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829Y1 -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829Y1
KR200374829Y1 KR20-2004-0032070U KR20040032070U KR200374829Y1 KR 200374829 Y1 KR200374829 Y1 KR 200374829Y1 KR 20040032070 U KR20040032070 U KR 20040032070U KR 200374829 Y1 KR200374829 Y1 KR 2003748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ischarge
grain
opening
st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대
Original Assignee
김기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대 filed Critical 김기대
Priority to KR20-2004-0032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82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8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8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출 도어어셈블리를 개선하여 볶는 과정에서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곡물의 손실을 줄이고, 개,폐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한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저면에 바퀴(11)를 가지고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의 내부에 곡물을 볶기위하여 설치하는 볶음솥(13)과; 상기 볶음솥(13)의 일측으로는 볶음이 완료된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4)와; 상기 배출구(14)에 배출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배출 도어어셈블리(15)와; 상기 볶음솥(13)의 바닥면(17)에 근접한 위치에는 볶아지는 곡물을 저어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임펠러(18)와; 상기 임펠러(18)를 구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12) 상방에 설치되는 프레임(19)에 고정되는 모터(20)와; 상기 볶음솥(13)의 저면에 장착되어 곡물을 볶을 때 필요한 열원을 제공하는 히터어셈블리(22)로 구성되는 곡물 볶음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배출 도어어셈블리(15)는 배출구(14)의 외부에 볶은 곡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하는 배출가이드(30)와; 상기 배출구(14)의 상측에 구비되는 브라켓(31)에 판상타입의 도어(32) 상측에 구비되는 브라켓(33)과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34)과; 상기 도어(32)와 배출가이드(30)에는 도어(32)의 개,폐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개폐수단(36)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수단(36)은 도어(32)의 중간위치에 슬로트(37)를 형성하여 고정되는 가이드(38)와; 상기 가이드(38)의 슬로트(37)에 결합되어 도어(32) 개,폐를 선택하는 작동자(39)와; 상기 배출가이드(30)의 중간위치에 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바(40)의 중간위치에서 도어(3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작동자(39)를 삽입하는 작동관(41)과; 상기 작동관(41)에 구비되어 작동자(39)가 도어(3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달리하여 도어(32)의 개,폐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속볼트(42)와; 상기 작동바(40)의 일측에는 도어(32)의 개,폐작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작동레버(45)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가이드(30)의 상부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가이드커버(46)를 더 구비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Door assembly for grain parching machine}
본 고안은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볶음이 완료된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도어를 통하여 볶는 과정에서 곡물이 유출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배출 도어어셈블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곡물 볶음솥은 이유식으로 가공할 때 사용하는 참깨, 들깨, 보리, 콩, 쌀, 땅콘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곡물을 볶는기계를 말하며, 이러한 곡물 볶음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것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예시를 도 1,2에 도시하고 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곡물 볶음장치(10)는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저면에 바퀴(11)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케이스(12)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2)의 내부에는 곡물을 볶기위한 볶음솥(13)을 설치한다.
상기 볶음솥(13)의 일측으로는 볶음이 완료된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4)에 배출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배출도어(15)를 가지고 상방에는 볶을 곡물을 투입하고 곡물을 볶는 과정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폐타입의 커버(16)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볶음솥(13)의 바닥면(17)에 근접한 위치에는 볶아지는 곡물을 저어줄 수 있도록 임펠러(18)를 구비하여 케이스(12) 상방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9)에 고정되는 모터(20)와 구동축(21)으로 연결한다.
상기 볶음솥(13)의 저면에는 곡물을 볶을 때 필요한 열원을 제공하는 히터어셈블리(22)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20)와 히터어셈블리(22)는 프레임(19)의 측방에 더 구비되는 콘트롤러(23)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성이다.
종래에는 상기 볶음장치에 구비되는 배출도어(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스(2)에 구비되는 배출구(3)에 상,하슬라이딩 방식으로 구비되어 곡물을 볶을 때에는 차단하고 볶은 곡물을 배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개방하도록 구비된다.
즉, 판상의 배출도어에 손잡이를 구비하여 작업자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측으로 당겨져 개방되고 하측으로 내려지면서 폐쇄되는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긴밀한 상태의 밀착이 어렵게 된다.
특히, 곡물을 볶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하여 판상의 배출도어가 변형될 경우에는 쉽게 개,폐되지 않는 것은 물론, 배출구와 이격되어 갭이 발생하고 이 갭을 통하여 볶는 과정으 곡물이 유출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배출 도어어셈블리를 개선하여 고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볶는 과정에서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곡물의 손실을 줄이고, 개,폐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곡물 볶음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볶음장치의 품질과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배출 도어어셈블리가 적용된 곡물 볶음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배출 도어어셈블리가 적용된 곡물 볶음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곡물 볶음장치용 배츨 도어어셈블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를 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곡물 볶음장치
15; 배출 도어어셈블리
30; 배출가이드
32; 도어
35; 보조커버
36; 개폐수단
46; 가이드커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배출 도어어셈블리가 적용된 곡물 볶음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배출 도어어셈블리가 적용된 곡물 볶음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곡물 볶음장치용 배츨 도어어셈블리의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곡물 볶음장치(10)는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저면에 바퀴(11)를 가지는 원통형상의 케이스(12)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12)의 내부에는 곡물을 볶기위한 볶음솥(13)을 설치한다.
상기 볶음솥(13)의 일측으로는 볶음이 완료된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4)에 배출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배출 도어어셈블리(15)를 가지고 상방에는 볶을 곡물을 투입하고 곡물을 볶는 과정에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폐타입의 커버(16)를 가지도록 한다.
상기 볶음솥(13)의 바닥면(17)에 근접한 위치에는 볶아지는 곡물을 저어줄 수 있도록 임펠러(18)를 구비하여 케이스(12) 상방에서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프레임(19)에 고정되는 모터(20)와 구동축(21)으로 연결한다.
상기 볶음솥(13)의 저면에는 곡물을 볶을 때 필요한 열원을 제공하는 히터어셈블리(22)가 장착되고, 상기 모터(20)와 히터어셈블리(22)는 프레임(19)의 측방에 더 구비되는 콘트롤러(23)에 의하여 제어되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배출 도어어셈블리(15)를 개선하여 곡물을 볶는 과정에서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곡물의 유출을 방지하고, 절도있는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의 배출 도어어셈블리(15)는 배출구(14)의 외부에 볶은 곡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단면이 개략 형상인 배출가이드(30)를 고정한다.
상기 배출구(14)의 상측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브라켓(31)을 구비하여 판상타입의 도어(32)의 상측에 구비되는 브라켓(33)과 힌지핀(34)으로 고정하여 도어(32)의 하측이 개,폐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32)의 양측 종방향으로는 배출구(14)의 양측을 커버할 수 있는 보조커버(35)를 더 구비하여 도어(32)의 변형이 있더라도 배출구(14)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32)와 배출가이드(30)에는 도어(32)의 개,폐를 선택할 수 있는 개폐수단(36)을 더 구비한다.
상기 개폐수단(36)은 도어(32)의 중간위치에 종방향으로 슬로트(37)를 형성한 가이드(38)를 고정하고, 상기 가이드(38)의 슬로트(37)에는 도어(32) 개,폐를 선택하는 개략 T형상의 작동자(39)를 결합한다.
상기 작동자(39)는 배출가이드(30)의 중간위치에서 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바(40)의 중간위치에서 도어(32) 방향으로 돌출되는 작동관(41)에 삽입한다.
상기 작동관(41)에는 단속볼트(42)를 구비하여 작동자(39)가 도어(3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달리하여 도어(32)의 개,폐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작동바(40)의 일측에는 도어(32)의 개,폐작동을 위한 작동레버(45)를 상향 돌출되게 구비하고, 상기 배출가이드(30)의 상부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가이드커버(46)로 마감하여 구성한다.
상기 도어(32)를 닫았을 때 작동자(39)의 선단부는 작동바(40)의 중심(P)보다 낮은 위치(P1)에 있도록 함으로서 도어(32)가 자연 개방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곡물을 볶고자 할 경우에는 배출 도어어셈블리(15)를 닫은 상태에서 수행하고, 곡물의 볶음이 완료된 후에는 배출 도어어셈블리(15)를 개방하여 볶아진 곡물을 배출하면 된다.
즉, 곡물을 볶는 과정에서는 작동레버(45)를 이용하여 도어(32)를 닫는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서 작동레버(45)와 연결된 작동바(40)가 회동하여 작동관(41)을 하향시키게 된다.
그러면, 작동관(41)에 삽입되고 도어(32)에 구비되는 가이드(38)에 결합된 작동자(39)가 하향되어 가이드(38)의 슬로트(37) 최하단에 위치하게 되고, 이 때의 위치는 작동자(39)의 선단부가 작동바(40)의 중심(P)보다 낮은 위치(P1)에 있게 됨으로서 작동자(39)가 도어(32)를 밀고 있는 형태가 됨으로서 도어(32)가 자연 개방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곡물을 통상적인 방법으로 볶으면 되고, 곡물의 볶음이 완료되면 도어(32)를 개방하여 볶아진 곡물이 배출가이드(30)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면 된다.
상기 도어(32)의 개방은 도어(32)를 닫을 때의 반대방향으로 작동레버(45)를 회동시키면 이와 연결된 작동바(40)가 회전하여 작동관(41)을 상향되게 하고, 상기 작동관(41)에 결합된 작동자(39)가 상승하면서 가이드(38)의 슬로트(37)상측에 걸림된 상태가 되고, 지속적인 상승으로 도어(32)는 자연스럽게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곡물을 볶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하여 판상으로 이루어진 도어(32)의 변형이 있더라도 배출구(14)를 안전하게 커버하게 되는 데, 이는 도어(32)의 양측에 더 구비하는 보조커버(35)에 의하여 도어(32)와 배출구(14) 상간에 발생하는 갭을 차단함으로서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출가이드(30)의 상방에 구비하는 가이드커버(46)에 의하여 배출되는 볶아진 곡물에 이물질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배출 도어어셈블리를 개선하여 고열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볶는 과정에서 개방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곡물의 손실을 줄이고, 개,폐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곡물 볶음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볶음장치의 품질과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Claims (3)

  1. 이동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저면에 바퀴(11)를 가지고 구비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12)와;
    상기 케이스(12)의 내부에 곡물을 볶기위하여 설치하는 볶음솥(13)과;
    상기 볶음솥(13)의 일측으로는 볶음이 완료된 곡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4)와;
    상기 배출구(14)에 배출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배출 도어어셈블리(15)와;
    상기 볶음솥(13)의 바닥면(17)에 근접한 위치에는 볶아지는 곡물을 저어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임펠러(18)와;
    상기 임펠러(18)를 구동할 수 있도록 케이스(12) 상방에 설치되는 프레임(19)에 고정되는 모터(20)와;
    상기 볶음솥(13)의 저면에 장착되어 곡물을 볶을 때 필요한 열원을 제공하는 히터어셈블리(22)로 구성되는 곡물 볶음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배출 도어어셈블리(15)는 배출구(14)의 외부에 볶은 곡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정하는 배출가이드(30)와;
    상기 배출구(14)의 상측에 구비되는 브라켓(31)에 판상타입의 도어(32) 상측에 구비되는 브라켓(33)과 개,폐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핀(34)과;
    상기 도어(32)와 배출가이드(30)에는 도어(32)의 개,폐를 선택할 수 있도록구비하는 개폐수단(36)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수단(36)은 도어(32)의 중간위치에 슬로트(37)를 형성하여 고정되는 가이드(38)와;
    상기 가이드(38)의 슬로트(37)에 결합되어 도어(32) 개,폐를 선택하는 작동자(39)와;
    상기 배출가이드(30)의 중간위치에 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바(40)의 중간위치에서 도어(32) 방향으로 돌출되어 작동자(39)를 삽입하는 작동관(41)과;
    상기 작동관(41)에 구비되어 작동자(39)가 도어(3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달리하여 도어(32)의 개,폐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속볼트(42)와;
    상기 작동바(40)의 일측에는 도어(32)의 개,폐작동을 위하여 구비되는 작동레버(45)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가이드(30)의 상부는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가이드커버(46)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32)를 닫았을 때 작동자(39)의 선단부는 도어(32)가 자연 개방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동바(40)의 중심(P)보다 낮은 위치(P1)에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32)의 양측 종방향으로는 배출구(14)의 양측을 커버하여 도어(32) 변형에 따른 갭을 차단할 수 있는 보조커버(3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
KR20-2004-0032070U 2004-11-12 2004-11-12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 KR2003748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070U KR200374829Y1 (ko) 2004-11-12 2004-11-12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070U KR200374829Y1 (ko) 2004-11-12 2004-11-12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829Y1 true KR200374829Y1 (ko) 2005-02-03

Family

ID=49445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070U KR200374829Y1 (ko) 2004-11-12 2004-11-12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82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346B1 (ko) * 2010-05-17 2012-06-15 김경아 레버 타입 투입구 개폐수단을 갖는 발효기
KR101664955B1 (ko) * 2015-09-15 2016-10-24 이대열 회전개방형 댐퍼부가 구비된 커피 로스터기
KR20210012345A (ko) * 2019-07-25 2021-02-03 (주)제이씨일렉트릭 전열식 곡물 볶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346B1 (ko) * 2010-05-17 2012-06-15 김경아 레버 타입 투입구 개폐수단을 갖는 발효기
KR101664955B1 (ko) * 2015-09-15 2016-10-24 이대열 회전개방형 댐퍼부가 구비된 커피 로스터기
KR20210012345A (ko) * 2019-07-25 2021-02-03 (주)제이씨일렉트릭 전열식 곡물 볶음기
KR102319441B1 (ko) * 2019-07-25 2021-10-29 (주)제이씨일렉트릭 전열식 곡물 볶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2317B1 (en) Heating cooker
KR101253566B1 (ko) 드럼세탁기
KR200374829Y1 (ko) 곡물 볶음장치용 배출 도어어셈블리
EP1433523B1 (en) Bowl scraper and related attachment system for mixing machine, mixing machine and method
KR102055259B1 (ko) 솥 및 이를 포함하는 볶음장치
JP7406221B2 (ja) 回転伝達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食品処理装置
US20090208621A1 (en) Cooking Appliance
JPH10234565A (ja) 水流による洗米装置付き炊飯器
KR101167254B1 (ko) 곡물 볶음기
KR102103085B1 (ko) 자동 조리기
JPH05177148A (ja) 精米装置
EP1186269B1 (en) Valve opening/closing device of a fryer
US7172335B1 (en) Automatic mashed potato system
JP4003365B2 (ja) 自動販売機の飲料調理装置
KR200344158Y1 (ko) 볶음기계
CN113017394A (zh) 煮饭器及洗米处理
JP3384143B2 (ja) 自動販売機の飲料調理装置
KR200375307Y1 (ko) 자동뻥튀기장치
KR100569297B1 (ko) 곡물 볶음장치
KR20060037918A (ko) 자동뻥튀기장치
JP4042243B2 (ja) 穀類洗浄用タンク
JP3696637B2 (ja) 自動販売機の飲料調理装置
JPH0310907Y2 (ko)
KR20110004148U (ko) 볶음기의 배출구 개폐장치
KR200368287Y1 (ko) 음식물가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