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934Y1 -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 Google Patents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934Y1
KR200371934Y1 KR20-2004-0028296U KR20040028296U KR200371934Y1 KR 200371934 Y1 KR200371934 Y1 KR 200371934Y1 KR 20040028296 U KR20040028296 U KR 20040028296U KR 200371934 Y1 KR200371934 Y1 KR 2003719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frequency
unit
treatment
disconnec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해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시 filed Critical (주)아이티시
Priority to KR20-2004-0028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93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9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9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각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와, 고주파 신호를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200)와, 고주파 신호의 증폭작용 및 증폭된 고전압이 역류하여 저전압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된 고주파 완충증폭부(300)와, 상기 고주파 완충증폭부(300)를 통해 증폭된 고압의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출력부(400)와, 상기 고주파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된 고압의 고주파 신호를 신체 부위에 도전시키기에 적당한 형태로 구성된 치료전극판(500)과, 상기의 치료전극판(500)의 전위와 반대되는 전위를 갖으며 신체의 치료 부위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치료전극봉(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의 고주파 출력부(400)에서 출력된 고주파 신호가 치료전극판(500) 또는 치료전극봉(600)으로 인가됨에 있어서 고주파 출력부(400)로부터 치료전극판(500) 또는 치료전극봉(600)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단선감지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High frequency treatment equipment having function of sensing disconnection}
본 고안은 고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이 접촉된 신체 부위에 고주파를 인가함으로써 해당 부위에 국부적으로 자발적인 심부열을 발생시켜 생체 에너지를 활성화시키는 고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기능을 부가한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전류를 이용한 기술은 전파통신의 용도 뿐 아니라 인체에 대한 심부열을 이용할 수 있다는 전기물리학적 특성에 의해 그 응용도가 크다. 이러한 고주파 전류를 이용한 치료 방법을 고주파 심부 투열 치료라 한다.
고주파 전류는 이온화된 에너지가 아니고 비이온화된 에너지이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조직을 파괴시키지 않고 신체의 심부에 열을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고주파 전류를 이용한 치료는 모발 성장촉진, 무릎 관절염치료, 혈액순환 촉진, 치질치료, 통증의 완화, 암세포 증식의 억제, 비만관리(체지방 분해), 여드름 제거, 기미제거, 경혈부위의 경락 맛사지에 의한 기의 원활한 소통 등에 이용되고 있다.
도 1은 고주파 치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주파 전류를 이용한 고주파 치료기는 고주파 발생부를 포함한 본체(800)와, 상기 본체(800)와 연결되며 인체에 접촉하여 고주파 전류를 인체에 인가하기 위한 치료전극봉(600)과, 상기 치료전극봉(600)과 쌍을 이루어 고주파 전류가 인체에 통전하도록 구성된 치료전극판(5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치료전극봉(600)과 치료전극판(500) 사이에는 인체의 치료 부위가 놓여지며 본체(800)에서 출력된 고주파는 인체를 통전하면서 심부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고주파 치료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여러 원인으로 인한 작동 불능 상태가 있을 수 있으나 종종 발생하는 원인으로 본체(800)와 치료전극봉(600) 또는 본체(800)와 치료전극판(500)을 연결하는 케이블이 단선될 경우를 들 수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고주파 치료기는 케이블의 단선으로 인해 작동 불능 상태가 되어도 이를 감지하는 기능이 없어서 고주파 발생부를 포함한 본체(800)에서 고장 원인을 찾거나 심지어는 장비를 교체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종래 기술에 의한 고주파 치료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케이블의 단선으로 인한 작동 불능 상태가 되어도 확인할 방법이 없기 때문에 본체(800)에 대해 A/S를 받는 일은 사용자에게 번거롭고 불편함을 주었으며 고장 원인을 찾기 위해서 소비되는 시간 또한 많은 문제점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고주파 치료기는 인체의 치료 부위에 고주파를 인가함으로써 고주파가 인체를 통전하면서 심부열을 발생시키는 원리이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이 고주파 치료기의 치료전극봉(600) 또는 치료전극판(500)에 해당하는 케이블중 일측이 단선되면 고주파가 인체를 통전하지 못하여 치료전극봉(600) 또는 치료전극판(500)의 일측에 열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이와같이, 고주파 치료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케이블의 단선은 사용중 많은 불편함과 위험을 초래 하였으나 사용자는 그에 대한 정확한 원인을 찾을 수 없어 불편함과 위험을 감수해야만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체와 치료전극봉 또는 치료전극판을 연결한 케이블에 있어서 케이블이 단선 될 경우 이를 감지하고, 고주파 신호의 생성을 중단하며, 사용자에게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알려주는 단선 감지기능이 있는 고주파 치료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고주파 치료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단선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단선 감지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원부 200 : 고주파 발진부
300 : 고주파 완충 증폭부 400 : 고주파 출력부
500 : 치료전극판 600 : 치료전극봉
700 : 단선감지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각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고주파 신호를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와, 고주파 신호의 증폭작용 및 증폭된 고전압이 역류하여 저전압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된 고주파 완충증폭부와, 상기 고주파 완충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고압의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출력부와, 상기 고주파 출력부를 통해 출력된 고압의 고주파 신호를 신체 부위에 도전시키기에 적당한 형태로 구성된 치료전극판과, 상기의 치료전극판의 전위와 반대되는 전위를 갖으며 신체의 치료 부위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치료전극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의 고주파 출력부에서 출력된 고주파 신호가 치료전극판 또는 치료전극봉으로 인가됨에 있어서 고주파 출력부로부터 치료전극판 또는 치료전극봉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단선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단선감지부는 포토커플러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포토커플러 감지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단선감지부는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단선감지부는 케이블이 단선 상태로 판단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단선감지부는 케이블이 단선 상태로 판단되면 고주파 발진부에서 생성되던 고주파 신호의 생성을 중단하는 고주파 차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의 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각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와, 고주파 신호를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200)와, 고주파 신호의 증폭작용 및 증폭된 고전압이 역류하여 저전압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된 고주파 완충증폭부(300)와, 상기에서 고압의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출력부(400)와, 상기 고주파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된 고압의 고주파 신호를 신체 부위에 도전시키기에 적당한 형태로 구성된치료전극판(500)과, 상기의 치료전극판(500)의 전위와 반대되는 전위를 갖으며 신체의 치료 부위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치료전극봉(600)과, 상기의 고주파 출력부(400)에서 출력된 고주파 신호가 치료전극판(500) 또는 치료전극봉(600)으로 인가됨에 있어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단선감지부(7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에서 전원부(100)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정류하여 각 회로부에 공급하는 기능을하며, 정류 방법으로는 변압기와 다이오드를 이용한 브리지 회로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주파 발진부(200)는 본 고안에서 필요로 하는 소정의 주파수 대역에 해당하는 주파수 신호를 발진하는 것으로 플립플롭을 이용한 통상적인 발진회로의 이용이 가능하며, IC 소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고주파 완충증폭부(300)는 고주파 발진부(200)를 통해 생성된 고주파 신호의 증폭작용 및 증폭된 고전압이 역류하여 저전압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된 것으로 펄스 트랜스를 이용한 전자 소자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고주파 출력부(400)는 고주파 완충증폭부(300)를 통해 증폭한 고압의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에서 치료전극판(500)은 도전성 고무나 도전성 금속플레이트로 형성되어 고주파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된 고압의 고주파 신호를 신체 부위에 도전시키기에 적당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출력부(400)와 치료전극판(500) 사이에는 고주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에서 치료전극봉(600)은 치료전극판(500)의 전위와 반대되는 전위를 갖으며 출력된 고압의 고주파 신호를 이용하여 신체의 치료 부위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상기 치료전극봉(600)의 내부는 고주파 신호를 인가할 수 있는 도전체로 구성되며 외부는 사람이 손으로 잡고 치료부위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주파 출력부(400)와 치료전극봉(600) 사이에는 고주파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에서 단선감지부(700)는 고주파 신호를 치료 부위에 인가하기 위해 고주파 출력부(400)와 치료전극판(500) 또는 고주파 출력부(400)와 치료전극봉(600)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단선감지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단선감지부(700)는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포토커플러가 사용되며 이를 통해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포토커플러 감지회로(710)와, 상기의 포토커플러 감지회로(710)를 통해 케이블의 연결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720)와, 케이블의 단선 상태로 판단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730)와, 상기에서 케이블의 단선 상태가 확인되면 고주파 발진부(200)에서 생성되던 고주파 신호의 생성을 중단하는 고주파 차단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포토커플러 감지회로(710)의 포토커플러는 전기신호를 빛으로 결합시키는 장치이며 케이블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발생시키고 생성된 빛을 입력신호로 받아서 디스플레이부(720)에 전달한다.
상기에서 디스플레이부(720)는 포토커플러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수신하여 LED가 동작하거나, 또는 포토커플러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하나의 입력신호로 받아 7-Segment LED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통해 연결 상태를 보여줄 수 있다.
상기에서 경보발생부(730)는 포토커플러가 동작하지 않으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하며 스피커를 통한 경보음 이외에도 싸이렌의 동작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고주파 차단부(740)는 포토커플러가 동작하지 않으면 케이블이 단선 또는 케이블이 본체와의 접촉 불량으로 인해 전기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것이므로 고주파 발진부(200)에서 생성되던 고주파 신호의 생성을 중단하는 기능을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단선 감지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단선 감지회로는 치료전극봉(600)으로 인가되는 케이블의 단자(RFSG1, RFSG2)와, 치료전극판(500)으로 인가되는 케이블의 단자(PLTSG1, PLTSG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치료전극봉(600) 케이블 단자(RFSG1, RFSG2) 및 치료전극판(500) 케이블 단자(PLTSG1, PLTSG2)는 각각 포토커플러가 연결된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단선 감지회로에 전원을 인가시 각각의 케이블이 단선되지 않았으면 포토커플러가 이를 감지하고 치료전극봉(600)에 해당하는 LED인 BODYLED 및 치료전극판(500)에 해당하는 LED인 PLATELED를 동작시킨다. 그러나 두 케이블중 하나 이상의 케이블에 대해 단선 상태가 확인되면 포토커플러도 동작하지 않으므로 해당하는 케이블의 LED(BODYLED 또는 PLATELED)에 불이 들어오지 않으며 단선 경보음으로 부저(BZ)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에서 케이블의 연결상태를 알리는 디스플레이부(720)로는 LED가 사용되었으나 7-Segment LED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에서 케이블의 단선 상태가 확인되면 해당하는 케이블의 LED(BODYLED 또는 PLATELED)에 불이 들어오지 않으며 경보음이 울렸으나, 경보음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720)의 동작 또는 싸이렌이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고주파 치료기에 대하여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단선 감지 기능을 부가하였다.
상기에서의 단선 감지 기능으로 고주파 치료기의 케이블이 단선되었다고 판단되면 경보발생부의 동작과 함께 고주파의 신호의 생성을 중단하므로, 고주파가 인체를 통전하지 못하여 치료전극봉 또는 치료전극판의 일측에 발생하는 열로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게되는 문제점을 해결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단선 감지기능은 케이블의 단선상태 이외에도 본체와 치료전극판 또는 치료전극봉을 연결하는 케이블의 접촉 불량시에도 경보발생부가 동작하므로 사용자는 동작 불능시 자체점검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종래 기술에 의한 고주파 치료기를 사용중 케이블의 단선으로 인해 작동 불능상태가 되어도 확인할 방법이 없어 고주파 치료기 장비 전체를 A/S 받아야했던 불편함을 해소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교류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각 회로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00)와, 고주파 신호를 발진하는 고주파 발진부(200)와, 고주파 신호의 증폭작용 및 증폭된 고전압이 역류하여 저전압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구비된 고주파 완충증폭부(300)와, 상기 고주파 완충증폭부(300)를 통해 증폭된 고압의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고주파 출력부(400)와, 상기 고주파 출력부(400)를 통해 출력된 고압의 고주파 신호를 신체 부위에 도전시키기에 적당한 형태로 구성된 치료전극판(500)과, 상기의 치료전극판(500)의 전위와 반대되는 전위를 갖으며 신체의 치료 부위를 마사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치료전극봉(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의 고주파 출력부(400)에서 출력된 고주파 신호가 치료전극판(500) 또는 치료전극봉(600)으로 인가됨에 있어서 고주파 출력부(400)로부터 치료전극판(500) 또는 치료전극봉(600)으로 연결된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단선감지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감지부(700)는 포토커플러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단선 여부를 감지하는 포토커플러 감지회로(71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감지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감지부(700)는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72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감지부(700)는 케이블이 단선 상태로 판단되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경보발생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선감지부(700)는 케이블이 단선 상태로 판단되면 고주파 발진부(200)에서 생성되던 고주파 신호의 생성을 중단하는 고주파 차단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KR20-2004-0028296U 2004-10-06 2004-10-06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KR2003719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296U KR200371934Y1 (ko) 2004-10-06 2004-10-06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296U KR200371934Y1 (ko) 2004-10-06 2004-10-06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934Y1 true KR200371934Y1 (ko) 2005-01-15

Family

ID=4944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296U KR200371934Y1 (ko) 2004-10-06 2004-10-06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93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343B1 (ko) 2006-06-08 2007-05-04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고주파 전기 전극치료기
KR100930836B1 (ko) * 2007-07-30 2009-12-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주파 치료기 및 이의 구동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343B1 (ko) 2006-06-08 2007-05-04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고주파 전기 전극치료기
KR100930836B1 (ko) * 2007-07-30 2009-12-10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주파 치료기 및 이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20386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hyperthermia therapy
FR2844719B1 (fr) Dispositif electro-chimique pour le blanchiment d'un corps
WO2018128024A1 (ja) 電気治療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96285B1 (ko) 저강도 초음파 관절염 치료기
KR200371934Y1 (ko) 단선 감지 기능을 갖는 고주파 치료기
KR20100007597U (ko) 전립선 및 자궁치료용 저출력 레이저 저주파 온열 기능을 갖는 복합 치료기
KR101871844B1 (ko) 휴대단말의 이어폰 단자에 적용되는 미세전류 자극기 및 그 제어 방법
JP5945061B2 (ja) バッテリー内蔵型携帯用高周波治療器
KR100930836B1 (ko) 고주파 치료기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10088638A (ko) 고주파치료장치용 전극봉패드
US5728141A (en) Electrotherapy apparatus
AU2021105533A4 (en) A biologically enhanced internal fixation device
US9839556B2 (en) Heat and low-frequency treatment device
KR101451961B1 (ko) 배터리와 구동모듈을 내장하는 휴대용 고주파 치료기
KR20000049496A (ko) 온열기능을 갖는 저주파 치료기
JP2017176246A (ja) 熱及び低周波治療装置
JP2713149B2 (ja) 無線式生体内埋め込み受信機制御方式
KR101174415B1 (ko) 저주파 치료기
KR100982243B1 (ko) 탈모 개선을 위한 두피 관리 기기
CN204502143U (zh) 便携式电子针灸中医治疗仪
KR200328971Y1 (ko) 손바닥을 저주파 펄스로 자극하기 위한 지압봉
KR20000054729A (ko) 초저주파 치료기
KR20020091565A (ko) 음파진동 치료 및 미용기
JPS6013485Y2 (ja) 低周波兼陰電位治療器
CN212308660U (zh) 一种主被动间歇脉冲加压抗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