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377Y1 -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지지구 - Google Patents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377Y1
KR200370377Y1 KR20-2004-0026189U KR20040026189U KR200370377Y1 KR 200370377 Y1 KR200370377 Y1 KR 200370377Y1 KR 20040026189 U KR20040026189 U KR 20040026189U KR 200370377 Y1 KR200370377 Y1 KR 200370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welding
concave
protrusion
conv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무수
Original Assignee
정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무수 filed Critical 정무수
Priority to KR20-2004-0026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3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37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2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 B23K9/035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with backing means disposed under the seam
    • B23K9/0356Seam welding; Backing means; Inserts with backing means disposed under the seam the backing means being a tape or stri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렬로 배열되는 세라믹모재의 볼록형 둥근면과 오목형 둥근면으로 연결되는 둥근결합면의 상부단은 양쪽 세라믹모재가 수평상태에서 볼록형 둥근면의 함입부와 오목형 둥근면의 돌출부를 얇은 두께로 하여 함입부와 돌출부가 상접되도록 형성시켜서 평면용접이 가능토록 하고 둥근결합면의 하부단은 볼록형 둥근면의 함입부와 오목형 둥근면의 돌출부를 둥근결합면의 상부단보다 두께를 두껍게 하여 함입부와 돌출부가 사이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시켜서 상향으로 만곡지게 휘었을때 휘임이 유연하면서 둥근결합면의 하부단인 두께가 두꺼운 요함부와 돌출부가 서로 맞닿여서 부딪치더라도 파손 우려가 없이 정지수단이 확실하여 곡면용접도 가능토록 한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지지구

Description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지지구 {Welding support jig is available for welding the plane surface and curve surface}
본 고안은 알루미늄테이프의 중간접착면에 일렬로 연결되게 접착시킨 세라믹모재를 평면상태에서는 평면용접을 또는 상향으로 만곡지게 휘어서는 곡면용접을 할 수가 있는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83-1086호에서 세라믹타일이 일렬로 다수개가 배열되는 인접단을 오목형 또는 볼록형의 둥근결합면으로 제공하여 너클이음 시키고 볼록한 원통형면의 상,하부단에는 얇은 쇼울더를, 오목한 원통형면의 상,하부단에는 얇은 돌출부를 제공시켜 정지수단으로 작용하여 타일의 피봇운동을 수평으로 부터 상하 어느방향으로나 5°내지 20°로 한정되도록 하는 것이나 이 둥근결합면이 휘었을 때 상,하부단에 정지수단으로 작용하는 볼록한 원통형면의 얇은 두께 쇼울더와 오목한 원통형면의 얇은 두께 돌출부가 외향쪽은 사이간격이 벌어지나 내향쪽은 얇은 두께 쇼울더와 얇은 두께 돌출부가 서로 맞닿으면서 정지수단으로 작용할때 이 정지수단으로 맞닿여서 지지하는 얇은 두께 쇼울더와 얇은 두께 돌출부가 부딪쳐서 파손이 되어 정지수단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이 부서진 조각들이 둥근결합면의 하부단 사이에 끼어져서 너클이음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와같은 결점을 보완하고 또한 평면상태의 용접도 가능하도록 일렬로 배열되는 세라믹모재의 볼록형 둥근면과 오목형 둥근면으로 연결되는 둥근결합면의 상부단은 양쪽 세라믹모재가 수평상태에서 볼록형 둥근면의 함입부와 오목형 둥근면의 돌출부를 얇은 두께로 하여 함입부와 돌출부가 상접되도록 형성시켜서 평면용접이 가능토록 하고 둥근결합면의 하부단은 볼록형 둥근면의 함입부와오목형 둥근면의 돌출부를 둥근결합면의 상부단보다 두께를 두껍게 하여 함입부와 돌출부가 사이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시켜서 상향으로 만곡지게 휘었을때 휘임이 유연하면서 둥근결합면의 하부단인 두께가 두꺼운 요함부와 돌출부가 서로 맞닿여서 부딪치더라도 파손 우려가 없이 정지수단이 확실하여 곡면용접도 가능토록 한 것으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용접지지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용접지지구의 연결구조를 보인 부분확대 측면도
도 3a, b는 본 고안의 용접지지구를 휘었을 때의 연결상태를 보인 부분확대 측면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알루미늄테이프 2 : 보호이형지 10 : 세라믹모재
11 : 볼록형 둥근면 11a,11b : 상,하부단의 함입부
12 : 오목형 둥근면 12a,12b : 상,하부단의 돌출부
알루미늄테이프(1)의 중간부 접착면에 일렬로 세라믹모재(10)가 둥근결합면으로 휘어질수 있도록 여러개가 연결된 용접지지구에 있어서 볼록형 둥근면(11)과 오목형 둥근면(12)으로 연결되는 둥근결합면의 상부단은 양쪽 세라믹모재(10)가 수평상태에서 볼록형 둥근면(11)의 함입부(11a)와 오목형 둥근면(12)의 돌출부(12a)를 얇은 두께로 하여 함입부(11a)와 돌출부(12a)가 상접되도록 형성시키고 둥근결합면의 하부단은 볼록형 둥근면(11)의 함입부(11b)와 오목형 둥근면(12)의 돌출부(12b)를 둥근결합면의 상부단보다 두께를 두껍게 2배로 하여 함입부(11b)와 돌출부(12b)가 사이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시켜서 된 것으로 미설명부호(2)는 알루미늄테이프의 접착면을 보호하는 보호이형지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일렬로 수평으로 연결된 세라믹모재(10)가 둥근형 결합면으로 볼록형 둥근면(11)의 상부단 함입부(11a)와 오목형 둥근면(12)의 상부단 돌출부(12a)의 두께가 얇고 서로 상접되게 형성시켰으므로 이 상태에서 그대로 평면용접이 가능하고 용접지지구를 상향으로 휘었을 때에는 볼록형 둥근면 (11)의 하부단 함입부(11b)와 오목형 둥근면(12)의 하부단 돌출부(12b)가 상부단 보다 2배로 두껍고 사이간격이 벌어지게 형성시켰으므로 상향으로의 휘임이 유연하면서 둥근결합면의 하부단인 두께가 두꺼운 요함부와 돌출부가 서로 맞닿여서 부딪치더라도 파손 우려가 없이 정지수단이 확실하고 도 3b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둥근결합면의 상부단인 요함부(11a)와 돌출부(12a)는 두께가 얇게 상접되어 있으므로 용접지지구가 상향으로 만곡시에도 상부단의 요함부(11a)와 돌출부(12a)와의 사이 간격틈이 작아지고 그 내부에는 볼록형 둥근면(11)과 오목형 둥근면(12)이 둥근결합면으로 사이틈이 없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용접시 용락이라는 중대결함이 발생하지 아니하는 것이다.

Claims (2)

  1. 알루미늄테이프(1)의 중간부 접착면에 일렬로 세라믹모재(10)가 둥근결합면으로 휘어질수 있도록 여러개가 연결된 용접지지구에 있어서 볼록형 둥근면(11)과 오목형 둥근면(12)으로 연결되는 둥근결합면의 상부단은 양쪽 세라믹모재(10)가 수평상태에서 볼록형 둥근면(11)의 함입부(11a)와 오목형 둥근면(12)의 돌출부(12a)를 얇은 두께로 하여 함입부(11a)와 돌출부(12a)가 상접되도록 형성시키고 둥근결합면의 하부단은 볼록형 둥근면(11)의 함입부(11b)와 오목형 둥근면(12)의 돌출부(12b)를 둥근결합면의 상부단보다 두께를 두껍게 하여 함입부(11b)와 돌출부(12b)가 사이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시켜서 된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 지지구
  2. 제 1항에 있어서 세라믹모재의 둥근결합면의 하부단은 볼록형 둥근면(11)의 함입부(11b)와 오목형 둥근면(12)의 돌출부(12b)를 둥근결합면의 상부단보다 두께를 2배로 형성시켜서 된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 지지구
KR20-2004-0026189U 2004-09-13 2004-09-13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지지구 KR200370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89U KR200370377Y1 (ko) 2004-09-13 2004-09-13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189U KR200370377Y1 (ko) 2004-09-13 2004-09-13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377Y1 true KR200370377Y1 (ko) 2004-12-18

Family

ID=4944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189U KR200370377Y1 (ko) 2004-09-13 2004-09-13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3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60Y1 (ko) * 2010-10-01 2012-06-11 동일이엔지(주) 롤 타입 용접지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560Y1 (ko) * 2010-10-01 2012-06-11 동일이엔지(주) 롤 타입 용접지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9395A (ja) ガスケット
US20140227037A1 (en) Box culvert
KR200370377Y1 (ko) 평면과 곡면을 용접 할수 있는 용접지지구
JP2007146603A (ja) 実接合する板材
JP2015159204A5 (ko)
JP5496106B2 (ja) 揺動継手式チェーンのためのリンク
KR200475436Y1 (ko) 신축이음장치용 고무시트 연결구
JP2012140853A (ja) 実接合する板材および木質系床材の接合構造
CN102829051B (zh) 一种连接件
JP2016211248A (ja) パネルの接合構造
JP2021507194A (ja) 接続要素、メカニカル継手、及びメカニカル継手における2つの接続要素の使用
JP2002195411A (ja) ガスケット
JP2021060087A (ja) 板材連結機構
JP5771022B2 (ja) パネル吊り用連結具
JP5394964B2 (ja) 金属サイディング用役物
JP4083206B1 (ja) 板材および板材の組み立て構造
JP4003269B2 (ja) H型鋼梁
JP6851658B2 (ja) ログ材
KR100954106B1 (ko) 탑샤시의 모서리 결합 구조
KR20050102742A (ko) 용접 결함이 없는 데크플레이트
JP4480925B2 (ja) 外装用コーナー部材の製造方法及び治具
KR100928319B1 (ko) 코너부 시공용 싱크대 상판 및 그의 시공방법
CN211007451U (zh) 一种防污拼接地板
KR200439914Y1 (ko) 용접용 이당재
WO2019026368A1 (ja) 床材結合具および床材結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