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620Y1 -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보강재 - Google Patents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보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620Y1
KR200374620Y1 KR20-2004-0030200U KR20040030200U KR200374620Y1 KR 200374620 Y1 KR200374620 Y1 KR 200374620Y1 KR 20040030200 U KR20040030200 U KR 20040030200U KR 200374620 Y1 KR200374620 Y1 KR 2003746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lange
brace
reinforcemen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영
오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4-0030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6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6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6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토류벽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버팀보를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를 사용함으로써, 버팀보 연결부에 사용되는 볼트 수량을 줄일 수 있으며, 연결부의 안정성 확보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부 플랜지(101), 하부 플랜지(103), 웨브(102)를 포함하는 강재 빔으로 이루어지며, 단부에는 강재로 이루어진 단부판(11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버팀보(10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양측 버팀보(100)의 상기 단부판(110)이 마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110)과 상부 플랜지(101)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단부판(110)과 하부 플랜지(103) 사이의 공간에는 상부 및 하부에 절곡 보강재(200a, 200b)가 설치되는데, 상기 절곡 보강재(200a, 200b)는, 상기 상부 플랜지(101) 및 하부 플랜지(103)에 접하는 수평판(201)과, 단부판(110)의 내측면에 접하는 수직판(202)이 일측에서 서로 수직하게 강절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절곡 보강재(200a, 200b)의 수직판(202)은 양측 단부판(110) 및 이웃하는 버팀보에 설치된 절곡 보강재의 수직판(202)과 일체로 볼트 결합되고; 상기 양측 보팀보(100) 연결부의 상부 플랜지(101) 및 하부 플랜지(103)에는 각각 강재 판으로 이루어진 상부 연결판(120) 및 하부 연결판(130)이 걸쳐져 설치되며; 상기 절곡 보강재(200a, 200b)의 수평판(201)은 각각 상부 플랜지(101) 및 하부 플랜지(103), 그리고 상부 연결판(120) 및 하부 연결판(130)과 일체로 볼트 결합되어버팀보의 연결부가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Connecting Structure of Supporting Beams, and Reinforcing Member used therefor}
본 고안은 토류벽과 같은 흙막이 구조물(이하, "토류벽"이라고 통칭한다)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버팀보의 연결구조와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팀보를 연결함에 있어서,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를 사용함으로써, 버팀보 연결부에 사용되는 볼트 수량을 줄일 수 있으며, 연결부의 안정성 확보에 유리한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버팀보의 연결구조와 연결방법, 그리고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 가시설, 토류벽 등을 건설함에 있어서, 횡방향 토압을 지지하기 위하여 버팀보가 설치되는데, 버팀보로서 주로 빔을 이용하며 필요한 경우 다수 개의 빔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도면에서, 도 1은 토류벽을 버팀보로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원 A의 상세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버팀보의 연결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개략도이다.
굴착지의 붕괴를 막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착지에 수직빔(3)을 근입한다. 그리고 근입된 수직빔(3)과 수직빔(3)의 사이에 패널(5)을 적층하여 토류벽(1)을 시공한다. 이와 같은 토류벽(1)은 자체적으로 토압을 견디도록 설계되지만, 토압이 클 경우에는 토류벽(1)이 붕괴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힘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토류벽(1)을 지지하기 위해 마주하는 토류벽(1) 사이에 버팀보(10)를 설치하여 토류벽(1)을 보강한다.
마주하는 토류벽(1) 사이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버팀보(10)가 토류벽(1) 사이의 간격만큼 길이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버팀보(10)의 길이가 상기 간격보다 짧을 경우에는 도 1에 보이듯이, 짧은 길이의 버팀보(10)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원 A의 상세도로서, 길이가 짧은 버팀보를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시공현장에서는 상기 토류벽(1) 사이의 간격만큼의 길이를 갖는 버팀보를 만들기 위해서, 짧은 길이의 버팀보(10)를 연결한다. 일반적으로 버팀보(10)로서 사용되는 빔은 상부 플랜지(11), 하부 플랜지(13) 및 웨브(12)에 더하여 단부판(end plate)(14) 및 상기 단부판(14)을 보강하기 위한 측면 보강리브(1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단부판(14)은 버팀보(10)의 단부에 필렛용접되어 설치된다.
종래에는 버팀보(10)를 연결하기 위해서 버팀보(10) 단부에서,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3)에 다수 개의 관통공을 뚫고, 연결하고자 하는 버팀보(10)를, 각각의 단부판(14)이 서로 맞닿도록 설치하게 된다. 상기 단부판(14)에도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버팀보(10)의 상부 플랜지(11)와 하부 플랜지(13)에는 각각 강재판으로 이루어진 연결판(20)이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판(20)에는 각 버팀보(10)의 단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대응하는 지점에 관통공이 천공된다.
이와 같이, 양측 버팀보(10)의 단부판(14)이 맞닿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양측 버팀보(10)의 상부 플랜지(11) 및 하부 플랜지(13)에 걸쳐서 상부 및 하부 연결판(20)을 위치하고, 볼트(22)를 연결판(20)과 버팀보(10)의 상부 플랜지(11) 및 하부 플랜지(13)의 각각에 형성된 관통공에 관통시킨 후에 반대편에서 너트(24)를 체결하여 연결판(20)으로 두 개의 버팀보(10)를 연결한다. 아울러, 서로 마주 접한 상기 단부판(14)에도 볼트(22)를 관통시켜 너트(24)로 체결함으로써 단부판(14)도 서로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버팀보(10)는, 그 양단이 마주하는 토류벽(1)에 접하여 토류벽(1)을 보강하게 된다.
위와 같은 종래의 버팀보 연결구조에서, 압축력은 서로 맞대고 있는 단부판(14)에 의하여 전달된다. 이에 비하여 휨 모멘트는 전적으로 볼트(22)에 의하여 전달된다. 볼트(22)의 사용 개수가 많을수록 버팀보 연결부에서의 휨 모멘트 강성은 커지게 되지만, 볼트(22)를 많이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게 된다.
첫째로는, 볼트의 사용 개수가 많을수록 그에 따라 빔 및 연결편에 천공해야하는 구멍의 개수도 증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천공작업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경제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특히, 버팀보에 형성된 관통공과 연결판에 형성하는 관통공은 상호 대응하여야 하기 때문에, 정밀한 천공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며, 볼트의 사용 개수가 많을수록 그에 따른 노력과 비용이 더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둘째로, 많은 개수의 볼트에 상응하는 관통공은 결국 빔 단면의 유실을 의미하는 바, 빔 단면의 약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빔의 재활용에도 불리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버팀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필요한 볼트의 개수를 줄이는 것은 버팀보 연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절약, 비용 절감에 매우 유리한 것으로서, 흙막이 공사 전체에 있어서, 시공기간 및 시공비를 좌우할 수도 있는 매우 중요한 사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흙막이 공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버팀보 연결구조에 있어서의 사용 볼트 수의 절감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버팀보 연결구조에 비하여, 사용 볼트의 수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면서도, 연결부의 강성은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버팀보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연결방식에 의하여 연결된 버팀보로 토류벽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원 A의 상세도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버팀보의 연결구조의 상세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버팀보 연결부 하면이 상면에 오도록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토류벽 3 : 수직빔
5 : 패널 10 : 버팀보
100 : 버팀보 120 : 상부 연결판
130 : 하부 연결판 200a, 200b : 상부 및 하부 절곡 보강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상부 플랜지, 하부 플랜지, 웨브를 포함하는 강재 빔으로 이루어지며, 단부에는 강재로 이루어진 단부판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버팀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양측 버팀보의 상기 단부판이 마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과 상부 플랜지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단부판과 하부 플랜지 사이의 공간에는 상부 및 하부에 절곡 보강재가 설치되는데, 상기 절곡 보강재는, 상기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에 접하는 수평판과, 단부판의 내측면에 접하는 수직판이 일측에서 서로 수직하게 강절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절곡 보강재의 수직판은 양측 단부판 및 이웃하는 버팀보에 설치된 절곡 보강재의 수직판과 일체로 볼트 결합되고; 상기 양측 보팀보 연결부의 상부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에는 각각 강재 판으로 이루어진 상부 연결판 및 하부 연결판이 걸쳐져 설치되며; 상기 절곡 보강재의 수평판은 각각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 그리고 상부 연결판 및 하부 연결판과 일체로 볼트 결합되어 버팀보의 연결부가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은 버팀보 연결구조에 사용되는 버팀보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로서, 양측 버팀보의 상부 플랜지 또는 하부 플랜지에 접하는 수평판과 단부판의 내측면에 접하는 수직판이 일측에서 서로 수직하게 강절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있으며; 양측 버팀보의 단부판이 마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과 상부 플랜지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단부판과 하부 플랜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플랜지에 접하는 수평판은 각각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와 볼트 결합되고, 상기 단부판과 접하는 수직판은 양측 단부판 및 이웃하는 버팀보에 설치된 절곡 보강재의 수직판과 일체로 볼트 결합되어, 상기 버팀보의 연결부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버팀보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가 제공된다.
아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3a에는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를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도 3a에 도시된 사시도에서, 버팀보 연결부 하면이 상면에 오도록 뒤집어서 도시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연결구조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의 연결구조에서, 강재 빔으로 이루어진 버팀보(100)의 연결부 단부에는 강재로 이루어진 단부판(110)이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버팀보(100)에 수직하게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양측의 버팀보(100)가 서로 연결될 때, 각각의 단부판(110)이 서로 마주 접하게 된다. 상기 버팀보(100)는 상부 플랜지(101), 하부 플랜지(103) 및 웨브(102)로 이루어지는데, 강재 버팀보(100)가 연결될 때, 상기 단부판(110)이 마주 접한 상태에서, 양측 버팀보(100) 단부의 상부 플랜지(101) 및 하부 플랜지(103)에는 각각 강재 판으로 이루어진 상부 연결판(120) 및 하부 연결판(130)이 일체로 결합된다.
상기 상부 연결판(120)과 상부 플랜지(101), 그리고 하부 연결판(130)과 하부 플랜지(103)는 각각 볼트 결합하게 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서 있어서는 상부와 하부에 사용되는 볼트(140)의 개수에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버팀보에 휨모멘트가 작용할 때, 상기 빔의 연결부에는 정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플랜지(101) 부분은 실질적으로 압축측이 되고, 하부 플랜지(103) 부분은 인장측이 된다. 따라서, 상부 플랜지(101) 보다는, 인장력을 받는 하부 플랜지(103) 부분에 더 많은 개수의 볼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버팀보(100) 단부의 상부 플랜지(101)와 결합하게 되는 상부 연결판(120)에는 일측에 2개씩 총 4개의 볼트(140)가 설치되어 있으며(도 3a), 하부 연결판(130)에는 일측에 4개씩 총 8개의 볼트(140)가 설치되어 있다(도 3b). 즉, 하부 연결판(130)에서 일측 버팀보(100) 단부의 하부 플랜지(103)와 결합하는 측에, 버팀보(100)의 웨브(102)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각각 2개씩의 볼트(140)가 설치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양측 버팀보(100)의 상기 단부판(110)이 마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110)과 상부 플랜지(101)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단부판(110)과 하부 플랜지(103) 사이의 공간에는 상부 및 하부에 절곡 보강재(200a, 200b)가 설치된다.
상기 버팀보(100)의 웨브(102)에는, 상기 단부판(110)을 지지하기 위한 보강리브(111)가 상기 웨브(102)의 중앙부에 수직하게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보강리브(111)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강리브(111)와 상부 플랜지(101)와 단부판(110) 사이, 그리고 상기 보강리브(111)와 하부 플랜지(103)와 단부판(110) 사이에 각각 연결부 보강용 상부 절곡 보강재(200a)와 하부 절곡 보강재(200b)가 설치된다. 다만, 상기 보강리브(111)는 구비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로서, 하부 절곡 보강재(200b)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하부 절곡 보강재(200b)는 강재로 이루어진 두 개의 판 즉, 수평판(201)과 수직판(202)이 일측에서 서로 직각으로 강절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ㄱ"자 또는 "ㄴ"자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데, 상기 수평판(201)은 하부 플랜지(103)에 접하여 하부 플랜지(103) 및 하부 연결판(130)과 일체로 볼트 결합되며, 수직판(202)은 단부판(110)의 내측에 접하여 양측 단부판(110) 및 이웃하는 버팀보에 설치된 절곡 보강재의 수직판(202)과 일체로 볼트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하부 절곡 보강재(200b)에서, 하부 플랜지(103)와 결합되는 수평판(201)에는, 하부 플랜지(103) 및 그와 결합되는 하부 연결판(130)에 결합되는 볼트 개수에 맞추어 2개의 볼트공(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부판(110)과 결합되는 수직판(202)에는 하나의 볼트(140)에 의하여 단부판(110)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나의 볼트공(210)만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3b에는 도 3b의 뒤집힌 형상이 도시되어 있으므로, 상부 플랜지(101)와 단부판(110)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 절곡 보강재(200a)의 형상을 아래쪽에 확인할 수 있는데, 상기 상부 절곡 보강재(200a)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하부 절곡 보강재(200b)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도 3a, 3b에 도시된 실시예와 관련하여, 상부 플랜지(101) 및 하부 플랜지(103)에 설치되는 볼트의 개수가 상이한 경우 즉, 상부 플랜지(101)에 설치되는 볼트의 개수가 작은 경우, 그에 맞추어 상부 절곡 보강재(200a)의 일측 판 즉, 상부 플랜지(101)와 결합되는 판에는 하나의 볼트공(2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절곡 보강재(200a, 200b)에서, 상기 두 개의 판이 결합되는 모서리에는, 두 개의 판을 지지하는 결합리브(203)가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상기 판과 일체를 이룬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
위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버팀보 연결구조를 시공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양측 버팀보(100)의 단부에, 각각 단부판(110)을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결합하게 된다. 버팀보로 사용되는 통상의 빔에는 이러한 단부판(110)이 미리 결합되어 있다. 필요한 경우, 단부판(110)과 버팀보(100)의 웨브(102) 사이에 보강리브(111)를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체로 설치한다. 상기 단부판(110)에는 볼트공(210)을 천공한다. 상기 볼트공(210)은 버팀보(100)의 웨브(102)와 보강리브(111)로 구획되는 단부판(110)의 각 부분에 각각 하나씩 천공한다.
단부판(110)이 설치된 양측 버팀보(100)를 마주 대어, 상기 단부판(110)이 서로 마주 접하도록 위치한 후, 단부판(110)과 상부 플랜지(101) 및 하부 플랜지(103) 사이의 공간에 상부 및 하부 절곡 보강재(200a, 200b)를 각각 설치한다. 즉, 상부 및 하부 절곡 보강재(200a, 200b)의 수평판(201)이 상부 및 하부 플랜지(101, 103)의 내면에 접하고, 수직판(202)이 단부판(110)에 접하도록 설치한다. 이렇게 상부 및 하부 절곡 보강재(200a, 200b)를 설치한 후, 양측의 단부판(110) 및 이웃하는 버팀보(100)에 설치되는 절곡 보강재의 수직판(202)에 형성된 볼트공(210)에 볼트(140)를 관통시켜 너트(141)로 체결함으로써, 양측의 단부판(110)과 양측의 절곡 보강재의 수직판(202)을 모두 일체로 볼트 연결한다.
후속하여, 양측 버팀보(100) 단부의 상부 플랜지(101) 및 하부 플랜지(103)에 각각 상부 연결판(120)과 하부 연결판(130)을 설치하고, 상기 상부 절곡 보강재(200a)의 수평판(201)과 상부 플랜지(101), 그리고 상부 연결판(120)에 형성된 볼트공(210)에 이들을 모두 관통하도록 볼트(140)를 관통시킨 후 너트(141)로 체결하여 이들을 모두 일체로 볼트 결합하며, 하부 절곡 보강재(200b)의 수평판(201)도 볼트(140)와 너트(141)를 이용하여 하부 플랜지(103) 및 하부 연결판(130)과 일체로 볼트 결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빔을 볼트 연결함에 있어서, 절곡 보강재를 사용함으로써, 결합에 사용되는 볼트의 개수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다음과 같은 계산 방식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우선, 본 고안의 절곡 보강재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종래의 연결구조의 경우, 상부 플랜지와 상부 연결판을 결합하는 볼트는 볼트 단면의 전단에 의하여 인장력을 지지하게 된다. 하부 플랜지와 하부 연결판을 결합하는 볼트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이다. 즉, 종래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플랜지와 연결판을 결합하는 볼트는 1면 전단에 의하여 인장력을 지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볼트의 1면 전단을 가지는 종래의 구조에서, 연결부의 허용 휨모멘트(Ma)는 아래의 수학식 1에 의하여 결정된다.
위의 수학식 1에서 n은 사용볼트의 개수이고, F는 볼트의 허용력이며, d는 빔의 높이이다.
이와는 달리, 본 고안의 경우, 절곡 보강재(200a, 200b)를 사용하므로, 상부 플랜지와 상부 연결판을 결합하는 볼트, 그리고 하부 플랜지와 하부 연결판을 결합하는 볼트는 모두 2면 전단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볼트의 2면 전단을 가지는 본 고안의 구조에서는, 연결부의 허용 휨모멘트(Ma)가 아래의 수학식 2에 의하여 결정된다.
위의 수학식 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학식 2에서 n은 사용볼트의 개수이고, F는 볼트의 허용력이며, d는 빔의 높이이다.
위의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서 알 수 있듯이, 동일한 높이의 빔에 대하여 동일한 종류와 개수의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조가 종래의 구조의 2배가 되는 허용 휨모멘트를 갖게 된다. 따라서, 동일한 허용 휨모멘트에 대해서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구조에서는 종래의 연결구조에 비하여 절반 정도의 볼트만을 사용하여도 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구조와 도 3a, 3b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를 대비하여도 알 수 있듯이, 종래의 경우, 상부 연결판과 하부 연결판에 각각12개의 볼트를 사용하고, 단부판의 연결에 4개의 볼트를 사용하여 총 28개의 볼트를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경우, 도 3a, 3b에 도시된 것처럼, 16개의 볼트만을 사용하여도 충분하다.
이와 같이, 절곡 보강재를 사용하는 본 고안의 연결구조에서는 버팀보의 연결을 위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볼트의 개수를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며, 그에 따라 볼트공의 천공작업, 정밀한 볼트공 정합 작업, 볼트 연결작업 등이 줄어들게 되어, 버팀보 연결에 소모되는 시간과 노력, 그리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 볼트의 개수를 줄임으로써, 빔 단면의 유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빔 단면의 약화, 재활용상의 불리함 등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버팀보의 연결구조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2)

  1. 상부 플랜지(101), 하부 플랜지(103) 및 웨브(102)를 포함하는 강재 빔으로 이루어지며, 연결부의 단부에는 강재로 이루어진 단부판(11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버팀보(10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양측 버팀보(100)의 상기 단부판(110)이 마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110)과 상부 플랜지(101)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단부판(110)과 하부 플랜지(103) 사이의 공간에는 상부 및 하부에 절곡 보강재(200a, 200b)가 설치되는데,
    상기 절곡 보강재(200a, 200b)는, 상기 상부 플랜지(101) 및 하부 플랜지(103)에 접하는 수평판(201)과, 단부판(110)의 내측면에 접하는 수직판(202)이 일측에서 서로 수직하게 강절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절곡 보강재(200a, 200b)의 수직판(202)은 양측 단부판(110) 및 이웃하는 버팀보에 설치된 절곡 보강재의 수직판(202)과 일체로 볼트 결합되고;
    상기 양측 보팀보(100) 연결부의 상부 플랜지(101) 및 하부 플랜지(103)에는 각각 강재 판으로 이루어진 상부 연결판(120) 및 하부 연결판(130)이 걸쳐져 설치되며;
    상기 절곡 보강재(200a, 200b)의 수평판(201)은 각각 상부 플랜지(101) 및 하부 플랜지(103), 그리고 상부 연결판(120) 및 하부 연결판(130)과 일체로 볼트 결합되어 버팀보의 연결부가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팀보의 연결구조.
  2. 상부 플랜지(101), 하부 플랜지(103), 웨브(102)를 포함하는 강재 빔으로 이루어지며, 단부에는 강재로 이루어진 단부판(110)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버팀보(100)의 연결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로서,
    양측 버팀보(100)의 상부 플랜지(101) 또는 하부 플랜지(103)에 접하는 수평판(201)과 단부판(110)의 내측면에 접하는 수직판(202)이 일측에서 서로 수직하게 강절형태로 일체 결합되어 있으며;
    양측 버팀보(100)의 단부판(110)이 마주 접한 상태에서, 상기 단부판(110)과 상부 플랜지(101) 사이의 공간 및 상기 보강단부판(110)과 하부 플랜지(10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플랜지에 접하는 수평판(201)은 각각 상부 플랜지(101) 및 하부 플랜지(103)와 볼트 결합되고, 상기 단부판(110)과 접하는 수직판(202)은 양측 단부판(110) 및 이웃하는 버팀보에 설치된 절곡 보강재의 수직판(202)과 일체로 볼트 결합되어, 상기 버팀보(100)의 연결부를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버팀보 연결부 보강용 절곡 보강재.
KR20-2004-0030200U 2004-10-26 2004-10-26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보강재 KR2003746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200U KR200374620Y1 (ko) 2004-10-26 2004-10-26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보강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200U KR200374620Y1 (ko) 2004-10-26 2004-10-26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보강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680A Division KR100699040B1 (ko) 2004-10-26 2004-10-26 흙막이 벽체 지지용 버팀보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620Y1 true KR200374620Y1 (ko) 2005-01-29

Family

ID=4944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200U KR200374620Y1 (ko) 2004-10-26 2004-10-26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보강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6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0417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KR101168763B1 (ko) 강합성 교량 시공방법
KR100699040B1 (ko) 흙막이 벽체 지지용 버팀보의 연결구조
KR101016453B1 (ko) 대각가새의 접합구조
KR102376908B1 (ko) 지수판 고정구조가 일체화된 다이아프램 월의 스탑엔드
KR102200236B1 (ko) 벽체모듈 및, 벽체구조물
JP4577004B2 (ja) 鋼コンクリート複合構造の梁とsrc構造の柱とからなる建物軸組の施工方法
KR200374620Y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및 그에 사용되는 연결부 보강용 절곡보강재
KR102484548B1 (ko) 마름모형 단면의 지보재를 이용한 터널 굴착면의 지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426992B1 (ko) 벽면패널 및 보강토구조
KR102206844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 모듈 간 결합 구조 및 방법
JP2618205B2 (ja) 仮設橋梁における主桁の横連結構造及び横連結材
JP3347942B2 (ja) ユニット建物とその施工方法
KR20030048301A (ko) 건축용 골조
KR102499318B1 (ko) 단부 보강형 철골 프레임
JP4249104B2 (ja) 梁の補強構造及び梁の補強工法
JP3828641B2 (ja) 柱と梁の結合構造
CN215442425U (zh) 一种预制梁柱节点与预制柱连接结构
JPH11159000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の接合構造
KR102609879B1 (ko) 하중전이방지장치를 이용한 유지보수형 투명방음벽
CN217267515U (zh) 一种吊梁连接节点结构
KR102206845B1 (ko) 모듈러 건축물의 단위 모듈 간 결합 구조 및 방법
CN221219132U (en) Section steel concrete column node
CN216840058U (zh) 带侧向连接钢框架的预制装配式剪力墙
KR102633906B1 (ko) 가설교량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