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576Y1 - 안락의자 - Google Patents

안락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576Y1
KR200372576Y1 KR20-2004-0027998U KR20040027998U KR200372576Y1 KR 200372576 Y1 KR200372576 Y1 KR 200372576Y1 KR 20040027998 U KR20040027998 U KR 20040027998U KR 200372576 Y1 KR200372576 Y1 KR 200372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armchair
hollow shaft
armrests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9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명석
Original Assignee
다우닝 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우닝 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우닝 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79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57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for changing a straight chair into an easy chair, e.g. by inverting or tilting seat and back-rest in the base frame or by overturning the whole ch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A47C7/006Chair or stool bases with cas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팔걸이가 있고 앉는 자리가 두툼하여 푹신푹신한 안락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식생활에 비하여 평좌식생활에 익숙한 우리문화를 고려하여 시트를 앞쪽으로 빼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시트 위에 다리를 쭉 펴거나 책상다리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한 한편 등받이의 각도를 뒤로 충분히 기울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등받이에 편안하게 기대어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안락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안락의자{Armchair}
본 고안의 안락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 위에서 방바닥에 앉은 것과 같이 휴식을 취할 수 있고, 등받이에 보다 편안하게 기댈 수 있도록 한 안락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락의자는 푹신한 시트가 있고, 그 뒤쪽에 등받이가 있어 시트에 앉았을 때에 등을 기댈 수 있으며, 양쪽 가에 팔걸이가 있어 팔을 얹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중에서 정면이 넓고 2~3명이 앉을 수 있는 대형의 것은 소파라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락의자는 예로부터 주로 의자를 사용한 의자식생활을 해온 서양과는 달리 온돌이 널리 보급되어 방바닥에 직접 앉는 평좌식생활을 해온 우리문화에 익숙하지 않아 효율적으로 사용되어 오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즉 서양문화와 우리문화는 발을 바닥에 놓은 상태로 시트에 앉는 것에 비하여 다리를 쭉 펴고 방바닥에 앉거나 한쪽 다리는 오그리고 다른 쪽 다리는 그 위에 포개어 놓고 방바닥에 앉는 자세(책상다리)를 더욱 편하게 여기는 차이점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방바닥에 앉은 상태로 등만 안락의자에 기대어 안락의자를 등받이로만 사용하거나 시트 위에 책상다리를 하고 앉기가 일쑤였다. 물론 시트 위에 책상다리를 하고 앉는 경우에는 시트의 전후 폭이 좁아 자세의 불편함을 감수하여야 했다.
한편 종래의 안락의자는 등받이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자세를 요구하는 사용자의 기대심리를 만족시켜 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를 빼거나 넣을 수 있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등받이의 각도를 뒤로 기울일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시트 위에 다리를 쭉 펴거나 책상다리 자세로 앉을 수 있고, 등받이에 편안하게 기댈 수 있는 안락의자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락의자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가이드가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가이드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힌지수단이 도시된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3의 C 부분 확대도
도 8은 도 7의 D-D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안락의자의 작동상태가 도시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E-E선 단면도,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안락의자의 기술적 사상이 소파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팔걸이 20 : 시트
30 : 등받이 블록 40 : 힌지수단
41 : 힌지축 42 : 슬리브
43 : 각도 제한수단 43a : 돌기
43b : 슬롯 43c : 절개부
50 : 보강부재 60 : 가이드
61 : 이동부재 62 : 안내레일
63 : 스토퍼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마주하도록 세워진 한 쌍의팔걸이와, 상기 팔걸이 사이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바닥면에 캐스터가 장착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팔걸이 사이에 배치된 등받이 블록과, 상기 등받이 블록을 회전시켜 저면을 등받이면으로 하되 그 각도가 후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 블록에 상체를 뒤로 기울여 기댈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 블록의 양측을 상기 팔걸이에 각각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락의자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락의자는 한 쌍의 팔걸이(10)와, 상기 팔걸이(10)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시트(20)와, 상기 시트(20)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팔걸이(10) 사이에 배치되고 대략 납작한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된 등받이 블록(30)과, 상기 등받이 블록(30)을 팔걸이(10)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힌지수단(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한 쌍의 팔걸이(10)는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도록 세워져 하단에는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보강부재(50)가 연결되고, 상기 시트(20)는 바닥면의 전방 측에 활주를 위한 캐스터(21)가 장착되어 바닥면의 후방 측이 상기 보강부재(50)의 상측에 포개어지게 놓인 상태로 설치된다.
또 상기 보강부재(50)와 시트(20) 사이에는 시트(2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60)가 하나 이상 설치된다.
도 4는 상기 가이드(60)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가이드(60)의 장착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60)는 시트(20)의 바닥면에 장착되어 시트(20)와 함께 전후 이동하는 이동부재(61)와, 상기 보강부재(50) 상측면의 이동부재(61)와 대응하는 부위에 전후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이동부재(61)의 좌우 이탈 및 건들거림을 방지하는 안내레일(62)과, 상기 안내레일(62)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이동부재(61)의 전후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스토퍼(63)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수단(40)은 등받이 블록(30)을 회전시켜 등받이 블록(30)의 저면(31)을 등받이면으로 하되 등받이면의 각도가 후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등받이 블록(30)에 상체를 뒤로 기울인 자세로 기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등받이 블록(30)의 양측을 각각 팔걸이(10)에 상하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러한 힌지수단(40)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수단(40)은 등받이(3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등받이(30)와 함께 회전하는 일정 길이의 중공축(41)과, 상기 팔걸이(10)의 중공축(41)과 대응하는 부위에 매몰되도록 설치되어 내부로 중공축(41)이 끼워지는 슬리브(42)와, 상기 중공축(41)과 슬리브(42)에 형성되어 중공축(41)이 회전되는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수단(43)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각도 제한수단(43)은 슬리브(42)의 내주면에서 중심을 향하여돌출된 돌기(43a)와, 상기 중공축(41)에 외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일정 길이의 슬롯(43b)과, 상기 슬롯(43b)에 돌기(43a)를 끼울 수 있도록 슬롯(43b)과 중공축(41)의 선단을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으로 연결하는 절개부(43c)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60)에서 전방의 스토퍼(63)는 등받이 블록(30)을 회전시켜 저면(31)을 등받이면으로 하였을 때 시트(20)의 뒤쪽 끝이 드러나지 않게 이동부재(61)의 전진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장착위치가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은 상태에서 시트(20)를 앞쪽으로 잡아당긴다.
그러면 시트(20)와 함께 가이드(60)의 이동부재(61)는 안내레일(62)의 안내를 따라 일직선으로 전진 이동되는 바, 이동부재(61)가 안내레일(62)의 전방 측 스토퍼(63)에 걸림 되면 더 이상의 전진 이동이 방지된다.
다음 등받이 블록(30)을 그 저면(31)이 전방을 향하도록 회전시켜 저면(31)이 등받이면을 이루도록 한다.
그러면 등받이 블록(30)과 함께 힌지수단(40)의 힌지축(41)은 회전되는 바, 각도 제한수단(42)의 슬롯(43b) 끝에 돌기(43a)가 걸림 되면 더 이상의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20)를 전진 이동시키고 등받이 블록(30)을 회전시킨 상태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을 작동시키면, 도 1 및 도 2의 상태에 비하여 시트(20)는 그 전후의 폭이 크게 되고, 등받이 블록(30)은 그 등받이면의 뒤쪽으로 기울어진각도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시트(20) 위에서 다리를 쭉 펴거나 책상다리 자세로 등받이 블록(30)에 상체를 뒤로 기울여 기대고 앉으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 11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소파에 적용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로서, 소파의 각 시트와 등받이를 본 고안의 안락의자와 같이 작동시킬 수 있음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고안은 시트가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앞쪽으로 빼내면 전후 폭이 확보되어 그 위에 방바닥에 앉은 것과 같이 다리를 쭉 펴거나 책상다리 자세로 앉을 수 있고, 등받이 블록이 힌지수단에 의하여 팔걸이에 상하로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시켜 저면을 등받이면으로 하되 등받이면의 각도가 후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하면 상체를 뒤로 기울여 기댄 자세로 시트에 앉을 수 있어 편안하고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마주하도록 세워진 한 쌍의 팔걸이와; 상기 팔걸이 사이에 전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바닥면에 캐스터가 장착된 시트와; 상기 시트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팔걸이 사이에 배치된 등받이 블록과; 상기 등받이 블록을 회전시켜 저면을 등받이면으로 하되 그 각도가 후방으로 일정 각도 기울어지도록 하여 사용자가 상기 등받이 블록에 상체를 뒤로 기울여 기댈 수 있도록 상기 등받이 블록의 양측을 상기 팔걸이에 각각 상하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수단을 포함하는 안락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팔걸이는 하단에 보강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시트는 상기 캐스터가 바닥면의 전방 측에 장착되어 후방 측이 상기 보강부재의 상측에 포개어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보강부재와 시트 사이에는 상기 시트의 전후이동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시트에 장착되어 전후 이동하는 이동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이동부재와 대응하는 부위에 전후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이동부재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는 안내레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안내레일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등받이 블록을 회전시켜 저면을 등받이면으로 하였을 때 상기 시트의 뒤쪽 끝이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이동부재의 전진 이동을 제한하는 한편 후진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등받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중공축과; 상기 팔걸이의 중공축과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중공축의 외주에 끼워진 슬리브와; 상기 중공축과 슬리브에 형성되어 상기 중공축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각도 제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제한수단은 상기 슬리브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와; 상기 중공축에 외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일정 길이의 슬롯과; 상기 슬롯에 상기 돌기를 끼울 수 있도록 상기 슬롯과 중공축의 선단을 연결하는 절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락의자.
KR20-2004-0027998U 2004-10-04 2004-10-04 안락의자 KR200372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98U KR200372576Y1 (ko) 2004-10-04 2004-10-04 안락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98U KR200372576Y1 (ko) 2004-10-04 2004-10-04 안락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576Y1 true KR200372576Y1 (ko) 2005-01-14

Family

ID=49444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998U KR200372576Y1 (ko) 2004-10-04 2004-10-04 안락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5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30B1 (ko) 2007-02-27 2008-07-17 이병찬 침대기능을 갖는 쇼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930B1 (ko) 2007-02-27 2008-07-17 이병찬 침대기능을 갖는 쇼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0230B2 (en) Chair having an inclinable back rest
KR101715092B1 (ko) 좌판 전방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판 슬라이딩 접이식 의자
KR101750887B1 (ko) 자세 변경에 따라 변형 가능한 허리 받침용 의자
JP6770585B2 (ja) 椅子
EP0277145A1 (en) ADJUSTABLE SEAT ARRANGEMENT.
US11337525B1 (en) Reclining seatback support device
KR20100106677A (ko)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접이식 의자
US20090146468A1 (en) Reclining Lounge Chair
KR101538342B1 (ko) 의자
JP4697892B2 (ja) 椅子
KR200372576Y1 (ko) 안락의자
KR101603998B1 (ko) 요추의 지지위치가 가변되는 의자
JP2010162337A (ja) 椅子
ITTO20100992A1 (it) Poltrona trasformabile in chaise longue
AU2006275207B2 (en) A chair or a bed having a seat, a backrest and an armrest as well as use thereof
KR20190021966A (ko) 리클라이너용 컨트롤 어댑터 및 이를 구비하는 리클라이너
JPH08503644A (ja) 椅子、特に事務椅子
US20110095588A1 (en) Two-Stag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Slope of Seat Back
KR102032781B1 (ko) 리클라이닝 체어
US5810431A (en) Low profile recliner and reclining mechanism
US20100102606A1 (en) Chair Structure
KR200262004Y1 (ko) 각도 조절 기능을 갖는 팔걸이가 구비된 좌식 의자
JP7312010B2 (ja) 折り畳み式椅子
JP2009045342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JPH052212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