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577Y1 - 문틀임시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문틀임시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577Y1
KR200372577Y1 KR20-2004-0028031U KR20040028031U KR200372577Y1 KR 200372577 Y1 KR200372577 Y1 KR 200372577Y1 KR 20040028031 U KR20040028031 U KR 20040028031U KR 200372577 Y1 KR200372577 Y1 KR 2003725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rame
frame body
fixed
fixing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0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필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패인터내셔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패인터내셔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패인터내셔널
Priority to KR20-2004-00280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5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5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5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60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mechanical means, e.g. anchoring means
    • E06B1/6069Separate spacer means acting exclusively in the plane of the opening; Shims; Wedges; Tightening of a complete frame inside a wall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56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 E06B1/58Fastening frames to the border of openings or to similar contiguous frames by filling up the joints, e.g. by ceme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oor And Window Frames Mounted To Open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문틀임시고정장치는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문틀본체에 접하며 문틀본체를 고정하는 문틀고정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고정나사가 설치된 주고정프레임과, 상기 주고정프레임내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부에는 문틀본체에 접하며 문틀본체를 고정하는 문틀고정구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눈금이 설정된 측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미숙련공도 용이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시공비용이 저렴함은 물론이고 인력조달도 용이하게 되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문틀의 설치후 문틀의 변형의 우려가 없게 되어 문틀시공의 불량율이 최소로 되며 시공기간이 월등히 단축되게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문틀임시고정장치{Apparatus fixing temporarily a doorframe}
본 고안은 문틀임시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축물의 시공시 설치되는 목창호의 수평이나 수직상태의 유지를 용이하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초보자도 문틀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설치인력을 구하기가 용이하게 되며 문틀의 설치시공기간이 월등하게 단축되어 시공비용이 저렴하게 되고 설치후 문틀보양시까지 변형이 적어 문틀의 수선이 적어 보수비용이 저렴한 문틀임시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골조공사후 내장공사중 처음으로는 문틀설치작업이 수행된다. 이러한 문틀은 주로 목재문틀이 사용되고 있이며, 이러한 종래의 문틀시공작업은 먼저 문틀을 설치할 벽체상의 공간에 문틀의 하단과 측벽에 벽돌이나 석재등의 임시지지대를 설치하여 문틀을 임시로 설치한 후에 문틀과 벽사이의 공간을 시멘트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면서 장방형의 문틀의 각 부분을 수평과 수직을 맞추어 문틀을 고정시키고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면서 시공하고, 어어서 더욱 세밀하게 작업을 하게 되며 문틀의 2개의 수직벽의 수직인 평행상태를 잡기 위해서 문틀과 벽체상의 공간내에 카드와 같은 박판상의 작업편을 다수를 삽입하거나 빼내면서 양측의 수직벽의 평행을 잡는 방법으로 문틀을 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문틀시공작업은 정교하고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므로 숙련공이 아니면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난해한 작업으로, 숙련공의 노임이 상당할 뿐만 아니라 충분한 숙련된 기술을 가진숙련공을 구하기가 어려워 작업진척이 더디게 되어 시공비용이 증가됨은 물론이고 시공기간이 지연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모르타르가 충진이 완료되어 문틀의 설치후 모르타르가 보양되기 전에 모르타르의 수분증발에 따른 목재문틀의 뒤틀림현상이 발생되거나 모르타르의 쏠림에 의한 목재수직문틀의 배부름현상이나 뒤틀림현상이 있어도 이러한 변형을 방지할 수 없게 되어 문틀과 문짝이 잘 맞지 않게 되어 시공후에도 이러한 불량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숙련공도 용이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시공비용이 저렴함은 물론이고 인력조달도 용이하게 되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문틀의 설치후 문틀의 변형의 우려가 없게 되어 문틀시공의 불량율이 최소로 되며 시공기간이 월등히 단축되게 하는 문틀임시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문틀본체에 접하며 문틀본체를 고정하는 문틀고정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고정나사가 설치된 주고정프레임과, 상기 주고정프레임내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부에는 문틀본체에 접하며 문틀본체를 고정하는 문틀고정구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눈금이 설정된 측정프레임으로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문틀임시고정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문틀임시고정장치를 이용한 문틀시공방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 및 장점들을 보다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 임시고정장치를 사용한 시공단계를 도시하는 공정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문틀임시고정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임시고정장치가 문틀본체에 설치된 시공상태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4는 도3의 문틀임시고정장치의 설치상태의 개략적인평단면도
도5는 문틀임시고정장치의 문틀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문틀본체의 파지상태의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문틀본체 11. 우레아폼고정부
20. 주고정프레임 21,24.문틀고정구
22. 고정나사 23. 측정프레임
25. 눈금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틀임시고정장치를 이용한 문틀시공방법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D)을 설치할 벽체(B)상의 문틀공간에 현장 고시먹에 의한 마감기준선을 기준으로 문틀본체(10)를 설치하는 단계(1)와, 상기 문틀본체(10)의 수직수평을 맞추고 문틀본체(10)의 외면과 벽체(B)사이의 공간에 일정간격으로 접착성이 있는 우레아폼을 수개소를 충진시켜 우레아폼고정부(11)를 형성시켜 문틀본체(10)를 벽체상의 일정위치에 접착고정시키는 단계(2)와, 상기 우레아폼고정부(11)에 의하여 고정된 문틀본체(10)의 내경에 문틀본체(10)의 내경치수로 조정된 길이를 갖는 문틀임시고정장치(A)를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문틀본체(10)상에 고정시키는 단계(3)와, 소정시간 경과후 문틀본체(10)의 보양완료후 문틀임시고정장치를 문틀본체에서 해제시키는 단계(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의 문틀본체상에 문틀임시고정장치를 해제시키는 단계(4)이후에 문틀본체와 벽체사이에 모르타르를 충진시키는 단계(5)가 추가되어 문틀이 완전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우레아폼은 접착성이 있어 가설치된 문틀본체(10)와 벽체(B)사이에서 접착경화되면서 문틀본체(10)를 움직이지 못하게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므로서, 종래의 단지 충진기능만을 갖는 우레아폼에서는 찾을 수 없는 문틀본체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는 진보된 기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우레아폼고정부(11)가 문틀본체(10)의 좌우측에 각기 3개소씩 6개소에 충진된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접착고정성이 있는 우레아폼고정부(11)에 의하여 문틀본체(10)가 벽면(B)상에 고정되므로 문틀본체(10)의 고정작업이 대단히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문틀임시고정장치(A)는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문틀본체(10)에 접하며 문틀본체(10)를 고정하는 문틀고정구(2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고정나사(22)가 설치된 주고정프레임(20)과, 상기 주고정프레임(20)내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부에는 문틀본체(10)에 접하며 문틀본체(10)를 고정하는 문틀고정구(24)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눈금(25)이 설정된 측정프레임(23)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문틀임시고정장치(A)의 양단부에 설치된 문틀고정구(21)(24)는 문틀본체(10)를 일정위치에 고정시키도록 문틀본체(10)를 파지하는 조절부(210)(2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절부(210)(240)는 조정나사(211)(241)와 물림판(212)(242)이 추가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문틀본체의 양 측면을 파지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문틀본체(10)의 전후면을 파지하는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문틀임시고정장치를이용한 문틀시공방법을 이하에 상세히 기술한다.
문틀(D)을 설치할 벽체(B)상의 문틀공간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 우선 현장 고시먹에 의한 마감기준선을 기준으로 문틀본체(10)를 설치하게 되며, 마감기준선을 설치하고 문틀본체(10)를 배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틀본체(10)가 마감기준선상에 배치된 후에는 상기 문틀본체(10)의 수직수평을 맞추고 문틀본체(10)의 외면과 벽체(B)사이의 공간에 일정간격으로 접착성이 있는 우레아폼을 수개소를충진시켜 우레아폼고정부(11)를 형성시켜 문틀본체(10)를 벽체상의 일정위치에 접착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틀본체(10)가 상기 우레아폼고정부(11)에 의하여 벽체(B)상에 임시로 고정된 상태에서 문틀임시고정장치(A)의 주고정프레임(20)과 측정프레임(23)의 길이를 측정프레임(23)상에 형성된 눈금(25)에 의하여 문틀본체(10)의 내측치수에 맞게 길이를 조정하고 길이조정이 종료되면 고정나사(22)로 길이를 고정시키고 문틀고정구(21)(24)의 조정나사(211)(241)를 조정하여 문틀의 크기에 맞게 조정하고 문틀본체(10)를 파지함으로서 문틀본체(10)에 문틀임시고정장치(A)를 고정시킨다. 이와 같은 문틀임시고정장치(A)의 고정은,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본체(10)의 중간, 상단 및 하단상의 3부분에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고정하므로서 문틀본체(10)가 문틀임시고정장치(A)에 의하여 지지고정되게 되므로 문틀본체(10)사이의 내경치수가 변경되거나 문틀이 뒤틀리게 되거나 휘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틀본체(10)를 임시로 고정한 상태에서 문틀임시고정장치(A)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우레아폼고정부(11)가 완전하게 경화되어 문틀본체(10)의 위치가 확고하게 고정된 후, 문틀임시고정장치(A)를 문틀본체(10)에서 해제시키고 해제된 문틀임시고정장치(A)는 다른 문틀의 시공에 사용되게 되면 문틀의 임시시공방법은 종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문틀본체(10)가 완전하게 고정된 상태에서 문틀본체(10)와 벽체(B)사이의 공간에 모르타르를 충진시키고 모르타르의 양생이 종료되면 문틀의 시공설치가 완전하게 종료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문틀임시고정장치는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문틀본체에 접하며 문틀본체를 고정하는 문틀고정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고정나사가 설치된 주고정프레임과, 상기 주고정프레임내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부에는 문틀본체에 접하며 문틀본체를 고정하는 문틀고정구가 형성되고 외측에는 눈금이 설정된 측정프레임으로 구성되어, 문틀임시고정장치를 사용하여 미숙련공도 용이하게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시공비용이 저렴함은 물론이고 인력조달도 용이하게 되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게 되고 문틀의 설치후 보양기간까지도 문틀의 변형의 우려가 없게 되어 문틀시공의 불량율이 최소로 되며 시공기간이 월등히 단축되게 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정길이로 형성되고 일단부에는 문틀에 접하여 문틀을 고정시키는 문틀고정구가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고정나사가 설치된 주고정프레임과, 상기 주고정프레임내에 인출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부에는 문틀에 접하여 문틀을 고정시키는 문틀고정구가 형성된 측정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임시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틀고정구는 문틀의 치수의 변동에 따라 파지거리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파지거리가 변경가능한 조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임시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프레임의 외측면상에는 눈금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틀임시고정장치
KR20-2004-0028031U 2004-10-04 2004-10-04 문틀임시고정장치 KR2003725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31U KR200372577Y1 (ko) 2004-10-04 2004-10-04 문틀임시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031U KR200372577Y1 (ko) 2004-10-04 2004-10-04 문틀임시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7439A Division KR100648479B1 (ko) 2004-05-25 2004-05-25 문틀임시고정장치 및 문틀임시고정장치를 이용한문틀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577Y1 true KR200372577Y1 (ko) 2005-01-14

Family

ID=49444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031U KR200372577Y1 (ko) 2004-10-04 2004-10-04 문틀임시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5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068A (ko) * 2016-04-22 2017-11-01 마그나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액티브 그릴 셔터 다중 부품 모듈형 프레임
KR102439534B1 (ko) * 2021-08-11 2022-09-01 김민석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1068A (ko) * 2016-04-22 2017-11-01 마그나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액티브 그릴 셔터 다중 부품 모듈형 프레임
KR102184666B1 (ko) * 2016-04-22 2020-11-30 마그나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액티브 그릴 셔터 다중 부품 모듈형 프레임
KR102439534B1 (ko) * 2021-08-11 2022-09-01 김민석 창호 시공용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69808B2 (ja) 生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及び該方法に使用する型枠装置
CN110259068B (zh) 防止外墙面砖空鼓脱落的施工工艺
KR200372577Y1 (ko) 문틀임시고정장치
KR100648479B1 (ko) 문틀임시고정장치 및 문틀임시고정장치를 이용한문틀시공방법
CN113653223B (zh) Alc轻质隔墙板的安装方法
WO2005090706A1 (ja) 外壁取付具および外壁材の施工方法
JPH0229152Y2 (ko)
RU114077U1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крепление для маячковых профилей
CN212836106U (zh) 一种快速安装的装修墙
KR101059862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CN212836105U (zh) 一种轻质装修墙
RU106277U1 (ru) Регулируемое крепление для маячкового профиля
KR20110048632A (ko) 건축용 마감재와 마감재 지지대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0257945Y1 (ko) 창호용 프레임 고정구조
KR102394778B1 (ko) 창호 시공방법
KR102116086B1 (ko) 타일의 건식 시공방법 및 설치구조
KR100414677B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KR101242582B1 (ko) 룸레일
JPH08302956A (ja) 重量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方法
JPH0960300A (ja) 配筋用治具
KR100462148B1 (ko) 천장틀
KR100468523B1 (ko) 유리블록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유리블록 구조
JPH0316986Y2 (ko)
KR200389431Y1 (ko) 바닥 콘크리트층의 수평레벨링장치
KR100715289B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