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626Y1 -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 - Google Patents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626Y1
KR200370626Y1 KR20-2004-0026132U KR20040026132U KR200370626Y1 KR 200370626 Y1 KR200370626 Y1 KR 200370626Y1 KR 20040026132 U KR20040026132 U KR 20040026132U KR 200370626 Y1 KR200370626 Y1 KR 200370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female
male
underground
outer perip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1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용
Original Assignee
삼보건설기계 주식회사
김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건설기계 주식회사, 김지용 filed Critical 삼보건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61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5/00Handling building or like materials for hydraulic engineering or foundations
    • E02D15/02Handling of bulk concrete specially for foundation or hydraulic engineering purposes
    • E02D15/06Placing concrete under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벽 또는 대구경 말뚝이나 그외 기타 지하콘크리트 타설 및 수중콘크리트 타설에 사용되는 트레미관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미관과 트레미관의 연결부의 수밀성과 결합 및 분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조인트의 외주연에는 내측으로 직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그 구멍들의 하부에는 기밀을 위한 오링(O-ring)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수조인트와 결합되는 암조인트의 외주연에는 상기 수조인트에 형성된 구멍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렌치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이때 수조인트의 상부에는 수키를 구비하고 암조인트의 상부에는 암키를 구비하므로써 상기 수조인트의 외주연에 형성된 구멍과 암조인트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공을 간편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 볼트고정식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The joint of tremie pipe for underground and underwater concrete placing}
본 고안은 연속벽 또는 대구경 말뚝이나 그외 기타 지하콘크리트 타설 및 수중콘크리트 타설에 사용되는 트레미관 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미관과 트레미관의 연결부의 수밀성과 결합 및 분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조인트의 외주연에는 내측으로 직경이 좁아지도록 테이퍼진 구멍이 다수개 형성되고 그 구멍들의 하부에는 기밀을 위한 오링(O-ring)이 설치되며, 또한 상기 수조인트와 결합되는 암조인트의 외주연에는 상기 수조인트에 형성된 구멍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렌치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공이 다수개 형성되며, 이때 수조인트의 상부에는 수키를 구비하고 암조인트의 상부에는 암키를 구비하므로써 상기 수조인트의 외주연에 형성된 구멍과 암조인트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공을 간편하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한 볼트고정식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레미관은 일례로서 도 1과 같이 지반을 굴착하고 철근망을 삽입한 후 크레인을 사용하여 트레미관을 굴착된 파일내에 삽입된 철근망의 중심으로 삽입한 다음 레미콘차량 및 레미콘버켓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데 사용된다.
그런데, 일반적은 트레미관 조인트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트레미관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부착된 수조인트와 암조인트를 서로 결합한 후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수조인트 외주연에는 띠형태의 반원형 홈이 형성되고, 암조인트 내면에도 상기 수조인트의 외주연에 형성된 띠형태의 반원형 홈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띠형태의 반원형 홈이 형성되며, 또한 상기 암조인트에 형성된 띠형태의 반원형 홈의 양쪽에는 와이어를 일측에서 삽입한 후 타측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와이어 삽입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수조인트와 암조인트를 서로 결합시킨 후에 와이어를 암조인트의 일측 와이어 삽입공에 삽입하여 타측 와이어 삽입공으로 인출하므로써 도 4와 같이 수조인트와 암조인트가 와이어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 트레미관 조인트의 구조는 트레미관을 70~80m이상으로 연결하여 레미콘 타설시 와이어의 수직하중 지지능력이 저하되어 조인트가 서로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 역할을 하던 와이어가 찌그러지면서 조인트가 분리되므로써 작업자에게 심각한 위험이 초래될 뿐 아니라 작업이 지체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트레미관 조인트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와이어로 수조인트와 암조인트를 고정하던 방식을 볼트고정방식으로개량하여 트레미관과 트레미관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하여 트레미관을 70~80m이상 길게 연결하여 다량의 레미콘 타설을 하더라도 수직 및 수평 고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작업중에 조인트가 분리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렌치볼트를 풀거나 조이는 작업만으로 간단히 조인트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례로서 해상에서 수중콘크리트 타설작업시 통상적인 트레미관을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업설명도.
도 2는 트레미관의 상하 단부에 부착되어 트레미관과 트레미관을 결합시켜주는 종래의 트레미관 조인트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트레미관 조인트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종래 트레미관 조인트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상의 트레미관과 트레미관을 결합시켜주는 트레미관 조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상의 트레미관 조인트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상의 트레미관 조인트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상의 트레미관 조인트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트레미관 P. 파이프 C1. 수조인트 C2. 암조인트
2, 5. 몸체 3. 구멍 4. 오링(O-ring)
6. 나사공 7.암키 8. 수키 9. 렌치볼트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내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 진 구멍을 몸체의 외주연에 다수개 형성하고 그 구멍들의 하측에는 트레미관과 트레미관의 결합시 결합부의 기밀을 위해 오링을 설치하며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수키를 구비한 수조인트와; 몸체의 외주연에 상기 수조인트의 몸체 외주연에 형성한 구멍과 동일한 위치 및 동일한 개수로 다수개의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암키를 형성한 암조인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상의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는 원통형의 파이프(P)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조인트(C1)와 암조인트(C2)를 부착하는데, 먼저 상기 수조인트(C1)는 몸체(2)의 외주연에 다수개(도면상으로는 6개)의 내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원추형의 구멍(3)을 형성하고 그 구멍(3)들의 하측에는 트레미관(1)과 트레미관(1)을 결합시 결합부의 기밀을 위해 오링(O-ring)(4)을 설치하며, 상기 수조인트(C1)의 몸체(2) 상부에는 다음에 설명할 암조인트(C2)의 몸체(5)에 형성한 나사공(6)과 상기 수조인트(C1)의 몸체(2)에 형성한 구멍(3)을 간편하게 일치시키기 위하여 암조인트(C2)의 상부에 형성한 암키(7)에 삽입되는 수키(8)를 구비한다.
다음으로 상기 암조인트(C2)는 몸체(5)의 외주연에 상기 수조인트(C1)의 몸체(2)에 형성한 구멍(3)과 동일한 위치 및 동일한 개수로 나사공(6)을 형성하고, 상기 암조인트(C2)의 몸체(5) 상부에는 상기 수조인트(C1)의 몸체(2) 상부에 구비된 수키(8)가 삽입될 수 있도록 암키(7)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상의 트레미관 조인트의 작용을 이하에 설명한다.
다수개의 트레미관(1)을 연결시 원통형 파이프(P)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부착된 본 고안상의 수조인트(C1)와 암조인트(C2)를 서로 결합한 다음 하부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는 테이퍼진 원추형의 렌치볼트(9)를 암조인트(C2)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공(6)에 삽입하여 수조인트(C1)의 구멍(3)에 상기 렌치볼트(9)의 테이퍼진 부분이 삽입되도록 하므로써 수조인트(C1)와 암조인트(C2)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어 트레미관(1)과 트레미관(1)을 길게 연결하더라도 수평 및 수직 고하중을 충분히견딜 수 있으며 연결부의 수밀성이 우수하고 또한 렌치볼트(9)를 풀거나 조이는 작업만으로 간단히 트레미관을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해서, 트레미관과 트레미관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어 트레미관을 70~80m이상 길게 연결하더라도 수직 및 수평 고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고 작업중에 트레미관 조인트가 분리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렌치볼트를 풀거나 조이는 작업만으로 간단히 트레미관 조인트를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등 다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에 있어서,
    원통형의 파이프(P) 상부와 하부에 각각 수조인트(C1)와 암조인트(C2)를 부착하되,
    상기 수조인트(C1)는 몸체(2)의 외주연에 다수개의 내측으로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원추형의 구멍(3)을 형성하고 그 구멍(3)들의 하측에는 오링(O-ring)(4)을 설치하며, 상기 몸체(2) 상부에는 수키(8)를 구비하고;
    상기 암조인트(C2)는 몸체(5)의 외주연에 상기 수조인트(C1)의 몸체(2)에 형성된 구멍(3)과 동일한 위치 및 동일한 개수로 나사공(6)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5) 상부에는 암키(7)를 형성하여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인트(C1)와 암조인트(C2)를 서로 결합한 다음 하부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는 테이퍼진 원추형의 렌치볼트(9)를 암조인트(C2)의 외주연에 형성한 나사공(6)에 삽입하여 수조인트(C1)의 구멍(3)에 상기 렌치볼트(9)의 테이퍼진 부분이 삽입되게 하므로써 상기 수조인트(C1)와 암조인트(C2)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
KR20-2004-0026132U 2004-09-10 2004-09-10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 KR200370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32U KR200370626Y1 (ko) 2004-09-10 2004-09-10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32U KR200370626Y1 (ko) 2004-09-10 2004-09-10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626Y1 true KR200370626Y1 (ko) 2004-12-17

Family

ID=4944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132U KR200370626Y1 (ko) 2004-09-10 2004-09-10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6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6873769U (zh) 一种u形体钢筋连接器
KR100892593B1 (ko) 조립식 맨홀
KR200376610Y1 (ko) 토건용 유압랩 삽입 스크류잭
KR20060069419A (ko) 수밀성 및 가요성을 갖는 철근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박스암거와 이 암거의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0370626Y1 (ko) 지중 및 수중 콘크리트 타설용 트레미관 조인트
JP3788464B2 (ja) マンホール連結体
KR101715132B1 (ko) 상하수도용 분절형 맨홀의 조립식 시공방법
KR200376611Y1 (ko) 회전 브라켓을 가지는 토건용 유압랩 삽입 스크류잭
KR101708179B1 (ko) 안정성을 높인 케이슨 시공 방법
KR100306028B1 (ko) 강관말뚝 머리부와 콘크리트 기초의 결합구조
KR20080030427A (ko) 파이프 연결핀
KR200263625Y1 (ko) 콘크리트 타설깊이 조절형 강관파일 두부의 덮개구조
CN109881716B (zh) 地下综合管廊的抗浮装置
CN110468830A (zh) 一种快速锚锭桩及施工方法
JP2004204677A (ja) 鋼管建込み用治具および鋼管沈設方法
KR101738478B1 (ko) 콘크리트관 연결부재
JP2005127012A (ja) 土留用アンカー
CN215978053U (zh) 一种便于安装线缆的预制梁
JP6893949B2 (ja) 部材間の連結構造および連結方法
KR102654544B1 (ko)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KR102090902B1 (ko) 건축물 전기수직 배선구조
JPS6035649Y2 (ja) マンホ−ル
KR102469048B1 (ko)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관 연결구조
JP4722820B2 (ja) セグメント
CN211116992U (zh) 用于连接螺纹钢筋的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