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932Y1 -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932Y1
KR200373932Y1 KR20-2004-0030469U KR20040030469U KR200373932Y1 KR 200373932 Y1 KR200373932 Y1 KR 200373932Y1 KR 20040030469 U KR20040030469 U KR 20040030469U KR 200373932 Y1 KR200373932 Y1 KR 2003739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main body
operation panel
dishwash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
Original Assignee
미아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아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아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0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9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9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9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3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of the dishwasher operation, e.g. networ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93Arrangements for programme selection, e.g. control panels; Indication of the selected programme, programme progress or other parameters of the programme, e.g. by using display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Abstract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패널이 세척기 덮개의 전면 상부에 돌출 설치되어 버튼의 조작이 간편하면서도 조작패널은 본체에 내장된 메인 컨트롤보드와 신축 케이블로 연결되어 덮개의 승강이 가능하고, 덮개의 내부 배관과 후면판에 장착된 덕트 등을 통해 케이블이 배선되어 세척수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고안은, 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10)의 내부 세척탱크(11)와 린스탱크(12)에 저장된 세척수와 헹굼수가 펌프(13)와 공급관(14)을 통해 이송되어 회전되는 분사관(15)의 노즐(15a)들을 통해 분사되면서 래크(16)에 놓여진 식기(16a)들이 세척되고, 본체(10)의 후방 양측에 장착된 수직프레임(21)들에는 케이스로 구성된 덮개(20)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승강되며, 본체(10)의 내부에는 세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보드(17)가 장착된 식기세척기(1)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의 전면 상부에 고정된 케이스(31)의 전면에는 각종 버튼(30a), 표시램프(30b) 및 액정 표시부(30c)로 구성된 조작패널(30)이 장착되어 케이스(31)의 내부 회로기판(32)과 연결되고, 덮개(20)의 내부 상측에 장착된 배관(40)은 덮개(20)의 상부 전,후면에 관통 삽입된 결합관(41)들에 의하여 고정되며, 회로기판(32)에 접속된 전선(50)이 결합관(41)들과 배관(40)의 내부를 통해 덮개(20)의 후방으로 인출되어 나선형으로 감겨진 신축 케이블(51)로 구성되고, 신축 케이블(51)의 하부로 연장된 전선(50)이 메인 컨트롤보드(17)에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a key panel construction for dishwasher}
본 고안은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작패널이 세척기 덮개의 전면 상부에 돌출 설치되어 버튼의 조작이 간편하면서도 조작패널은 본체에 내장된 메인 컨트롤보드와 신축 케이블로 연결되어 덮개의 승강이 가능하고, 덮개의 내부 배관과 후면판에 장착된 덕트 등을 통해 케이블이 배선되어 세척수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食器洗滌機)는 식기의 세척을 보다 위생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세척기의 하부 탱크들에 각각 담겨진 세척수와 헹굼수가 펌프에 의하여 공급관을 통해 이송되어 회전되는 분사관의 노즐들을 통해 세척수 및 헹굼수가 차례로 고압 분사되어 래크에 놓여진 식기들을 세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세척과 린스를 위한 펌프들의 작동, 세척수의 가열을 위한 히터의 작동 및 작동순서와 시간 등은 메인 컨트롤보드에 장착된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탱크들이 내장된 본체(本體)에 수직으로 장착된 가이드레일에는 케이스로 구성된 덮개가 결합되어 승강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본체의 전면에는 각종 버튼, 표시램프, 액정 표시부 등이 구비된 조작패널이 장착되어 본체에 내장된 메인 컨트롤보드와 전선으로 연결되어 식기세척기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세척기의 본체에 조작패널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허리를 굽힌 상태에서 버튼들을 작동시키고 표시램프 및 액정 표시부 등을 확인해야하므로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여줄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식기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본체의 전면에는 래크를 임시로 올려놓기 위한 테이블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고, 이때에는 테이블에 의하여 조작패널이 가려짐에 따라 수시로 테이블을 치우고 조작패널을 작동시켜야 하는 등의 폐단이 발생되었다.
특히, 본체가 건물의 코너에 설치되어 전면부가 가려지는 경우에는 조작패널의 조작이 어렵고 세척작업의 진행을 알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작업도중 발생되는 에러의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작업자의 키 높이와 대등한 덮개에 조작패널을 설치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고, 세척수가 비산되는 덮개의 내부에 배선된 전선을 누전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승강되는 덮개에 대응하여 전선을 신축시킬 수 있는 획기적인 구조를 갖는 식기세척기를 제안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작패널이 세척기 덮개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어 버튼의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조작패널과 메인 컨트롤보드와 연결되는 전선이 신축 케이블로 구성되고 배관과 덕트에 의하여 케이블이 보호되어 누전을 방지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10)의 내부 세척탱크(11)와 린스탱크(12)에 저장된 세척수와 헹굼수가 펌프(13)와 공급관(14)을 통해 이송되어 회전되는 분사관(15)의 노즐(15a)들을 통해 분사되면서 래크(16)에 놓여진 식기(16a)들이 세척되고, 본체(10)의 후방 양측에 장착된 수직프레임(21)들에는 케이스로 구성된 덮개(20)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승강되며, 본체(10)의 내부에는 세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보드(17)가 장착된 식기세척기(1)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의 전면 상부에 고정된 케이스(31)의 전면에는 각종 버튼(30a), 표시램프(30b) 및 액정 표시부(30c)로 구성된 조작패널(30)이 장착되어 케이스(31)의 내부 회로기판(32)과 연결되고, 덮개(20)의 내부 상측에 장착된 배관(40)은 덮개(20)의 상부 전,후면에 관통 삽입된 결합관(41)들에 의하여 고정되며, 회로기판(32)에 접속된 전선(50)이 결합관(41)들과 배관(40)의 내부를 통해 덮개(20)의 후방으로 인출되어 나선형으로 감겨진 신축 케이블(51)로 구성되고,신축 케이블(51)의 하부로 연장된 전선(50)이 메인 컨트롤보드(17)에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작패널이 설치된 식기세척기의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식기세척기의 덮개가 승각되는 상태를 각각 예시한 후면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식기세척기의 덮개가 승강되는 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부를 확대한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식기세척기 10 : 케이스
11 : 세척탱크 12 : 린스탱크
13 : 공급관 14 : 펌프
15 : 분사관 15a : 노즐
16 : 래크 16a : 식기
17 : 메인 컨트롤보드 20 : 덮개
20a : 결합공 21 : 수직프레임
22 : 후면판 23 : 덕트
30 : 조작패널 30a : 버튼
30b : 표시램프 30c : 액정 표시부
31 : 케이스 32 : 회로기판
40 : 배관 41 : 결합관
41a : 나선관 41b : 너트
42 : 패킹 50 : 전선
51 : 신축 케이블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기(1)의 하부에는 케이스로 구성된 본체(10)가 설치되어 있고, 본체(10) 내부에는 세척탱크(11)와 린스탱크(12)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상기 탱크(11)(12)들에 각각 저장된 세척수와 헹굼수가 펌프(13)들에 의하여 각각의 공급관(14)들을 통해 이송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상,하측 분사관(15)의 노즐(15a)들을 통해 래크(16)에 놓여진 식기(16a)들에 차례로 분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후방 양측에는 수직프레임(21)이 장착되어 있고, 케이스로 구성된 덮개(20)가 수직프레임(21)에 슬라이드 결합되어 승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본체(10)의 내부에는 세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보드(17)가 장착되어 있다.
물론,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식기세척기(1)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사상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상기 식기세척기(1)의덮개(20) 전면 상부에 조작패널(30)이 장착되어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것에 있다.
즉, 상기 덮개(20)의 전면 상부에는 케이스(31)가 장착되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31)의 전면에는 각종 버튼(30a), 표시램프(30b) 및 액정 표시부(30c)로 구성된 조작패널(3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1)의 내부에는 회로기판(32)이 장착되어 있고, 회로기판(32)은 조작패널(30)과 연결된다. 조작패널(30)을 구성하는 각종 버튼(30a)들과 표시램프(30b) 및 액정 표시부(30c)는 회로기판(32)에 장착되어 케이스(31)의 전면으로 노출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덮개(20)의 내부 상측에는 배관(40)이 장착되어 있고, 덮개(20)의 상부 전,후면에는 결합관(41)이 관통 삽입되어 있다.
상기 결합관(41)들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고, 배관(40)의 전,후방이 결합관(41)들에 각각 관통 결합되어 배관(40)이 덮개(20)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회로기판(32)에는 전선(5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전선(50)의 타단은 결합관(41)들과 배관(40)의 내부를 통해 덮개(20)의 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덮개(20)의 후방으로 인출된 전선(50)에는 나선형으로 감겨진 신축 케이블(51)이 형성되어 있고, 신축 케이블(51)의 하부에 연장된 전선(50)이 메인 컨트롤보드(17)에 접속되어 조작패널(30)의 신호가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후방 상부에는 후면판(22)이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고, 후면판(22)에는 덕트(23)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덕트(23) 내부에는 전선(50)의 일부에 형성된 나선형 신축 케이블(51)이 삽입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신축 케이블(51)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조작패널(30)이 세척기의 덮개(20) 전면 상부에서 돌출되는 케이스(31)에 설치되어 버튼(30a)의 조작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표시램프(30b) 및 액정 표시부(30c)의 식별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덮개(20)가 본체(10)의 상부에서 승강되더라도 조작패널(30)과 메인 컨트롤보드(17)를 연결하는 전선(50)의 일부가 신축 케이블(51)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전선(50)의 길이가 자유롭게 신축되면서 덮개(20)의 승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선(50)은 덮개(20)의 내부에 장착된 배관(40)에 삽입되어 커버되는 것이므로 비산되는 세척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 누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나선형으로 감겨진 신축 케이블(51)은 후면판(22)에 장착된 덕트(23)의 내부에 삽입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관(41)은 나선관(41a)과 너트(41b)로 분리 형성되고, 덮개(20) 내부에 위치한 나선관(41a)이 덮개(20)의 상부에 뚫려진 결합공(20a)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너트(41b)에 의하여 덮개(20)의 전,후방에 각각 고정되고, 나선관(41a)과 너트(41b) 사이에는 패킹(42)이 삽입되어 결합부위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조작패널(30)이 세척기의 덮개(20) 전면 상부에 장착된 케이스(31)에 설치되어 버튼(30a)의 조작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표시램프(30b) 및 액정 표시부(30c)의 식별이 용이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덮개(20)가 본체의 상부에서 승강되더라도 조작패널(30)과 메인 컨트롤보드(17)를 연결하는 전선(50)의 일부가 신축 케이블(51)로 형성되어 전체적인 전선(50)의 길이가 자유롭게 신축되면서 덮개(20)의 승강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서 전체적인 세척작업의 효율이 증진되어 식기세척기의 대외 경쟁력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케이스로 이루어진 본체(10)의 내부 세척탱크(11)와 린스탱크(12)에 저장된 세척수와 헹굼수가 펌프(13)와 공급관(14)을 통해 이송되어 회전되는 분사관(15)의 노즐(15a)들을 통해 분사되면서 래크(16)에 놓여진 식기(16a)들이 세척되고, 본체(10)의 후방 양측에 장착된 수직프레임(21)들에는 케이스로 구성된 덮개(20)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승강되며, 본체(10)의 내부에는 세척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메인 컨트롤보드(17)가 장착된 식기세척기(1)에 있어서,
    상기 덮개(20)의 전면 상부에 고정된 케이스(31)의 전면에는 각종 버튼(30a), 표시램프(30b) 및 액정 표시부(30c)로 구성된 조작패널(30)이 장착되어 케이스(31)의 내부 회로기판(32)과 연결되고, 덮개(20)의 내부 상측에 장착된 배관(40)은 덮개(20)의 상부 전,후면에 관통 삽입된 결합관(41)들에 의하여 고정되며, 회로기판(32)에 접속된 전선(50)이 결합관(41)들과 배관(40)의 내부를 통해 덮개(20)의 후방으로 인출되어 나선형으로 감겨진 신축 케이블(51)로 구성되고, 신축 케이블(51)의 하부로 연장된 전선(50)이 메인 컨트롤보드(17)에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후방 상부에는 후면판(22)이 수직으로 고정되며, 후면판(22)에는 덕트(23)가 장착되고, 덕트(23) 내부에는 전선(50)의 일부에 형성된 나선형 신축 케이블(51)이 삽입되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신축 케이블(51)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
KR20-2004-0030469U 2004-10-28 2004-10-28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 KR2003739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469U KR200373932Y1 (ko) 2004-10-28 2004-10-28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469U KR200373932Y1 (ko) 2004-10-28 2004-10-28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932Y1 true KR200373932Y1 (ko) 2005-01-21

Family

ID=49354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469U KR200373932Y1 (ko) 2004-10-28 2004-10-28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9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01B1 (ko) 2007-03-14 2008-02-11 주식회사 피닉스 동작여부 식별이 가능한 업소용 식기세척기
KR20140101325A (ko) * 2014-07-29 2014-08-19 최광일 상하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CN109730612A (zh) * 2019-02-22 2019-05-10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电脑板盒及其安装组件
KR200490524Y1 (ko) 2019-02-28 2019-11-26 이우호 식기세척기용 케이블 보호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101B1 (ko) 2007-03-14 2008-02-11 주식회사 피닉스 동작여부 식별이 가능한 업소용 식기세척기
KR20140101325A (ko) * 2014-07-29 2014-08-19 최광일 상하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KR101879233B1 (ko) * 2014-07-29 2018-07-17 최광일 상하 슬라이드 도어를 구비한 식기세척기
CN109730612A (zh) * 2019-02-22 2019-05-10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一种洗碗机的电脑板盒及其安装组件
KR200490524Y1 (ko) 2019-02-28 2019-11-26 이우호 식기세척기용 케이블 보호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0283B2 (en) Water level senso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US20130139854A1 (en) Dishwash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EP3090672A1 (en) Dishwash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0373932Y1 (ko) 식기세척기의 조작패널 설치구조
WO2006075385A1 (ja) 食器洗浄機
KR20050110862A (ko) 식기 세척기의 도어 핸들 부착구조
CN205584326U (zh) 一种摄像头折叠式开关装置
KR101568830B1 (ko) 컵 세척장치
KR100390806B1 (ko) 자동 식기 세척기
KR100977987B1 (ko) 식기세척기
JP4239011B2 (ja) 食器洗浄乾燥機
KR20180091140A (ko) 업소용 식기세척기
KR102058074B1 (ko) 식기세척기
KR101346949B1 (ko) Pcb기판 제조 공정 중 pcb기판 세척 공정에 사용되는 pcb기판 세척장치
KR20060020776A (ko) 식기세척기의 전면표시장치의 결합구조
KR100598559B1 (ko) 식기세척기
JP4147159B2 (ja) 食器洗浄機
JP4445724B2 (ja) 食器洗浄機
CN219107826U (zh) 一种柔性电路板蚀刻装置
CN215391081U (zh) 一种适用于产房手术床的清洗设备
KR20060115149A (ko) 식기세척기
CN109984700A (zh) 一种水槽式清洗机的面板结构
CN212856860U (zh) 一种快速钢网清洗装置
CN220346701U (zh) 一种带伸缩水龙头的超声波清洗机
CN220045827U (zh) 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