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420Y1 - 힌지축 조립체 - Google Patents

힌지축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420Y1
KR200372420Y1 KR20-2004-0028594U KR20040028594U KR200372420Y1 KR 200372420 Y1 KR200372420 Y1 KR 200372420Y1 KR 20040028594 U KR20040028594 U KR 20040028594U KR 200372420 Y1 KR200372420 Y1 KR 200372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fitting hole
hinge
roller
hing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5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태
Original Assignee
박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태 filed Critical 박형태
Priority to KR20-2004-00285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4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4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in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38Cams; Ramp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 캠과 하부 캠의 이중 구조의 캠과 이에 조립 결합되는 ㄷ자 상판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부품들을 조립하여 힌지 캠축 구조체를 조립 제조가능하게 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절감되며, 상부 캠의 크기는 크게 하고 하부 캠의 크기는 작게 함으로써 하부 캠의 회전 반경은 작게 하고 상부 캠의 회전반경은 크게 함으로써 도어가 닫히는 동안 상부 캠의 작용에 의하여 도어가 천천히 닫히도록 회전각속도를 줄여주는 작용을 하며 하측에는 작은 사이즈의 캠을 사용함으로써 많은 스페이스를 활용가능하게 한 힌지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힌지축 조립체{hinge shaft structure}
플로어 힌지는 통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거운 하중의 도어를 지지하며 개폐를 조절하도록 바닥에 매입 시공되어 사용된다.
플로어 힌지는 대별하여 바닥에 매입되며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내장하는 케이싱과, 도어를 실질적으로 지지하며 회전 개폐를 조절하는 플로어 힌지 조립체와, 케이싱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는 커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플로어 힌지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어 힌지 조립체의 몸체(1)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일측 선단에는 도어를 지지하며 회전을 제어하는 힌지 축(2)이 마련된다.
도 2는 힌지 캠축 구조체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힌지 캠축 구조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측의 회전력을 수납하고 도어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힘을 도어측에 전달하기 위한 선단부(20a)가 마련된 힌지 축 샤프트(20)과 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힌지 축에 축결합되어 있는 캠(30)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힌지 축(20)은 동시에 캠 축이 된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에 의하여 힌지 축이 회전하면 캠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는 구조이다.
도 3a 및 도 3b는 힌지 캠축 구조체가 힌지 조립체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의 개폐에 따라 힌지 축(20)이 회전하게 되면 힌지 축에 일체형으로 축결합된 캠(30)이 회전하게 되어 도어의 개폐가 조절되게 되는 것이다.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 캠축 구조체가 하나의 부품으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캠이 단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상부 캠과 하부 캠의 이중 구조의 캠과 이에 조립 결합되는 ㄷ자 상판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부품들을 조립하여 힌지 캠축 구조체를 조립 제조가능하게 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절감되는 힌지 캠축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상부 캠의 크기는 크게 하고 하부 캠의 크기는 작게 함으로써 하부 캠의 회전 반경은 작게 하고 상부 캠의 회전반경은 크게 함으로써 도어가 닫히는 동안 상부 캠의 작용에 의하여 도어가 천천히 닫히도록 회전각속도를 줄여주는 작용을 하며 하측에는 작은 사이즈의 캠을 사용함으로써 많은 스페이스를 활용가능하게 한다.
도 1은 플로어 힌지 조립체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힌지 캠축 구조체의 도면이다.
도 3a, 도 3b는 힌지 캠축 구조체의 역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힌지캠축의 사시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분해 결합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0 : 힌지 축 22 :나사공 24 : 힌지 캡 26 : 개구
28 : 볼트 40 : 힌지 축 42 : 상부 캠, 44 : 하부 캠
500 : 힌지 축 506 : ㅁ자 하판 508 : ㄷ자 상판
514 : 지지부 520 : 제 1 로울러 522 : 제 2 로울러
524 : 제 3 로울러
본 고안은 도어의 하측에 힌지 축에 의하여 결합되어 도어가 열리면 상기 힌지 축이 함께 회전하고 상기 힌지 축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힌지 축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도어를 닫히게 하는 플로어힌지의 힌지축 조립체에 있어서, 상부 캠과 하부 캠이 힌지 축에 결합되되,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부 캠은 상기 상부 캠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ㅁ자 하판의 일측에는 제 1 로울러와 제 2 로울러를 끼우기 위한 제 1 끼움공 및 제 2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ㅁ자 하판의 타 일측에는 제 3 끼움공이 형성되고, ㄷ자 상판의 일측으로 상기 제 1 끼움공 및 제 2 끼움공에 대응하는 제 4 끼움공 및 제 5 끼움공이 형성되어, 상기 ㅁ자 하판과 상기 ㄷ자 상판을 각각 지지부에 결합하되, 상기 ㅁ자 하판 상에 하부 캠이 놓이고 하부 캠과 상부 캠의 사이에 ㄷ자 상판이 끼워지고 제 1 로울러가 제 1 끼움공 및 제 4 끼움공에 끼워지고 제 2 로울러가 제 2 끼움공 및 제 5 끼움공에 끼워지고 로울러 끼움봉의 일측이 상기 제 3 끼움공에 끼워지고 제 3 로울러는 상기 로울러 끼움봉에 끼워 결합되는 플로어 힌지 힌지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힌지캠축을 다양한 각도에서 도시한 것이다. 힌지축(40)에는 2개의 캠이 결합되어 있다. 상부 캠(42)은 사이즈가 크고 하부 캠(44)은 사이즈가 상부 캠에 비해서 작게 형성된다. 상부 캠과 하부 캠은 힌지 캠축의 축방향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힌지 축에 결합되어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힌지축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힌지캠축이 하판과 상판에 결합되어 있고 하판 및 상판은 각각 지지부에 결합되어 있다. 당업계에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는 압축 스프링이나 쇽업쇼바를 압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힌지축(500)에 결합된 하부 캠(504)는 ㅁ자 하판(506)상에 놓여진다. 하부 캠의 사이즈는 ㅁ자 하판(506)에 형성된 개구부에 비하여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ㅁ자 하판 아래로 캠이 이탈될 염려는 없게 형성된다. ㄷ자 상판(508)은 상부 캠(502)와 하부 캠(504) 사이에 끼워지며 ㅁ자 하판과 ㄷ자 상판은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트(510, 512)에 의하여 지지부에 결합된다. 힌지 축이 회전함에 따라 캠의 작용에 의하여 힌지캠축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직선운동을 수행함으로 당업계에 주지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를 위해서 로울러가 하판 및 상판에 결합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로울러(520), 제 2 로울러(522) 및 제 3 로울러(524)가 결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자 하판의 일측에는 제 1 로울러(520)와 제 2 로울러(522)를 끼우기 위한 제 1 끼움공(530) 및 제 2 끼움공(532)이 양측으로 형성되고, 타 일측에는 로울러 끼움봉을 끼우기 위한 제 3 끼움공(534)이 형성된다. ㅁ자 하판의 제 1 끼움공 및 제 2 끼움공에 대응되는 위치의 ㄷ자 상판에는 제 4 끼움공(540) 및 제 5 끼움공(542)이 형성된다. 제 1 로울러(520)의 일단은 제 1 끼움공(530)에 끼워지고 타 일단은 제 4 끼움공(540)에 끼워지며 제 2 로울러(522)의 일단은 제 2 끼움공(532)에 끼워지고 타 일단은 제 5 끼움공(542)에 끼워진다. 이를 위해 제 1 로울러 및 제 2 로울러의 양단은 중앙부위에 비하여 가늘게 형성된다. 로울러 끼움봉(526)의 일단은 제 3 끼움공(534)에 끼워지고 타 일단은 지지부에 형성된 제 3 로울러 판에 형성된 끼움공(538)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제 3 로울러(524)가 끼워진다.
도 7에는 본 고안의 힌지축 조립체의 평면개략도 및 정면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 캠은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회전 반경이 작으며 따라서 스페이스의 활용도를 개선시켜 주어 전체적인 플로어 힌지의 사이즈를 줄여주는데 기여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힌지축 조립체는 각각의 부품을 단순 조립에 의하여 제조가능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단가를 절감하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부 캠과 하부 캠의 이중 구조의 캠과 이에 조립 결합되는 ㄷ자 상판을 사용하여 간단하게 부품들을 조립하여 힌지 캠축 구조체를 조립 제조가능하게 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단가가 절감되며, 상부 캠의 크기는 크게 하고 하부 캠의 크기는 작게 함으로써 하부 캠의 회전 반경은 작게 하고 상부 캠의 회전반경은 크게 함으로써 도어가 닫히는 동안 상부 캠의 작용에 의하여 도어가 천천히 닫히도록 회전각속도를 줄여주는 작용을 하며 하측에는 작은 사이즈의 캠을 사용함으로써 많은 스페이스를 활용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1)

  1. 도어의 하측에 힌지 축에 의하여 결합되어 도어가 열리면 상기 힌지 축이 함께 회전하고 상기 힌지 축에 작용하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힌지 축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상기 도어를 닫히게 하는 플로어힌지의 힌지축 조립체에 있어서,
    상부 캠과 하부 캠이 힌지 축에 결합되되, 일정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부 캠은 상기 상부 캠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고,
    ㅁ자 하판의 일측에는 제 1 로울러와 제 2 로울러를 끼우기 위한 제 1 끼움공 및 제 2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ㅁ자 하판의 타 일측에는 제 3 끼움공이 형성되고,
    ㄷ자 상판의 일측으로 상기 제 1 끼움공 및 제 2 끼움공에 대응하는 제 4 끼움공 및 제 5 끼움공이 형성되어,
    상기 ㅁ자 하판과 상기 ㄷ자 상판을 각각 지지부재에 결합하되, 상기 ㅁ자 하판 상에 하부 캠이 놓이고 하부 캠과 상부 캠의 사이에 ㄷ자 상판이 끼워지고 제 1 로울러가 제 1 끼움공 및 제 4 끼움공에 끼워지고 제 2 로울러가 제 2 끼움공 및 제 5 끼움공에 끼워지고 로울러 끼움봉의 일측이 상기 제 3 끼움공에 끼워지고 제 3 로울러는 상기 로울러 끼움봉에 끼워 결합되는
    플로어 힌지 힌지축 조립체.
KR20-2004-0028594U 2004-10-08 2004-10-08 힌지축 조립체 KR200372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94U KR200372420Y1 (ko) 2004-10-08 2004-10-08 힌지축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594U KR200372420Y1 (ko) 2004-10-08 2004-10-08 힌지축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420Y1 true KR200372420Y1 (ko) 2005-01-15

Family

ID=4944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594U KR200372420Y1 (ko) 2004-10-08 2004-10-08 힌지축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4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406A (ko) * 2017-09-05 2019-03-13 박형태 플로어 힌지의 피스톤 변형방지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406A (ko) * 2017-09-05 2019-03-13 박형태 플로어 힌지의 피스톤 변형방지 구조
KR102040485B1 (ko) 2017-09-05 2019-11-08 박형태 플로어 힌지의 피스톤 변형방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1260B2 (en) Rocker arm
US7610882B2 (en) Default device of actuator for variable lift valve operating mechanism
KR20040014235A (ko) 힌지
KR20040110435A (ko) 저장고용 힌지장치 및 이를 갖춘 저장고
KR101539347B1 (ko) 캠을 이용한 도어용 경첩
US20110041288A1 (en) Adjustable hinge
CA2779392A1 (en) Checker-equipped door hinge device for use in vehicle
US20080083088A1 (en) Door hinge structure
KR200372420Y1 (ko) 힌지축 조립체
GB2462633B (en) Door closer
KR100406679B1 (ko) 자동 완충경첩
EP1898043B1 (en) Crank joint
FI125792B (fi) Ovenavausmekanismi
KR200416924Y1 (ko) 댐핑 구조를 구비한 도어힌지 완충장치
JPH08184254A (ja) 自動復帰型ヒンジ
KR100596987B1 (ko) 힌지장치
CN200955312Y (zh) 玻璃门铰链结构
KR200275106Y1 (ko) 힌지장치
JPH10331516A (ja) ドア用ヒンジ装置
KR200336390Y1 (ko) 여닫이 도어용 고정금구
JPS6126967Y2 (ko)
KR970070402A (ko) 여닫이문용 힌지장치
JP2009019478A (ja) キャビネット用ステー及びそれを用いたキャビネット
KR20020057314A (ko) 도어용 힌지
JPS5836775Y2 (ja) ヒン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