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4544B1 -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4544B1
KR102654544B1 KR1020220093404A KR20220093404A KR102654544B1 KR 102654544 B1 KR102654544 B1 KR 102654544B1 KR 1020220093404 A KR1020220093404 A KR 1020220093404A KR 20220093404 A KR20220093404 A KR 20220093404A KR 102654544 B1 KR102654544 B1 KR 1026545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pipe
hole
tube bod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15478A (ko
Inventor
이원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9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4544B1/ko
Publication of KR2024001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4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4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34Arrangements for erecting or lowering towers, masts, poles, chimney stacks, or the like
    • E04H12/342Arrangements for stacking tower sections on top of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1 관재바디 및 상기 제1 관재바디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제1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제1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 관재와, 제2 관재바디 및 상기 제2 관재바디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제2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2 관재와, 상기 제1 볼트관통공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재와 상기 제2 관재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체결부재 파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관형지지물의 안전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TUBULAR STEEL POLE AND ITS JOINT METHOD}
본 발명은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선로 상에 설치되는 송전탑 등에 사용되는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조화형 송전용 철탑으로 사용되고 있는 가장 간단한 지지물 형태는 기둥(Pole) 형태를 주지지 방식으로 사용하는 관형 지지물 형태로, 이때 주기둥은 운반 및 설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모듈 형태로 분할하여 여러 개의 원통형 관재나 각형 관재를 연결하여 시공한다.
모듈 형태의 관재는 관형지지물 설치 시 관재가 받는 하중을 고려해 계산하여 분할된 형태로, 분할될 연결부는 현장에서 볼트 체결로 조립이 가능한 플랜지 조인트(Flange Joint) 연결 방식을 대표적으로 사용한다.
플랜지 조인트(Flange Joint) 방식은 이어져야할 두 관재에 플랜지가 용접 및 기타 방법으로 부착된 후 볼트 체결되는 형식으로, 겹쳐 끼워지는 부분의 중량 증가가 없으며 설계가 단순하다.
하지만 볼트 접합 연결을 위해 관재 끝부분에 플랜지 용접이 필요해 제작이 어렵고 용접 부위의 보강을 위해서 보강 플레이트가 추가로 필요하며, 이러한 플랜지 조인트 결합부는 관재에서 툭 튀어나와 보이기 때문에 매끄럽지 못한 표면을 지게 되어 외관상 미려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플랜지 조인트(Flange Joint)는 외부에서 볼트 조임 작업과 육안 점검이 가능한 장점이 있지만 외부 하중에 의해 힘이 집중되는 부위의 플랜지가 굽힘 등의 현상으로 벌어지려는 형태로 변형이 발생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플랜지 조인트 방식 관형지지물는 원통형의 제1 관재(1)에서 제1 관재바디(1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1 플랜지(1b)와, 원통형의 제2 관재(2)에서 제2 관재바디(2a)의 외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2 플랜지(2b)에 각각 볼트관통공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용 볼트(3)가 상기 볼트관통공을 각 관통하여 체결용 너트(4)와 결합된다.
그러나, 외부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제1 플랜지(1b)와 상기 제2 플랜지(2b)에 굽힘이 발생하므로 체결과정에서 사용된 볼트(3)에 높은 스트레스가 작용하여 볼트(3)가 파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슬립 조인트 방식의 관형지지물은, 개구가 형성된 일단으로부터 또 다른 개구가 형성된 타단으로 점차 증가하는 직경을 가지는 제1 관재(5)와, 개구가 형성된 일단으로부터 또 다른 개구가 형성된 타단으로 점차 증가하는 직경을 가지는 제2 관재(6)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관재(6)의 상단에 상기 제1 관재(5)의 하단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러나, 슬립 조인트 방식의 관형지지물에서 상기 제1 관재(5)와 상기 제2 관재(6)가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제2 관재(6)의 지름값의 1.5배 수준으로 상기 제1 관재(5)의 내측면과 상기 제2 관재(6)의 외측면이 겹쳐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45184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관형지지물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부와 하부 지지물을 연결하는 볼트가 외부 하중에 의하여 힘이 집중되면서 변형되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운반의 편의성을 향상하면서 조립방식이 단순화된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은, 제1 관재바디 및 상기 제1 관재바디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제1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제1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 관재; 및 제2 관재바디 및 상기 제2 관재바디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제2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2 관재; 상기 제1 볼트관통공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재와 상기 제2 관재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재는 말단이 상기 제1 볼트관통공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에 삽입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의 말단에 끼워지는 체결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재바디는 내측에 상기 제1 관재바디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 관재바디는 직경이 상기 제1 관재바디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2 관재바디는 일단이 상기 제1 관재바디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제2 관재바디는 직경이 상기 제1 관재바디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1 관재는 개구를 가진 일단으로부터 개구를 가진 타단으로 점차 증가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관재는 개구를 가진 일단으로부터 개구를 가진 타단으로 점차 증가하는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은 제1 관재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제1 걸림턱을 천공하여 제1 볼트관통공을 형성하는 제1 관재가공단계와, 제2 관재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제2 걸림턱을 천공하여 제2 볼트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 관재가공단계와, 상기 제1 관재의 일단과 상기 제2 관재의 일단을 접촉시키는 관재연결단계 및 상기 제1 관재와 상기 제2 관재가 체결되도록 체결볼트를 상기 제1 볼트관통공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삽입하는 체결볼트삽입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은 상기 체결볼트삽입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제1 볼트관통공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볼트의 말단에 체결너트를 결합시키는 체결너트결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에 의하면, 플랜지 조인트 연결 방식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체결부재 파단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관형지지물의 안전성이 개선되고 결합부의 구조적 건전성이 향상된다.
도 1은 종래의 볼트 결합형 관형지지물을 외측에서 바라본 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볼트 결합형 관형지지물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슬립 조인트 방식의 관형지지물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단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은, 제1 관재바디(11) 및 상기 제1 관재바디(11)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제1 볼트관통공(13)이 형성된 제1 걸림턱(12)을 포함하는 제1 관재(10)와, 제2 관재바디(21) 및 상기 제2 관재바디(21)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제2 볼트관통공(23)이 형성된 제2 걸림턱(22)을 포함하는 제2 관재(20), 상기 제1 볼트관통공(13)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23)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재(10)와 상기 제2 관재(20)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재(10)는 본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관재바디(11)와, 상기 제1 관재바디(11)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걸림턱(1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관재바디(11)는 예시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1 관재바디(11)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턱(12)은 상기 제1 관재바디(11)의 중심을 항하는 내측면에서 단수 또는 다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이 천공되어 제1 볼트관통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관재(20)는 본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 관재바디(21)와, 상기 제2 관재바디(21)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걸림턱(2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관재바디(21)는 예시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제2 관재바디(21)의 단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턱(22)은 상기 제2 관재바디(21)의 중심을 항하는 내측면에서 단수 또는 다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이 천공되어 제2 볼트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부재(30)는 상기 제1 관재(10)의 제1 볼트관통공(13)과 상기 제2 관재(20)의 제2 볼트관통공(23)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재(10)와 상기 제2 관재(20)를 일체로 고정시키므로 상기 제1 관재(10)와 상기 제2 관재(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체결부재(30)는 말단이 상기 제1 볼트관통공(13)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23)에 삽입되는 체결볼트(31)와, 상기 체결볼트(31)의 말단에 끼워지는 체결너트(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관재바디(21)의 내측에는 상기 제1 관재바디(11)의 일단이 끼워져 상기 제1 관재(10)와 상기 제2 관재(20)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관재바디(21)의 직경은 상기 제1 관재바디(11)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관재(20)의 내측면에 상기 제1 관재(10)가 끼워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은, 제1 관재(40)와 제2 관재(50)를 제외하고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에서 상기 제2 관재바디(51)의 일단이 상기 제1 관재바디(41)의 내측에 끼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제2 관재바디(51)의 직경은 상기 제1 관재바디(41)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2 관재(5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상기 제1 관재(40)의 내측면에 상기 제2 관재(50)가 삽입된다.
상기 제1 관재(40)는 개구를 가진 일단으로부터 개구를 가진 타단으로 점차 증가하는 직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1 관재(40)는 일단이 폐구되고 타단만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관재(40)의 양단이 모두 폐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재(50)는 개구를 가진 일단으로부터 개구를 가진 타단으로 점차 증가하는 직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관재(50)는 일단이 폐구되고 타단만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관재(50)의 양단이 모두 폐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재(40)는 본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관재바디(41)와, 상기 제1 관재바디(41)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걸림턱(4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걸림턱(42)은 상기 제1 관재바디(41)의 중심을 항하는 내측면에서 단수 또는 다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이 천공되어 제1 볼트관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관재(50)는 본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 관재바디(51)와, 상기 제2 관재바디(51)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걸림턱(5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2 걸림턱(52)은 상기 제2 관재바디(51)의 중심을 항하는 내측면에서 단수 또는 다수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앙이 천공되어 제2 볼트관통공(5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은, 제1 관재(10)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제1 걸림턱(12)을 천공하여 제1 볼트관통공(13)을 형성하는 제1 관재가공단계(S10)와, 제2 관재(20)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제2 걸림턱(22)을 천공하여 제2 볼트관통공(23)을 형성하는 제2 관재가공단계(S20)와, 상기 제1 관재(10)의 일단과 상기 제2 관재(20)의 일단을 접촉시키는 관재연결단계(S30) 및 상기 제1 관재(10)와 상기 제2 관재(20)가 체결되도록, 체결볼트(31)를 상기 제1 볼트관통공(13)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23)을 관통하도록 삽입하는 체결볼트삽입단계(S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재가공단계(S10)에서는 몰드 성형을 통하여 원통형의 제1 관재(1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1 걸림턱(12)을 천공하여 제1 볼트관통공(13)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관재(10)의 형성방법은 일반적으로 몰드에 콘크리트 등의 재료를 부어 굳히는 방법과 같은 공지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관재가공단계(S20)에서는 몰드 성형을 통하여 원통형의 제2 관재(2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 제2 걸림턱(22)을 천공하여 제2 볼트관통공(23)을 형성하며, 상기 제2 관재(20)의 형성방법은 일반적으로 몰드에 콘크리트 등의 재료를 부어 굳히는 방법과 같은 공지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관재연결단계(S30)에서는 개구가 형성된 상기 제1 관재(10)의 일단과 개구가 형성된 상기 제2 관재(20)의 일단이 마주보도록 연결하며, 상기 제2 관재(20)의 내측에 상기 제1 관재(10)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거나 상기 제1 관재(10)의 내측에 상기 제2 관재(20)의 일단이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삽입단계(S40)에서는 상기 제1 관재(10)와 상기 제2 관재(20)가 체결되도록, 체결볼트(31)를 상기 제1 볼트관통공(13)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23)을 관통하도록 삽입하며 상기 체결볼트(31)의 외측에 나사선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볼트관통공(13)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23)의 내측에 형성된 나사골과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체결볼트(31)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은, 상기 체결볼트삽입단계(S40)가 수행된 후, 상기 체결볼트(31)가 상기 제1 볼트관통공(13)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2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볼트(31)의 말단에 체결너트(32)를 결합시키는 체결너트결합단계(S50)를 더 포함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40 : 제1 관재
11. 41 : 제1 관재바디
12. 42 : 제1 걸림턱
13. 43 : 제1 볼트관통공
20. 50 : 제2 관재
21. 51 : 제2 관재바디
22. 52 : 제2 걸림턱
23. 53 : 제2 볼트관통공
30 : 체결부재
31 : 체결볼트
32 : 체결너트

Claims (10)

  1. 제1 관재바디 및 상기 제1 관재바디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제1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제1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 관재; 및
    제2 관재바디 및 상기 제2 관재바디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고 제2 볼트관통공이 형성된 제2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2 관재; 및
    상기 제1 볼트관통공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제1 관재와 상기 제2 관재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재바디는,
    내측에 상기 제1 관재바디의 일단이 끼워지고,
    상기 제2 관재바디는,
    직경이 상기 제1 관재바디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제2 관재바디의 내측에 상기 제1 관재바디의 일단이 끼워져 상기 제1 관재와 상기 제2 관재가 연결된 관형지지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말단이 상기 제1 볼트관통공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에 삽입되는 체결볼트; 및
    상기 체결볼트의 말단에 끼워지는 체결너트;
    를 포함하는 관형지지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재는,
    개구를 가진 일단으로부터 개구를 가진 타단으로 점차 증가하는 직경을 가지는 관형지지물.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재는,
    개구를 가진 일단으로부터 개구를 가진 타단으로 점차 증가하는 직경을 가지는 관형지지물.
  9. 제1 관재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제1 걸림턱을 천공하여 제1 볼트관통공을 형성하는 제1 관재가공단계;
    제2 관재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제2 걸림턱을 천공하여 제2 볼트관통공을 형성하는 제2 관재가공단계;
    상기 제1 관재의 일단과 상기 제2 관재의 일단을 접촉시키는 관재연결단계; 및
    상기 제1 관재와 상기 제2 관재가 체결되도록, 체결볼트를 상기 제1 볼트관통공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삽입하는 체결볼트삽입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재는,
    본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1 관재바디; 및
    상기 제1 관재바디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1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관재는,
    본체가 원통형으로 형성된 제2 관재바디; 및
    상기 제2 관재바디의 중심을 향하는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걸림턱;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관재바디의 내측에 상기 제1 관재바디의 일단이 끼워져 상기 제1 관재와 상기 제2 관재가 연결된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체결볼트삽입단계가 수행된 후, 상기 체결볼트가 상기 제1 볼트관통공과 상기 제2 볼트관통공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체결볼트의 말단에 체결너트를 결합시키는 체결너트결합단계;
    를 더 포함하는 관형지지물의 연결방법.
KR1020220093404A 2022-07-27 2022-07-27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KR102654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404A KR102654544B1 (ko) 2022-07-27 2022-07-27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3404A KR102654544B1 (ko) 2022-07-27 2022-07-27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478A KR20240015478A (ko) 2024-02-05
KR102654544B1 true KR102654544B1 (ko) 2024-04-05

Family

ID=89904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3404A KR102654544B1 (ko) 2022-07-27 2022-07-27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45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7900A1 (en) * 2009-08-24 2011-03-03 UC Solutions, LLC Modular Composite Utility Pole
KR101034857B1 (ko) 2010-10-08 2011-05-17 주식회사 보명 조립식 가로등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5184B1 (ko) 2005-09-21 2007-08-02 (주) 반도체 통신 조립이 용이한 전주
KR20120073788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포스코 풍력발전기용의 타워블럭형 풍력발전탑
KR20130121529A (ko) * 2012-04-27 2013-11-06 주식회사 동호 블록타입 자켓 구조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47900A1 (en) * 2009-08-24 2011-03-03 UC Solutions, LLC Modular Composite Utility Pole
US20150252565A1 (en) 2009-08-24 2015-09-10 Utility Composite Solutions International, Inc. Modular composite pole
KR101034857B1 (ko) 2010-10-08 2011-05-17 주식회사 보명 조립식 가로등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478A (ko) 202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8650B1 (en) Connecting device
JP4494129B2 (ja) 木質構造材による柱梁架構の接合工法及び接合構造
JP2016132868A (ja) 棒状金物
JP4741386B2 (ja) 木質構造材の接合工法および接合構造
KR100953995B1 (ko) 인장재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용 다구형 내부정착체
JP2011099278A (ja) 法面安定化用アンカーボルトの補修方法と補修具
KR102654544B1 (ko)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JP6243814B2 (ja) 鋼管杭継手構造
JP3115424U (ja) 鋼管杭の接続構造
KR101730006B1 (ko) 스틸튜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버팀보
JP4081602B2 (ja) 鋼コンクリート合成構造と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の接合部構造
KR20180007292A (ko) Phc 말뚝 연결장치
JP4452060B2 (ja) 鋼管杭頭部の接合構造および鋼管杭頭部の施工方法
KR101942456B1 (ko) 앵커 볼트
JP2006342497A (ja) 鉄骨柱脚の基礎構造
KR102105232B1 (ko) 강관 말뚝에 밀착되는 가설벤트 연결용 강관 말뚝 캡
KR200245405Y1 (ko) 강관말뚝 두부 결합구
KR20200061847A (ko) 좌굴과 비틀림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킨 버팀보 어셈블리
CN111719771A (zh) 一种地下室箱型钢柱安装临时固定方法
JP4886763B2 (ja) ガイドピン
JP2018003294A (ja) 杭状物の連結継手及び杭状物の連結体
KR102645328B1 (ko) 관형지지물 및 이의 연결방법
KR200337822Y1 (ko) 체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스페이스 프레임의 연결구조
CN215331398U (zh) 一种钢管脚手架连墙构件
CN109736486B (zh) 一种预制外墙的挂装点安全构造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