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413Y1 - 수납용 상자 - Google Patents

수납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413Y1
KR200370413Y1 KR20-2004-0027520U KR20040027520U KR200370413Y1 KR 200370413 Y1 KR200370413 Y1 KR 200370413Y1 KR 20040027520 U KR20040027520 U KR 20040027520U KR 200370413 Y1 KR200370413 Y1 KR 200370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storage box
plate
side plates
base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5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일
Original Assignee
윤석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일 filed Critical 윤석일
Priority to KR20-2004-00275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4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polygonal cross-section and all parts being permanen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20Details of walls made of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을 보관시 그 수용공간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이 가능한 수납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사방(四方) 가장자리에 각각 수평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짐이 가능하게 회동되도록 두께가 좁아지는 연결부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과;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의 상단부에 각각 수평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짐이 가능하게 회동되도록 두께가 좁아지는 연결부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과;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의 양측부 및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의 양측부에 인접하는 기본측판끼리 세워져 지지되게 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물의 크기에 따라 수납용 상자의 수납공간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수의 수납용 상자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각 바닥판 및 측판이 단 1회의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하므로 금형한벌로 완성품을 제조하게 되어 금형비용의 절감효과가 있고, 여타 후속작업이 필요없어 작업능률의 향상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납용 상자 { Acceptance box }
본 고안은 수납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펼쳐진 상태로 다수개를 적층된 형태로 보관이 가능하여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고, 내용물의 양에 따라 그 수납공간의 크기를 조절이 가능한 수납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료품이나 각종 공산품 등을 넣어 보관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수납용 상자가 많이 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일반적인 수납용 상자는 바닥판의 사방 가장자리에 수직 상방향으로 연장되게 측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이와같은 구조에 의하면, 수납용 상자의 수납공간에 내용물이 채워져 보관시 그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내용물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수납용 상자가 불필요하게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내용물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별도의 수납용 상자를 더 사용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수납용 상자를 보관 용도로 사용중인 경우에는 상관없으나, 내용물이 없는 상태로 일정장소에 보관시에는 그 수납용 상자의 부피변화가 없기 때문에 다수의 수납용 상자를 일정장소에 보관시에는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물론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그 측판을 분해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바닥판과 완전 분해 되도록 구성되는 수납용 상자가 있으나, 이는 측판과 바닥판을 별도로 사출성형하므로 다수의 금형이 필요하고, 수납용 상자를 조립시에 그 위치를 잘 확인하여 조립하여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번거롭고, 그 수량이 정확하게 일치해야 하므로 분해 후 부품의 분실이 많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리를 잘해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용물을 적재하지 않는 동안에는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다수를 적재하여 적재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가 가능하도록 제조되되, 그 내용물의 부피에 따라 그 수납공간의 크기를 용도에 맞게 조절이 가능한 수납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립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편한 수납용 상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펼친 상태대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수납상자의 수납공간을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수납상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펼친 상태대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따른 수납용 상자의 측판끼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펼친 상태대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수납용 상자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지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수납용 상자 10; 바닥판
12,12',12"; 연결부 20,22,24,26; 기본측판
21; 고정돌기 30,32,34,36;연장측판
31; 끼움공 40; 걸림편
42; 걸림돌기 46; 고정홀
50; 돌출편 52; 고정홀
60; 엘리먼트 61,61'; 지퍼테이프
62; 슬라이더
본 고안은 수납용 상자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상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사방(四方) 가장자리에 각각 수평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짐이 가능하게 회동되도록 두께가 좁아지는 연결부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과;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의 상단부에 각각 수평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짐이 가능하게 회동되도록 두께가 좁아지는 연결부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과;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의 양측부 및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의 양측부에 인접하는 기본측판끼리 세워져 지지되게 하는 결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기본측판 및 제3 기본측판과 그 상단부에 연장되는 제1 연장측판 및 제3 연장측판의 양측단부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을 회동가능한 연결부에 의해 연장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2 기본측판 및 제4 기본측판과 그 상단부에 연장되는 제2 연장측판 및 제4 연장측판의 양측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지거나; 상기 제1 기본측판 및 제3 기본측판과 그 상단부에 연장되는 제1 연장측판 및 제3 연장측판의 양측단부에 돌출편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측판 및 제4 기본측판과 그 상단부에 연장되는 제2 연장측판 및 제4 연장측판의 양측부에는 상기 돌출편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돌출편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홀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지퍼(zipp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기본측판 및 제3 기본측판의 내부면 양측부에는 상기 제2 기본측판 및 제 4측판의 양측단부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턱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판에는 상기 바닥판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을 가로지르며 그 면상에 돌출형성되는 리브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 각각의 외부면에는 외향하는 고정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에는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과 포개어지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질 수 있는 하나이상의 끼움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펼친 상태대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조립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수납상자의 수납공간을 확대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수납상자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펼친 상태대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도 6에 따른 수납용 상자의 측판끼리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수납용 상자를 펼친 상태대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따른 수납용 상자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지퍼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 상자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따르면, 수납용 상자(1)는 일반적인 내용물이 놓여질 수 있는 수납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4각 판상의 바닥판(10)과, 그 바닥판(10)의 사방의 가장자리를 따라 판의 두께가 좁아지는 연결부(12)가 형성되어 수평 및 수직하게 회동가능한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상단부에는 각각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이 연결부(12')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바닥판(10)과,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 및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은 일체로 PE(polyethylene)와 같은 플라스틱재를 1회 사출성형하여 완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 및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의 각각의 양측단부에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 및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을 각각 세운후 인접한 측판들끼리 예를 들면 제1 기본측판(20)과 제2 기본측판(22)이 서로 지지될수 있도록 그 단부를 서로 결합시켜주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요소들을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바닥판(10)은 4각 형상으로 상기 바닥판(10)의 가장자리에는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이 연장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바닥판(15)의 가장자리에는 마주하며 서로 대응되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한쌍의 제1 및 제3 기본측판(20,24)이 형성되고, 나머지 가장자리에는 제2 및 제4 기본측판(22,26)이 형성되는데, 이들은 일정하게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 재질의 플라스틱이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일단부와 바닥판(10)의 가장자리는 두께가 좁아지는 연결부(12)로 연결되어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이 수평상태에서 90°수직하게 세워지도록 회동이 가능하다.
이와같은 바닥판(10)의 상면에는 그 바닥판(10) 자체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그 면상에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가로지르는 리브(10a)가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다수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걸림돌기(42)가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40)을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에 형성하고, 고정홀(46)은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의 양측면에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을 모두 90°로 세운 상태로 서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걸림편(40)은 90°로 세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이 역시 연결부(12")로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에 각각 연결 형성되고, 상기 제1 기본측판(20)및 제3 기본측판(24)의 양측단부와 인접하는 상기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의 양측단부에는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걸림편(40)의 걸림돌기(42)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46)이 각각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42)는 구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고정홀(46)은 상기 걸림돌기(42)기 끼워지쪽에서 안착되는 곳으로 경사지게 돌출턱(36a)을 형성하여 결합은 용이하나 분리시에는 돌출턱(46a)에 걸려 분리가 용이하지 않게 하여 내용물을 채운상태에서 측판들 상호간에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의 양측부에는 상기 고정홀(46)이 형성되는 위치에 보강판(23)이 더 형성되어 측판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의 양측부에는 상기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의 양측단부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는 끼움턱(14,14')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42)를 고정홀(46)에 끼우기 전에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의 끼움턱(14,14') 사이에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의 양측단부를 끼우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상단부에는 연장되게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이 좁아지는 연결부(12')에 의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연장측판(30) 및 제3 연장측판(34)의 내측면 양측부에는 상기 제2연장측판(32) 및 제4 연장측판(36)의 양측단부가 끼워져 안착될 수 있는 끼움턱(14,14')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42)를 고정홀(46)에 끼우기 전에 제1 연장측판(30) 및 제3 연장측판(34)의 끼움턱(14,14')에 제2 연장측판(32) 및 제4 연장측판(36)의 양측단부를 끼우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공간을 작게 형성하여 사용시에는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외측면과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의 외측면이 서로 맞닿아 겹쳐지게 된다.
따라서 수납용 상자(1)의 수납공간을 확장하고 싶은 경우에는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을 완전히 펼친 상태에서 각각의 걸림돌기(42)를 대응되는 고정홀(46)에 각각 끼워주면 된다. 이때 상기 제1 연장측판(30) 및 제3 연장측판(34)의 양측부에도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에 형성되는 끼움턱(14,14')이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2 연장측판(32) 및 제4 연장측판(36)의 양측단부가 끼워져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외측면에는 면상에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에는 수납공간을 적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이 저친 상태인 경우 상기 고정돌기(21)가 끼워지도록 끼움공(31)이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하 상기 수납용 상자의 조립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수납용 상자(1)는 완전 펼쳐진 상태로 1회 사출성형되어 있는 상태로서 바닥판(10)의 가장자리에 연장 형성되는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을 수직으로 먼저 세운 상태에서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을 세우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의 양측부에 형성되는 끼움턱(14,14')에 상기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의 양측단부를 끼우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의 양측단부에 연결부(14")에 의해 연결 형성되는 걸림편(40)을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의 외측면에 포개어지도록 90°회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걸림편(40)의 판상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걸림돌기(42)를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의 고정홀(46)에 끼우게 되면, 수납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내용물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용 상자(1)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수납용 상자(1)의 수납공간을 크게 하기 위해서는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을 마저 세운후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을 결합시키는 것과 동일한 원리를 이용하여 조립하면 더욱 큰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용 상자(1)의 내용물이 없는 상태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걸림돌기(42)를 고정홀(46)에서 분리하고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을 바닥판(10)과 동일하게 수평으로 젖히고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을 다음으로 젖히면 완전히 펼쳐진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 상자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따르면,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측판을 사용하되 그 결합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상기 결합부는 돌출편(50)을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에 형성하고, 상기 돌출편(50)이 끼워질 수 있는 고정홀(52)을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에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의 양측단부에는 돌출편(5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의 양측부에는 상기 돌출편(50)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홀(52)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50)이 상기 고정홀(52)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홀(52)은 끼워지는 경우 입구(52a) 일측에 걸림턱(52b)을 형성하여 상기 돌출편(50)이 끼워진 후 빠지지 않도록 하여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2 기본측판(22)이 형상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작용하게 되는 경우 상기 고정홀(52)에서 빠져나오지 않고 고정됨을 알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의 외측면에 걸림돌기(2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상단부에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에 상기 걸림돌기(21)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31)이 형성됨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용 상자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따르면, 이 역시 상기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측판을 사용하되 그 결합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그 결합부를 지퍼(zipper)(59)로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퍼(59)는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엘리먼트(60)가 재봉사에 의해 결합되는 길게 형성되는 2개의 지퍼테이프(61,61')와 상기 지퍼테이프(61,61') 사이를 왕복하면서 상기 엘리먼트(60)끼리 서로 맞물리거나 해제되도록 하는 슬라이더(6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엘리먼트(60)와 슬라이더(62)는 그 재질이 금속·나일론·플라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같은 지퍼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그 엘리먼트(60)가 고정되는 지퍼테이프(61,61')를 금형(미도시됨)에 고정하고 이에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수납용 상자(1)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엘리먼트(60)가 결합된 지퍼테이프(61,61')는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양측단부에서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의 양측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지퍼테이프(61,61')중에 어느 한쪽에만 슬라이더(62)를 구비하는 오픈타입의 지퍼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상단부까지만 손잡이(64)를 잡아당겨 지퍼의 슬라이더(62)를 올리는 경우에는 적은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을 모두 세우는 경우에는 더욱더 큰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용 상자(1)를 내부에 내용물이 없이 그냥 보관하는 경우에는 지퍼의 슬라이더(60)만 간단히 내린 상태로 펼치게 되어 여러개를 적층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의 외측면에 걸림돌기(21)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상단부에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에 상기 걸림돌기(21)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공(31)이 형성됨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내용물의 크기에 따라 수납용 상자(1)의 수납공간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다수의 수납용 상자를 구입할 필요가 없어 경제적이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각 바닥판 및 측판이 단 1회의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하므로 금형한벌로 완성품을 제조하게 되어 금형비용의 절감효과가 있고, 여타 후속작업이 필요없어 작업능률의 향상효과가 있다.

Claims (7)

  1. 사각형상의 바닥판(10)과;
    상기 바닥판의 사방(四方) 가장자리에 각각 수평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짐이 가능하게 회동되도록 두께가 좁아지는 연결부(12)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과;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상단부에 각각 수평으로 펼쳐지거나 또는 수직 방향으로 세워짐이 가능하게 회동되도록 두께가 좁아지는 연결부(12')로 연결되는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과;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의 양측부 및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의 양측부에 인접하는 측판끼리 세워져 지지되게 하는 결합부;가 일체로 사츨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상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과 그 상단부에 연장되는 제1 연장측판(30) 및 제3 연장측판(34)의 양측단부에 걸림돌기(42)가 돌출 형성되는 걸림편(40)을 회동가능한 연결부(12")에 의해 연장되게 형성하고, 상기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과 그 상단부에 연장되는 제2 연장측판(32) 및 제4 연장측판(36)의 양측부에는 상기 걸림돌기(42)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홀(46)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상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과 그 상단부에 연장되는 제1 연장측판(30) 및 제3 연장측판(34)의 양측단부에 돌출편(50)이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2 기본측판(22) 및 제4 기본측판(26)과 그 상단부에 연장되는 제2 연장측판(32) 및 제4 연장측판(36)의 양측부에는 상기 돌출편(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돌출편(50)에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홀(5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상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지퍼(59)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상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본측판(20) 및 제3 기본측판(24)의 내부면 양측부에는 상기 제2 기본측판(22) 및 제 4측판(26)의 양측단부가 중간에 끼워질 수 있는 끼움턱(14,1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상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10)에는 상기 바닥판(10)의 뒤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10)을 가로지르며 그 면상에 돌출형성되는 리브(10a)가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상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 각각의 외부면에는 외향하는 고정돌기(21)가 하나 이상 형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연장측판(30,32,34,36)에는 제1 내지 제4 기본측판(20,22,24,26)과 포개어지는 경우 상기 고정돌기(21)가 끼워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끼움공(31)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용 상자.
KR20-2004-0027520U 2004-09-24 2004-09-24 수납용 상자 KR200370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20U KR200370413Y1 (ko) 2004-09-24 2004-09-24 수납용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20U KR200370413Y1 (ko) 2004-09-24 2004-09-24 수납용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413Y1 true KR200370413Y1 (ko) 2004-12-14

Family

ID=49442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520U KR200370413Y1 (ko) 2004-09-24 2004-09-24 수납용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4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7636A (zh) * 2018-06-21 2018-09-28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便于操作的日常生活用品放置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77636A (zh) * 2018-06-21 2018-09-28 安徽商贸职业技术学院 一种便于操作的日常生活用品放置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83757U (ja) 包装箱
JP6955776B2 (ja) 容器装置
EP2091827B1 (en) Box with collapsible walls designed to stack a corresponding box with lower dimensions
JP4582589B2 (ja) 組立式合成樹脂製容器
US20040232145A1 (en) Packaging system
KR200398276Y1 (ko) 물품 포장용 상자
KR101926420B1 (ko) 절첩식 상자
KR200370413Y1 (ko) 수납용 상자
JP5681927B2 (ja) 運搬用容器
KR20120050129A (ko) 시건수단을 갖는 접이식 포장상자
JP4121517B2 (ja) コンテナのスタック構造
KR101597738B1 (ko) 수납박스
KR102074270B1 (ko) 절첩식 상자
JP2017149462A (ja) 食品包装用容器
KR101266847B1 (ko) 절첩식 상자
JP2022521677A (ja) 簡単にされた形状を有する折り畳み可能なパッケージ
EP3392159A1 (en) Stackable box
KR200480217Y1 (ko) 테이블 겸용 수납박스
KR200373841Y1 (ko) 플라스틱제의 접철식 상자
KR101963161B1 (ko) 경량 절첩상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65748B1 (ko) 포장 용기
JPH07289363A (ja) 組立収納ケースにおける組立構造
JP3554843B2 (ja) 台枠を備えた組立収納ケース
KR200373835Y1 (ko) 플라스틱제의 접철식 상자
JP7114062B2 (ja) 折り畳み収納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