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371Y1 - 책상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책상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371Y1
KR200373371Y1 KR20-2004-0029709U KR20040029709U KR200373371Y1 KR 200373371 Y1 KR200373371 Y1 KR 200373371Y1 KR 20040029709 U KR20040029709 U KR 20040029709U KR 200373371 Y1 KR200373371 Y1 KR 200373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folded
desk
fixing part
hing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7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석봉
Original Assignee
서석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석봉 filed Critical 서석봉
Priority to KR20-2004-00297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3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47B13/021Fastening devices of the feet or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책상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 하부 양측 영역으로 구비된 받침부재로 이루어진 책상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상판 하부 양측에 대응되고,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힌지부재로써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판 하부의 후방 영역과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는 선반부재가 힌지부재로써 다단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책상을 구성하고 있는 상판의 하부에 받침부재를 힌지부재로써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그 부피를 최대로 줄여 좁은 공간에 많은 량을 보관할 수 있게 되었으며, 또한 한번의 운행으로 한꺼번에 많을 량을 운송할 수 있어 물류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책상 조립구조{A TABLE FOR STRUCTURE ASSEMBLY}
본 고안은 책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책상을 구성하고 있는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판을 지지하게 되는 받침부재를 사용시에는 펼칠 수 있게 되고, 운반및 운송시에는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운송시 부피를 줄이게 되는 책상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상부에 각종 서류 등을 올려놓기 위한 상판과; 상판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판을 지지하게 되는 받침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책상은 최근에 컴퓨터의 보급이 증가되면서 컴퓨터 전용으로 제작되어 보급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책상은 상판을 지지하게 되는 받침부재가 상판의 하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어, 이를 보관시에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동시에 운반 및 운송시에 부피가 크게 되어, 즉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됨으로써 많은 량의 운송이 불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물류의 저장 및 운송에 따른 시간 및 요금이 많이 발생되어 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상판의 하부에 받침부재를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많은 량의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한 책상 조립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 하부 양측 영역으로 구비된 받침부재로 이루어진 책상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상판 하부 양측에 대응되고,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힌지부재로써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판 하부의 후방 영역과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는 선반부재가 힌지부재로써 다단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부재는 상기 받침부재 사이에 양단이 일치되고, 상기 상판 하부의 후방 영역에 힌지부재로써 외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제 1회동편; 상기 제 1회동편의 하단과 일치되고, 힌지부재로써 일면이 내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제 2회동편; 및 상기 제 1,2회동편의 하부면과 타면 양측에 체결 고정된 제 1고정부와, 상기 제 1고정부와 수직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공이 형성된 제 2고정부로 이루어진 고정구와; 상기 제 2고정부의 체결공을 통하여 상기 받침부재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진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 조립구조를 도시한 동작상태로서, 4a는 접은 상태의 평면도이고, 4b는 4a의 측면도이며, 4c는 조립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판 20 : 받침부재
30,50,52 : 힌지부재 40 : 선반부재
60,70 : 제 1,2회동편 80 : 고정부재
82,84 : 제 1,2고정부 84a : 체결공
85 : 고정구 86 : 체결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책상 조립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책상 조립구조를 도시한 동작상태로서, 4a는 접은 상태의 평면도이고, 4b는 4a의 측면도이며, 4c는 조립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책상은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상판(10)과; 상판(10) 하부 양측 영역으로 구비되어 상판(10)을 지지하게 되는 한쌍의 받침부재(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20)는 상판(10) 하부 양측과 전후측으로부터 적정 간격으로이격되고,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한쌍의 힌지부재(30)로써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받침부재(20)는 내측으로 접히도록 이루어지고, 외측으로는 수직을 유지하도록 힌지부재(30)로써 고정된다.
한편, 상판(10) 하부의 후방 영역과 받침부재(20) 사이에는 선반부재(40)가 2단으로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받침부재(20)가 내측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책 및 필기구 등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선반부재(40)는 받침부재(20) 사이에 양단이 일치되고, 일단이 상판(10) 하부의 후방 영역에 한쌍의 힌지부재(50)로써 외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제 1회동편(60)과; 제 1회동편(60)의 타단과 일치되고, 힌지부재(52)로써 일단이 내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제 2회동편(7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2회동편(70)은 힌지부재(52)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혀질 경우에는 제 2회동편(70)의 두께만큼 일단이 제 1회동편(70)의 타단과 이격되고, 반대로 펼쳐질 경우에는 일단이 제 1회동편(70)의 타단과 일치된다.
상기 제 1,2회동편(60)(70)의 타단에는 받침부재(20)에 제 1,2회동편(60)(70)을 체결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8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재(80)는 제 1,2회동편(60)(70)의 타단 양측에 각각 나사로써 체결 고정된 제 1고정부(82)와, 제 1고정부(82)와 수직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공(84a)이 형성된 제 2고정부(84)로 이루어진 고정구(85)와; 제 2고정부(84)의 체결공(84a)을 통하여 받침부재(2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86)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상판(10) 하부 양측에 받침부재(20)를 힌지부재(30)로써 접철 가능하도록 설치한 다음, 상판(10) 하부의 후방 영역과 받침부재(20) 사이에 선반부재(40)를 힌지부재(50)(52)로써 접철 가능하게 설치하여 조립된 책상을 받침부재(20)와 선반부재(40)를 적절하게 접어 포장한 다음, 보관을 하거나 이를 운송하게 된다.(도 4a 및 도 4b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서 상판(10)으로부터 받침부재(20)를 외측으로 회동시켜 세우게 된다. 그러면, 받침부재(20)가 힌지부재(3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되어 수직으로 펼쳐지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판(10) 하부의 후방 영역과 받침부재(20) 사이에 힌지부재(50)로써 외측으로 접첩 가능하게 구비된 선반부재(40)의 제 1회동편(60)을 내측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제 1회동편(60)이 힌지부재(50)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동되어 제 1회동편(60) 양단이 받침부재(20) 사이에 밀착되게 수직으로 끼워져 받침부재(20)가 내측으로 접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제 1회동편(60) 타단 양측에 나사 체결되는 제 1고정부(82)와 수직을 유지하여 형성된 제 2고정부(84)가 받침부재(20)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고정부(84)의 체결공(84a)을 통하여 체결볼트(86)를 체결하면, 제 1회동편(60)이 받침부재(20) 사이에 고정됨으로써 받침부재(20)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도 4c참조)
그 다음으로 제 1회동편(60)의 타단과 타단이 일치되고, 힌지부재(52)로써내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제 2회동편(70)을 내측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2회동편(70)이 힌지부재(52)를 중심으로 내측으로 회동되어 제 1회동편(60)과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제 2회동편(70) 타단 양측에 나사 체결되는 제 1고정부(82)와 수직으로 형성된 제 2고정부(84)가 받침부재(20)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2고정부(84)의 체결공(84a)을 통하여 체결볼트(86)를 체결하면, 제 2회동편(60)이 받침부재(20)에 고정됨으로써 책상의 조립이 완료되어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도 4c참조)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책상을 보관 및 운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판(10)을 바닥면에 밀착시킨 다음, 받침부재(20)로부터 제 2회동편(70)과 제 1회동편(60)의 체결력을 해제시키고, 제 2회동편(70)을 내측으로 회동시켜 제 1회동편(60)과 접히게 한 다음, 제 1회동편(60)을 외측으로 접게 되면, 제 1회동편(60) 양단이 받침부재(20) 사이로부터 이격되어 상판(10)의 후면에 밀착된다.(도 2 및 도 3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양측의 받침부재(20)를 내측으로 회동시키면, 받침부재(20)가 내측으로 회동되어 접히면서 제 1회동편(60)의 일단과 접하게 됨으로써 부피가 줄어든 상태로 접히게 되어 보관 및 운송이 용이한 것이다.
한편, 이러한 책상은 컴퓨터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판 하부에 키보드 수납부(미도시)를 현장에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마찬가지로 서랍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책상을 구성하고 있는 상판의 하부에 받침부재를 힌지부재로써 접철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그 부피를 최대로 줄여 좁은 공간에 많은 량을 보관할 수 있게 되어 보관에 따른 비용과, 한번의 운행으로 한꺼번에 많은 량을 운송할 수 있어 물류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받침부재에 사이에 선반부재가 2단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어 받침부재가 내측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동시에 책 및 필기구 등을 보관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장방형으로 이루어진 상판과; 상기 상판 하부 양측 영역으로 구비된 받침부재로 이루어진 책상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는 상기 상판(10) 하부 양측에 대응되고, 동일 높이를 유지하여 힌지부재(30)로써 접철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판(10) 하부의 후방 영역과 상기 받침부재(20) 사이에는 선반부재(40)가 힌지부재(50)로써 다단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부재(50)는
    상기 받침부재(20) 사이에 양단이 일치되고, 상기 상판(10) 하부의 후방 영역에 힌지부재(50)로써 외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제 1회동편(60);
    상기 제 1회동편(60)의 하단과 일치되고, 힌지부재(52)로써 일면이 내측으로 접철 가능하게 구비된 제 2회동편(70); 및
    상기 제 1,2회동편(60)(70)의 하부면과 타면 양측에 체결 고정된 제 1고정부(82)와, 상기 제 1고정부(82)와 수직을 유지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체결공(84a)이 형성된 제 2고정부(84)로 이루어진 고정구(85)와; 상기 제 2고정부(84)의 체결공(84a)을 통하여 상기 받침부재(20)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86)로 이루어진 고정부재(8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조립구조.
KR20-2004-0029709U 2004-10-21 2004-10-21 책상 조립구조 KR200373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09U KR200373371Y1 (ko) 2004-10-21 2004-10-21 책상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709U KR200373371Y1 (ko) 2004-10-21 2004-10-21 책상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371Y1 true KR200373371Y1 (ko) 2005-01-21

Family

ID=49353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709U KR200373371Y1 (ko) 2004-10-21 2004-10-21 책상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37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13813B2 (en) Collapsible hinge bracket for a laptop computer
US5882098A (en) Preassembled foldable printer stand
US6039419A (en) Foldable ready-to-use entertainment stand
US5769514A (en) Ready to use foldable computer desk
US8015931B2 (en) Quick and easy assembly shelving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6994034B2 (en) Foldable computer desk
US7248464B1 (en) Structure of a computer housing
US20100072342A1 (en) Retractable support and display having the same
US20050274300A1 (en) Foldable computer table
KR200373371Y1 (ko) 책상 조립구조
US20080084149A1 (en) Collapsible cabinet
JPH11254788A (ja) 画像記録装置
JP3133866U (ja) 折り畳み式デスク
KR200407149Y1 (ko) 노트북 컴퓨터 거치 독서대
KR200413817Y1 (ko) 절첩식 수납장
KR200266781Y1 (ko) 접이식 책상
JP4656020B2 (ja) 譜面立て
JP4387774B2 (ja) 旋回テーブル付き物品収納什器
US20130229094A1 (en) Modular desk
CN210842484U (zh) 一种便于拆分搭建的临时信息技术咨询服务台
KR200247764Y1 (ko) 독서대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학생용책상
KR200365739Y1 (ko) 덮개판을 구비한 책상용 보조서랍장
KR200206562Y1 (ko) 모니터 내장형 컴퓨터 책상
JP4285208B2 (ja) 収納家具
JP3134667U (ja) 本立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