 사용하였을때 시안분해능력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전극홀더 2 : 전해조
3 : 전극터미널 4 : 배출구
10 : 편면양극전극 11 : 편면음극전극
12 : 처리액 14 : 양면피복전극
15 : 양극 16 : 음극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의 전기분해를 일으키기 위해서 필요한 이론상의 분해전압은 약 1.2볼트이지만, 실제적으로 이 전압에서는 전기분해를 할 수 없다. 전기 분해를 하기 위해서는 1.2볼트 이상의 전압을 필요로 하며 물의 전기 분해에 필요한 최저전압을 전위창이라고 부른다. 산소발생이 시작되는 전위와 수소발생이 시작되는 전위의 차가 전위창이 되며, 이 전위창은 전극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도전성 다이아몬드(BDD;Boron Doped Diamond)전극은 붕소를 도프한 약 5.5eV의 밴드캡이 있는 p형 반도체이다. 표면종단기나 흡착종에 후랫밴드 전위는 바뀌지 않지만, 다결정의 수소종단 상태로 전위는 약 1Vvs.NHE로 된다. 도프하지 않는 경우에도 표면준위의 존재, 또는 미량의 sp구조를 포함한 비결정성분의 존재에 따라 전도성이 생긴다. p형 반도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원 전류가 흐르는 것은 전위가 관여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붕소를 도프한 양의 증가에 따라 전도성이 상승하고, 10000ppm에서는 준금속상태가 된다. 다이아몬드의 격자정수는 0.3567 nm로 그 중 8개는 탄소원자이다. 단위 체적당 탄소원자, 붕소원자 수는 각각 1.76×1023cm-3{=8/(0.3567×10-7)3}, 1.76×1021cm-3이 된다.
백금이나 귀금속 피혁 티탄전극 등의 전극에서는 약 2볼트이지만 다이아몬드전극은 3-5볼트까지로 넓은 전위창을 가지고 있다. 전위창이 넓으면 물의 전기분해 반응대신 통상 전기분해가 어려운 물질의 산화 환원반응을 우선적으로 진행시킬 수가 있고, 이러한 물성을 이용하면 종래의 전기화학 시스템에서는 불가능했던 물질의 분해나 합성이 가능하게 된다.
다이아몬드 전극에는 백금과 비교했을때 2배에 달하는 넓은 전위창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다이아몬드 표면의 전기화학적 안정성에 유래하며 물의 방전에 있어서의 소반응인 표면의 산화환원이 진행할 수 없게 반영한다. 이 특성에 의해 고전류 밀도가 흐르게 할 수 있게 되었고 600℃까지 사용가능하며 역전위에 대해서도 강한 편이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측정할 수 없었던 화학종을 검출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산소, 수소가스 발생 이외의 반응도 가능하게 되었다. 공업용 양극재료로서 백금 등의 귀금속이 있지만 산화환원 전위창이 좁아 각 자체의 산화반응이 중량을 차지한다.
또한 기존의 전극에서 사용할 수 없는 전류, 전압범위를 자유로이 선정 사용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전압을 가하여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기존의 전극에서는 낮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전해조의 효율이 낮아서 사용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으나, 다이아몬드 전극에서는 높은 전압을 가할 수 있으므로 백금전극 대비 과산화수소 발생량이 30배에 이른다.
순수수를 전기분해하는 반응의 화학적 특징을 설명하면, 다이아몬드 전극은 산소의 표준전극전위이며 1.23V vs. NHE로부터 1V이상의 과전압을 부여해도 거의 반응이 없기 때문에 큰 전위차가 전극 - 용액계면에서 형성된다. 양극은 이때 다음과 같은 OH라디칼, 과산화수소, 오존등의 활성산소를 생성하는 것에 충분한 귀전위로 유지된다.
산화특성을 나타내는 아주 극단적인 데이타로서 순수수중에서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수전해를 할경우, Pt 전극의 경우 O3는 0.2 H2O2는 0.005 가 생성되고, PbO2 전극의 경우 O3는 5 H2O2는 0.001이 생성되는 반면에 다이아몬드 전극인 BDD의 경우 O3는 2 H2O2는 0.15가 생성된다.
오존은 과산화수소와 공존하면 AOP(advanced oxidation process)가 되며 OH라디칼이 신속하게 생성된다.
O3+ H2O2= OH + HO2+ O2
HO2= O2 -+ H+, pKa=4.8
활로겐화물 이온에서 300ppm, 30mAcm-2의 저농도인 NaCl전해시 발생되는 생성물은 백금의 2배 속도에 달하는 차아염소이온이 생성되고 최종적으로는 다량의 과염소산이온을 검출할 수 있다.
다이아몬드 양극을 이용하여 합성이나 분해를 할 경우 과산화물이나 OH라디칼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은 필수이고, 라디칼이 발생하는 것은 산화분해뿐만 아니라 폴리마화, 코르베 반응에서도 가능하다.
전도성 다이아몬드 전극은 물의 전기분해 반응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그래서 종래의 전기화학 시스템의 장점을 살려 종래에 어려웠던 점들을 해결한 전기화학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다이아몬드전극은 니오브나 실리콘이 기본이 되며 그 표면을 도전성 다이아몬드로 피복하여 도전성 다이아몬드의 특성을 100%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본 고안에서 다결정 도전성 다이아몬드는 화학적으로 안정된 전극 재료로 되어 있고 수용액중에서 높은 산소과 전압을 나타낸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해 레지오넬라균을 포함한 세균을 제어하는 목적으로 한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장치를 구성한다.
종래의 전극시스템과 전도성 다이아몬드 전극 시스템을 비교하면, 종래전극의 장점은 처리장치가 간단하고, 조작이 간편하며 산화반응과 환원반응을 다른 장소에서 실시할 수 있다는 점이지만 이러한 장점은 전도성 다이아몬드 전극 시스템에서도 동일하다.
그리고 종래의 전극시스템의 단점은 전위창이 좁고, 물의 전기분해가 우수하며, 합성 분해능력이 낮고, 전류효율이 낮으며 전극의 안정성이 약한 단점이 있으나, 이러한 단점을 전도성 다이아몬드 전극 시스템에서는 보완하여 전위창이 넓고, 물의 전기분해를 억제하며, 합성 분해 능력이 높고, 전류효율이 높으며, 전극이 안전하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다이아몬드 전극의 특성을 이용하여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살균과 소독을 할 수 있는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세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는 전해조(2)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전극홀더(1)가 양측에 형성되어 볼트등으로 고정되며, 전극홀더(1)의 일측에 양극과 음극에 연결되는 전극터미널(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극홀더(1)의 일측에 전해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4)가 형성되고, 타측에 전해처리될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상기 전극홀더(1)는 폴리프로필렌제품이 바람직하다.
전극홀더(1)의 유입구로 물을 공급하도록 펌프를 설치하고, 전극에 직류전원이나 교류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이 설치되는 실시예를 설명하면, 도 2a에 도시되어 있듯이, 무격막 1실 전해조를 형성할때 편면 양극전극(10)과 편면 음극전극(11) 사이로 처리액(12)이 지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편면 양극전극(10)과 편면 음극전극(11) 사이에서 산화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상기 편면 양극전극(10)과 편면 음극전극(11)은 다이아몬드 피막 전극으로 한쪽면에만 도전성 다이아몬드 피막을 형성시킨 것으로 이하에서 동일하다. 도전성 다이아몬드 피막은 전술한 다이아몬드 전극의 특성을 그대로 나타내므로 높은 전류와 전압을 가할 수 있어서 전해조의 효율을 월등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b에는 무격막 2실 전해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편면 양극전극(10)과 편면음극전극(11)이 설치되고, 그 사이에 양면피복전극(14)이 설치된다.
양면피복전극(14)은 일면에 도전성 다이아몬드 피막이 피복되어 양극(15)이 형성되고, 타면에 다이아몬드 피막이 피복되어 음극(16)이 형성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동일하다. 처리액(12)은 편면양극전극(10)과 양면피복전극(14)의 음극(16)면 사이로 흐르고, 양면피복전극(14)의 양극(15)면과 편면음극전극(11) 사이로 처리액이 흘러 산화 환원반응이 일어난다.
도 2c에는 무격막 3실 전해조가 도시되어 있으며, 편면 양극전극(10)과 편면음극전극(11)이 설치되고, 그 사이에 양면 피복전극(14)이 2개 설치된다.
편면 양극전극(10)과 양면피복전극(14)의 음극 사이에 처리액이 흐르고, 양면피복전극(14)의 양극과 다른 양면피복전극(14)의 음극 사이에 처리액이 흐르며, 양면피복전극(14)의 양극과 편면 음극전극(11) 사이에 처리액이 흘러 3개의 전해조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유로전환밸브등이 없이 간단한 구조인 무격막으로 전해조를 형성하면 ph가 중성에 잔류염소가 높아져 살균소독용으로 적합하다.
도 3에는 격막이 있는 전해조를 도시하였은데, 이 경우에 편면 양극전극(10)과 편면 음극전극(11) 중간에 격막(17)을 설치하고, 상기 격막으로는 물은 통과하지 못하고 이온만이 통과한다. 그러므로 산과 알카리가 분리되고 ph가 구분된다. 이 장치에는 유로전환 밸브등 복잡한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고, 분리된 산성수의 경우에 살균효율이 증가한다.
이상과 같은 전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장치에서 전해처리한 전해수에서 레지오넬라균의 안정성을 실험하면 다음과 같다.
양극 또는 음극에서는 실리콘 기판위에 핫필라멘트 CVD법에 의해 다결정 도전성 다이아몬드막을 형성한 전극을 이용한다. 전해조는 전해면적 65cm2 인 것을 사용하고 전해액은 수돗물, NaCl을 첨가한 수돗물, NaHCO3를 첨가한 이온교환수, 또는 Na2SO4를 첨가한 DI수를 사용한다. 전해조의 전해액 공급량을 160 l/h로 정하고 전해액 온도 22-26℃ 밑으로, 전류밀도 50mA/cm2으로 전해를 실시한다. 각 전해 처리수 중에 5ml의 레지오넬라균을 첨가하여 5분, 20분, 60분 경과후에 살아있는 레지오넬라균의 수를 측정한다.
도 4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수돗물에서는 접촉시간 60분후에서도 레지오넬라균은 불활성화하지 않았지만, 전해처리한 수돗물은 레지오넬라균이 불활성화하였다. 전류밀도가 50 mA/cm2, 또는 100 mA/cm2의 전해 처리한 수돗물은 산화제 농도가 0.11ppm, 0.13ppm 이 되었지만, 레지오넬라균 불활성화율에서 큰 차이점은 없었다. 반면 전류밀도 150 mA/cm2의 전해처리한 수돗물 0.19ppm의 산화 경우와 비교했을때 레지오넬라균 불활성화율은 전해밀도 50, 100 mA/cm2에서 전해 했을 때와 비교할 때 3배 이상 크게 차이가 났다. 접촉시간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레지오넬라균의 불활성화가 진행되고 접촉시간이 60분이 지나면 레지오넬라균의 불활성화는 89%에 달하게 된다.
도 5에는 NaOCl을 첨가한 수돗물 중의 레지오넬라균의 불활성화가 표시되어 있다. NaOCl를 Cl2 환산으로 0.18ppm, 0.67ppm, 1.12ppm 첨가한 수돗물의 레지오넬라균은 불활성화가 인정된다.
NaOCl를 0.67ppm, 그리고 1.12ppm 첨가한 수돗물에 접촉시간 5분후 레지오넬라균이 완전히 불활성화 된다.
도 6에는 전해처리한 NaHCO3를 첨가한 DI물에서 레지오넬라균의 불활성화가 도시된다. 수돗물 안의 이온강도와 거의 같도록 하여 NaHCO3를 첨가한 DI수를 전해처리하였다. 전해처리하여 NaHCO3를 첨가한 DI수의 레지오넬라균은 불활성화하고 접촉시간 60분후 불활성화율은 산화제 농도에 의존하지 않고 70~80%가 되었다.
다이아몬드 전극은 NaHCO3용액, 또는 NaCO3용액을 전해처리한 경우 과산소가 발생하고, 과산소등의 활성종이 레지오넬라균의 불활성화에 기여한다.
도 7은 전해처리하여 NaSO4를 첨가한 DI물에서 레지오넬라균의 불활성화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수돗물에 이온강도는 같도록 Na2SO4를 첨가한 DI물을 전해 처리하였다. 전래처리 Na2SO4를 첨가한 DI수안의 레지오넬라균은 거의 활성화 하지 않고, 접촉시간 60분후의 불활성화율은 20%이하가 되었다.
이상과 같은 실험에서 알 수 있듯이, 다이아몬드 전극으로 전해처리한 수돗물에서 레지오넬라균은 활성화 하지 않았다. 그리고 과탄산등의 활성종은 레지오넬라균이 불활성화 하는 것에 큰 기여를 하고, 과황산은 레지오넬라균의 불활성화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저 농도 NaCl을 첨가한 수돗물을 전해 처리하는 것에 의해 전해처리수 안의 과산제 농도가 올라가고 레지오넬라균은 짧은 사긴 안에 불활성화 한다.
처리액(12)에 NaOCl 또는 NaCl을 Cl2환산 산화제 농도로 0.6ppm 이상이 되도록 첨가하면, 가장 이상적으로 살균과 수질유지를 할 수 있다.
도전성 다이아몬드를 이용한 전기분해장치를 이용하여 풀을 정화하는 시스템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에는 다이아몬드 전극과 다른 전극을 사용하였을때 페놀분해 정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적은 전압이 가해졌을때 다이아몬드 전극에서탁월한 분해능력을 가진다.
도 9에는 다이아몬드 전극과 PbO2전극을 사용하였을때 시안분해능력을 도시하였다. 다이아몬드 전극은 10시간이 지난 시점에 시안이 거의 분해되었고, PbO2전극은 60시간 이후에야 시안이 완전히 분해되었다.
본 고안의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는 간단한 구조의 전극을 사용하여 전해처리한 전해수를 생성하고, 이 전해수를 이용하여 풀장등의 살균과 수질유지를 할 수 있으며, 유기, 무기화합물의 산화분해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시안이나 페놀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고, 중금속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해조내에 사용되는 전극은 도전성 다이아몬드 피막이 형성된 전극으로 전위창이 넓어 높은 전압과 전류를 가할 수 있으므로 전해조의 효율이 높아진다.
양극과 음극의 편면 피막전극 사이에 양면피막전극을 두어 간단하게 전해조를 구성하여 살균수를 제조할 수 있으며, 저농도의 NaCl을 첨가한 수돗물을 전해처리하는 것에 의하여 전해처리수 안의 과산제 농도가 올라가므로 쉽게 살균과 소독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전기분해장치는 무격막 1실 전해조나 이온교환 격막을 이용한 2실 전해조를 쉽게 만들 수 있으며, 복극으로 형성되어 쉽게 5실까지 전해조를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일측에 배출구(4) 또는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전극터미널(3)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2개의 전극홀더(1);
    2개 전극홀더(1) 사이에 형성되는 전해조(2);
    전해조(2)의 내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다이아몬드 피막이 형성된 전극;
    전극에 연결하는 전원;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해조(2)는 무격막으로 다이아몬드 피막이 한면에만 피복된 편면양극전극(10)과 편면음극전극(11)을 설치하고, 편면양극전극(10)과 편면음극전극(11) 사이에 처리액(12)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다이아몬드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전해조(2)은 무격막으로 편면양극전극(10)과 편면음극전극(11) 사이에 양면피복전극(14)을 설치하고, 편면양극전극(10)과 양면피복전극(14)의 음극(16) 사이와 양면피복전극(14)의 양극(15)과 편면음극전극(11) 사이를 처리액(12)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전해조(2)은 무격막으로 편면양극전극(10)과 편면음극전극(11) 사이에 양면피복전극(14)을 2개 이상 설치하고, 편면양극전극(10)과 양면피복전극(14)의 음극(16)사이와 양면피복전극(14)의 양극(15)과 그 다음 양면피복전극(14)의 음극(16) 사이와 양면피복전극(14) 양극(15)과 편면음극전극(11) 사이에 처리액(12)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전해조(2)은 편면양극전극(10)과 편면음극전극(11)을 설치하고, 편면양극전극(10)과 편면음극전극(11) 사이에 격막(17)을 설치하며, 처리액(12)은 편면양극전극(10)과 격막(17) 사이와 편면음극전극(11)과 격막(17) 사이를 각각 분리되어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장치.
  6. 일측에 배출구(4) 또는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타측에 전극터미널(3)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고정되는 2개의 전극홀더(1);
    2개 전극홀더(1) 사이에 형성되는 전해조(2);
    전해조(2) 내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다이아몬드 피막이 형성되는 전극;
    전극에 연결하는 전원;
    NaOCl 또는 NaCl을 Cl2환산 산화제 농도로 0.6ppm 이상이 되도록 첨가하여전해조(2)을 통과하는 처리액(12); 으로 구성되는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KR20-2004-0033132U 2004-11-23 2004-11-23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KR2003748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32U KR200374857Y1 (ko) 2004-11-23 2004-11-23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132U KR200374857Y1 (ko) 2004-11-23 2004-11-23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804A Division KR100654349B1 (ko) 2004-11-22 2004-11-22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857Y1 true KR200374857Y1 (ko) 2005-02-04

Family

ID=4944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132U KR200374857Y1 (ko) 2004-11-23 2004-11-23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8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84295B2 (en) Electrolytic cell for ozone generation
US65479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US6375827B1 (en) Electrochemical treating method and apparatus
JP3859358B2 (ja) 電解水製造装置
US5770033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using gas and liquid phase cathodic depolarizers
US20070017801A1 (en) High electric field electrolysis cell
US7985327B2 (en) Electrode, method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JP5764474B2 (ja) 電解合成装置、電解処理装置、電解合成方法及び電解処理方法
KR19990023400A (ko) 물의 전기분해 방법
JPH04191387A (ja) 電解オゾン発生方法及び装置
JP2005146344A (ja) 酸素還元用電極と、該電極を用いた過酸化水素の製造装置及び方法、及び、該過酸化水素の製造装置又は方法を用いた水処理装置及び方法及び洗濯機
KR20070117523A (ko) 수도수 전해에 의한 오존수 및 차아염소산수 발생용 전해셀및 복합산화제 전극
JP2002219464A (ja) 電解処理方法および処理装置
KR200374857Y1 (ko)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KR100654349B1 (ko) 도전성 다이아몬드 전극의 전기분해 장치
US10239772B2 (en) Recycling loop method for preparation of high concentration ozone
JP2007070701A (ja) 固体高分子電解質型オゾン生成装置
JP3550858B2 (ja) 電解装置及びイオン水生成器
JP3673000B2 (ja) 電解水製造用電解槽
JP4038253B2 (ja) 酸性水及びアルカリ水製造用電解槽
KR100523982B1 (ko) 전기화학적 살균제 발생기
CN113215595B (zh) 一种便携式次氯酸消毒水生产装置
JP2605642B2 (ja) 電解イオン水生成装置および電解イオン水生成方法
Muff et al. Detailed parameter study on the mechanisms in electrochemical oxidation of p-nitrosodimethylaniline in chloride electrolyte
CN115094462A (zh) 基于泡沫钛单原子整体电极的二氧化氯气体发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