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467Y1 -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467Y1
KR200374467Y1 KR20-2004-0032269U KR20040032269U KR200374467Y1 KR 200374467 Y1 KR200374467 Y1 KR 200374467Y1 KR 20040032269 U KR20040032269 U KR 20040032269U KR 200374467 Y1 KR200374467 Y1 KR 2003744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box
cover
locking device
slide ro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득웅
Original Assignee
엄득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득웅 filed Critical 엄득웅
Priority to KR20-2004-0032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4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4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6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ools or spar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52Other locks for chests, boxes, trunks, baskets, travelling bag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적재함에 구성되며, 각종 공구 및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를 갖는 차량용 공구함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은 상·하로 적층되어 별개의 수납공간을 갖도록 복층형으로 구성하되, 상부 공구함의 외측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내측의 수평가이드바에 안내되는 수평슬라이드봉을 좌·우로 이송시켜 상부덮개를 개폐시키는 잠금장치부; 상기 수평슬라이드봉에는 복수의 걸림쇠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소정위치에 걸림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슬라이드봉의 좌·우 이송에 의해 상부덮개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상부공구함;과 상기 상부공구함 내측의 수직가이드바에 지지되어 장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하부덮개를 개폐시키는 수직슬라이드봉; 상기 하부덮개 상단에 형성되어 수직슬라이드봉이 요입되어 결합되는 개폐구로 구성되는 하부공구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Tool box and lock equipment}
본 고안은 화물트럭의 적재함에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공구함을 사용함에 있어서, 보다 넓은 수납공간을 확보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자 종래 단층형의 공구함을 복층구조로 개선하여 활용면에서 효율성을 높인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층형 공구함 일측면에 구비된 하나의 잠금장치부를 통해 상부와 하부에 별도로 형성된 덮개를 동시에 개폐가능하게 고안한 것이며, 상기 잠금장치부와 연계되어 작용하는 장치들이 모두 외부로 돌출하지 않고 매입된 구성방식을 취하고 있어 공구 내지 자재 등을 수납할 시 간섭으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본 고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및 토목 등의 설비공사를 주업으로 하는 당업자는 다양한 공구 내지 자재 등을 보유하게 되고, 특히 이같은 공구나 자재 등은 대부분이 고가이므로 도난 방지에 주의를 기울어야 하지만, 부피가 크고 고중량이어서 다양한 공사의 신속한 진행 및 인건비 절감을 위해 현장에서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차량의적재칸에 공구함을 별도로 설치하여 항상 비치하고 다니게 된다. 이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는 공구함은 각종 공구의 훼손이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장치를 필수적으로 장착한다.
통상적인 공구함의 잠금장치는 본체와 덮개가 맞닿는 경계부 중앙위치에 'L'자 형의 연결프레임을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하고, 연결프레임상에 통공을 형성하여 자물쇠를 채움으로써 수납된 공구 및 자재들을 보관하는 방식인 바, 공구함이 차량의 적재칸과 동일한 폭으로 제작됨에 따라 양단 모서리지점의 취약부를 강화하기 위해 'L'자형 연결프레임을 최소 두개 이상의 지점에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는 동시에 다수의 자물쇠를 채워야함에 따라 번거럽고 여러 개의 열쇠를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과 공구 및 자재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공구함을 개폐시 다수의 자물쇠를 일일이 잠그거나 해제해야만 해서 신속을 요하는 작업에 적당하지 못하다는 폐단이 지적되어 왔다.
최근에는 등록실용신안 제342352호(명칭: 차량용 공구함 잠금장치)가 언급한 문제점의 대안책을 제시하고 있지만, 상기 공구함 잠금장치는 슬라이딩 하는 고리부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관계로 공구 및 물품 수납시 간섭을 많이 받고, 외부로부터 자연적이거나 물리적인 현상이 전해져 갑작스레 덮개가 닫힐 경우, 그 충격으로 인한 걸림쇠의 파손을 방지할 수 없는 구성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공구함에 구비되는 걸림쇠는 상부고리부와 단순걸림의 형태로 구성되어 외부에서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강제 개방시 파손의 위험이 큰 점은 여전히 극복하지 못하고 있으며, 잠금장치부가 상기 공구함 중앙 상단에 위치하고 있어 잠금장치를 해제시 적재칸 위로 작업자가 탑승하여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같은 문제점을 개선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공구를 보관 및 사용할 수 있고, 비교적 넓은 수납공간을 필요로 하는 작업자에게 본 고안의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에 적합한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종래 공구함을 개선하여 내용물의 안전한 보관과 사용시 불편함을 최소화 하고, 단층형의 공구함을 복층구조로 형성하여 단층형의 불편함과 공간적인 손실 및 특수 공구의 종류별 구분 보관에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덮개와 본체가 맞닿는 부분의 틈이 없는 형상으로 밀착성을 높혔으며, 잠금장치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여 타 제품을 적재함에 있어 지장 및 간섭을 초래하지 않고, 상부덮개와 결합된 수직슬라이드봉은 상부덮개가 개폐됨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하게 되어 하부덮개 또한 별도의 조작없이도 개폐가 가능한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복층형 공구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복층형 공구함이 밀폐되는 작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잠금장치에 의해 상·하부 덮개가 본체에 밀착됨을 도시한 복층형 공구함의 측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상·하부 덮개가 일련의 과정으로 동시에 개방되는 연계성을 나타낸 복층형 공구함의 측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잠금장치가 닫힌 상태를 일부분 확대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잠금장치가 개방되는 상태를 일부분 확대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공구함 11. 경첩
12. 상부덮개 20. 잠금장치부
30. 수평슬라이드봉 31. 걸림쇠
32. 걸림고리 33. 수평가이드바
40. 수직슬라이드봉 41,41'. 수직가이드바
42,42' 스프링부 50. 개폐구
60. 하부공구함 61. 하부덮개
70. 복층형 공구함 본체
본 고안은 각종 공구를 보관하는 차량용 공구함의 공간적인 측면과 안전성 및 편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주안점을 두었는 바, 기존 단층형의 공구함에서 비롯되는 공간의 부족함이나 종류별로 구분되어 보관하여야 하는 특수 공구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복층 구조의 형상으로 제작하였고, 공구함을 개폐함에 수반되는 잠금장치부 관련 부재들 모두 내부 및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적재시 타 제품과의 간섭을 일체 배재하였으며, 상기 복층형 공구함에 구비된 상·하부 덮개가 일련의 과정만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함은 물론, 외부에 노출이 되지 않게 본체에 매입된 걸림쇠, 걸림고리, 수평슬라이드봉 등에 작용으로 공구함 중앙부 뿐만 아니라, 양단 모서리부에도 견고하게 본체와 덮개가 밀착될 수 있게 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복층형 공구함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복층형 공구함이 밀폐되는 작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3(a)는 본 고안의 잠금장치에 의해 상·하부 덮개가 본체에 밀착됨을 도시한 복층형 공구함의 측면도, 도 3(b)는 본 고안의 상·하부 덮개가 일련의 과정으로 동시에 개방되는 연계성을 나타낸 복층형 공구함의 측면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잠금장치가 닫힌 상태를 일부분 확대도시한 도면,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해 구성된 잠금장치가 개방되는 상태를 일부분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각종 공구 및 물품을 수납하는 본체의 일단에 경첩을 구비하여 덮개를 개폐가능하게 하고, 보다 넓은 수납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구함을 적층시킨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에 있어서, 상부공구함(10) 본체 내부에 설치되어 열쇠로 작용하게 되는 잠금장치부(20); 상기 잠금장치부의 회전판에 연결되어 열쇠의 회전에 의하여 왕복운동을 하는 수평슬라이드봉(30); 상기 수평슬라이드봉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역'ㄱ'자 형상을 가지고 본체와 덮개를 결합시키는 두 개의 걸림쇠(31); 상부공구함 상측으로부터 하향하고 상기 걸림쇠가 내부공간에서 끼워질 수 있도록 'U'자 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걸림고리(32); 수평슬라이드봉이 상기 걸림고리까지 원할하게 이송될 수 있게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수평가이드바(33); 본체 전면부 내부공간에서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하부덮개(61)를 개폐가능하게 하는 스프링(42)이 장착된 두 개의 수직슬라이드봉(40); 하부덮개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슬라이드봉이 하강하여 하부덮개를 고정하기 위한 개폐구(50); 상기 수직슬라이드봉이 개폐구에 정밀하게 내입되게 하는 기능의 수직가이드바(41,41'); 및 상기수직가이드바 자체에 장착됨으로써 탄성반발력을 이용하여 하부덮개를 개폐하기 위한 스프링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3(b)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공구함은 기존 단층형의 공구함을 복층구조로 개선하여 상·하부 공구함으로 구성된다. 각각의 공구함은 별도의 덮개를 구비하고, 상부공구함은 덮개(12)가 윗방향으로 개폐되는 방식으로 기존의 형상을 유지하며, 하부공구함 덮개(61)는 본체 전면부 하단에 경첩(11)이 형성되어 있어 하부덮개 상측이 적재함 바닥으로 개구되는 방식으로 구성된 형태이다.
상기한 상·하부 공구함 사이에는 철판재가 위치하게 되어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강제 개방할 시 걸림고리(32)와 걸림쇠(31)는 철판재의 커버로 인해 일부파손은 되지만 덮개를 쉽게 열지 못하는 구조이다.
상부공구함(10)에 비치된 잠금장치부(20)는 열쇠를 삽입하여 회동가능한 형태로써 공구함을 개폐가능하게 하고, 수평슬라이드봉(30), 걸림쇠(31), 걸림 고리(32), 수평가이드바(33)는 상기 잠금장치부와 연계되어 상부덮개(12)를 개방하고 또한 밀폐시키기 위해 구비된 주요 장치들로 모두 외부적으로는 물론, 내부적으로도 드러나지 않고 본체(70)에 매입된 형태로 존재한다.
도 4(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이송이 가능한 수평슬라이드봉(30) 상측에 등간격으로 설치된 걸림쇠(31)는 역'ㄱ'자 형태의 앵글로 견고히 제작되어 상측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U'자 형태로 제작된 걸림고리(32)에 끼워지게 되며, 수평슬라이드봉 소정위치에 스프링(42')을 장착함으로써 상부덮개(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쉽게 닫히지 않도록 유지한다.
상기 수평슬라이드봉(30)은 잠금장치부에 형성된 회전판(미도시함)에 연결되어 있어 열쇠의 회전에 의한 좌·우 슬라이딩 왕복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수평슬라이드봉 상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걸림쇠(31)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열쇠의 회전에 의해 일체된 형상으로 구동하게 된다.
상기 걸림고리(32)는 본체와 덮개를 견고히 밀착시켜 결합하게 하는 수단이 되고, 'U'자 형태에서 비롯되는 공간에 상기 걸림쇠(31)가 수용되는 형태이며, 걸림쇠의 개수와 동일하게 설치하여 각각의 쌍을 이루도록 한다.
그리고, 수평가이드바(33)는 수평슬라이드봉(30)이 양측으로 왕복운동을 할 때 이탈하지 않고 상기 걸림쇠(31)가 걸림고리(32)에 형성된 체결구멍에 일치시키기 위하여 내부에 일정 통공(미도시함)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원할하게 수평가이드바(33)가 이송될 수 있게끔 안내 역할을 수행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수직슬라이드봉(40)은 상·하로 슬라이딩하여 하부공구함 덮개(61)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고, 상부덮개(12)가 맞닿는 본체 상단부에서부터 하부덮개 상측면의 개폐구(50)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외측으로는 자체적으로 탄성부재인 스프링부(42)가 장착되어 수직슬라이드봉 중앙부 일정길이만큼 나선형으로 촘촘히 감싸고 있는 형태를 갖고 있음은 도 4(a)(b)에 도시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한 수직슬라이드봉(40) 외측에 고정된 스프링부(42)는 슬라이딩하는 수직슬라이드봉에 의해서 수축 및 이완작용을 하게 되어 하부덮개(61)가 개폐할 수 있게 하고, 상부덮개(12)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부적 요소로 인해 급작스럽게 닫힐 경우, 상기 스프링부(42)의 작용으로 그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가이드바(41,41')는 수직슬라이드봉에 거치된 스프링부 양단의 상·하 각각 설치되어 수평가이드바와 동일하게 내부에 통공을 형성하여 수직슬라이드봉(40)이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때 도달지점에 정확히 일치시키는 기능이 있음과 동시에, 하단에 위치하는 수직가이드바(41')는 상기 스프링부가 수축될 때 더 이상 스프링이 아랫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게 지탱하는 버팀목의 기능도 한다.
하부덮개의 개폐가 가능하기 위하여 상기 수직슬라이드봉이 정확하게 도달해야 하는 지점인 개폐구(50)는 하부덮개 상단부에 일정간격을 두어 구비하되, 수직슬라이드봉(40)의 크기보다 약간 넓게 형성하여 개폐구에 내입됨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제, 본 고안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상기한 구성방식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은 상부(10)와 하부공구함(60)이 일체된 형태로 복층구조를 가지며, 별도의 덮개로 형성됨을 주지하는 바이다. 판재를 이용하여 복층구조의 형상을 제작한 후, 상부측은 기존의 형상을 유지하고 그 아래 하부측의 형상은 적재함 뒤쪽으로 향하도록 설계하며, 덮개의 여닫이 형태는 상·하의 기능으로 덮개를 개방했을 경우 적재함 바닥으로 완전히 붙어있는 형상이다.
상기 본체 전면부 일측에 형성된 잠금장치부(20)를 통해 열쇠를 내입하면 원터치 방식의 레버(미도시함)가 외부로 돌출하게 되고, 상기 레버를 잡고 일측으로 돌리면 이와 연계되어져 좌·우 왕복운동이 가능한 수평슬라이드봉(30)이 일방향으로 구동하게 되어 상기 수평슬라이드봉 상측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걸림쇠(31)도 같은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면서 걸림고리(32)에 안착 내지 이탈하게 되어 상부덮개(12)의 개폐가 가능하게 한다.
공구 및 자재 등을 꺼내기 위해 상부덮개를 개방하게 되면 상부덮개의 중량으로 인해 눌려져 있던 수직슬라이드봉(40)은 스프링부(42)의 탄성반발의 영향으로 본래 길이로 늘어난 스프링에 의해서 개폐구로부터 이탈하게 되고 이로써 하부덮개(61) 또한 개방되는 시스템이다.
한편, 상부덮개(12)가 개방된 상태에서 돌출된 레버가 외력에 의해 구동할 경우, 상기 상부덮개는 뜻하지 않게 닫히게 되어 사고의 위험이 따르는 바, 일정한 외력에도 레버가 쉽게 구동하지 않도록 수평슬라이드봉(30)에 스프링(42')을 장착한다.
즉, 상부덮개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스프링(42')이 수축한 상태로 존재하며, 개방된 상태에서는 원래의 길이만큼 늘어나게 되어 레버에 일정한 힘을 가해줘도 스프링의 반발력으로 인해 레버가 쉽게 구동하지 않도록 한 것이며, 만약 강압적인 물리력을 가해 상부덮개(12)가 큰 충격으로 닫힐 경우에는 돌출된 수직슬라이드봉(40)이 상부덮개와 접촉하게 되면서 스프링부(42)가 수축하게 되어 상기한 스프링의 자체 반발력으로써 충격을 완화하도록 이중의 충격완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복층형 구조를 갖는 공구함을 개폐하기 위해 잠금장치부와 관련하여 작용하게 되는 수평슬라이드봉, 걸림쇠, 걸림고리, 수평가이드바, 개폐구, 수직가이드바 및 스프링부는 외부는 물론, 내부로도 돌출되지 않은 형태로 본체에 매입되게 구성함으로써 타 제품이나 공구, 자재 등을 수납함에 지장이 없어 훼손으로부터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걸림쇠, 걸림고리, 수평가이드바, 개폐구, 수직가이드바, 수직슬라이드봉, 스프링부는 각각의 한쌍을 이룰 수 있는 개수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특징이 있는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은 일반차량의 적재함에 설치 가능한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 번의 열쇠조작만으로 내부적으로는 두 개 이상 일정간격의 잠금 구성요소를 갖도록 하여 본체와 덮개가 접하는 경계면에 취약부를 강화하고, 상·하부로 나뉘어 구비된 덮개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으며, 개폐수단에 활용되는 장치들이 돌출되지 않아서 미려한 외관을 갖음은 물론, 공구함의 형태를 개선하여 강도와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높이고 사용상의 편리를 제공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용 적재함에 구성되며, 각종 공구 및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수납부를 갖는 차량용 공구함에 있어서,
    상기 공구함은 상·하로 적층되어 별개의 수납공간을 갖도록 복층형으로 구성하되, 상부 공구함의 외측 소정의 위치에 형성되어 내측의 수평가이드바에 안내되는 수평슬라이드봉을 좌·우로 이송시켜 상부덮개를 개폐시키는 잠금장치부; 상기 수평슬라이드봉에는 복수의 걸림쇠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의 소정위치에 걸림고리를 형성하여 상기 수평슬라이드봉의 좌·우 이송에 의해 상부덮개를 개폐시키도록 구성되는 상부공구함;과 상기 상부공구함 내측의 수직가이드바에 지지되어 장착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딩시켜 하부덮개를 개폐시키는 수직슬라이드봉; 상기 하부덮개 상단에 형성되어 수직슬라이드봉이 요입되어 결합되는 개폐구로 구성되는 하부공구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공구함 및 하부공구함의 개폐수단이 본체에 매입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부는 상부공구함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잠금장치부의 작동으로 상부덮개와 하부덮개가 동시에 개폐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
KR20-2004-0032269U 2004-11-15 2004-11-15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 KR200374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269U KR200374467Y1 (ko) 2004-11-15 2004-11-15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269U KR200374467Y1 (ko) 2004-11-15 2004-11-15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467Y1 true KR200374467Y1 (ko) 2005-01-28

Family

ID=49445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269U KR200374467Y1 (ko) 2004-11-15 2004-11-15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4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87Y1 (ko) * 2008-04-03 2010-12-02 주만호 화물차량 적재함용 보관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187Y1 (ko) * 2008-04-03 2010-12-02 주만호 화물차량 적재함용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18523B1 (en) Locking mechanism
US9151078B2 (en) Truck box with keyless entry system
US8567631B2 (en) Tool box
US20080156671A1 (en) Case
US7866768B2 (en) Modular storage assembly
US9717335B2 (en) Drawer stop mechanism for sliding drawer
WO2014102783A1 (en) Cantilever box
US9260890B2 (en) Latch mechanism
US7322661B1 (en) Storage cabinet
US6851771B2 (en) Lockable wire enclosure and locking mechanism therefor
US20170350161A1 (en) Lever action security handle
KR101101327B1 (ko) 윙바디용 윙 잠금 장치
AU2013338509A1 (en) Locking system for storage container
KR200374467Y1 (ko) 차량용 복층형 공구함과 그 잠금장치
KR200406458Y1 (ko) 이동식 탑차용 셔터식 도어 장착구조
KR200470342Y1 (ko) 탑차 적재함용 내장형 도어 개폐 구조물
KR200374484Y1 (ko) 차량용 공구함 잠금장치
KR200428497Y1 (ko) 차량용 공구함 잠금 장치
JP4583205B2 (ja) 鎖錠装置用のハンドル装置
CN214303287U (zh) 锁机构及具有该锁机构的工具箱
KR200405885Y1 (ko) 차량용 공구함의 개폐구조
KR20030000755A (ko) 컨테이너 도어 잠금기구
JP2002234537A (ja) 物品収納具
JP7050379B1 (ja) 宅配ボックス
JP7190836B2 (ja) キャビネットの扉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