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321Y1 -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 - Google Patents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321Y1
KR200373321Y1 KR20-2004-0028578U KR20040028578U KR200373321Y1 KR 200373321 Y1 KR200373321 Y1 KR 200373321Y1 KR 20040028578 U KR20040028578 U KR 20040028578U KR 200373321 Y1 KR200373321 Y1 KR 2003733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ilicon
operating rod
silicone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5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순
Original Assignee
이태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순 filed Critical 이태순
Priority to KR20-2004-00285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3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3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3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05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 B05C17/01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 B05C17/0116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for discharging material from a reservoir or container located in or on the hand tool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without using surface contacting members like pads or brushes with manually mechan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piston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the piston driving means
    • B05C17/012Stepwise advancing mechanism, e.g. pawl and ratchets
    • B05C17/0123Lever actuated
    • B05C17/0126Lever actuated comprising an element, e.g. an arc compensating element, articulated at one end on the lever and at the other end on the piston rod driving means, e.g. a paw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에 관한 것으로서;실리콘튜브(T)가 안치되는 튜브안치부(10) 후방의 작동봉(20)이 연장관통되는 전방격벽체(21)와 후방격벽체(22) 사이에 구비되고, 손잡이(23)와 손잡이(23) 전방의 힌지회전하는 전진트리거(24)에 의하여 전진구동하도록 스프링탄발되는 전진구동편(25), 상기 후방격벽체(22)의 후방으로 연장돌출되는 작동봉(20)을 가지는 실리콘시공건(G)에 있어서,
상기 전방격벽체(21)와 전진트리거(24) 사이에 탄성탄발되는 파지스프링(300)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스프링(300)의 일단이 상기 작동봉(20)의 외경에서 억지끼움되는 정도로 압압고정되는 축소직경의 압압탄성고정부(301)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작동부재가 대폭 간소화되고 작동의 신뢰성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저렴한 구성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을 제공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Silicon injectiing gun}
본 고안은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건축 시공용의 실리콘을 도포하기 위한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Gun)의 구성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건축 현장에서는 타일시공, 유리시공, 벽면시공, 벽면의 접합부의 마무리 작업 등의 용도로서 접합면에 실리콘겔제를 주입하여 건조함으로서 마무리하고 있고, 이러한 용도로서 널리 사용되는 것이 실리콘튜브로서, 실리콘튜브는 전방에 실리콘을 내장하여 충진한 개략 원통형상의 실리콘충진의 튜브와 선단의 배출용으로서 노즐형상을 가지는 튜브팁, 후단의 튜브내방에서 슬라이드이동함으로서 실리콘을 튜브팁으로 배출하게 하는 배출피스톤을 가지는 기본적인 구성이 공용화되어 있으며 리콘튜브는 시공 시에 실리콘시공건이라는 수공구 내에 안치되어 사용되며, 실리콘건은 실리콘건 후방에 위치하는 손잡이와, 상기의 배출피스톤을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튜브팁으로의 실리콘의 배출을 도모하는 구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실리콘시공건은 이미 당해 업계에서는 널리 알려진 구성이고대부분 유사한 구성의 것이 다양한 변형체로서 사용되고 있다.
상기하는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의 구성은 본 출원의 출원인이 기히 다수건 선출원으로서 개시한 바 있다.
상술하는 선출원에서는 전방으로 전진하는 배출피스톤을 이송시키는 작동봉과 이 작동봉과 협력하는 복귀판을 제공하고 작동봉에 나사산 형상의 요철부를 형성하여 전진 시에는 걸림없이 전진 하다가 압축된 실리콘의 잔여압에 의하여 튜브팁으로 시공 종료 후에도 실리콘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
지지축부에 여압제거작동편의 상단부 지지축공이 끼워지면서 여압제거작동편과 지지축부의 단부의 헤드 사이에 여압해제스프링을 코일스프링으로서 개재하여 가짐으로서, 레버리지돌기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여압제거작동편은 상기 여압해제스프링과의 협동으로 상기 작동봉과 일체로 상기 여압제거작동편을 여압 해제 시에 여압력만큼 자동적으로 후방이동시키는 구성 등을 제공한 바 있다.
상술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은 그 작동의 신뢰성과 여압의 제거에는 매우 우수한 기능을 보여주고 있지만 통상, 건설현장에서 제조원가를 중요시하는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의 생산비를 앙등시켜 시장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선출원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반의 작동부재를 제거하고 구성부품수를 저감시킴으로서 저렴한 구성이 가능하고 기능 또한 등가적인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이 적용되는 종래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사시도.
도 2 는 도 1을 개선한 선출원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 은 도 2 의 선출원 구성의 여압의 해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에 주요부인 파지스프링에 의한 전진작동을 설명하는 도 4 의 A 부 해당도.
도 6 은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에 주요부인 파지스프링에 의한 여압해제상태를 설명하는 도 4 의 A 부 해당도.
도 7 은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파지스프링의 등가적인 대체 구성을 도시하는 파지스프링의 설명.
도 8 은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파지스프링의 등가적인 대체 구성을 도시하는 격벽부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 실리콘튜브
10: 튜브안치부
20: 작동봉
23: 손잡이
24: 전진트리거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선출원을 설명하는 구성으로서, 도 1 은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이 적용되는 종래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 사시도로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으로서 개선된 구성으로서 출원한 도 2 의 도 1을 개선한 선출원의 구성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3 의 도 2 의 선출원 구성의 여압의 해제를 설명하는 설명도로서 설명하고 이에 대비하여,
본 고안의 구성으로서 도 4 는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에 주요부인 파지스프링에 의한 전진작동을 설명하는 도 4 의 A 부 해당도 , 도 6 은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에 주요부인 파지스프링에 의한 여압해제상태를 설명하는 도 4 의 A 부 해당도, 도 7 은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파지스프링의 등가적인 대체 구성을 도시하는 파지스프링의 설명, 도 8 은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파지스프링의 등가적인 대체 구성을 도시하는 격벽부의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도 1 에서와 같은 종래 구성에 대하여 본 출원인의 선출원의 구성인 도 2 와 3 에서는, 여압제거작동편(50)과 협동하는 지렛대구성을 제공하고, 후방격벽체(22)의 후방 연장돌출되는 작동봉(20)에 끼워지는 여압제거작동편(50)의 중앙부에 천공된 후퇴제한공(35)에 축끼움되는 작동봉(20)의 상단에 레버리지돌기(100)를 일체로 돌출된 돌기체 또는 볼트 등을 고정한 돌출체로서 더 부여한다.
또한, 도 1 내지 3 에서와 같이, 상기 레버리지돌기(100)의 상단에는 후방격벽체(22)에 고정되는 볼트나 축핀, 일체형 축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지지축부(110)를 형성하고 이 지지축부(110)에 상기의 여압제거작동편(50)의 상단부의 지지축공(55)을 끼워 단부 축지지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지지축공(55)이 끼워진 여압제거작동편(50)과 지지축부(110)의 단부의 헤드(111) 사이에 여압해제스프링(120)을 코일스프링으로서 개재하여 가진다.
상기하는 구성으로서, 여압제거작동편(50)은 하방은 그 후퇴제한공(35)이 작동봉(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단의 지지축공(55)은 후방격벽체(22)에 직설되는 지지축부(110)에 여압해제스프링(120)에 의하여 레버리지돌기(100)를 지렛대 지점으로 하여 눌려진 상태로서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서의 선출원의 작동은 도 2 내지 3 에서와 같이,
튜브안치부(10)에 충진튜브(T)를 안치하고 작동봉(20) 단부의 가압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충진튜브(T)의 후방에 접속시킨 상태에서 시공부위에 노즐팁을 가한 후에 트리거부의 전진트리거(24)를 힌지축(H)을 지점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당겨주게 되면, 작동봉(20)에 끼움되어 있는 전진구동편(25)의 전진과 이에 형상적으로 걸림되어 있는 작동봉(20)-여압제거작동편(50)과의 협력으로 순차적으로 전진하게 되어 실리콘을 시공하는 것은 종래의 구성과 동일하고, 실리콘 시공 이후에 충전튜브(T) 내방의 잔여하여 추가적인 불필요한 실리콘 배출을 형성하는 여압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의 실리콘시공이 종료된 상태에서 트리거부의 전진트리거(24)를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되면, 즉 시공이 종료된 상태이면, 충전튜브(T) 내방의 잔여여압이작동하기 시작하여 작동봉(22)을 후방으로 밀고자 하는 힘이 충전튜브(T) 내방에 발생하기 시작하고, 여압은 작동봉(22)을 후방으로 후퇴시키고자 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는(즉,전진트리거(24)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 작동봉(22)과 여압제거작동편(50)의 후퇴제한공(35)에 레버리지돌기(100)와 여압해제스프링(120)에 의하여 경사지게 걸림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작동봉(20)과 여압제거작동편(50)을 함께 후방으로 밀게 되고,
그에 따라서, 지지축부(110)와 단부의 헤드(111) 사이에 개재된 여압해제스프링(120)을 지점(P)을 기점으로 하여 후방으로 밀어서 일정한 간극( 여압이 해제되는 정도의 간극) 만큼 자동적으로 밀려 나간다.
상기하는 종래의 선출원의 구성은 그 작동의 신뢰성은 상당히 높은 것으로서 생각되나 상기와 같이 대단히 많은 작동부재를 요구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도 4 이하의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의 구성을 설명한다.
실리콘튜브(T) 등의 충진튜브가 안치되는 튜브안치부(10) 후방의 작동봉(20)이 연장관통되는 전방격벽체(21)와 후방격벽체(22) 사이에 구비되고,
손잡이(23)와 손잡이(23) 전방의 전진트리거(24)에 의하여 전진구동하도록 스프링탄발되는 전진구동편(25), 상기 후방격벽체(22)의 후방으로 연장돌출되는 작동봉(20)을 가지는 실리콘시공건(G)의 구성은 선출원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본 구성에서는 상술한 종래 선출원의 여압제거작동편(50), 후퇴제한공(35),레버리지돌기(100), 헤드(111)를 가지는 지지축부(110)등의 부재를 완전히 제거하고 종래의 여압제거작동편(50), 후퇴제한공(35),레버리지돌기(100), 헤드(111)를 가지는 지지축부(110)등의 부재가 구현하던 후퇴제한기능과 여압제거기능을 상기의 스프링을 파지스프링(300)이 수행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주요부가 되는 파지스프링(300)은 도 4 이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형스프링이거나 코일스프링의 일단부가 축소직경체의 압압탄성고정부(301)를 형성하는 스프링체로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압압탄성고정부(301)는 도 4 이하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동봉(20)과 억지끼움되는 정도로 고정되도록 작동봉(20)의 직경(d)과 그 내직경이 거의 같도록 축소된 직경체인 것이다.
상기하는 파지스프링(300)은 도시하는 콘(Cone)형의 스프링 뿐만 아니라 코일형으로 하고 일단부만 축소직경된 것으로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의 파지스프링(300)-압압탄성고정부(301)이 종래의 여압작동을 수행하게 되는 바 도 5 에서와 같이, 작동봉(20)의 전진, 즉 실리콘튜브(T)의 내방을 압압하여 실리콘이 배출되는 경우에는 손잡이(23) 전방의 전진트리거(24)에 의하여 전진구동하면서 파지스프링(300)을 극복하면서 스프링 탄발되는 전진구동편(25)이 작동봉(20)과 기하학적으로 사선상태로 걸림되어 전진되고 작동봉(20)상에서 압압탄성고정부(301)에서는 슬립이 유발되어 전진된다.
실리콘을 시공한 이후에 전진트리거(24)를 해제하게 되면 실리콘튜브(T) 내방에 압축된 실리콘에 의한 여압이 작동봉(20)을 후방으로 밀게 되고 따라서 파지스프링(300)의 압압탄성고정부(301)에 의하여 긴밀하게 압압된 작동봉(20)이 근소하게 후퇴하게 되어 여압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 때에는 작동봉(20(과 파지스프링(300)의 압압탄성고정부(301)이 접속면 사이에 근소한 슬립(Slip)이 발생되는 것으로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작동의 등가적인 구성의 파지스프링(300)이 도 7 및 8 에 도시된다. 도 7 에는 파지스프링(400)의 심선(410)을 구성함에 있어서, 압압탄성고정부(401)의 외방에 실리콘, 러버, 우레탄 등으로 피복(C)한 것으로서 상기하는 전진 시의 슬립, 여압해제시의 슬립 등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도 8 에서와 같이, 스프링(500)은 통상적인 코일스프링으로 하고 전방격벽체(21) 내방에 O 링형상의 압압링(510)을 삽입하는 경우에는 역시 상술한 바와 같은 전진 시의 슬립과 여압해제 시의 슬립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으로서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은 종래의 선출원의 구성에 비하여 작동부재가 대폭 간소화되고 작동의 신뢰성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저렴한 구성의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을 제공하는 유용성을 가진다.

Claims (3)

  1. 실리콘튜브(T)가 안치되는 튜브안치부(10) 후방의 작동봉(20)이 연장관통되는 전방격벽체(21)와 후방격벽체(22) 사이에 구비되고, 손잡이(23)와 손잡이(23) 전방의 힌지회전하는 전진트리거(24)에 의하여 전진구동하도록 스프링탄발되는 전진구동편(25), 상기 후방격벽체(22)의 후방으로 연장돌출되는 작동봉(20)을 가지는 실리콘시공건(G)에 있어서;
    상기 전방격벽체(21)와 전진트리거(24) 사이에 탄성탄발되는 파지스프링(300)을 구비하고, 상기 파지스프링(300)의 일단이 상기 작동봉(20)의 외경에서 억지끼움되는 정도로 압압고정되는 축소직경의 압압탄성고정부(301)로서 구성함으로서 상기 작동봉(20)이 압압탄성고정부(301)에 대하여 슬립이동함으로서 여압해제를 수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스프링(300)의 압압탄성고정부(301)는 실리콘, 러버, 우레탄 등의 탄성재로서 피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스프링(300)은 코일스프링이고 상기 전방격벽체(21) 내방에 O 링형상의 압압링(510)이 작동봉(20)과 긴밀하게 압압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
KR20-2004-0028578U 2004-10-08 2004-10-08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 KR2003733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78U KR200373321Y1 (ko) 2004-10-08 2004-10-08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78U KR200373321Y1 (ko) 2004-10-08 2004-10-08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321Y1 true KR200373321Y1 (ko) 2005-01-27

Family

ID=49444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578U KR200373321Y1 (ko) 2004-10-08 2004-10-08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3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788Y1 (ko) 2009-02-06 2012-01-03 서성광 실리콘 건
KR20230139671A (ko) 2022-03-28 2023-10-05 백선하 반자동식 실리콘 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788Y1 (ko) 2009-02-06 2012-01-03 서성광 실리콘 건
KR20230139671A (ko) 2022-03-28 2023-10-05 백선하 반자동식 실리콘 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83592B (zh) 用于按压装置的工具头组件
US10406586B2 (en) Portable tool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2003154300A (ja) 粘性流体化合物アプリケーター
JP5356673B2 (ja) アクチュエータ
US3906776A (en) Self-drilling blind riveting tool
US6892904B2 (en) Grouting gun apparatus and method
KR200406080Y1 (ko) 실리콘 건
CN212097511U (zh) Pex扩张工具
JPS5931478B2 (ja) 可搬動力マ−キングツ−ル
KR200373321Y1 (ko) 실리콘도포 시공용 건
JP4522341B2 (ja) 注入ノズルおよびこれを用いたピンニング工法
KR100593461B1 (ko) 연타방지수단이 구비된 타카장치
KR101115781B1 (ko) 실리콘용 시공 건
KR200356512Y1 (ko) 실리콘시공건의 여압자동제거장치
KR102261868B1 (ko) 실리콘 건 및 실리콘 건 방아쇠 뭉치
US4986588A (en) Weed puller with plug ejecting means
KR200389873Y1 (ko) 타카장치의 네일 낙하방지부재
KR101031517B1 (ko) 잔류 압 제거기능을 갖는 실리콘용 시공 건
KR200392534Y1 (ko) 실리콘 건
JP2004092206A (ja) コーキングガン
KR102164073B1 (ko) 실리콘건
KR200350045Y1 (ko) 실리콘시공건의 여압제거트리거
US2582248A (en) Manually operable tool for installing tubular rivets
JP2000061865A (ja) 釘打機の安全装置
JP7264445B2 (ja) リベッ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