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555Y1 -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 - Google Patents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555Y1
KR200371555Y1 KR20-2004-0025606U KR20040025606U KR200371555Y1 KR 200371555 Y1 KR200371555 Y1 KR 200371555Y1 KR 20040025606 U KR20040025606 U KR 20040025606U KR 200371555 Y1 KR200371555 Y1 KR 2003715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filter plate
water filt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6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종식
김변수
Original Assignee
김변수
정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변수, 정종식 filed Critical 김변수
Priority to KR20-2004-00256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5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5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55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부에 스테인레스 지지대를 세우고, 다수의 정수필터를 체결수단에 의해 상하좌우로 결합하여 소정 면적의 정수필터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정수필터판과 서로 이웃하는 패널부 사이에 삽입되는 "E"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보강바와 함께 고정 결합하어 물탱크의 바닥부와 수밀 또는 밀폐 가능하도록 물탱크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시켜 급수구에서 들어온 물이 배수구를 통해 나갈 때 상기 정수필터판을 거쳐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각종 세균을 살균하고 물의 악취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위생적으로 정수된 물을 이용할 수 있는 물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Description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The function characteristic water tank having the clean water filter plates}
본 고안은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름여과지와 정수필터 및 스테인레스 케이스를 합체한 정수필터판에 의해 물탱크 내부의 저장수에 완전 살균되지 않고 잔존하는 세균의 제거와 물속에 포함되어 잔존하는 유기물 및 불순물을 제거할 수 있는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물은 모든 생명체의 근원이며,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자원으로 물 없이는 어떤 동식물도 살아남을 수가 없다.
더욱이 인간은 가정용수와 농업용수 그리고 공업용수 등 많은 양의 물을 필요로 하므로 오늘날 인류가 지면하고 있는 중대한 문제 중 하나는 깨끗한 물을 얻는 일이지만 산업의 발달과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발생되는 각종 유해 물질이 수질에 미치는 악 영향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옥상의 물탱크는 대부분이 노랑색, 파란색 계통이고, 또한 수질 관리적인 면에서 문제점이 많다.
국내에서 생산하고 있는 물탱크 중에 PE(폴리에치렌) 수조는 삼중구조층으로 외층, 발포층, 방수층으로 되어 있으나 재질 자체가 투명성이고 색상의 유기안료는 자연광을 차단하지 못하여 물 저장시 탱크 내부에 녹조류가 발생하여 물이 혼탁하여지고 이끼류가 물에 섞여 배관 등이 막히는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은 소독된 물로서 이끼가 끼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물탱크가 필요 이상으로 크거나 물탱크 내 수위가 높게 유지돼 수돗물이 물탱크에 남아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잔류염소가 없어져 옥상의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시간이 있으므로 오래된 물은 조류가 발생하고 세균의 번식으로 인한 수질 악화와 환경호르몬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즉, 모든 자연수는 자연발생적으로 저수조 설비들의 내부에서 2차 오염이 발생되고 있으며, 내부에 형성된 오염물질들은 단순한 때가 아니라 물탱크 내벽 등에 세균 덩어리인 생물막이 형성되어 이끼, 조류, 석회, 철과 망간성분의 박테리아, 일반 세균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식수를 저장하는 물탱크를 구축함에 있어서, 녹발생에 의한 물탱크의 오염 및 침전물의 영향으로 인한 세균오염, 독성물질, 발암물질의 생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다 위생적인 물탱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물탱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의 FRP 또는 SMC 소재에 스테인레스 스틸을 합착하여 만든 패널로 저장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인 물탱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정수필터판을 수직으로 고정시켜 세워 막아 급수구에서 들어온 물이 배수구를 통해 나갈 때 상기 정수필터판을 거쳐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세균번식 및 악취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인 정수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필터판의 결합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필터판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필터판의 분리 결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부 20. 패널부
30. 정수필터판 40. 스테인레스 지지대
50. 급수구 60. 배수구
70. 침전찌거끼 배출구 80. 맨홀
90. 가스 배출관 300. 정수필터
310. 외부케이스 312. 통수공
314. 체결홈 320. 주름여과지
330. 다공판 332. 관통공
340. 내부케이스 342. 분리판
346. 물 유입구 348. 물 유출구
350. 여과제 352. 미세그물망
400. 체결수단 500. 보강바
510. 결합공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하부 바닥면에 일정한 크기의 평면적으로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사방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는 사방의 패널부로서 내부에 저장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내부에 스테인레스 지지대를 세우고, 다수의 정수필터를 체결수단에 의해 상하좌우로 결합하여 소정 면적의 정수필터판으로 형성하고, 상기 정수필터판과 서로 이웃하는 패널부 사이에 삽입되는 "E"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보강바와 함께 고정 결합시켜 물탱크의 바닥부와 수밀 또는 밀폐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고정하여 급수구에서 들어온 물이 배수구를 통해 나갈 때 상기 정수필터판을 거쳐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정수된 물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판이 설치된 기능성 물탱크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정수필터판은 다수의 정수필터가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정수필터의 외주연에 맞닿는 외측면이 체결수단에 의해 상하좌우로 결합되어 소정 면적의 판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패널부 사이에 삽입되는 "E"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보강바와 함께 고정 결합되어, 물탱크의 바닥부와 수밀 또는 밀폐 가능하도록 기밀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에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는 통수공들이 좌우측에 집중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을 따라 간격유지되어 요홈된 체결홈을 가지는 외부케이스와; 상기 외부케이스의 통수공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수하기 위해 물을 통과시키는 주름여과지와; 상기 주름여과지를 통과하여 1차 정수된 물을 내부케이스로 공급하기 위한 다공판 및; 상기 다공판을 통과하여 공급된 물을 미세그물망으로 감싸진 여과제로 여과하기 위한 다단의 정수공간이 병렬방식으로 형성된 내부케이스;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케이스와 다공판 및 내부케이스가 체결홈에 맞춰 체결수단에 의해 밀착되게 고정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는 다단의 정수공간이 물 유입구와, 물 유출구가 갖추어진 하우징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미세망사체가 물 유입구의 상·하측에 걸쳐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부케이스, 중공판 및 내부케이스는 스테인레스 또는 무공해성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여과제는 옥, 맥반석, 숯, 은가루로부터 선택되는 0.05 ~ 150 ㎛ 크기의 적어도 한 성분의 항균성 세라믹스 분말을 일체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물탱크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필터판의 결합 구조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필터판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필터판의 분리 결합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는 용수를 저장하는 탱크 형식의 저수조, 배수지, 정수지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하부 바닥면에 일정한 크기의 평면적으로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의 사방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는 사방의 패널부(20) 및 정수필터판(30)으로 구성된다.
또한, 내부에 스테인레스 지지대(40)를 세우고, 정수필터판(30)을 물탱크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시켜 세워 막음으로서 물탱크의 일측 상단 급수구(50)로 들어온 물은 물탱크의 타측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배수구(60)를 통해 배출되므로, 물이 배수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물탱크의 가운데에 세워진 정수필터판(30)을 통과하여야 하므로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각종 조류나 세균 및 환경호르몬이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구(60)는 급수구(50)의 반대편 밑부분에 설치되되, 바닥의 침전물이 유출되지 아니하도록 물탱크의 바닥에서 띄워서 설치된다.
또한, 침전찌꺼기의 배출구(70)를 물탱크의 맨 밑부분에 설치되고, 물탱크의 바닥부(10)는 배출구(70)를 향하여 100분의 1이상의 경사를 두어 배출이 쉬운 구조로 형성된다.
덮개에는 관리자나 청소 작업자가 본 고안 물탱크의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복수개의 맨홀(80)들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맨홀(80)은 각 변의 길이가 90센티미터 이상인 사각형 맨홀 또는 지름이 90센티미터 이상인 원형 맨홀을 1개 이상 설치하여 청소를 위한 사람이나 장비의 출입이 원활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물탱크의 상면에는 본 고안 물탱크의 내부에서 발생 가능한 가스를 원활하게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한 개 혹은 복수개의 통기관 내지 가스 배출관(90)들이 장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정수필터판(30)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정수필터판(30)은 이웃하는 정수필터(300)의 외주연을 맞닿아 볼트 등의 체결수단(400)에 의해 상하좌우로 결합시켜 소정 면적의 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물탱크의 외벽을 이루는 패널부(20)와 고정 결합되어 지지축과 같은 역할을 물탱크의 구조에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물탱크의 바닥부(10)를 형성하는 패널과 수밀 또는 밀폐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수필터(300)가 점층되어 이루어진 정수필터판(30)은 상기 패널부(20) 테두리 사이에 "E"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보강바(500)가 삽입되어 패널부(20) 및 정수필터판(30)이 상기 체결수단(400)에 함께 결합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보강바(500)는 외주연에 뚫려져 있는 결합공(510)에 의해 패널부(20)와 정수필터판(30)과 함께 고정되어 서로 견고하게 결합되며, 이웃하는 2개의 패널부(20) 사이에는 실링재 및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빈 틈새가 수밀 처리된다.
따라서, 견고하게 수직으로 세워진 정수필터판(30)은 패널부(20)와 물탱크의 지지축과 같은 역할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정수필터(300)는 정수필터판(30)을 이루는 개개의 체결블럭 단위이다.
상기 정수필터(300)는 외부케이스(310)와, 주름여과지(320)와, 다공판(330)과, 내부케이스(340) 및 여과제(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부케이스(310) 및 내부케이스(320)는 수질 악화와 환경호르몬 발생의 문제가 없는 저온수조용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를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무공해성 폴리프로필렌(PP) 소재가 사용되는 것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외부케이스(310)는 좌·우측으로 별개로 성형되어 양단이 합쳐져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부케이스(310)는 통수공(312)들이 좌우측에 집중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서, 외주연을 따라서는 간격이 유지되어 요홈된 체결홈(314)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수단(400)에 의해 후술되는 다공판(330) 및 내부케이스(340)와 밀착되게 고정결합된다.
상기 주름여과지(320)는 외부케이스(31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통수공(31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수하기 위해 천연명주 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다공판(330)은 상기 주름여과지(320)를 통과하여 1차 정수된 물을 내부케이스(340)로 공급하기 위한 중간판으로써, 표면에 관통공(332)이 다수 뚫려져 있으며 스테인레스 재질 또는 무공해성 폴리프로필렌(PP)의 소재로 만들어져 상기 외부케이스와(310)와 내부케이스(340)의 사이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내부케이스(340)는 다공판(330)을 통과하여 공급된 물을 미세그물망(352)으로 감싸진 여과제(350)로 여과하기 위하여 분리판(342)에 의해 다단의 정수공간이 병렬방식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케이스(340)는 각 정수공간의 상단에 물 유입구(346)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물 유출구(34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물 유입구(346)를 통해 들어온 물은 물 유출구(348)를 통하여 배출되게 되는데, 상기 정수실(224) 내부에는 여과제가 삽입되어 있어서 물에 함유되어 있는 미세 이물질 등이 걸러지게 된다.
상기 여과제(350)는 옥, 맥반석, 숯, 은가루로부터 선택되는 0.05 ~ 150 ㎛ 크기의 적어도 한 성분의 항균성 세라믹스 분말을 일체로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310)와 다공판(330) 및 내부케이스(340)는 체결홈(314)에 맞춰 체결수단(400)에 의해 밀착되게 고정 결합되므로, 상기 외부케이스(310)의 통수공(312)을 통해 들어온 물은 상기 내부케이스(320)의 물 유입구(346)로만 들어가게 되고 물 유출구(348)를 거쳐 다시 외부케이스(310)의 통수공(312)으로 배출되게 되게 되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정수필터판이 설치된 기능성 물탱크는 저장되어 있는 물속에 완전 살균되지 않고 잔존하는 세균의 제거와 유기물 및 불순물을 제거시킨 용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는, 기존의 FRP 또는 SMC 소재에 스테인레스 스틸을 합착하여 만든 패널로 저장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인 물탱크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정수필터판을 수직으로 고정시켜 세워막아 급수구에서 들어온 물이 배수구를 통해 나갈 때 상기 정수필터판을 거쳐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세균번식 및 악취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뿐만 아니라 위생적인 정수된 물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하부 바닥면에 일정한 크기의 평면적으로서 수평하게 설치되는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사방 둘레에 수직으로 세워져서 설치되는 사방의 패널부(20)로서 내부에 저장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확보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내부에 스테인레스 지지대(40)를 세우고, 다수의 정수필터(300)를 체결수단(400)에 의해 상하좌우로 결합하여 소정 면적의 정수필터판(30)으로 형성하고 상기 정수필터판(30)과 서로 이웃하는 패널부(20) 사이에 삽입되는 "E"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보강바(500)와 함께 고정 결합시켜 물탱크의 바닥부(10)와 수밀 또는 밀폐 가능하도록 수직으로 고정하여 급수구(50)에서 들어온 물이 배수구(60)를 통해 나갈 때 상기 정수필터판(30)을 거쳐 배수되도록 함으로써 정수된 물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판이 설치된 기능성 물탱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판(30)은
    다수의 정수필터(300)가 구비되어, 서로 이웃하는 정수필터(300)의 외주연에 맞닿는 외측면이 체결수단(400)에 의해 상하좌우로 결합되어 소정 면적의 판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패널부(20) 사이에 삽입되는 "E"자 모양의 단면을 가지는 보강바(500)와 함께 고정 결합되어, 물탱크의 바닥부(10)와 수밀 또는 밀폐 가능하도록 기밀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판이 설치된 기능성 물탱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필터(300)는
    통수공(312)들이 좌우측에 집중적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연을 따라 간격유지되어 요홈된 체결홈(314)을 가지는 외부케이스(310)와;
    상기 외부케이스(310)의 통수공(312)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정수하기 위해 물을 통과시키는 주름여과지(320)와;
    상기 주름여과지(320)를 통과하여 1차 정수된 물을 내부케이스로 공급하기 위한 다공판(330) 및;
    상기 다공판(330)을 통과하여 공급된 물을 미세그물망(352)으로 감싸진 여과제(350)로 여과하기 위한 다단의 정수공간이 병렬방식으로 형성된 내부케이스(340);로 구성되되 상기 외부케이스(310)와 다공판(330) 및 내부케이스(340)가 체결홈(314)에 맞춰 체결수단(400)에 의해 밀착되게 고정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판이 설치된 기능성 물탱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340)는
    다단의 정수공간이 물 유입구(344)와, 물 유출구(346)가 갖추어진 하우징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망체(348)가 물 유입구(344)의 상하측에 걸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판이 설치된 기능성 물탱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310), 중공판(330) 및 내부케이스(340)는
    스테인레스 또는 무공해성 폴리프로필렌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판이 설치된 기능성 물탱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제(330)는
    옥, 맥반석, 숯, 은가루로부터 선택되는 0.05 ~ 150 ㎛ 크기의 적어도 한 성분의 항균성 세라믹스 분말을 일체로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필터판이 설치된 기능성 물탱크.
KR20-2004-0025606U 2004-09-07 2004-09-07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 KR2003715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606U KR200371555Y1 (ko) 2004-09-07 2004-09-07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606U KR200371555Y1 (ko) 2004-09-07 2004-09-07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555Y1 true KR200371555Y1 (ko) 2005-01-03

Family

ID=49443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606U KR200371555Y1 (ko) 2004-09-07 2004-09-07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5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1911A (zh) * 2020-05-11 2020-08-07 安徽兴安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自过滤不锈钢水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01911A (zh) * 2020-05-11 2020-08-07 安徽兴安电气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自过滤不锈钢水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71555Y1 (ko) 정수필터판이 부착된 기능성 물탱크
KR20170056107A (ko) 적층식 필터함을 구비하는 수족관용 수질정화장치
KR20170004786A (ko) 도시 수질 오염방지 구조물
KR100715545B1 (ko) 오존과 자외선을 이용한 수처리기
KR100825680B1 (ko) 플랜지 이음 정화 수단을 갖는 물탱크
KR100801881B1 (ko) 여과 및 제독기능의 어패류보관조
JP2004322060A (ja) 浄化装置およびその浄化装置をもつ浄化用タンク
KR100851409B1 (ko) 저수 정화장치
CN209352729U (zh) 一种隧道地下水过滤池
CN209307162U (zh) 一种小型景观水体生化处理系统
CN207537315U (zh) 一种用于治理小微水体的净水装置
CN208135988U (zh) 一种城镇供水系统
JP4225956B2 (ja) 水路の生活雑排水浄化装置
KR20100050279A (ko) 초기강우 여과장치
CN219556020U (zh) 养殖设备
CN108689557A (zh) 一种工业污水处理装置
CN213569788U (zh) 一种家庭污水净化槽
KR101059827B1 (ko) 정화지(淨化池)가 경관지(景觀池) 둘레를 따라 구비(具備)된 생태(生態)연못
KR102467445B1 (ko) 조립식 여과장치
CN214693789U (zh) 一种用于农村灰水处理的多孔复合填料装置
JPS5827000B2 (ja) 用水路など小河川の簡易水質浄化装置
CN210630455U (zh) 一种使用方便的可扩展式观赏鱼池过滤装置
KR200277370Y1 (ko) 부유식 어항 정수기
CN218811070U (zh) 一种小流域污水排放治理装置
CN113548742B (zh) 一种水污染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