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554Y1 -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554Y1
KR200370554Y1 KR20-2004-0027392U KR20040027392U KR200370554Y1 KR 200370554 Y1 KR200370554 Y1 KR 200370554Y1 KR 20040027392 U KR20040027392 U KR 20040027392U KR 200370554 Y1 KR200370554 Y1 KR 200370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groove
slip member
slip
sho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3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승
Original Assignee
김덕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승 filed Critical 김덕승
Priority to KR20-2004-00273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5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22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 A43B13/24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 A43B13/26Soles made slip-preventing or wear-resisting, e.g. by impregnation or spreading a wear-resisting layer by use of insertions projecting beyond the sole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 미끄럼 방지부재를 신발의 밑창 및 굽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돌기부(11b)가 신발 밑창(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안내 홈(10)에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삽입하고, 또한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안내 홈(10)으로부터 빼내어, 돌기부(11b)가 신발 밑창(2)의 내측을 향하도록 뒤집어 다시 안내 홈(10)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신발 밑창(2)의 안내 홈(20)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되지만,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신발 굽(3)에 형성되어 있는 별도의 수납부(3a) 내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Shoes having members for preventing from slipping}
본 고안은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 미끄럼 방지부재를 신발의 밑창 및 굽 내부에 보관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겨울철과 같이 추운 계절에 눈이나 비가 온 다음 추워지면 거리는 온통 빙판길이 되어 버리는 데, 이때 미끄러져 넘어질 뻔하거나, 넘어져서 부상을 입는 등의 위험으로부터 보행인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신발의 바닥에 간단하게 부착하여 추운 계절 동안 사용할 수 있게 한 여러 가지의 미끄럼 방지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통상 이와 같은 미끄럼 방지장치는, 신발 밑창에 돌기를 고정적으로 형성하거나 고무 혹은 광물 파석가루로 이루어진 미끄럼 방지층을 접착시키는 방식과, 아이젠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평상시에는 보행자의 가방 등에 넣어 휴대하고 다니다가 필요할 때 꺼내어 신발 밑창에 벨트 등을 이용하여 부착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돌기나 미끄럼 방지층을 신발 밑창에 고정 혹은 접착시키는 방식은 평상시에는 오히려 보행에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마모되어 버리거나 떨어져 버릴 우려가 있었다. 한편, 아이젠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필요할 때 신발 밑창에 부착시키는 방식은 항상 휴대하기에 불편하고 무거우며 착용시 벨트를 강하게 조이지 않으면 벨트가 풀리거나 흔들리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평상시에는 신발의 밑창 및 굽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필요시 꺼내어 신발의 밑창 바닥면에 장착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눈길 혹은 빙판길에서 착용자가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미끄럼 방지부재를 사용중인 상태를 도시한 신발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미끄럼 방지부재를 보관중인 상태를 도시한 신발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를 사용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한 신발의 바닥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한 신발의 측면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의 다양한 변형예의 사시도,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의 다양한변형예를 사용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
도 10은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사용중 이탈방지 및 착탈시의 편의를 위한 고정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라서, 밑창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안내 홈과, 상기 안내 홈에 끼워지는 미끄럼 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 홈은 신발의 보행시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상기 안내 홈에 슬라이딩 식으로 끼워지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 홈의 단면 형상은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돌기부가 신발 밑창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안내 홈에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를 삽입하고,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를 안내 홈으로부터 빼내어, 상기 돌기부가 신발 밑창의 내측을 향하도록 뒤집어 다시 상기 안내 홈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이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밑창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안내 홈과, 상기 안내 홈에 끼워지는 미끄럼 방지부재와, 신발 굽에 형성된 보관구멍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 홈은 신발의 보행시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상기 안내 홈에 슬라이딩 식으로 끼워지는 몸체부와, 이 몸체부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 홈의 단면 형상은 돌기부를 제외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몸체부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관구멍의 단면 형상은 돌기부를 포함하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전체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신발 밑창의 안내 홈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되지만,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신발 굽에 형성되어 있는 별도의 수납부 내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미끄럼 방지부재를 사용중인 상태를 도시한 신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미끄럼 방지부재를 보관중인 상태를 도시한 신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를 사용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에 따른 신발의 바닥면을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은, 밑창(2)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안내 홈(10)을 가지고 있다. 상기 안내 홈(10)은 밑창(2) 전방부분의 보행시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적어도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성위치 및 형성개수에 의해서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내 홈(10)에는 미끄럼 방지부재(11)가 끼워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는 상기 안내 홈(10)에 슬라이딩 식으로 끼워지는 몸체부(11a)와, 이 몸체부(11a)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11b)로 이루어진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는 전체적으로 육각형상 단면을 이루는 몸체부(11a)에 톱니 형상의 돌기부(1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몸체부(11a)는 좌우방향 폭이 상하방향 높이보다 약간 큰 값을 가지는 육각형으로서, 이는 상기 몸체부가 정육각형일 경우 사용중 안내 홈(10) 내에서 회전되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안내 홈(10)의 단면 형상은,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내 홈(10)의 단면 형상은,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의 몸체부(11a)와 동일한 육각형상을 가지는 동시에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의 돌기부(11b)가 삽입될 수 있는오목부(10b)를 가진다.
이하,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끄럼 방지부재(11)가 안내 홈(10)에 삽입되어 사용 혹은 보관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는 안내 홈(10)에 각각 하나씩 삽입된다. 이 때 상기 안내 홈(10)은 신발 밑창(2)의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을 폐쇄하여 이 폐쇄된 부분에 구형의 걸림부(10a)를 형성하는 동시에 미끄럼 방지부재(11)의 일측에 상기 걸림부(10a)에 상응하는 구형상의 돌기(11c)를 형성하고, 이들 돌기(11c) 및 걸림부(10a)의 탄성결합에 의해서 미끄럼 방지부재(11)가 안내 홈(1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 방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 및 걸림부의 탄성결합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자석이나 기존의 스냅단추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지면이 미끄러워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1b)가 신발 밑창(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안내 홈(10)에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삽입한다. 또,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안내 홈(10)으로부터 빼내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부(11b)가 신발 밑창(2)의 내측을 향하도록 뒤집어 다시 상기 안내 홈(10)에 삽입한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부재(11)가 안내 홈(10) 내에 삽입되어 사용(실선으로 도시) 혹은 보관(점선으로 도시)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에 의하면, 미끄럼 방지부재(11)가 사용되는지의 여부와 관계없이 안내 홈(10) 내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 홈(10) 내에 흙이나 작은 돌 등의 이물질이 끼어 들어가지 않는다.
이하, 도 6 내지 도 9d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을 설명한다. 설명은 제2 실시예와 상술한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며,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한 신발의 바닥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를 구비한 신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a 내지 도 8d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의 다양한 변형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a 내지 도 9d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의 다양한 변형예를 사용중인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밑창(2)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안내 홈(20)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안내 홈(20)은 밑창(2) 전방부분의 보행시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적어도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형성위치 및 형성개수에 의해서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안내 홈(20)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가 끼워져 사용된다.
또한, 상술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제2 실시예에 따라서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은, 굽(3)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관구멍(3a)을 가지고 있다. 상기 보관구멍(3a)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가 끼워져 보관된다.
상기 안내 홈(20)과 상기 보관구멍(3a)은 다양한 형상의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 중 해당되는 미끄럼 방지부재(도 6 및 도 7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미끄럼 방지부재(21)를 사용하는 것으로 도시함)의 단면형상에 상응하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는 상기 안내 홈(20)에 슬라이딩 식으로 끼워지는 몸체부(21a 내지 24a)와, 이 몸체부(21a 내지 24a)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21b 내지 24b)로 이루어진다.
도 8a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부재(21)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을 이루되 빗변이 오목하게 형성된 단면형상을 가지는 몸체부(21a)에 톱니 형상의 돌기부(2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8b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부재(22)는 전체적으로 T자형 단면을 이루고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길쭉한 직사각형 몸체부(22a)에 톱니 형상의 돌기부(22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도 8c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부재(23)는, 비교적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사다리꼴 형상 단면을 이루고 있으며, 몸체부(23a)와 톱니 형상의 돌기부(23b) 사이가 별도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화되어 이루어진다.
도 8d에 도시된 미끄럼 방지부재(24)는, 비교적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사다리꼴 형상 단면을 이루는 기다란 몸체부(24a)에 톱니 형상의 돌기부(24b)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 홈(20)의 단면 형상은,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의 몸체부(21a 내지 24a)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관구멍(3a)의 단면 형상은, 돌기부(21b 내지 24b)를 포함하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의 전체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에 의하면,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가 사용되지 않는 동안에 안내 홈(20) 내에 흙이나 작은 돌 등의 이물질이 끼어 들어가지 않도록, 돌기부(21b 내지 24b)를 제외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별도의 끼움부재(도시생략)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안내 홈(20)에 끼워져 이물질이 안내 홈(20)에 끼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신발 굽(3)의 보관구멍(3a)에 끼워져 보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와 상기 끼움부재를 서로 바꿔 끼움으로써 안내 홈(20)과 보관구멍(3a)에 이물질이 끼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미끄럼 방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돌기 및 걸림부의 탄성결합을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자석이나 기존의 스냅단추 등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사용중 이탈방지 및 착탈시의 편의를 위한 고정유닛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 21 내지 24)의 일측면에 선회축(31)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부(32)와, 이 고리부(32)가 걸리도록 신발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3)로 이루어진다.
도 10에는 미끄럼 방지부재에 고리부가 결합되고 신발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역으로 미끄럼 방지부재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신발에 고리부가 결합되어도 좋다.
상기 고정유닛으로서는, 상술한 고리를 이용하는 것 이외에도,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사용중 안내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를 안내 홈에 착탈시킬 때 편리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다면, 스냅단추, 벨크로 테이프 등 공지된 다른 어떠한 구조라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의 돌기부(11b, 21b 내지 24b) 선단표면에는 미끄러짐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종방향,횡방향 혹은 임의의 방향 및 형상으로 요철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신발의 밑창 및 굽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가 필요시 꺼내어 신발의 밑창 바닥면에 장착하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눈길 혹은 빙판길에서 착용자가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이 제공된다.

Claims (6)

  1. 밑창(2)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안내 홈(10)과, 상기 안내 홈(10)에 끼워지는 미끄럼 방지부재(1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 홈(10)은 신발의 보행시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는 상기 안내 홈(10)에 슬라이딩 식으로 끼워지는 몸체부(11a)와, 이 몸체부(11a)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11b)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 홈(10)의 단면 형상은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돌기부(11b)가 신발 밑창(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안내 홈(10)에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삽입하고, 또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를 안내 홈(10)으로부터 빼내어, 상기 돌기부(11b)가 신발 밑창(2)의 내측을 향하도록 뒤집어 다시 상기 안내 홈(10)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2. 밑창(2)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안내 홈(20)과, 상기 안내 홈(20)에 끼워지는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와, 신발 굽(3)에 형성된 보관구멍(3a)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안내 홈(20)은 신발의 보행시 지면과 맞닿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는 상기 안내 홈(20)에 슬라이딩 식으로 끼워지는 몸체부(21a 내지 24a)와, 이 몸체부(21a 내지 24a)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21b 내지 24b)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 홈(20)의 단면 형상은 돌기부(21b 내지 24b)를 제외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의 몸체부(21a 내지 24a)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관구멍(3a)의 단면 형상은 돌기부(21b 내지 24b)를 포함하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의 전체 단면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신발 밑창(2)의 안내 홈(20)에 끼워진 상태로 사용되지만, 사용되지 않을 때에는 신발 굽(3)에 형성되어 있는 별도의 수납부(3a) 내에 삽입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는,
    전체적으로 삼각형상을 이루되 빗변이 오목하게 형성된 단면형상을 가지는몸체부(21a)에 톱니 형상의 돌기부(21b)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재(21),
    전체적으로 T자형 단면을 이루고 있으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길쭉한 직사각형 몸체부(22a)에 톱니 형상의 돌기부(22b)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재(22),
    비교적 폭이 좁고 높이가 높은 사다리꼴 형상 단면을 이루고 있으며, 몸체부(23a)와 톱니 형상의 돌기부(23b) 사이가 별도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재(23), 그리고
    비교적 폭이 넓고 높이가 낮은 사다리꼴 형상 단면을 이루는 기다란 몸체부(24a)에 톱니 형상의 돌기부(24b)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재(2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돌기부(21b 내지 24b)를 제외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단면형상을 가지는 별도의 끼움부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를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안내 홈(20)에 끼워져 이물질이 안내 홈(20)에 끼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신발 굽(3)의 보관구멍(3a)에 끼워져 보관되며,
    그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21 내지 24)와 상기 끼움부재를 서로 바꿔 끼움으로써 안내 홈(20)과 보관구멍(3a)에 이물질이 끼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10, 20)은 신발 밑창(2)의 전체 폭에 걸쳐서 형성되지 않고 일측을 폐쇄하여 이 폐쇄된 부분에 구형의 걸림부(10a)를 형성하는 동시에 미끄럼 방지부재(11, 21 내지 24)의 일측에 상기 걸림부(10a)에 상응하는 구형상의 돌기(11c)를 형성하고, 이들 돌기(11c) 및 걸림부(10a)의 탄성결합에 의해서 미끄럼 방지부재(11, 21 내지 24)가 안내 홈(10, 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 21 내지 24)의 사용중 이탈방지 및 착탈시의 편의를 위하여 고정유닛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11, 21 내지 24)의 일측면에 선회축(31)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리부(32)와, 이 고리부(32)가 걸리도록 신발의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결합돌기(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KR20-2004-0027392U 2004-09-23 2004-09-23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KR200370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392U KR200370554Y1 (ko) 2004-09-23 2004-09-23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392U KR200370554Y1 (ko) 2004-09-23 2004-09-23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76386A Division KR100631151B1 (ko) 2004-09-23 2004-09-23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554Y1 true KR200370554Y1 (ko) 2004-12-14

Family

ID=49442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392U KR200370554Y1 (ko) 2004-09-23 2004-09-23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55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1151B1 (ko)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CA2566875A1 (en) Footwear outsole and reversible attachment therefor
US20080022555A1 (en) Anti-slip overshoe
JPH11206403A (ja) ゴルフシューズ及びそのスパイク
US7152344B2 (en) Anti-skid boot having crampon
US8291620B2 (en) Ski boot sole guard
KR200370554Y1 (ko) 미끄럼 방지부재가 구비된 신발
KR20130000751U (ko) 미끄럼방지 덧신
KR100981876B1 (ko) 신발용 미끄럼 방지구
JP3227134B2 (ja) 釣り兼登山靴
KR200143906Y1 (ko) 신발의 미끄럼방지구
KR200278194Y1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KR101118356B1 (ko) 신발용 미끄럼 방지구
KR20030062655A (ko) 미끄럼방지구가 형성된 신발
KR200229762Y1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JP3184484U (ja) 靴用滑り止め具
KR200346309Y1 (ko) 미끄럼 방지 신발
KR200310780Y1 (ko) 겨울철 미끄럼 방지용 신발의 요철커버 구조
KR200377051Y1 (ko) 아이젠
KR200301651Y1 (ko)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가지는 신발
KR200198095Y1 (ko) 스노우 퀵
KR200327102Y1 (ko) 동절기 빙판길 미끄럼 방지기구
JP3020680U (ja) 着脱式簡易スパイク
JP2003070508A (ja) 靴の滑り止め係止具
KR200206131Y1 (ko) 아이젠이 구비된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