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036Y1 -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 - Google Patents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036Y1
KR200371036Y1 KR20-2004-0017067U KR20040017067U KR200371036Y1 KR 200371036 Y1 KR200371036 Y1 KR 200371036Y1 KR 20040017067 U KR20040017067 U KR 20040017067U KR 200371036 Y1 KR200371036 Y1 KR 2003710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or
flashing
partial
acci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0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찬복
Original Assignee
석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찬복 filed Critical 석찬복
Priority to KR20-2004-00170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0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0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0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for indicating emergenc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0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the devices being 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07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comprising at least two indicating 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조등 겸용 사고표시등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밧데리가 수납되는 손잡이와, 그 선단에 설치된 반투명관체와, 반투명관체의 선단에 설치된 반사경 및 전구를 구비하는 전조등과, 반투명관체의 내부 하부에 설치된 점멸등과, 전조등과 점멸등을 작동 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에 설치된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조등 겸용 사고 표시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과 점멸등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부분반사경이 설치되어 있고, 반사경 및 부분반사경의 후면에는 반사막이 코팅되어 있으며, 부분반사경에는 점멸등의 직진광을 통과시키는 광투과부를 일직선상에 형성하되 부분반사경의 위치가 점멸등에서 멀어질수록 광투과부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Emergency blinker with plural reflectors}
본 고안은 야간에 전방에서 발생한 비상상황을 후방 주행차량이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사고 표시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조등 및 사고표시등으로 겸용할 수 있고, 특히 사고표시등으로 사용할 경우, 점멸신호를 발산하는 반투명관체 내에 복수개의 부분반사경을 설치하므로서, 한개의 점멸등 만으로도 여러개의 밀도 높은 점멸신호를 발산시킬 수 있는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표시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후방 주행차량의 운전자에게 비상상황을 감지시키기 위하여 후방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반사시키는 사고 표시판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반사광을 이용한 사고 표시판은 후방 주행차량이 사고 표시판에 가까이 접근하였을 때야 비로소 후방 차량의 전조등 불빛을 반사시키기 때문에 원거리에서는 사고상황을 감지하기 힘들고, 전방에서의 사고상황을 능동적으로 표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은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손잡이(6)의 선단에 반투명관체(20)가 설치되고, 반투명관체(20)의 선단에 반사경(31)이 있는 전조등(3)이 설치되며, 반투명관체(20)의 내부 하측에 점멸등(11)이 설치되고, 상기 반사경(31)의 후면에 상기 점멸등(11)의 불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이 코팅되어 있는 사고표시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31)과 점멸등(11)의 사이에다 중간 반사경(7)을 형성시키되, 상기 중간 반사경(7)에는 도 3에 표시된 바와같이 점멸등(11)의 직진광을 통과시키는 광투과부(7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고 표시등을 특허 출원한 바 있다(실용신안 등록출원 제2001-37741호 및 특허출원 제2002-59920호).
이와 같은 선 출원 발명은 점멸등(11)으로부터 발산되는 점멸광의 일부가 중간 반사경(7)에 의해서 반사되고, 중간 반사경(7)의 광투과부(70)을 통과한 직진광은 다시 반사경(31)후면의 반사막에 반사되므로서, 멀리서 보면 마치 여러개의 점멸등이 설치된 것처럼 보이고, 한정된 전력으로 보다 높은 조도의 점멸신호를 발산시킬 수 있어서 원거리에서도 비상 상황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발명은 점멸등(11)과 반사경(31) 사이의 중간 반사경(7)이 단 한개 뿐이기 때문에 아직도 전력 사용의 효율성이 부족하고, 특히 반투명관체(20)의 길이가 길어지면 점멸 신호의 밀도가 낮아져서 중간 반사경(7)에 의한 점멸신호의 반사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선 출원 고안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사고표시등이나 교통안내봉 또는 전조등으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사고표시등이나 교통안내봉으로 사용할 경우, 한개의 점멸등으로 여러개의 점멸광을 발산하게 하므로서, 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함은 물론, 점멸광의 밀도가 높아서 원거리에서도 전방의 비상상황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 사고표시등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밧데리가 수납되는 손잡이와, 그 선단에 설치된 반투명관체와, 반투명관체의 선단에 설치된 반사경 및 전구를 구비하는 전조등과, 반투명관체의 내부 하부에 설치된 점멸등과, 전조등과 점멸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에 설치된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조등 겸용 사고 표시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과 점멸등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부분반사경이 설치되어 있고, 반사경 및 부분반사경의 후면에는 반사막이 코팅되어 있으며, 부분반사경에는 점멸등의 직진광을 통과시키는 광투과부를 일직선상에 형성하되 부분반사경의 위치가 점멸등에서 멀어질수록 광투과부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을 제공한다.
도 1 은 종래의 사고 표시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사고 표시등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부분 반사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특징인 다층 반사경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고 표시등 2. 점멸 신호부
3. 전조등 4,5. 스위치
6. 손잡이 7,7a,7b,7c. 부분반사경
11. 점멸등 20. 반투명관체
31. 반사경 32. 전구
60. 밧데리 70,70a,70b,70c. 광투과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사고표시등의 한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밧데리(60)가 수납되는 손잡이(6)와, 그 선단에 설치된 반투명관체(20)와, 반투명관체(20)의 선단에 설치된 반사경(31) 및 전구(32)을 구비하는 전조등(3)과, 반투명관체(20)의 내부 하측에 설치된 점멸등(11)과, 전조등(3)과 점멸등(11)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6)에 설치된 두 개의 스위치(4,5)와, 상기 반사경(31)과 점멸등(11)의 사이에 설치된 세개의 부분반사경(7a,7b,7c)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반사경(31) 및 부분 반사경(7a,7b,7c)의 후면에는 상기 점멸등(11)의 불빛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이 코팅되어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인 부분반사경(7)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부분 반사경(7)에는 점멸등(11)에서 발생되는 점멸광을 그대로 통과 시키는 광투과부(70)가 설치되어 있는데, 광투과부(70)는 아무것도 없는 빈 공간 일수도 있고,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나 유리로 된 투명창 형태 일수도 있다. 또한, 하나의 부분반사경(7) 내에 형성되는 광투과부(70)의 개수는 점멸등(11)의 개수와 동일하게 하되 바람직 하기로는 2 ~ 5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3개 인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부분반사경(7a,7b,7c)이 세 개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점멸등(11)에서 발광된 점멸광은 먼저 부분반사경(7a)의 후면에 코팅된 반사막에 의해서 반사되고, 일부 점멸광은 광투과부(70a)를 통과하여 다음 부분반사경(7b)의 후면 반사막에 의해서 반사되며, 광투과부(70b)를 통과한 일부 점멸광은 그 다음 부분반사경(7c)의 후면 반사막에의해서 반사되고, 광투과부(70c)를 통과한 나머지 점멸광은 반사경(31)의 후면에 코팅된 반사막에 의해서 반사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점멸등(11) 만으로 점멸등(11) 그 자체를 포함하여 적어도 5개의 점멸광을 발산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은 상기 부분반사경(7)을 복수개, 바람직하기로는 2 ~ 5개 설치하되, 점멸등(11)에서 먼 거리에 설치된 부분반사경(7)일수록 광투과부(70)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하고, 각 광투과부(70)의 중심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다. 이때, 부분반사경(7)의 개수는 점멸등(11)의 강도 및 반투명관체(20)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사고표시등으로의 기능을 고려해 볼때 2 ~ 7개의 부분반사경(7)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 하지만, 그것이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투과부(70)의 면적은 부분 반사경(7)의 개수에 따라 달라지는데 바람직 하기로는 점멸등(11)에서 멀어지는 순서대로 하여 30 ~ 95%의 비율로 좁아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만일 상기 비율이 30% 이하이면 부분반사경(7)을 원하는 개수 만큼 배치 할 수가 없고, 반대로 95% 이상이면, 각 부분반사경(7)의 후면 반사막에 의해서 반사되는 점멸광이 충분한 조도를 갖기 어렵다.
본 고안에 따른 사고 표시등(1)은 바람직하게는 손잡이(6) 하부에 일정 높이의 삼각 받침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삼각받침대를 세우면 지상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서 점멸신호가 발산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때, 상기 삼각받침대는 탈부착 시킬 수 있도록 하여 교통안내봉이나 일반 전조등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받침대를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사고 표시등 교통안내봉이나 전조등으로 다양하게사용 할 수 있으며, 특히 사고표시등이나 교통안내봉으로 사용할 경우 한개의 점멸등으로 여러 개의 점멸광을 발산하게 하므로서, 전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함은 물론, 점멸광의 밀도가 높아서 원거리에서도 전방의 비상상황을 용이하게 감지 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밧데리가 수납되는 손잡이와, 그 선단에 설치된 반투명관체와, 반투명관체의 선단에 설치된 반사경 및 전구를 구비하는 전조등과, 반투명관체의 내부 하부에 설치된 점멸등과, 전조등과 점멸등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에 설치된 스위치로 이루어진 전조등 겸용 사고 표시등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과 점멸등의 사이에는 복수개의 부분반사경이 설치되어 있고, 반사경 및 부분반사경의 후면에는 반사막이 코팅되어 있으며, 부분반사경에는 점멸등의 직진광을 통과시키는 광투과부를 일직선상에 형성하되 부분반사경의 위치가 점멸등에서 멀어질수록 광투과부의 면적이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반사경이 2 ~ 7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반사경은 점멸등에서 멀어지는 순서대로 하여 광투과부의 면적이 30 ~ 95%의 비율로 좁아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
KR20-2004-0017067U 2004-06-17 2004-06-17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 KR2003710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67U KR200371036Y1 (ko) 2004-06-17 2004-06-17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067U KR200371036Y1 (ko) 2004-06-17 2004-06-17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036Y1 true KR200371036Y1 (ko) 2004-12-24

Family

ID=4935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067U KR200371036Y1 (ko) 2004-06-17 2004-06-17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0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9084A (en) Headlamps of vehicles
US20110260616A1 (en) Vehicle exterior lamp
JP2007103212A (ja) 車両のヘッドランプ構造
CN210069734U (zh) 一种用于车灯的光学系统及一种尾灯
BRPI0706911A2 (pt) unidade ótica tendo funções de iluminação acopladas
JP2019200928A (ja) 車両用灯具
US4198674A (en) Light unit for vehicles
CA2538934A1 (en) Vehicular light assembly
JPH0128563Y2 (ko)
JP2008251351A (ja) 車両用灯具
JP2019200927A (ja) 車両用灯具
KR200371036Y1 (ko) 다층 반사경이 구비된 사고 표시등
JP2014164975A (ja) 車両用灯具
KR20130109565A (ko) Led를 이용한 이륜차용 헤드램프
TWM247778U (en) Light for automobile
TW201242812A (en) Composite fog light device with daytime running light function
CN201198979Y (zh) 车内警示频闪灯
KR200273381Y1 (ko) 사고 표시등
JP3139949U (ja) 装着式発光バー
KR200331791Y1 (ko) 반사면이 형성된 실드를 이용하는 이중 방향 조명 구조의차량용 램프
JP3120287U (ja) サイドミラー用発光警告装置
JP2006112085A (ja) 工事灯
CN216113833U (zh) 车灯和全地形车
KR200284078Y1 (ko) 다기능 램프가 장착된 자동차용 리어백미러
CN216844504U (zh) 车侧led环射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