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395Y1 - 차량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의 조향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의 조향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395Y1
KR200374395Y1 KR20-2004-0030375U KR20040030375U KR200374395Y1 KR 200374395 Y1 KR200374395 Y1 KR 200374395Y1 KR 20040030375 U KR20040030375 U KR 20040030375U KR 200374395 Y1 KR200374395 Y1 KR 200374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arm
axle
fixed
i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3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종희
박성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멕
Priority to KR20-2004-00303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3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1/00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 B62D61/12Motor vehicles or trail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number of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four wheels in diamond pattern with variable number of ground engaging wheels, e.g. with some wheels arranged higher than others, or with retractab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의 조향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에는 그 장착 위치에 따라 구동축의 앞에 장착되면 푸셔액슬이라 하고, 구동축의 뒤에 장착되면 태그액슬이라 한다. 본 고안은 상기 2가지를 포함하는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는 너클에 결합되며 조향각을 조향력으로 변화시키는 너클암과; 너클암의 일 단부와 연결되어 조향력을 전달하는 드래그링크와; 하단부는 상기 드래그링크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차체와 고정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아이들암과; 차체에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며, 타 단부측이 아이들암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위해 전후로 이동되도록 동작하여 상기 아이들암의 이동을 제지하는 아이들암 고정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차량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의 조향 방지 장치{Steering Preventive Apparatus for Self Steer Axle}
본 고안은 차량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캐스터각에 의해 자동 조향되는 자동조향액슬의 액슬에 장착된 너클을 고정함으로써 험로주행 등의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한 자동조향액슬 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조향액슬은 트럭과 같은 차량의 차축 중 구동축과 보조축으로 후륜을 형성하면서 이중 보조축이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공차 시에는 리프트업되고, 화물이 적재된 적차 시에는 리프트 다운된 상태로 차량이 운행된다. 즉, 공차 시에는 보조축을 업 시켜 차륜을 노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주행 저항을 저감시키고, 적차 시에는 보조축을 다운시켜 차륜을 노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적재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의 경우, 회전 반경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보조축의 조향이 가능한 자동조향액슬 을 사용하는데, 액슬이 갖고 있는 캐스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향되도록 이루어진 자동조향액슬은 캐스터 각에 의해 전진 시에만 조향이 가능하므로 후진 시에는 액슬을 업하여 운행하는 방식 및 다운 상태를 유지하되 역 캐스터가 되도록 별도의 장치를 부착한 방식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자동조향액슬의 조향을 방지하는 장치가 없어, 험로 운행 등으로 인해 외부의 충격을 받게 되거나 장해물에 부딪히게 되면, 차륜이 조향되면서 차량 운행 방향과 차륜이 일직선이 되지 않게 되어 운행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충격에 의해 자동조향액슬의 파손이 유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액슬에 장착된 차륜을 차량의 진행 방향과 일직선이 되도록 정렬시키고 고정시켜, 외부 충격에 의한 자동조향액슬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아이들암 고정상태),
도 3은 도 1의 측면도(아이들암 비고정상태),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아이들암의 위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륜 2 : 액슬
3 : 너클 4 : 너클암
5 : 드래그링크 6 : 아이들암
7 : 고정실린더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소정의 각도 내에서 차륜의 조향이 가능하도록 그 중앙부가 차체에 고정 결합되는 자동조향액슬장치에 있어서, 너클에 차륜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조향각을 조향력으로 변화시키는 너클암과; 상기 너클암의 일 단부와 연결되며, 너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조향력을 전달하는 드래그링크와; 하단부는 상기 드래그링크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차체와 고정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아이들암과; 아이들암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차체에 일 단부가 고정 결합되며, 타 단부측이 아이들암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위해 전후로 이동되도록 동작하여 상기 아이들암의 이동을 제지하는 아이들암 고정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고안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는 액슬(2),너클(3), 너클암(4), 드래그링크(5), 아이들암(6), 고정실린더(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슬(2)은 차체와 차륜(1)을 연결하며,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소정의 각도 내에서 차륜(1)의 조향이 가능하도록 그 중앙부가 차체에 고정 결합된다.
너클(3)은 상기 액슬(2)의 양측 단부에 위치되어(도면에서는 일측만 도시)차륜(1)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너클암(4)은 상기 너클(3)에 차륜(1)의 내측 차체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조향각을 조향력으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드래그링크(5)는 상기 너클암(4)의 일 단부와 연결되며, 너클(3)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아이들암(6)으로 조향력을 전달한다.
아이들암(6)은 하단부가 상기 드래그링크(5)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차체와 고정축(6')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드래그링크(5)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킨다.
고정실린더(7)는 아이들암 고정구로서, 차륜(1)이 차량 진행 방향과 일직선이 되도록 정렬된 상태에서 너클(3)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본체의 양단은 차체에 고정되고, 피스톤 끝단부는 아이들암(6)의 고정을 위한 고정슬라이더(7-1)가 고정결합되며, 이 고정슬라이더(7-1)가 슬라이더브라켓(7-2) 내부통로를 따라 피스톤의 원리에 의해 전방부로 이동되도록 동작하여 상기 아이들암(6)의 회동을 제지하고, 또한 후방부로 이동되도록 동작하여 아이들암(6)의 회동 제지를 해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아이들암 고정구에서 피스톤의 원리에 의해 동작하는 복동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선형 모터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고, 상기 아이들암(6)의 고정 방식도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장치는, 차량이 험로 등을 운행하는 경우, 고정실린더(7)의 작동에 의해 아이들암(6)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소 액슬(2)이 리프트 다운 상태로 차량이 전진하는 경우는 아이들암(6)이 차량의 직진이나 조향상태에 따라 자유롭게 회동하고 있으며, 이 때, 고정실린더(7)는 후방으로 작동하여 그 상태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본 고안의 장치는, 운전자가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혹은 후진 기어를 넣는 경우, 고정실린더(7)는 상기 아이들암(6)의 후방부로부터 아이들암(6)에 이르기까지 전방부로 나오도록 동작되며, 이에 따라 아이들암(6)은 상기 고정실린더(7) 단부에 고정조립되어 있는 고정슬라이더(7-1)에 의하여 끼움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실린더(7)의 동작은 피스톤에 의해 이루어지며, 선형 모터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아이들암(6)의 고정 방식도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실린더(7)의 작동이 완료되면 아이들암(6)은 고정실린더(7)에 의해 고정되므로 조향 방지 상태가 되며, 별도의 조작이 있을 때까지 고정 상태(도 2상태)가 유지된다.
고정 상태의 유지는, 운전자가 별도의 스위치를 조작하거나, 혹은 물려있던후진 기어를 해제하는 경우 아이들암(6)에 고정조립되어 있는 고정슬라이더(7-1)가 다시 후방부로 이동되도록 동작하여, 차륜(1)의 조향이 가능한 해제상태(도 3 상태)가 된다.
다음,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아이들암(6)의 정렬을 위한 위치 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실시예에서, 고정실린더(7)가 동작을 시작하여(도 4a 및 도 4c상태) 아이들 암과 접촉(도 4b 및 도 4d상태)이 되고, 계속 고정실린더(7)가 동작하면 자동적으로 아이들암(6)이 회전하게 되며, 결국 고정슬라이더(7-1)가 아이들암(6)의 홈에 완전히 끼워지게 됨으로써 아이들암(6)을 고정시킨다(도 2상태). 그림 4a, 도 4b, 도 4c 및 도 4d와 같이 아이들암(6)의 위치에 관계없이 작동된다.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는, 액슬에 장착된 차륜을 차량의 진행 방향과 일직선이 되도록 정렬시키고 고정시켜 줌으로써, 외부 충격이 있어도 타이어가 공회전되므로 자동조향액슬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소정의 각도 내에서 차륜의 조향이 가능하도록 그 중앙부가 차체에 고정 결합되는 액슬 및 상기 액슬의 양측 단부에 위치되어 차륜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너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조향액슬 장치에 있어서,
    너클에 차륜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며, 조향각을 조향력으로 변화시키는 너클암과;
    상기 너클암의 일 단부와 연결되며, 너클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조향력을 전달하는 드래그링크와;
    하단부는 상기 드래그링크의 일 단부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차체와 고정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아이들암과;
    차체에 본체 양단부가 고정 결합되며, 실린더 끝단부에 고정슬라이더가 고정조립되어 아이들암의 고정 및 고정 해제를 위해 전후로 이동되도록 동작하여 상기 아이들암의 이동을 제지하는 아이들암 고정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암 고정구는,
    실린더와 선형 모터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암의 고정을 위해, 고정슬라이더와 끼움 결합되는 아이들암의 일 단부측은,
    아이들암이 상기 고정슬라이더에 의해 끼움 고정되도록 끝단부가 경사, 수평, 경사진 면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들암의 고정을 위해, 고정브라켓은,
    고정슬라이더를 감싸고 있어서 고정슬라이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되고, 고정슬라이더가 아이들암에 의해 끼움 고정되었을 때는 고정슬라이더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아이들암이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조향액슬 조향 방지 장치.
KR20-2004-0030375U 2004-10-27 2004-10-27 차량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의 조향 방지 장치 KR200374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375U KR200374395Y1 (ko) 2004-10-27 2004-10-27 차량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의 조향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375U KR200374395Y1 (ko) 2004-10-27 2004-10-27 차량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의 조향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395Y1 true KR200374395Y1 (ko) 2005-01-29

Family

ID=49445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375U KR200374395Y1 (ko) 2004-10-27 2004-10-27 차량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의 조향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3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016A (ko) * 2021-07-08 2023-01-17 국방과학연구소 경사각 조절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9016A (ko) * 2021-07-08 2023-01-17 국방과학연구소 경사각 조절 장치
KR102498968B1 (ko) 2021-07-08 2023-02-13 국방과학연구소 경사각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24668B (zh) 具有可变轮距的车辆
EP2030814B1 (en) Anti-tilt apparatus and frame structure of tilting vehicle using the same
KR20030046396A (ko) 가로주행 시스템을 갖는 포크리프트
CN103442966A (zh) 拖拉机的转向装置
KR200374395Y1 (ko) 차량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의 조향 방지 장치
JP4662125B2 (ja) キャスタ輪支持装置
KR200372545Y1 (ko) 차량 자동조향액슬(Self Steer Axle)의 조향 방지 장치
KR20080013491A (ko) 차량의 트레일링암 마운팅 위치 자동조절장치
KR200368595Y1 (ko) 차량 자동조향액슬의 조향 방지 장치
JP3904441B2 (ja) 荷役車輌
JP2678102B2 (ja) ガイドウエイ方式における車両の案内操向装置
JPH05338534A (ja) 専用軌道走行車両用の案内装置
CN114834549A (zh) 一种汽车防倾覆装置
KR100789179B1 (ko) 3륜 이상의 차에 적용되는 무게중심 이동장치
JP2008126998A (ja) 全車輪の車軸方向を完全に集中させる操舵装置
JP2007076379A (ja) 車両用操舵装置
KR100408775B1 (ko) 자동차의 후륜조향장치
JPH1129083A (ja) モータサイクルのリアーホイール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0151830B1 (ko) 차체 회전용 가로바퀴가 장착된 자동차
JP4015534B2 (ja) 無線操縦二輪車玩具
JP3914234B2 (ja) 自動車のハンドル操作におけるタイヤの切れ角調整具
KR200331849Y1 (ko) 링크식 후륜 강제조향장치
KR200143798Y1 (ko) 자동차 스티어링 기어 마운팅 브래킷
KR20040088208A (ko) 차량의 최소회전반경 감소를 위한 조향장치
KR200277459Y1 (ko) 이륜자동차의 보조 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