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052Y1 -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 - Google Patents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052Y1
KR200372052Y1 KR20-2004-0028179U KR20040028179U KR200372052Y1 KR 200372052 Y1 KR200372052 Y1 KR 200372052Y1 KR 20040028179 U KR20040028179 U KR 20040028179U KR 200372052 Y1 KR200372052 Y1 KR 2003720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rod
rotation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성
Original Assignee
범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한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한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8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0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0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05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4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 A47K10/10Towel racks; Towel rails; Towel rods; Towel rolls, e.g. rotatable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on cabinets, walls, door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면에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어지는 각 고정부재에 고정지지구를 경사지게 고정시켜 고정걸이봉을 장착 설치하고, 각 고정지지구의 하측에는 회동걸이봉이 각각 장착되는 회동지지구를 일정한 각도범위만큼 회전되도록 굴대 설치하여서 된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을 고정지지구와 회동지지구에 장착시킬 때에 이들 사이에 양면이 만곡면 및 평면으로 된 체결편을 개입시켜 장착시키므로 체결력을 강화시켜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고,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이 장착되어지는 고정지지구와 회동지지구를 전후로 편차(간격)를 유지시켜 주므로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에 걸어지는 수건들의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어 건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단정하게 정리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고정지지구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동지지구를 패킹부재를 개입시킨 축봉에 의해 장착(결합)시켜 지지력을 강화시켜 주므로 회동지지구에 장착되는 회동걸이봉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면서 수건 등을 걸어주더라도 회동걸이봉이 평행한 상태를 유지되어지도록 하며, 회동지지구와 함께 회동걸이봉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회동걸이봉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 {A Close Open Type Two Stages Towel Hanger}
본 고안은 주로 욕실에 설치되어 수건 등을 걸어두는 기존의 고정걸이봉 외에 별도의 회동걸이봉을 절첩 전개시킬 수 있도록 구비하여서 된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에 관한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벽면에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어지는 각 고정부재에 고정지지구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되, 대향되는 고정지지구의 사이에 통상의 고정걸이봉을 고정 설치하고, 각 고정지지구의 하측에는 회동지지구를 일정한 각도범위만큼 회전되도록 굴대 설치하며, 각 회동지지구에 회동걸이봉을 각각 장착하여서 된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욕실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고정타입 수건걸이로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2-3963호와 실용신안등록 제 141545호 및 실용신안등록 제 195807호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벽면에 이격 고정 설치되는 고정(지지)부재의 사이에 걸이봉(걸이부재)을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 고정(지지)부재의 사이에 설치되는 걸이봉(걸이부재)에 수건 등을 걸어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형 수건걸이들은 벽면과 평행하는 걸이봉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걸이봉을 이동(회전)시키면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고, 걸이봉의 길이가 한정되어 여러 개의 수건을 동시에 걸어주기가 용이치 못한 문제가 있으며, 또한 걸이봉의 양단이 고정(지지)부재에의해 폐쇄되어 있으므로 의류 등을 걸어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다른 종래의 수건걸이로서는 회전형 수건걸이가 알려져 있으며, 이는 벽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에 여러 개의 걸이봉을 상하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축으로 굴대 설치하여서 된 것으로서, 걸이봉들을 적절하게 회전시키면서 각 걸이봉에 수건 등을 걸어주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고정부재에 굴대 설치되는 각 걸이봉들에 수건을 걸어주기 위해서는 걸이봉이 전방으로 회전시켜 돌출시킨 상태에서 걸어 주어야만 걸어지는 수건들이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걸어줄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걸이봉을 전방으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수건 등을 걸어주게 되면 걸이봉들과 그 걸이봉들에 걸어지는 수건들이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며, 따라서 좁은 욕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활동도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다소나마 해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359871호 "이중 수건걸이"가 알려져 있다.
이는 벽체에 고정 설치되어지는 한 쌍의 지지구의 하측부에 고정걸이봉을 설치하고, 각 지지구의 상단에는 회동지지구를 볼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되 각 회동지지구에는 선단에 단턱이 형성된 회동걸이봉을 각각 장착하여서 된 것으로서, 고정걸이봉은 종래와 같이 수건을 걸어 사용하고, 각 회동걸이봉은 전방으로 회전시켜 인출시킨 상태에서 수건 또는 의류 등을 걸어 사용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고정지지구와 회동지지구가 외주가 원으로 된 지지구 또는 회동지지구에 직접 결합되어 있으므로 평면으로 된 고정지지구 및 회동지지구의 선단면과 곡면으로 된 지지구 또는 회동지지구의 외주와의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어 고정지지구 또는 회동지지구를 지지구 또는 회동지지구에 견고(견실)하게 장착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고, 고정지지구에 장착되는 회동지지구를 통상의 볼트를 이용하여 장착시키므로 볼트를 견고하게 결합시키게 되면 회동지지구가 원활하게 회전되 않게 되고 볼트를 느슨하게 결합시키게 되면 회동지지구가 원활하게 회전되지만 볼트가 풀려지면서 회동지지구가 지지구에서 흔들리게 될 뿐만 아니라 이탈 분리되는 문제가 있으며, 볼트에 의해 억류되는 회동지지구가 무한정으로 360도 회전하게 되므로 볼트의 풀림현상이 더욱 쉽게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회동걸이봉이 벽면과 충돌하여 회동걸이봉 또는 벽면이 손상되어지며, 흔들리는 회동걸이봉에 수건 등을 걸어주게 되면 회동걸이봉이 외측으로 경사지게 늘어뜨려지면서 걸어진 수건이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는 문제도 발생하게 된다.
또한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이 동일 수직선상에서 상하에 위치하게 되므로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에 수건을 걸어 회동걸이봉을 절첩시켜 주게 되면 고정걸이봉에 걸어진 수건과 회동걸이봉에 걸어진 수건이 서로 접촉되어 공기가 유통되지 않게 되므로 건조능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회동걸이봉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걸어진 수건을 이격시켜주게 되면 회동걸이봉이 전방으로 크게 돌출되어지므로 수건을 나란하고 단정하게 걸어 정리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걸어지는 공간이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벽면에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어지는 각 고정부재에 고정지지구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되, 대향되는 고정지지구의 사이에 통상의 고정걸이봉을 고정 설치하고, 각 고정지지구의 하측에는 회동지지구를 일정한 각도범위만큼 회전되도록 굴대 설치하며, 각 회동지지구에 회동걸이봉을 각각 장착하여서 된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을 고정지지구와 회동지지구에 장착시킬 때에 이들 사이에 양면이 만곡면 및 평면으로 된 체결편을 개입시켜 장착시켜 줌으로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체결력을 강화시켜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고,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이 장착되어지는 고정지지구와 회동지지구를 전후로 편차(간격)를 유지시켜 줌으로서,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에 수건을 각각 걸어 회동걸이봉을 절첩시켜 주더라도 걸어진 수건들이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이격된 수건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어 건조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에 걸어지는 수건이 돌출되지 않고 항상 단정하게 정리된 상태를 유지하며, 나란하는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의 하측 외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된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지지구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동지지구를 패킹부재를 개입시킨 축봉에 의해 장착(결합)시켜 줌으로서 회동지지구와 그 회동지지구에 장착되는 회동걸이봉이 흔들리지 않고 회전되어지고, 지지력이 강화되어 무거운 수건 등을 걸어주더라도 회동걸이봉이 경사지지 않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회동지지구와 함께 회동걸이봉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줌으로서 회동걸이봉이 벽체와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한 쌍이 이격되는 각 고정지지구(11)에 고정걸이봉(4)의 하단에 회동지지구(13)가 장착된 지지구(10)를 고정 설치하되, 각 고정지지구(11)의 하단에 회동지지구(13)를 회전가능하게 굴대 설치하고, 각 회동지지구(13)에는 선단에 걸림원판(21)이 형성된 회동걸이단봉(25)(25)을 각각 장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부착판(2)이 구비된 통상의 고정부재(3)에 수직절곡부(12)가 하단에 형성된 고정지지구(11)를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고, 수직절곡부(12)의 하단에 회동지지구(13)를 회전가능하게 굴대 설치하여, 고정지지구(11)와 회동지지구(13)에 장착되는 고정걸이봉(4)과 회동걸이봉(20)(25)을 상하전후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것과,
고정지지구(11)와 회동지지구(13)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걸이봉(4)과 회동걸이봉(20)(25)은 중간에 체결편(6)(16)을 개입시켜 나사 결합하여 조립 장착시킨 것과,
고정지지구(11)의 하측에 형성된 수직절곡부(12)의 저면에 작동실(20)을 홈으로 형성하고, 작동실(20)의 내면 중앙에 축봉(22)을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축봉(22)에는 장전공(28)이 중앙선상에 통공된 회동지지구(13)를 삽입하여 회동지지구(13)의 하측에서 축봉(22)의 체결너트공(23)에 캡(30)의 체결볼트(31)를 나사 결합하여 정착시킨 것과,
작동실(20)의 내면에는 축봉(22)의 외측에 스톱편(21)을 고정시키고, 회동지지구(13)의 상면에는 작동실(20)에 삽입되는 반원돌부링(27)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회동지지구(13)가 정역으로 회전될 때에 반원돌부링(27)이 스톱편(21)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어지도록 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전개형 이단수건걸이(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의 일부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절첩전개형 이단수건걸이 2: 부착판 3: 고정부재
4: 고정걸이봉 6.16: 체결편 10: 지지구
11: 고정지지구 13: 회동지지구 14.23.29: 체결너트공
20: 작동실 21: 스톱편 22: 축봉
24: 패킹부재 25: 회동걸이봉 27: 반원돌부링
30: 캡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전개형 이단수건걸이(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전개형 이단수건걸이(1)의 일부 분해사시도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전개형 이단수건걸이(1)에서 고정지지구(11)와 회동지지구(13)의 결합및 작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분해사시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절첩전개형 이단수건걸이(1)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절첩전개형 이단수건걸이(1)는, 통상의 고정부재(3)와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구(10)와, 고정지지구(11)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동지지구(13)와, 고정지지구(11) 및 회동지지구(13)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걸이봉(4) 및 회동걸이봉(20)(25)으로 크게 대별된다.
벽면(벽체)에 부착시킬 수 있도록 일면에 부착판(2)이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재(3)에 지지구(10)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킴에 있어, 고정지지구(11)의 하측 외면에 가지봉(8)을 용접 등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시켰고, 그 가지봉(8)을 고정지지구(11)의 전면(선단면)에 용접과 같은 통상의 고정방법에 의해 고정시키되, 고정지지구(11)가 후방 상측으로 경사지게 장착하였다.
상기 고정지지구(11)는, 상단에 통상의 캡(30)을 나사 결합하였고, 가지봉(8)과의 반대면에서 상측부에 체결너트공(14)을 형성하여 차후에 설명되는 고정걸이봉(4)을 장착(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하단에는 수직절곡부(12)를 일체로 형성하여 차후에 설명되는 회동지지구(13)를 수직으로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수직절곡부(12)는, 하단면(저면)에 작동실(20)을 홈으로 형성하였고, 작동실(20)의 내면 중앙에는 선단 중앙선상에 체결너트공(23)이 요설된 축봉(22)을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였으며, 축봉(22)의 외측에는 회동지지구(13)의 정역회전을 제한(단속)하는 스톱편(21)을 약간 돌출되게 형성하였으며, 상기 축봉(22)에는 패킹부재(24)를 개입시킨 상태에서 캡(30)을 이용하여 회동지지구(13)를 장착하였다.
패킹부재(24)는, 중앙선상에 축공(26)을 통공하여 축봉(22)에 삽입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상단에는 플랜지(25)를 형성하여 차후에 설명되는 회동지지구(13)의 상면에 형성된 반원돌부링(27)의 내측에 삽입되어지도록 하였다.
축봉(22)에 결합된 패킹부재(24)의 외측에 삽입 장전되어지는 회동지지구(13)는,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외주에 중앙선상에 장전공(28)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였고, 외주에는 체결너트공(15)을 요설하여 회동걸이봉(20)(25)을 나사 결합하여 장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단(면)에는 반원돌부링(27)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수직절곡부(12)의 작동실(20)에 삽입되어지도록 하였으며, 스톱편(21)에 의해 반원돌부링(27)의 회전각도가 제한되어질 때에 정역 회전되는 회동지지구(13)는 전방의 180도만큼 좌우로 회전되어지도록 하였다.
축봉(22)에 끼워진 패킹부재(24)에 회동지지구(13)를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삽입 장전시키고, 회동지지구(13)의 하측에서 캡(30)의 체결볼트(31)를 축봉(22)의 체결너트공(23)에 나사 결합시켜서 캡(30)에 의해 회동지지구(13)가 하측으로 탈출되지 않고 억류되어지도록 하였다.
고정지지구(11)의 체결너트공(14)에 장착되는 고정걸이봉(4)은 양단에 체결볼트(5)를 형성하여 체결편(6)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체결너트공(14)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회동지지구(13)의 체결너트공(15)에 나사 결합되는 회동걸이봉(20)(25)은 일단에 체결볼트(22)(27)를 형성하여 체결편(16)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체결너트공(15)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타단에는 걸어지는 수건 또는 의류 등이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원판(21)(26)을 형성하였다.
상기 체결편(6)(16)은 일면을 고정지지구(11)와 회동지지구(13)의 외주와 당접되도록 만곡형으로 형성하였고, 타면을 고정걸이봉(4)과 회동걸이봉(20)(25)의 단면과 당접되도록 평면으로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절첩전개형 이단수건걸이(1)는 다음과 같이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고정지지구(11)와 회동지지구(13)로 구성되는 지지구(10)가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고정부재(3)를 구비하여, 지지구(10)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대향시킨 상태에서 고정지지구(11)의 체결너트공(14)에는 고정걸이봉(4)의 체결볼트(5)를 체결편(6)의 체결공(7)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나사 결합하여 고정걸이봉(5)을 장착시키고, 각 회동지지구(13)의 체결너트공(15)에는 회동걸이봉(20)(25)의 체결볼트(22)(27)를 체결편(16)의 체결공(17)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나사 결합시켜 회동걸이봉(20)(25)을 각각 장착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체결편(6)(16)을 개입시킨 상태에서 각 고정지지구(11)의 체결너트공(14)과 각 회동지지구(13)의 체결너트공(15)에 고정걸이봉(4)과 회동걸이봉(20)(25)을 결합 장착시켜 주게 되면, 체결편(6)(16)의 외측 단부에 형성된 만곡요부가 원통형으로 된 고정지지구(11)와 회동지지구(13)의 외주와 밀접하게 당접되어지고, 내측단부에 형성된 평면이 고정걸이봉(4) 및 회동걸이봉(20)(25)의 단면과 밀접하게 당접되어지므로 고정걸이봉(4)과 회동걸이봉(20)(25)은 고정지지구(11)와 각 회동지지구(13)에 견고(강력)하게 장착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고정걸이봉(4)의 양단에 고정지지구(11)가 장착되고 각 회동지지구(13)에 회동걸이봉(20)(25)이 각각 장착된 고정부재(3)는, 부착판(2)을 벽면에 이격 고정되어지는 고정편(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의 외측에 각각 결합시킨 상태에서 부착판(2)의 하단에 통공된 너트공(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에 고정볼트를 체결시켜 줌으로서 벽면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이와 같이 벽면(벽체)에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절첩전개형 이단수건걸이(1)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걸이봉(4)에는 통상의 수건 등을 걸어주게 되고, 각 고정부재(3)에 설치되어 벽면 측으로 접혀 있는 각 회동지지구(13)의 회동걸이봉(20)(25)을 전방으로 인출하게(끌어당기게)되면 회동지지구(13)와 함께 회동걸이봉(20)(25)은 외측방향(전방)으로 회전하면서 인출되며, 이와 같이 회동걸이봉(20)(25)을 전방으로 적절하게 인출(회전)시킨 상태에서 수건 또는 의류 등을 걸어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걸이봉(20)(25)을 전방으로 인출(회전)시킨 상태에서 수건 또는 위류 등을 걸어 사용하고, 인출된 회동걸이봉(20)(25)을 벽면 측으로 접어주게 되면 회동걸이봉(20)(25)은 상측 후방에 위치하는 고정걸이봉(4)과는 하측 전방에 위치하여 전후 간격을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고정걸이봉(4)에 걸어진 수건과 회동걸이봉(20)(25)에 걸어진 수건(또는 의류)은 서로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이들 사이로 공기가 자유롭게 유통되므로 고정걸이봉(4)과 회동걸이봉(20)(25)에 각각 걸어진 수건(또는 의류) 등은 자연스럽게 건조되어지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고정걸이봉(4)과 회동걸이봉(20)(25)을 상기와 같이 절첩 전개시키게 되면, 회동지지구(13)는 고정지지구(11)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절곡부(12)의 축봉(22)에서 회전지지구(13)의 선단면에 돌출 형성된 반원돌부링(27)이 수직절곡부(12)의 작동실(20)에 삽입(장전)되어 정역(좌우)으로 이동(회전)하게 되는데, 이때에 회전지지구(13)의 반원돌부링(27)은 도 2b 및 도 2c에 예시된바와 같이 작동실(20)의 스톱편(21)을 기준으로 일정한 범위만큼만 좌우(정역)로 이동(회전)하게 되고, 회동지지구(13)에 장착되어 있는 회동걸이봉(20)(25)은 전방의 내/외측(180도 각도)의 범위에서 정역으로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회동걸이봉(20)(25)을 내/외측으로 절첩 또는 전개시키더라도 벽면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여 벽면과 충돌하지 않게 되므로 회동걸이봉(20)(25) 또는 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는, 벽면에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어지는 각 고정부재에 고정지지구를 일체형으로 결합시키되, 대향되는 고정지지구의 사이에 통상의 고정걸이봉을 고정 설치하고, 각 고정지지구의 하측에는 회동지지구를 일정한 각도범위만큼 회전되도록 굴대 설치하고 각 회동지지구에 회동걸이봉을 각각 장착하여서 된 것으로서,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을 고정지지구와 회동지지구에 장착시킬 때에 이들 사이에 양면이 만곡면 및 평면으로 된 체결편을 개입시켜 장착시켰으므로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면서 체결력을 강화시켜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풀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이 장착되어지는 고정지지구와 회동지지구를 전후로 편차(간격)를 유지시켜 주므로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에 수건을 각각 걸어 회동걸이봉을 절첩시켜 주더라도 걸어진 수건들이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어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이격된 수건 사이로 공기가 원활하게 유통되어 건조능력을 향상시켜 줄 수 있으며,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에 걸어지는 수건이 돌출되지 않고 항상 단정하게 정리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란한 고정걸이봉과 회동걸이봉의 하측 외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고정지지구의 하단에 장착되는 회동지지구를 패킹부재를 개입시킨 축봉에 의해 장착(결합)시켜 주므로 회동지지구와 그 회동지지구에 장착되는 회동걸이봉이 흔들리지 않고 회전되어질 뿐만 아니라 지지력이 강화되어 무거운 수건 등을 걸어주더라도 회동걸이봉을 경사지지 않고 평행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으며, 회동지지구와 함께 회동걸이봉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줌으로서 회동걸이봉이 벽체와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한 쌍이 이격되는 각 고정지지구(11)에 고정걸이봉(4)의 하단에 회동지지구(13)가 장착된 지지구(10)를 고정 설치하되, 각 고정지지구(11)의 하단에 회동지지구(13)를 회전가능하게 굴대 설치하고, 각 회동지지구(13)에는 선단에 걸림원판(21)이 형성된 회동걸이단봉(25)(25)을 각각 장착하여서 된 것에 있어서,
    부착판(2)이 구비된 통상의 고정부재(3)에 수직절곡부(12)가 하단에 형성된 고정지지구(11)를 경사지게 고정 설치하고, 수직절곡부(12)의 하단에 회동지지구(13)를 회전가능하게 굴대 설치하여, 고정지지구(11)와 회동지지구(13)에 장착되는 고정걸이봉(4)과 회동걸이봉(20)(25)을 상하전후로 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것과,
    고정지지구(11)와 회동지지구(13)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걸이봉(4)과 회동걸이봉(20)(25)은 중간에 체결편(6)(16)을 개입시켜 나사 결합하여 장착시킨 것과,
    고정지지구(11)의 하측에 형성된 수직절곡부(12)의 저면에 작동실(20)을 홈으로 형성하고, 작동실(20)의 내면 중앙에 축봉(22)을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축봉(22)에는 장전공(28)이 중앙선상에 통공된 회동지지구(13)를 삽입하여 회동지지구(13)의 하측에서 축봉(22)의 체결너트공(23)에 캡(30)의 체결볼트(31)를 나사 결합하여 정착시킨 것과,
    작동실(20)의 내면에는 축봉(22)의 외측에 스톱편(21)을 고정시키고, 회동지지구(13)의 상면에는 작동실(20)에 삽입되는 반원돌부링(27)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회동지지구(13)가 정역으로 회전될 때에 반원돌부링(27)이 스톱편(21)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한되어지도록 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지지구(11)와 회동지지구(13)에 고정걸이봉(4)과 회동걸이봉(20)(25)을 각각 장착시킬 때 이들 중간에 개입되는 체결편(6)은,
    일면을 고정지지구(11)와 회동지지구(13)의 외주와 당접되도록 만곡형으로 형성하고, 타면을 고정걸이봉(4)과 회동걸이봉(20)(25)의 단면과 당접되도록 평면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톱편(21)에 의해 반원돌부링(27)의 회전각도가 제한되어지는 회동지지구(13)의 회전각도는,
    전방에서 좌우 18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
KR20-2004-0028179U 2004-10-05 2004-10-05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 KR2003720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179U KR200372052Y1 (ko) 2004-10-05 2004-10-05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179U KR200372052Y1 (ko) 2004-10-05 2004-10-05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052Y1 true KR200372052Y1 (ko) 2005-01-10

Family

ID=49443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179U KR200372052Y1 (ko) 2004-10-05 2004-10-05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0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41Y1 (ko) * 2012-11-22 2014-07-29 범한공업 주식회사 회전형 수건걸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741Y1 (ko) * 2012-11-22 2014-07-29 범한공업 주식회사 회전형 수건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0588A1 (en) Rotating clothes drying rack
KR100886671B1 (ko) 빨래 건조대
KR20110128583A (ko) 빨래 건조대
JP2007090016A (ja) 増設タオル掛け兼用棚およびその使用方法
KR200372052Y1 (ko) 절첩전개형 이단 수건걸이
KR200463812Y1 (ko) 절첩식 빨래건조대의 보조걸이대
KR200367922Y1 (ko) 절첩식 소형 세탁물 건조대
JP2008200073A (ja) 物干し具
JP5783350B2 (ja) 物干し器
JPH0752714Y2 (ja) 物品支持装置
KR200439176Y1 (ko)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200473741Y1 (ko) 회전형 수건걸이
KR100814287B1 (ko) 빨래 건조대용 걸이대의 접는 장치
JP2006223784A (ja) ハンガー掛け
CN220335522U (zh) 一种晾衣架
CN215366435U (zh) 一种旋转折叠晾衣架
KR200268703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
KR200359871Y1 (ko) 이중 수건걸이
KR960009229Y1 (ko) 벽걸이용 절첩식 세탁물 건조대
JPH1015295A (ja) 物干し具
KR20210036300A (ko) 걸이장치
JPH1199297A (ja) 物干し装置
US6729509B1 (en) Mini-blind holder and clothes hanger combination
KR101160559B1 (ko) 빨래 건조대
JP3556334B2 (ja) ハンガ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