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220Y1 -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 Google Patents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220Y1
KR200373220Y1 KR20-2004-0030364U KR20040030364U KR200373220Y1 KR 200373220 Y1 KR200373220 Y1 KR 200373220Y1 KR 20040030364 U KR20040030364 U KR 20040030364U KR 200373220 Y1 KR200373220 Y1 KR 2003732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row
reflector
cover member
light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이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훈 filed Critical 이상훈
Priority to KR20-2004-0030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2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2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2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2Reflex reflectors cube corner, trihedral or triple reflecto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돌출되며 화살 형상을 가지며 축광물질이 도포되는 화살형틀을 포함하는 베이스판부재와, 상기 화살형틀에 도포되는 축광물질의 휘도를 증대시키며, 상기 축광물질이 화살형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화살형틀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져서 그 화살형틀의 상부에 접촉되어 화살형틀을 밀폐하는 렌즈부재와, 상기 베이스판부재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그 일면에는 굴곡된 표면이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빛을 재귀반사시키는 리플렉터부가 부착되며, 상기 화살형틀과 대응되는 화살 형상을 가지며 관통된 구멍인 화살관통공을 가지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리플렉터부에 빛이 조사될 경우 상기 빛이 원활하게 재귀반사될 수 있으며, 상기 축광물질에 의하여 야간에 방향표시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도로에 부착할 때에는 야간에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고, 어두운 도로에 경계라인을 형성하여 보다 획기적인 안전망을 구축하며, 전방에서는 물론 측방에서 빛이 조사되더라도 그 빛을 재귀반사시켜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하며, 지하철이나 빌딩 내의 통로에 설치될 경우에는 화재나 정전 시에도 신속하게 인체를 안전한 곳으로 유도하며 소방관의 화재 진압 시에도 빛의 재귀반사로 신속하게 통로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Noctilucent safety-indication board using for reflector and noctilucence}
본 고안은 표지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축광과 조사되는 빛의 재귀반사를 이용하여 도로의 굴곡 식별이나 건물의 통로의 위치를 알려주는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도로 등의 도로 중에서 특히 그 도로가 굴곡되어 있는 부위의 가장자리에는 안전을 위하여 도로가 굴곡되어 있음을 알리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표지판은 주로 화살표가 들어간 문양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도로표지판은 일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의 반사만을 이용하므로 어느 일정한 위치에 있는 차량은 그 표지판을 식별할 수 있지만, 다른 위치에 있는 차량은 표지판을 식별할 수 없다가 그 일정한 위치에 차량이 진입되고 나서야 그 표지판을 식별할 수가 있어, 차량이 미처 그 굴곡된 도로를 따라 주행하지 못하여 사고가 유발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지하철이나 빌딩 내의 통로에도 비상구의 위치를 알리는 표지판이 설치되어 있지만, 화재 등으로 인하여 지하철 내나 빌딩 전체가 정전이 된 경우는 무용지물이 되어 비상구의 위치를 알릴 수가 없어서 인명 피해가 속출하며, 특히 소방관들이 화재 진압을 위해서 건물 내로 진입을 한 경우에도 그 비상구의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여 인명 피해의 문제점이 더욱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도로에 부착할 때에는 야간에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고, 어두운 도로에 경계라인을 형성하여 굴곡된 도로임을 나타냄으로써 보다 획기적인 안전망을 구축하며, 전방에서는 물론 측방에서 빛이 조사되더라도 그 빛을 재귀반사시켜 다양한 위치에서도 표지판의 식별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하며, 지하철이나 빌딩 내의 통로에 설치될 경우에는 화재나 정전 시에도 신속하게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어서 인체를 안전한 곳으로 유도하며, 소방관의 화재 진압 시에도 빛의 재귀반사로 신속하게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렌즈부재와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베이스판부재와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전방용 리플렉터의 전방반사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측방용 리플렉터의 측방반사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전방용 리플렉터에서 빛이 재귀반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측방용 리플렉터에서 빛이 재귀반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베이스판부재 12. 받침판
14. 화살형틀 20. 렌즈부재
22. 제1화살돌기 24. 제2화살돌기
30. 커버부재 32. 화살관통홈
40. 리플렉터부 50. 전방용 리플렉터
52.. 전방반사유니트 54. 제1면
55. 제2면 56. 제3면
60. 측방용 리플렉터 62. 측방반사유니트
64. 제4면 65. 제5면
66. 제6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은,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돌출되며 화살 형상을 가지며 축광물질이 도포되는 화살형틀을 포함하는 베이스판부재와, 상기 화살형틀에 도포되는 축광물질의 휘도를 증대시키며, 상기 축광물질이 화살형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화살형틀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져서 그 화살형틀의 상부에 접촉되어 화살형틀을 밀폐하는 렌즈부재와, 상기 베이스판부재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그 일면에는 굴곡된 표면이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빛을 재귀반사시키는 리플렉터부가 부착되며, 상기 화살형틀과 대응되는 화살 형상을 가지며 관통된 구멍인 화살관통공을 가지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리플렉터부에 빛이 조사될 경우 상기 빛이 원활하게 재귀반사될 수 있으며, 상기 축광물질에 의하여 야간에 방향표시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의 상기 리플렉터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인 전방에서 조사되는 빛이 원활하게 재귀반사될 수 있도록 하는 전방용 리플렉터 및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과 경사진 방향에서 조사되는 빛이 원활하게 재귀반사될 수 있도록 하는 측방용 리플렉터를 포함하여, 상기 전방용 리플렉터와 측방용 리플렉터를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의 상기 전방용 리플렉터는, 수평축에 대해서 45°(도)로 기울어진 제1면과, 수평축에 대해서 45°(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1면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90°(도)인 제2면과,수평축에 대해서 45°(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1면 및 제2면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각각 90°(도)인 제3면을 가지는 전방반사유니트가 전후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나란히 위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용 리플렉터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복수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의 상기 측방용 리플렉터는, 수평축에 대해서 50°(도) 내지 70°(도)로 기울어진 제4면과, 수평축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4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90°(도)인 제5면과, 수평축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4면 및 제5면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각각 90°(도)인 제6면을 가지는 측방반사유니트가 전후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나란히 위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측방용 리플렉터는 수평면에 대해서 1°(도) 내지 20°(도)로 기울어져서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복수개 부착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재귀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의 상기 베이스판부재와 렌즈부재와 커버부재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에는, 그 받침판의 테두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내측에 마련되며 그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받침판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테두리에는 상기 받침판돌기를 수용하는 받침판돌기수용홈이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베이스판부재가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상호 융착될 때, 상기 받침판돌기가 받침판돌기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융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의 상기 렌즈부재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화살관통공에 삽입되는 제1화살돌기 및 상기 제1화살돌기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제1화살돌기의 외연을 따라 마련되며 화살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화살돌기보다 큰 화살형상으로 상기 렌즈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미세한 돌기인 제2화살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그 커버부재의 화살관통공과 이격되며 화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화살돌기가 삽입되는 화살돌기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렌즈부재와 커버부재가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상호 융착될 때, 상기 제2화살돌기가 화살돌기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융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을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의 분리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렌즈부재와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베이스판부재와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전방용 리플렉터의 전방반사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측방용 리플렉터의 측방반사유니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전방용 리플렉터에서 빛이 재귀반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측방용 리플렉터에서 빛이 재귀반사되는 모습을 나타낸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100)은 베이스판부재(10)와, 렌즈부재(20)와, 커버부재(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판부재(10)는 받침판(12)과 화살형틀(14)을 가지고 있다.
상기 받침판(12)은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다른 물체와 체결되기 위해서 나사나 볼트 등이 관통될 수 있도록 체결관통공(18)이 그 양단과, 중앙부위의 상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판에는 그 받침판의 테두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내측에 마련되며 그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받침판돌기(124)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받침판돌기(124)는 후술하는 커버부재(30)의 받침판돌기수용홈(36)에 삽입되며, 초음파 융착시 그 융착이 보다 견고하고 용이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화살형틀(14)은 상기 받침판(12)의 상부면에 돌출되어 마련되어 화살 형상을 가지며, 그 내측에는 축광물질이 도포되어 그 축광물질이 수용된다.
상기 렌즈부재(20)는 상기 화살형틀(14)에 도포되는 축광물질의 휘도를 증대시키며, 상기 축광물질이 화살형틀(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화살형틀(14)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져서 그 화살형틀(14)의 상부에 밀착되어 화살형틀(14)을 밀폐한다.
상기 커버부재(30)는 상기 화살형틀(14)과 대응되는 화살 형상을 가지며 관통된 홈인 화살관통공(32)과, 그 일면에 마련되며 굴곡된 표면이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빛을 재귀반사시키는 리플렉터부(4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판부재(10)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리플렉터부(40)에 빛이 조사될 경우 상기 빛이 원활하게 재귀반사될 수 있으며, 상기 축광물질에 의하여 야간에 방향표시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리플렉터부(40)는 전방용 리플렉터(50)와 측방용 리플렉터(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방용 리플렉터(50)는 상기 커버부재(30)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인 전방에서 조사되는 빛이 원활하게 재귀반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 측방용 리플렉터(60)는 상기 커버부재(30)의 표면과 경사진 방향에서 조사되는 빛이 원활하게 재귀반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방용 리플렉터(50)와 측방용 리플렉터(60)는 상기 커버부재(30)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번갈아 위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방용 리플렉터(50)는 전방반사유니트(52)가 전후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나란히 위치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방반사유니트(52)는 제1면(54)과 제2면(55)과 제3면(5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면(54)은 수평축에 대해서 45°(도)로 기울어져 있다.
상기 제2면(55)은 수평축에 대해서 45°(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1면(54)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90°(도)이다.
상기 제3면(56)은 수평축에 대해서 45°(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1면(54)및 제2면(55)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각각 90°(도)이다.
상기 측방용 리플렉터(60)는 측방반사유니트(62)가 전후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나란히 위치되어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측방반사유니트(62)는 제4면(64)과 제5면(65)과 제6면(6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4면(64)은 수평축에 대해서 50°(도) 내지 70°(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60°(도) 기울어져 있다.
상기 제5면(65)은 수평축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4면(64)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90°(도)이다.
상기 제6면(66)은 수평축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4면(64) 및 제5면(65)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각각 90°(도)이다.
또한, 상기 측방용 리플렉터(60)는 수평면에 대해서 1°(도) 내지 20°(도)로 기울어져서 상기 커버부재(30)의 내측에 복수개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6°(도)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측방용 리플렉터(60)는 상기 커버부재(30)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재귀반사시킨다.
한편, 상기 베이스판부재(10)와 렌즈부재(20)와 커버부재(30)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2)은 내벽돌기(122)와 받침판돌기(12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내벽돌기(122)는 상기 받침판(12)의 테두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내측에 마련되며 그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부재(30)의 테두리의 내벽과 상기 내벽돌기(122)의 외벽이 서로 접촉되어 상기 커버부재(30)와 베이스판부재(10)가 서로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판돌기(124)는 이미 상술하였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0)의 테두리에는 상기 받침판돌기(124)를 수용하는 받침판돌기수용홈(36)이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재(30)와 베이스판부재(10)가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상호 융착될 때, 상기 받침판돌기(124)가 받침판돌기수용홈(36)에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융착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즉, 상기 받침판돌기(124)가 상기 받침판돌기수용홈(36)에 수용된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이 되어 상기 커버부재(30)와 베이스판부재(10) 상호 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렌즈부재(20)에는 제1화살돌기(22)와 제2화살돌기(24)가 더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1화살돌기(22)는 화살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버부재(30)의 화살관통공(32)에 삽입된다.
상기 제2화살돌기(24)는 상기 제1화살돌기(22)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제1화살돌기(22)의 외연을 따라 마련되며 화살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화살돌기(22)보다 큰 화살형상으로 상기 렌즈부재(2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미세한 돌기이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0)에는 그 커버부재(30)의 화살관통공(32)과 조금 이격되어 화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화살돌기(24)가 삽입되는 화살돌기수용홈(34)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렌즈부재(20)와 커버부재(30)가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상호 융착될 때, 상기 제2화살돌기(24)가 화살돌기수용홈(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융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100)은 다음과 같이 결합되어 사용된다.
먼저, 상기 화살형틀(14)의 제1화살홈(16)에 축광물질을 도포한다.
그리고 상기 렌즈부재(20)를 상기 커버부재(30)에 결합시킨다. 이 때, 상기 렌즈부재(20)의 제1화살돌기(22)가 상기 커버부재(30)의 화살관통공(32)에 삽입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제2화살돌기(24)가 상기 커버부재(30)의 화살돌기수용홈(34)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초음파 융착을 행하면 상기 제2화살돌기(24)가 화살돌기수용홈(34)에 삽입된 상태에서 되는 것이므로 그 융착이 용이하고도 견고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커버부재(30)를 상기 베이스판부재(1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 때, 상기 커버부재(30)의 내벽이 상기 내벽돌기(122)의 외벽과 밀착되어 결합되며, 또한 상기 받침판돌기(124)가 상기 커버부재(30)의 테두리에 마련된 받침판돌기수용홈(36)에 삽입된다.
이어서, 상기 커버부재(30)와 베이스판부재(10)를 초음파 융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받침판돌기(124)가 상기 받침판돌기수용홈(36)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 융착이 더욱 견고히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판부재(10)에 마련된 체결관통공(18)을 통하여 나사 혹은 볼트 등의 체결도구로 원하는 굴곡된 도로나 건물의 내부 중 비상구가 위치된 곳을 알릴 수 있는 곳에 설치를 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100)의 사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야간에는 상기 화살형틀(14)에 도포된 축광물질이 주위의 빛이 없으면 빛을 발하여 멀리서도 상기 화살형틀(14)의 형상인 화살표를 인식할 수가 있다. 따라서 굴곡된 도로 혹은 비상구의 위치를 알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부재(10)의 표면과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빛이 조사될 때에는 상기 전방용 리플렉터(50)를 통해서 그 빛이 재귀반사되어 운전자나 전조등을 비춘 사람이 안내판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를 도 6을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한다. 편의상 상기 전방용 리플렉터(50)를 X-Y 축으로 잘라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부재(10)의 표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들어오는 빛은 상기 제1면(54)으로 들어와 그 제1면(54)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면(55)과 접촉된다. 상기 제2면(55)에 들어온 빛은 그 제2면(55)에서 반사되어 처음에 그 빛이 조사된 방향과 거의 같은 방향으로 되돌아서 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판부재(10)의 표면에 대해서 거의 수직인 전방에 위치된 차량의 운전자 등은 상기 안전표지판(100)이 있음을 식별하면서 상기 화살형틀(14)의 형상인 화살표를 볼 수가 있는 것이다.
이어서, 상기 베이스판부재(10)의 표면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으로 들어오는 빛의 재귀반사에 대해서 도 7을 참조하면서 자세히 설명한다. 마찬가지로 편의상 상기 측방용 리플렉터(60)를 X-Y 축으로 잘라서 설명한다.
상기 제4면(64)은 수평축에 대해서 60°(도) 기울어져 있고, 또한 상기 측방용 리플렉터(60) 자체가 수평축에 대해서 6°(도) 기울어져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상기 제4면(64)은 수직축을 기준으로 해서는 36°(도) 기울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판부재(10)의 표면에 대해서 36°(도) 근처로 기울어져 조사되는 빛은 상기 제4면(64)에서 반사되어 그대로 재귀반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베이스판부재(10)의 표면에 대해서 수직인 전방에서 조사되는 빛과 표면에 대해서 경사진 위치에서 조사되는 빛이 모두 재귀반사되므로 여러 각도 및 여러 위치에서 상기 안전표지판(100)의 위치와 형태를 식별할 수가 있어서 야간에 특히 안전한 운행 및 정전 시에도 건물의 비상구의 위치를 알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에 의하면, 도로에 부착할 때에는 야간에 운전자의 시인성을 확보하고, 어두운 도로에 경계라인을 형성하여 굴곡된 도로임을 나타냄으로써 보다 획기적인 안전망을 구축하며, 전방에서는 물론 측방에서 빛이 조사되더라도 그 빛을 재귀반사시켜 다양한 위치에서도 표지판의 식별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안전운전을 도모하며, 지하철이나 빌딩 내의 통로에 설치될 경우에는 화재나 정전 시에도 신속하게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어서 인체를 안전한 곳으로 유도하며, 소방관의 화재 진압 시에도 빛의 재귀반사로 신속하게 비상구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의 상부면에 돌출되며 화살 형상을 가지며 축광물질이 도포되는 화살형틀을 포함하는 베이스판부재;
    상기 화살형틀에 도포되는 축광물질의 휘도를 증대시키며, 상기 축광물질이 화살형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상기 화살형틀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져서 그 화살형틀의 상부에 접촉되어 화살형틀을 밀폐하는 렌즈부재;
    상기 베이스판부재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그 일면에는 굴곡된 표면이 연이어 형성됨으로써 빛을 재귀반사시키는 리플렉터부가 부착되며, 상기 화살형틀과 대응되는 화살 형상을 가지며 관통된 구멍인 화살관통공을 가지는 커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리플렉터부에 빛이 조사될 경우 상기 빛이 원활하게 재귀반사될 수 있으며, 상기 축광물질에 의하여 야간에 방향표시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부는,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과 수직한 방향인 전방에서 조사되는 빛이 원활하게 재귀반사될 수 있도록 하는 전방용 리플렉터; 및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과 경사진 방향에서 조사되는 빛이 원활하게 재귀반사될 수 있도록 하는 측방용 리플렉터;를 포함하여,
    상기 전방용 리플렉터와 측방용 리플렉터를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번갈아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용 리플렉터는,
    수평축에 대해서 45°(도)로 기울어진 제1면과,
    수평축에 대해서 45°(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1면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90°(도)인 제2면과,
    수평축에 대해서 45°(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1면 및 제2면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각각 90°(도)인 제3면을 가지는 전방반사유니트가 전후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나란히 위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용 리플렉터는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복수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방용 리플렉터는,
    수평축에 대해서 50°(도) 내지 70°(도)로 기울어진 제4면과,
    수평축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4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90°(도)인 제5면과,
    수평축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며, 상기 제4면 및 제5면과 접촉되며 그 접촉각이 각각 90°(도)인 제6면을 가지는 측방반사유니트가 전후좌우방향으로 연속하여 나란히 위치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측방용 리플렉터는 수평면에 대해서 1°(도) 내지 20°(도)로 기울어져서 상기 커버부재의 내측에 복수개 부착되어, 상기 커버부재의 표면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으로 조사되는 빛을 재귀반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부재와 렌즈부재와 커버부재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판에는,
    그 받침판의 테두리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내측에 마련되며 그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받침판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재의 테두리에는 상기 받침판돌기를 수용하는 받침판돌기수용홈이 마련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베이스판부재가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상호 융착될 때, 상기 받침판돌기가 받침판돌기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융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에는,
    상기 커버부재의 화살관통공에 삽입되는 제1화살돌기; 및
    상기 제1화살돌기와 일정간격 이격되며, 그 제1화살돌기의 외연을 따라 마련되며 화살형상을 가지되, 상기 제1화살돌기보다 큰 화살형상으로 상기 렌즈부재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미세한 돌기인 제2화살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재에는,
    그 커버부재의 화살관통공과 이격되며 화살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화살돌기가 삽입되는 화살돌기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렌즈부재와 커버부재가 초음파 융착에 의해서 상호 융착될 때, 상기 제2화살돌기가 화살돌기수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그 융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KR20-2004-0030364U 2004-10-27 2004-10-27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KR2003732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364U KR200373220Y1 (ko) 2004-10-27 2004-10-27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364U KR200373220Y1 (ko) 2004-10-27 2004-10-27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220Y1 true KR200373220Y1 (ko) 2005-01-15

Family

ID=4935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364U KR200373220Y1 (ko) 2004-10-27 2004-10-27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2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390B1 (ko) * 2010-02-10 2012-10-02 주식회사 선진정밀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표지판
KR20150123597A (ko) 2014-04-25 2015-11-04 대유산업개발(주) 등산로용 축광 안내판 제조방법 및 안내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7390B1 (ko) * 2010-02-10 2012-10-02 주식회사 선진정밀 시인성이 향상된 도로표지판
KR20150123597A (ko) 2014-04-25 2015-11-04 대유산업개발(주) 등산로용 축광 안내판 제조방법 및 안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15432B2 (en) Methods and apparatus relating to improved visual recognition and safety
US6969185B1 (en) Safety barrier with illuminating components
US20110058364A1 (en) Reflective surface road flare
US4221498A (en) Roadside barrier reflector
KR200373220Y1 (ko) 축광과 리플렉터를 이용한 야광 안전표지판
KR200195882Y1 (ko) 광전달을 이용한 자동차용 도로표시장치
KR20000016405U (ko) 광전달을 이용한 자동차용 도로표시장치
JP2002038428A (ja) 道路反射鏡併用出合い頭事故防止装置
KR101070616B1 (ko) 차량용 안전 삼각대
KR20190056131A (ko) 신호등용 반사 패널
JPWO2008026572A1 (ja) 自発光式道路標識柱
JP2002042523A (ja) 光照射装置
JP3814572B2 (ja) 危険回避警告用のled工事標識
KR102261562B1 (ko) 야간 교통정보 표시 시스템
KR101016446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1092807B1 (ko) 주름형 반사체
KR101710561B1 (ko) 터널용 입체형 이정표
JP3256096B2 (ja) 信号機に連動した発光路面表示装置
JP4442731B1 (ja) 標示具
KR100419320B1 (ko) 조립식 안전 표시대
KR200202330Y1 (ko) 차량운전자의 야간주행시 도로상황의 식별을 용이하게하기 위한 가이드레일 및 중앙분리대용 볼트
KR20180003550U (ko) 도로용 반사장치
KR20120005073A (ko) 경계석 장착용 안전유도기구
JPH0959943A (ja) 出会い頭事故防止装置
KR20130003077U (ko) 안전 반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1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