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185Y1 -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185Y1
KR200372185Y1 KR20-2004-0025063U KR20040025063U KR200372185Y1 KR 200372185 Y1 KR200372185 Y1 KR 200372185Y1 KR 20040025063 U KR20040025063 U KR 20040025063U KR 200372185 Y1 KR200372185 Y1 KR 2003721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fermentation vessel
heat
vessel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리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리온
Priority to KR20-2004-0025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1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1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1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4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the materials being non-metallic

Abstract

본 고안은 열기의 공급을 고르고,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발효용기가 구비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는, 내열도자기솥(200)의 내측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내측에 안착되며, 저면에는 열기의 고른 공급을 위한 열기공급부(520)가 일체로 형성되는 발효용기(500)와; 상기 열기공급부(520)에 의해서 관통되면서 상기 발효용기(500)의 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장착되며, 삶은 콩이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배수구(620)가 다수개 형성된 받침판(600)과;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뚜껑(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열기공급부(520)는 상단부가 상기 뚜껑이 설치된 높이보다 낮도록 돌출 형성된 통상으로 저면이 개구되고 상면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에는 다수개의 열기순환구(5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열기의 고른 공급으로 청국장 발효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 A making receptacle of fermented soybeens for multipurpose cooker }
본 고안은 청국장 제조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기의 공급을 고르고, 원활하게 하는 발효용기가 구비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용도 조리기구는 슬로우쿠커라고도 불리우며, 비교적 저온으로 여러시간 동안 가열하여 영양소의 파괴없이 조리가 가능하여 음식의 맛과 향을 최대한 살려주는 조리기구로서 각종 찜이나 탕, 죽, 수프 등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러한 장시간의 저온가열 특성을 이용하여 가정에서도 비교적 쉽게 요구르트 및 청국장을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다용도 조리기구는 이러한 다양한 요리를 수행가능하게 함으로써 각 가정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근래에는 건강에 관심이 고조 되면서 청국장과 요구르트 제조기능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청국장은 수분에 불려 삶은 대두(大豆)를 따뜻한 곳에서 발효시켜 만든다. 바실루스(Bacillus)라는 막대기 형태의 세균이 발효의 주역으로 균주가 증식하면서 균체로부터 단백질 분해효소가 만들어진다. 대두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아미노산으로 만들기 때문에 그냥 삶은 콩에 비해 청국장의 소화흡수율이 훨씬 높아진다.
그리고, 대두가 분해되면서 그것을 먹이로 미생수분이 증식하고 각종 항암수분질 항상화수분질 면역증강수분질과 같은 생리활성수분질이 만들어진다. 청국장을 먹는다는 것은 결국 수백억마리의 청국장 발효균주를 먹는다는 것과 같은 의미가 된다. 최근에는 냄새없이 청국장을 제조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기구들이 개발되어 청국장 다이어트 및 웰빙 특수를 누리고 있다.
상기의 청국장을 제조하는 다용도 조리기구들은 청국장이 발효 및 숙성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별도의 청국장 제조용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조 용기들은 특히 열기의 고른 공급과 청국장 제조시 발생하는 수분의 처리에 중점을 두어 고안되어 진다.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 319975호에 따르면, 청국장을 제조하기 위한 전용 제조용기는 콩이 수용되어 발효가 일어나는 제조용기의 바닥과 일정높이 만큼 이격되어 받침대가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에는 다수의 수분을 배출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의 중앙에는 다수개의 공기순환공이 형성된 컵기둥이 형성되어 제조용기에 수용된 콩의 상부까지 열기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조용기에서 청국장이 제조될때 발생하는 수분은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흘러서 상기 받침대를 통과하여 집수되며, 이로 인해서 받침대 위의 콩들은 수분에 침수되거나 수분에 의해 발효를 위한 곰팡이들이 씻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분 집수방법은 한국 실용신안공보 제 309540호에 이미 공지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콩이 수용되는 제조용기 내부에서의 공기의 순환을 위해서 상기 컵기둥이 설치되지만 상기 컵기둥과 인접한 곳에만 열기의 공급이 이루어지며, 제조용기의 상부에는 하부에 비해서 비교적 적은 열기가 공급된다.
또한, 제조용기에 열을 가해주는 열원이 대체적으로 제조용기의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제조용기 내부의 위치에 따른 온도 편차가 커지게 된다. 즉 열원과 접하는 상기 제조용기의 하측과, 상기 제조용기 내측의 컵기둥이 위치한 부분은 온도가 높지만 상기 제조용기의 상측과 상기 컵기둥에서 떨어진 부분에는 열기의 공급이 비교적 원활하지 못해서 온도가 낮게 된다.
이러한 온도의 편차는 제조용기 내부에 삶은 콩이 수용되어 발효/숙성되는시간이 달라지게 되며, 이로인해 완성되는 청국장의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청국장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제조용기의 내부에 수용되는 삶은 콩은 그 특성상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게 된다. 따라서 청국장의 발효/숙성중에 다량의 수분이 배출되며, 이러한 수분으로부터 발효/숙성중인 콩을 보호하기 위해서 받침대를 제조용기로부터 소정거리만큼 이격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조용기의 내부공간 중에서 받침대에 의해서 이격되는 거리만큼의 공간은 청국장제조 공간에서 제외되며, 이로 인해서 상기 제조용기 내에 수용할 수 있는 콩의 양이 줄어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삶은 콩의 상태와 양에 따라서 수분의 함량이 다양하여, 비교적 수분이 많이 함유된 상태의 삶은 콩을 상기 제조용기에 수용가능한 만큼 채우고 발효 숙성시키게 될 경우 발생하는 수분의 양이 많아지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수분이 상기 받침대를 넘어서 상기 제조용기 하측에 수용된 발효/숙성중인 삶은 콩을 침수시키기게 되면, 삶은 콩 표면의 발효/숙성을 위한 곰팡이들을 씻어내게 되어 발효/숙성을 저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많은 양의 청국장을 제조하기 위해서 상기 제조용기 내부에 다량의 삶은 콩을 채우게 될 경우에는 상기한 열기의 편중현상과 제조용기 하측의 삶은 콩 침수현상이 동시에 일어나게 되어 청국장의 제조성능이 떨어지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열기의 공급을 고르고, 원활하게 하는 발효용기가 구비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청국장 제조시에 발생하는 수분에 의해 다량의 청국장 제조 성능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가진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올바른 실시예가 채용된 다용도 조리기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요부구성인 발효용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요부구성인 발효용기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가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요부구성인 받침판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열기순환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120. 디스플레이패널
140. 외부손잡이 160. 파워코드
180. 열선 200. 내열도자기솥
300. 청국장제조용기 400. 유리뚜껑
420. 뚜껑손잡이 500. 발효용기
520. 열기공급부 522. 열기순환구
540. 단차부 542. 손잡이
544. 단차홀 546. 유동방지리브
560. 지지리브 580. 이격리브
600. 받침판 620. 배수구
640. 관통구 700. 뚜껑
720. 상부열기공급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전열장치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열도자기솥과, 상기 내열도자기솥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유리뚜껑이 구비되는 다용도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내열도자기솥의 내측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열도자기솥의 내측에 안착되며, 저면에는 열기의 고른 공급을 위한 열기공급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발효용기와; 상기 열기공급부에 의해서 관통되면서 상기 발효용기의 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장착되며, 삶은 콩이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배수구가 다수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발효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발효용기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열기공급부는 상단부가 상기 뚜껑이 설치된 높이보다 낮도록 돌출 형성된 통상으로, 저면이 개구되고 상면과 측면에는 다수개의 열기순환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기공급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상기 열기순환구는 상기 상기 열기공급부의 하단부에서 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상방에 형성된다.
상기 발효용기의 내측 저면에는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형성된 지지리브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의 상측에 상기 받침판이 선택적으로 거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열기공급부의 가장 하측에 형성된 열기순환구의 하단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효용기의 외측 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형성된 이격리브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발효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뚜껑이 안착되기 위해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의 일측에는 상기 뚜껑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유동방지리브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2개 이상 형성된다.
상기 발효용기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의 타측에는 상기 발효용기의 상부열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의 사출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단차홀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와 열기순환구는 각각 3~5㎜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발효용기 내부의 열기공급이 고르고 원활해지며, 청국장 제조시 발생하는 수분에 의해 발효용기 하측이 침수되는 것을 방지하여 청국장 제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올바른 실시예가 채용된 다용도 조리기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다용도 조리기구는 본체(100)와 내열도자기솥(200)과 제조용기(300) 그리고 유리뚜껑(400)으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방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측면은 시각적인 효과를 위해 다소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전면에는 동작을 조절 및 상태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20)이 구비되고, 양 측면 상단에는 상기 본체(1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외부손잡이(140)가 각각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본체(100)의 전원공급을 위한 파워코드(1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180) 등과 같은 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열선은 인가되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에 설치된 각종 버튼에 의해서 동작되어 다양한 온도조건 및 시간으로 다양한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며, 내측면은 전기는 통하지 않으면서 열전달율이 좋은 알루미늄과 같은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는 상방이 개구된 내열도자기솥(200)이 안착된다.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은 상기 본체(100)의 열원에서 발생한 열을 고르게전달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0)에 용이하게 안착 또는 탈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상단부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위는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내측에는 청국장제조용기(300)가 안착된다. 상기 청국장제조용기(300)는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을 통해서 전달되는 열기로 삶은 콩을 발효/숙성하여 청국장을 제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상방에는 유리뚜껑(400)이 안착된다. 상기 유리뚜껑(400)은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상면을 차폐하여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내부를 밀폐함으로써 요리를 돕게 된다.
상기 유리뚜껑(400)은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유리로 형성되며, 비교적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내열유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리뚜껑(400)의 상단 대략 중앙부에는 상기 유리뚜껑(400)을 손쉽게 들어올릴수 있도록 하는 뚜껑손잡이(420)가 형성된다.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청국장제조용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청국장제조용기(300)는 발효용기(500)와 받침판(600) 그리고 뚜껑(700)으로 구성된다.
발효용기(500)는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내측 형상과 대응되도록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방이 개구되어 내측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청국장 제조를 위한 재료가 되는 삶은 콩을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효용기(500)의 대략 중앙부분에는 열기의 고른 공급을 위한 열기공급부(520)가 형성된다. 상기 열기공급부(520)는 원통형상으로 상기 발효용기(500)의 저면에서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부까지 돌출형성되며, 상면과 측면에 다수개의 열기순환구(522)가 형성된다.
상기 발효용기(500)의 내측에는 받침판(600)이 장착된다. 상기 받침판(600)은 상기 발효용기(500)의 단면과 같은 원형의 판형상으로 상하를 관통하는 다수개의 배수구(620)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판(600)의 크기는 상기 발효용기(50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발효용기(500)의 단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수구(620)의 크기는 삶은 콩이 상기 배수구(620)를 통해서 통과되지 않도록 대략 3~5㎜의 크기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상기 받침판(600)은 선재로 구성되어 망과 비슷한 형상으로 성형 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며, 이때의 간격또한 상기와 동일할 것이다.
상기 받침판(600)의 중앙에는 상기 열기공급부(52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상기 열기공급부(520) 단면의 크기보다 다소 크게 형성된 관통구(640)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640)는 상기 열기공급부(520)에 의해서 관통되고 상기 받침판(600)은 상기 발효용기(500)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600)은 아래에서 설명할 지지리브(560)에 의해서 상기 발효용기(500)의 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장착된다.
한편,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부에는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면을 차폐하는 뚜껑(700)이 안착된다. 상기 뚜껑(700)은 상기 발효용기(500)의 단면보다 다소큰 원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대략 중앙부분에는 소정의 크기로 관통형성된 상부열기공급구(720)가 형성된다.
상기 뚜껑(700)은 다용도로 사용가능한 것으로 상기 다용도 조리기구의 기능 중 하나인 요구르트 제조기능에서는 요구르트제조용기를 받치는 트레이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다용도 조리기구에서는 동일한 구성품으로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요부구성인 발효용기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요부구성인 발효용기의 저면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하 이들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기 청국장 제조용기의 요부구성인 발효용기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효용기(500)는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원통형으로 상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부에는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540)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540)는 상기 뚜껑(700)이 안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발효용기(500)가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에 안착되어질때 상기 발효용기(500)와 내열도자기솥(200)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형성된 손잡이(542)가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542)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발효용기(500)를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에서 안전하게 꺼낼 수 있도록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크기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542)는 발효용기의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발효용기(500)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상기 손잡이(542)를 파지하여 상기 발효용기(500)를 들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요리가 완료된 후에 사용자의 손이 외측의 내열도자기솥(200)과 닿지 않도록 상기 손잡이(542)를 파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542)의 수직한 아래쪽 즉, 상기 손잡이(542)의 위치에 대응하는 단차부(540)에는 단차홀(544)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홀(544)은 상기 단차부(540)에 상기 손잡이(542)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관통형성된 구멍으로 상기 발효용기(500)를 사출형성하기 위해서 금형을 제작할때 별도의 슬라이드 코아가 필요없도록 함과 동시에 내열도자기솥(200)에서 발생되는 열기의 통로가 된다.
상기 단차부의 타측에는 유동방지리브(546)가 형성된다. 상기 유동방지리브(546)는 상기 뚜껑(700)이 상기 발효용기(500) 상부의 단차부(540)에 안착되었을때 상기 뚜껑(700)의 좌우유동을 방지위해 상기 단차부(540)에 상방으로 수직하게 형성된 것으로, 상기 뚜껑(700)의 외주면 일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주보도록 형성되어 상기 뚜껑(70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효용기(500)의 저면 대략 중앙에는 열기공급부(520)가 형성된다. 상기 열기공급부(520)는 상기 발효용기(500)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방 단차부(540)가 형성된 위치 즉, 상기 뚜껑(700)이 안착되는 높이보다는 낮게 돌출 형성된 것으로 단면이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열기공급부(520)는 하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면과 측면에는 다수개의 열기순환구(5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열기공급부(520)의 하방으로부터 올라오는 열기가 상기 열기순환구(522)를 통해서 상기 열기공급부(520)의 상방과 측방으로 배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기공급부(520)의 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열기순환구(522) 중에서 가장 하방에 형성된 열기순환구(522)의 하단부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할 지지리브(560)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된다.
상기 열기공급부(520)에 형성된 상기 열기순환구(522)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겠지만 이들의 크기는 모두 청국장의 재료가 되는 삶은 콩이 통과하지 못하도록 대략 3~5㎜의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기공급부(520) 역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필요에 따라 한개 이상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발효용기(500)의 내측 저면에는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형성된 지지리브(560)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560)는 상기 받침판(600)을 상기 발효용기(500)의 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것으로 상기 지지리브(560)의 높이는 상기 열기공급부(520)의 가장 하측에 형성된 열기순환구(522)의 하단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발효용기(500)의 외측 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형성된 이격리브(580)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이격리브(580)는 상기 발효용기(500)를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내부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것으로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열기가 상기 발효용기(500)와 내열도자기솥(200)의 사이에서 원활하게 대류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가 조립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부에는 상기 뚜껑(700)이 안착되고, 상기 발효용기(500)의 내측 하방에는 받침판(600)이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뚜껑(700)은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발효용기(500)의 개구된 상방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뚜껑(700)은 외주면이 상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발효용기(500)의 단차부와 접하면서 안착된다.
그리고,상기 뚜껑(70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상부열기공급구(720)는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에서 발생하는 열기를 상방으로 공급할 뿐 아니라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고자 안착 또는 탈거할 때는 손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발효용기(500)의 내측 하부에는 받침판(600)이 장착된다. 상기 받침판(600)은 청국장 제조시에 콩에서 발생되는 수분로부터 발효/숙성중인 콩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발효용기(500)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효용기(500)의 내측에 상기 받침판(600)이 장착된 상태를 도 6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600)은 상기 발효용기(500)의 내측에서 상기 발효용기(500)의 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며, 이때 상기 받침판(600)이 이격된 높이는 상기 열기공급부(520)의 최하측에 위치한 열기순환구(522)의 하단부 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다량의 청국장 제조시에 상기 받침판(600)의 하측 즉, 상기 발효용기(500)의 저면에 수분이 집수됨에 있어서 상기 청국장에서의 수분이 과도하게 배출되어 상기 받침판(600)을 넘어서려고 할때 상기 받침판(600)의 높이보다 다소 낮게 형성된 상기 열기순환구(522)에 의해서 수분이 발효용기(500)의 외측으로 넘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발효용기(500)는 상기 내열도자기솥(200)과도 소정거리만큼 이격되므로 상기 넘치는 수분이 다시 상기 발효용기(500)의 내측으로 역류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청국장의 다량제조시 발생하는 많은 양의 수분에도 보다 안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열기순환경로를 개략적으로 보인 개요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발효용기(500)에 소정의 높이만큼의 삶은 콩을 채운 후에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부를 차폐하는 뚜껑(700)을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용기(500)를 내열도자기솥(200)에 안착시킨 후 상기 유리뚜껑(400)으로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상방을 차폐하여 밀폐시킨다. 상기 유리뚜껑(400)을 덮은 후에 상기 본체(100)에 연결된 파워코드(160)를 꽂아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파워코드(160)를 꽂은 다음 상기 디스플레이패널(120)의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본체(100)로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열선(180)과 같은 열원에 의해서 조리를 위한 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이 가열되고,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은 전체적으로 열기를 발산하게 된다.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상기 발효용기(500)의 내측으로 전달된다.
상기 발효용기(500)로 전달되는 열기중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하측에서 전달되는 열기는 상기 열기공급부(520)의 하단의 개구된 부분으로 유입되어 상기 열기공급부(520)의 측면 즉, 외주면을 따라서 형성된 열기순환구(522)를 통해서 상기 발효용기(500) 내측의 삶은 콩에 전달된다.
또한, 상기 열기공급부(520)의 상단에 형성된 열기순환구(522)로 전달된 열기는 상기 발효용기(500)의 내측 상부에 위치한 삶은 콩들을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상기 발효용기(500) 측면을 통해 전도되어 상기 발효용기(500) 내측의 콩을 가열하게 되고,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측면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상기 단차부(540)에 형성된 단차홀(544)을 통해서 발효용기(500)의 상방으로 유입된다.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방으로 유입된 열기는 상기 발효용기(500) 뚜껑(700)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상부열기공급구(720)를 통해서 상기발효용기(500)의 내측으로 유입되어 상기 발효용기(500)의 상부에 채워진 삶은 콩을 가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여러 방향에서 대류에 의해서 유입되는 열기와 전도열에 의해서 상기 발효용기(500) 내부의 삶은 콩들은 온도차이 없이 일정한 온도로 고르게 가열되어 상기 발효용기(500) 내부에서 발효/숙성되는 청국장의 품질이 보다 좋아지게 된다.
한편, 삶은 콩의 특성상 상기 청국장 제조시에는 상기 삶은 콩 내부의 수분이 밖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수분들은 중력에 의해서 아래로 흐르게 되며, 상기 발효용기(500)의 저면에 집수된다.
이때 상기 삶은 콩들을 받치는 받침판(600)이 상기 발효용기(500)의 저면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받침판(600)의 위쪽으로 채워진 삶은 콩들에는 수분이 닿지 않아 발효/숙성을 위한 곰팡이균이 수분에 씻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삶은 콩의 양이 많거나 예기치 못한 환경으로 인해 많은 수분이 배출되더라도 상기 받침판(600)의 위치가 상기 열기공급부(520)의 열기순환구(522) 하단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발효용기(500) 저면에 집수되는 수분의 양이 많을 때는 상기 발효용기(500)의 외부로 넘치면서 배출된다.
그리고, 이렇게 넘치는 수분은 상기 내열도자기솥(200)의 저면에 집수되며, 상기 내열도자기솥(200)과 상기 발효용기(500)는 이격리브(580)에 의해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형성되므로 넘치는 수분이 다시 상기 발효용기(500)로 역류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열기의 지속적인 공급과 수분의 배출을 통해서 상기 발효용기(500) 내부의 삶은 콩에는 곰팡이균이 번식하게 되며, 상기 삶은 콩들은 발효와 숙성을 통해서 청국장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에서는, 발효용기의 내측에는 다수의 열기를 공급하는 열기순환구가 형성된 열기공급부가 구비되고, 상기 발효용기 상부의 단차부에는 상기 발효용기의 상부로 열기를 공급하는 단차홀이 형성되어 뚜껑의 상부열기공급구를 통해서 상기 발효용기의 내측으로 열기가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발효용기 내측의 삶은 콩들은 내측과 외측 그리고 상부와 하부 모두가 입체적으로 고르게 가열되며, 이러한 가열방식으로 인해서 상기 발효용기 내부에 열기가 고르게 공급되어 제조되는 청국장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발효용기는 열기를 발생하는 내열도자기솥에서 상방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형성될 뿐 아니라 측방을 따라서도 상기 단차부에 의해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열도자기솥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상기 이격된 공간을 통해서대류하게 되고, 직접적인 전도열 뿐만아니라 고르게 전달되는 대류열에 의해서 상기 삶은 콩을 가열할 수 있게되어, 국부적인 위치에서의 가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삶은 콩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에 의해서 다수개의 배수구가 형성된 상기 받침판이 상기 발효용기의 저면과 소정거리만큼 이격되고, 상기 받침판보다 낮은 위치에 열기순환구가 형성되어 상기 발효용기의 내부에서 삶은 콩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이 상기 받침대의 하측 즉, 발효용기의 저면에 집수된다.
그리고, 더 많은 수분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발효용기 내측 열기공급부의 측면에 형성된 열기순환구를 통해서 상기 발효용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청국장 제조시 삶은 콩에서 많은 양의 수분이 발생하더라도 곰팡이균의 손실없이 청국장을 제조할 수 있게 되어 청국장 제조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발효용기는 사출형성되어, 상기 열기공급부와 지지리브, 이격리브 및 단차홀 등이 일체로 형성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제조가 용이하며, 상기 받침대의 구조가 간결해 지게 되어 사용중 파손의 우려가 적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를 내측으로 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자가 청국장 제조를 완료한 후에 상기 발효용기를 인출할 때에 사용자의 손이 상기 내열도자기솥에 닿을 가능성을 배제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11)

  1. 전열장치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열도자기솥과, 상기 내열도자기솥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유리뚜껑이 구비되는 다용도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내열도자기솥의 내측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내열도자기솥의 내측에 안착되며, 저면에는 열기의 고른 공급을 위한 열기공급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발효용기와;
    상기 열기공급부에 의해서 관통되면서 상기 발효용기의 저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장착되며, 삶은 콩이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배수구가 다수개 형성된 받침판과;
    상기 발효용기의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발효용기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열기공급부는 상단부가 상기 뚜껑이 설치된 높이보다 낮도록 돌출 형성된 통상으로, 저면이 개구되고 상면과 측면에는 다수개의 열기순환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공급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기순환구는,
    상기 상기 열기공급부의 하단부에서 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상방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의 내측 저면에는,
    상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형성된 지지리브가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의 상측에 상기 받침판이 선택적으로 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열기공급부의 가장 하측에 형성된 열기순환구의 하단부 높이보다 높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의 외측 저면에는,
    하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형성된 이격리브가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의 상부에는 상기 뚜껑이 안착되기 위해 외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일측에는,
    상기 뚜껑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된 유동방지리브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2개 이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용기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의 타측에는,
    상기 발효용기의 상부열기의 순환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의 사출성형을 용이하게 하는 단차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와 열기순환구는 각각 3~5㎜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KR20-2004-0025063U 2004-09-01 2004-09-01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KR2003721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063U KR200372185Y1 (ko) 2004-09-01 2004-09-01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063U KR200372185Y1 (ko) 2004-09-01 2004-09-01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185Y1 true KR200372185Y1 (ko) 2005-01-10

Family

ID=49443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063U KR200372185Y1 (ko) 2004-09-01 2004-09-01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1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160B1 (ko) * 2005-12-12 201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기용 발효용기
KR101535490B1 (ko) * 2015-01-09 2015-07-27 (주) 후스타일 비전기식 핫에어 순환구조의 요거트 간편발효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160B1 (ko) * 2005-12-12 2013-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효기용 발효용기
KR101535490B1 (ko) * 2015-01-09 2015-07-27 (주) 후스타일 비전기식 핫에어 순환구조의 요거트 간편발효기
WO2016111440A1 (ko) * 2015-01-09 2016-07-14 (주) 후스타일 비전기식 핫에어 순환구조의 요거트 간편발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07730A1 (zh) 一种结构改进的电热锅
CN210961552U (zh) 具有炸锅功能的烹饪器具
KR200372185Y1 (ko) 다용도 조리기구의 청국장 제조용기
CN106691167A (zh) 一种蒸锅
KR102565401B1 (ko) 조리 기구
KR100463827B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홍삼제조기
CN110089925A (zh) 一种电饭锅
KR101831559B1 (ko) 조리장치
CN213524806U (zh) 烹饪器具
CN208925840U (zh) 一种电饭锅
CN212213425U (zh) 一种加热均匀的烹饪器具
KR100522538B1 (ko) 다기능 중탕기 및 이를 이용한 청국장 제조방법
CN206612657U (zh) 上盖及烹饪组件
CN210018887U (zh) 一种砂锅组件
KR200371546Y1 (ko) 다용도 조리기구의 요구르트 제조용기
CN220236610U (zh) 一种易清洗的发热盘结构
CN209995940U (zh) 内锅及烹饪器具
CN213248520U (zh) 蒸笼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2521480U (zh) 设有量杯的烹饪器
CN203885263U (zh) 自动烹调式炒菜锅顶部加热装置
CN212415456U (zh) 一种透明电饭煲
CN216317165U (zh) 一种具有杀菌功能的食物烘烤装置
CN219782310U (zh) 盘体和烹饪器具
CN219720453U (zh) 一种用于狮子头制熟的高压锅具
CN217510311U (zh) 一种电炖锅的炖盅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