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141Y1 -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141Y1
KR200373141Y1 KR20-2004-0029542U KR20040029542U KR200373141Y1 KR 200373141 Y1 KR200373141 Y1 KR 200373141Y1 KR 20040029542 U KR20040029542 U KR 20040029542U KR 200373141 Y1 KR200373141 Y1 KR 2003731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cloth
cabin air
air
antibac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5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세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정크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정크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정크린
Priority to KR20-2004-00295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1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1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1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8Filter cloth, i.e. woven, knitted or interlac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91Adsorption filters, e.g. activated 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내로 유입되는 미립자 물질과 유해 기상 물질을 완벽에 가깝게 제거할 수 있고, 항균성능을 가질 뿐 아니라 흡착 및 탈취 기능도 발휘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절곡형의 여과포와 해당 여과포를 지지하게 되는 여과포 지지체로 이루어져 있는 차량 흡입공기 시스템의 공기흡입덕트에 설치되는 캐빈 에어필터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의 일측면에 허니컴 구조물로 구성된 항균 및 탈취 필터가 추가로 기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Cabin air filter for purifying the interior of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절곡형의 여과포와 이를 지지하는 지지체에 항균 및 탈취 기능을 발휘하는 허니컴 구조형의 필터를 추가로 장착함으로써 미립자는 물론 오염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추가로 항균 및 탈취 기능까지 보이게 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 환경을 종래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생산량의 증가와 더불어 도로환경이 열악해짐에 따라 자동차를 이용하는 운전자 및 승객은 쾌적한 실내 환경의 유지를 절실하게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도로 주변의 공기와 자동차 내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는 꽃가루, 석면 입자, 중금속, 박테리아, 도로 먼지 등의 많은 종류의 미립자 물질과 오존, 벤젠, 톨루엔 등의 각종 유해 기상 물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이들 입자들 중 0.3㎛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미립자들에 장기간 노출되면, 피부 알레르기, 호흡기 질환, 안과질환, 신장질환 등의 원인이 된다.
자동차 실내는 이러한 분위기에 가장 열악한 곳으로 주행 중에 발생되어 비산(飛散)되는 미세 입자들이 차 내에 축적되게 되면 외기(外氣)의 유입이나 차 창문 개방으로 이들 미세 입자들을 제거하기가 쉽지 않으며, 자동차 외부 환경이, 예를 들어, 비포장도로, 교통체증 지역과 같이 열악할 경우 자동차 실내의 오염 정도는 더욱 심해질 수 있고, 그로 인해 운전자 및 승객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내 공기 청화용 에어필터에 대한 개발에 지대한 관심을 갖게 되면서 최근 대기업은 물론 중소기업까지 여러 가지 복합 기능성의 필터를 생산하고 있으며, 자동차 내부의 심한 악취와 세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항균 처리된 캐빈 에어필터 등도 많이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의 대기 오염물질, 바닥에 쌓여 있는 먼지, 통행인들의 의복이나 신발, 흡연 등에 의한 외부오염원이나 석유 및 가스에 의한 오염 등에서 발생하게 되는 내부 오염원 등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거나 수분에 의해 증식할 수 있는 세균이나 곰팡이 등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종래에는 부직포를 여과지로 사용하면서 카본을 바인더를 이용해서 부직포에 부착하여 캐빈 에어필터로 사용하였는 바, 바인더를 사용할 경우 카본의 탈취효율과 부직포의 집진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 내로 유입되는 미립자 물질과 유해 기상 물질을 완벽에 가깝게 제거할 수 있고, 항균성능을 가질 뿐 아니라 흡착 및 탈취 기능도 발휘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캐빈 에어필터 11 --- 여과포
12, 12‘ ---- 상부 및 하부 지지체
13 ---- 손잡이 14 ---- 완충 재료
15 ---- 간격 유지 받침대 20 ---- 항균 및 탈취 필터
21 ---- 하니컴 구조물 22 ---- 활성탄
23 ---- 망사 24 ---- 고정 프레임
본 고안은 절곡형의 여과포와 해당 여과포를 지지하게 되는 여과포 지지체로 이루어져 있는 차량 흡입공기 시스템의 공기흡입덕트에 설치되는 캐빈 에어필터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의 한 측면에 하니컴 구조체의 항균 및 탈취 필터가 기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항균 및 탈취 필터는 하니컴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구조물, 해당 구조물 사이에 밀집되게 내장되어 있는 활성탄, 이들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으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된 망사, 및 상기 망사를 사방에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 여재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본 고안의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10)는 크게 분류하여 절곡형의 여과포(11)와 상기 절곡형의 여과포(11)를 전체적으로 지지하게 되는 여과포 상하부 지지체(12,12‘)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부호 13은 캐빈 에어필터(10)를 탈부착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고, 부호 14는 손잡이가 있는 상부 지지체(12)의 양쪽 끝부분과 하부 지지체(12‘) 전체 및 절곡형 여과포의 양측면을 감싸고 있는 스폰지와 같은 완충재료이고, 부호 15는 상부 및 하부 지지체(12,12’)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간격 유지 받침대이다.
일반적으로 캐빈 에어필터(10)가 차량 흡입 공기 시스템의 공기흡입덕트에 장착될 경우에는 도 2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어 그 반대방향으로 배출되게 되며, 본 고안에 따른 항균 및 탈취 필터(20)는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에서 여과포(11)의 일측면에 밀착되게 장착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항균 및 탈취 필터(20)는 도 1에서 확대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물결 형태, 연속된 삼각형태, 그 외에 여러 가지 형상을 갖는 하니컴형 구조물(21), 상기 구조물(21) 사이의 공간에 밀집되게 내장되어 있는 활성탄(22), 그리고, 앞뒤로 어느 방향이든 활성탄(22)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이들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으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망사(23), 및 상기 망사를 사방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2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니컴 구조물(21)과 그 사이의 공간에 내장되어 있는 활성탄(22)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는 망사(23)는 고정 프레임(24)의 안쪽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프레임(24)까지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는 1차로 자동차 내로 흡입되는 공기 중에서 꽃가루, 석면입자, 중금속, 박테리아, 도로먼지 등의 많은 종류의 미립자 물질과 오존, 벤젠, 톨루엔 등의 각종 유해 기상 물질이 다량으로 유입되는 오염 먼지를 절곡형의 여과지가 제거할 수 있고, 2차적으로 항균 성능을 갖는 부직포에 의해 박테리아 등의 균을 제거하게 되며, 3차로 하니컴의 구조를 갖는 구조물 내에서 활성탄에 의해 산성, 중성, 알칼리 가스 등을 흡착 및 탈취하게 된다. 공기가 배출되는 자동차 내의 실내 환경은 상당히 쾌적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보이게 된다.

Claims (2)

  1. 절곡형의 여과포(11)와 해당 여과포(11)를 지지하게 되는 여과포 지지체(12,12‘)로 이루어져 있는 차량 흡입공기 시스템의 공기흡입덕트에 설치되는 캐빈 에어필터(10)에 있어서, 상기 여과포(11)의 일측면에 허니컴 구조형태의 항균 및 탈취 필터(20)가 기구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정화용 캐빈 에어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균 및 탈취 필터(20)는 하니컴 구조를 갖도록 배치된 구조물(21), 해당 구조물 사이에 밀집되게 내장되어 있는 활성탄(22), 이들을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으면서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된 망사(23), 및 상기 망사를 사방에서 지지하기 위한 고정 프레임(24)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
KR20-2004-0029542U 2004-10-19 2004-10-19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 KR2003731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542U KR200373141Y1 (ko) 2004-10-19 2004-10-19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542U KR200373141Y1 (ko) 2004-10-19 2004-10-19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141Y1 true KR200373141Y1 (ko) 2005-01-15

Family

ID=4935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542U KR200373141Y1 (ko) 2004-10-19 2004-10-19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14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655B1 (ko) 2011-03-22 2011-06-29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활성탄을 사용한 공기청정 필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공기청정 필터
KR101578676B1 (ko) * 2015-03-20 2015-12-21 (주)쓰리에이씨 공기조화기의 필터
KR20170013624A (ko) 2015-07-28 2017-02-07 (주)이노필텍 탈취 효율이 향상된 공기청정기용 탈취 필터
KR20170013619A (ko) 2015-07-28 2017-02-07 (주)이노필텍 공기청정기용 탈취 필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655B1 (ko) 2011-03-22 2011-06-29 주식회사 세명하이트 활성탄을 사용한 공기청정 필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공기청정 필터
KR101578676B1 (ko) * 2015-03-20 2015-12-21 (주)쓰리에이씨 공기조화기의 필터
KR20170013624A (ko) 2015-07-28 2017-02-07 (주)이노필텍 탈취 효율이 향상된 공기청정기용 탈취 필터
KR20170013619A (ko) 2015-07-28 2017-02-07 (주)이노필텍 공기청정기용 탈취 필터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177739A (ja) 空気清浄機
CN203785103U (zh) 多功能车载空气净化器
US10780383B2 (en) Supply air arrangement for a mobile device
DE60305471D1 (de) Reinigung der luft in einer fahrgastzelle eines fahrzeugs durch adsorption und photokatalyse
CN203483998U (zh) 复合型汽车空调空气滤芯
JP2002177717A (ja) 除塵脱臭フィルター
CN107321066A (zh) 一种汽车空调用空气过滤装置
JP2006035215A (ja) フィルタ装置
KR200373141Y1 (ko) 자동차용 실내 정화용 캐빈 에어필터
KR102176182B1 (ko) 차량용 캐빈필터
KR20180022510A (ko) 여과면적이 상승된 자동차 에어컨 필터
US20040055469A1 (en) Vehicle cabin air purifier system
CN112368061A (zh) 车辆车厢过滤器组件
CN208865343U (zh) 一种高过滤效率汽车空调过滤器
KR20000066602A (ko) 활성탄소입자 함침에 의한 자동차내 유입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제조방법
CN207579524U (zh) 带有净化功能的车用空调出风口罩
JPH10113521A (ja) 自動車室内用フィルタ
KR20210067074A (ko) 공기정화용 고효율 필터장치
CN110861471A (zh) 一种消音型汽车空调过滤器
KR100287958B1 (ko) 활성탄소섬유 복합에 의한 자동차내 유입공기 정화용 필터 및 그제조방법
CN219272477U (zh) 一种新型车用香薰型空调滤芯
CN205606870U (zh) 一种空调空气过滤器
CN208635306U (zh) 具有抑菌作用的空调滤芯过滤网
CN212098357U (zh) 一种可净化有害气体的空调格
CN211677180U (zh) 一种汽车空调过滤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