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351Y1 - 케이블베어 - Google Patents

케이블베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351Y1
KR200370351Y1 KR20-2004-0025324U KR20040025324U KR200370351Y1 KR 200370351 Y1 KR200370351 Y1 KR 200370351Y1 KR 20040025324 U KR20040025324 U KR 20040025324U KR 200370351 Y1 KR200370351 Y1 KR 2003703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n
cable
stopper
uni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술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닥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to KR20-2004-0025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3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3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3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9/00Chain, staple, and horseshoe making
    • Y10S59/90Plastic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베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토퍼와 스토퍼안착홈이 전후부에 형성된 체인본체 두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고, 체인본체의 상하부에 각각 외측덮개와 내측덮개가 체결되어 그 내부에 케이블이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단위체인과, 상기 단위체인의 다수개를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되어; 접촉부의 마모가 적고, 각각의 단위체인이 스토퍼에 의해 횡력 및 충격력을 견고히 지지함으로써 내구수명 및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케이블의 재설치 및 제거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케이블베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후부 양측의 가운데에 연결작동홈이 형성되며, 상하부에 체결봉이 형성된 체인본체 두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고, 양단부에 체결홈이 형성된 외측덮개 및 내측덮개가 상기 체인본체의 체결봉에 체결홈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단위체인과; 양단부에 형성된 둥근 돌조가 상기 두개의 체인본체의 연결작동홈에 각각 끼워져 회동되어 다수개의 체인본체를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된 케이블베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케이블베어{A cable bearer}
본 고안은 케이블베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토퍼와 스토퍼안착홈이 전후부에 형성된 체인본체 두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고, 체인본체의 상하부에 각각 외측덮개와 내측덮개가 체결되어 그 내부에 케이블이 설치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단위체인과, 상기 단위체인의 다수개를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되어; 접촉부의 마모가 적고, 각각의 단위체인이 스토퍼에 의해 횡력 및 충격력을 견고히 지지함으로써 내구수명 및 작업환경이 개선되고, 케이블의 재설치 및 제거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케이블베어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베어는 반도체 장비, 크린룸 설비, 공작기계 로봇, 중단거리 산업기계에 적용되는 것으로, 케이블이나 호스를 보호하면서 이송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특히 밀폐형의 경우는 연결된 케이블이나 호스 등을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고, 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부식과 화학제품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대규모의 공작기계, 식품기계 및 공장자동화 시스템에는 다수개의 케이블 또는 유공압 호스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어 시스템을 사용함에 따라 케이블들이 서로 꼬이거나 또는 외부의 작용으로 케이블이 손상됨으로써 기계가 오동작하거나 누전으로 인한 사고의 위험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또는 유공압 호스를 내측으로 삽입 장착하여 정렬시키게 된다.
케이블베어는 케이블 또는 유공압 호스의 전체길이에 대해서 삽입 장착하거나 취약부분에만 따로 일정길이로 삽입 장착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소망하는 길이만큼 다수개의 단위체인을 핀 등으로 연결하여 케이블베어를 형성시키게 된다.
즉, 케이블베어는 단위체로서의 단위체인과 다수개의 게이블체인을 연결하는 핀 등의 링크로서 연결되어 구성된다. 현재 사용되는 케이블베어는 단위체인의 일정면적을 당접시켜 결합시킨 것이 대부분이어서 작동시 단위체인간의 회전에 따른 접촉마찰로 결합부가 쉽게 마모되었다. 이에 따라 주로 유리섬유재질로 되어 있는 케이블베어의 마모입자들이 기계의 오동작을 야기시켰고, 한편으로 인체의 호흡기로 들어오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미쳤다.
또한, 상기의 케이블베어는 단위체인에 돌기형의 스토퍼를 형성하여 각각의 단위체인이 서로 접하면서 특정각도범위내에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베어가 케이블이나 유공압 호스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에서 케이블이나 유공압 호스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케이블베어의 회전시 스토퍼가 계속해서 충격을 받음으로써 스톱퍼가 마모되거나 파손되었다.
그리고, 케이블이나 유공압 호스에 케이블베어의 설치를 완결한 다음 새로운 케이블이나 유공압호스를 사용중 추가해야 할 경우, 종래의 케이블베어는 전체를 다시 분해한 후에 케이블이나 유공압호스를 추가로 삽입하여 재조립해야 하는 불편함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단위체인의 전후부에 스토퍼와 스토퍼안착홈을 형성시켜 종래 돌기형의 스토퍼의 단점을 해소하고, 면접된 구조에 의한 마모와 인체 유해 분진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링크에 의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 케이블베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케이블베어의 전체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케이블베어를 구성하는 단위체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단위체인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은 도 3의 "A-A"부 단면도
도 5는 단위체인이 결합되어 벤딩된 부분의 정면도
도 6는 도 5의 "B-B"부 단면도
도 7은 도 5의 "C-C"부 단면도
<도면의 간단한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작동홈 2 : 체결봉
3 : 체인본체 4 : 체결홈
5 : 외측덮개 6 : 내측덮개
7 : 돌조 8 : 스토퍼
9 : 스토퍼안착홈 10 : 걸림턱
11 : 걸림홈 12 : 케이블
50 : 단위체인 60 : 링크
100 : 케이블베어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링크로 결합된 케이블베어는, 전후부 양측의 가운데에 연결작동홈(1)이 형성되며, 상하부에 체결봉(2)이 형성된 체인본체(3) 두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고, 양단부에 체결홈(4)이 형성된 외측덮개(5) 및 내측덮개(6)가 상기 체인본체(3)의 체결봉(2)에 체결홈(4)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단위체인(50)과; 양단부에 형성된 둥근 돌조(7)가 상기 두개의 체인본체(3)의 연결작동홈(1)에 각각 끼워져 회동되어 다수개의 체인본체(3)를 연결하는 링크(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체인본체(3)의 전후부 중 일측 각각에 스토퍼(8)와 스토퍼안착홈(9)이 형성되어, 단위체인(50) 다수개가 연결될 경우 단위체인(50)의 스토퍼(8)가 인접된 단위체인(50)의 스토퍼안착홈(9)을 양측에서 협착하는 구조를 가진다. 체인본체(3)의 상부와 하부의 전후방향 길이가 다른데, 이는 서로 결합되어 케이블베어(100)가 형성되어 일정 반경으로 굴곡되어 운동할 때 자연스럽게 그 반경이 형성되도록 한 것으로, 상부의 길이가 하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작동홈(1)에는 걸림턱(10)이 환설되고, 링크(60)의 돌조(7)에는 상기 걸림턱(10)과 결합되어 빠지지 않게 하는 걸림홈(11)이 환설된 구조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 링크(60)는 합성수지와 유리섬유 및 두랄루민이 혼합되어 성형되어 유활성이 향상된 구조를 가진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케이블베어(100)는 기계시스템에 연결된 다수개의 케이블(12)을 보호하기 위하여 케이블(12)을 내측으로 삽입 장착하는 것으로, 양측의 체인본체(3)와, 상기 체인본체(3)의 상하부를 덮어 체결되는 외측덮개(5) 및 내측덮개(6)와, 상기의 구성으로 형성된 단위체인(50)을 연결하는 링크(60)로 구성된다.
따라서 케이블베어(100)를 먼저 형성시킨 후 케이블(12)을 내측으로 삽입하거나, 또는 케이블(12)의 둘레를 따라가면서 체인본체(3)에 외측덮개(5) 및 내측덮개(6)를 하나씩 조립한 후, 링크(60)를 체인본체(3)에 점차적으로 체결시키게 된다.
케이블베어(100)를 구성하는 단위체인(50)은 도 2와 같이 체인본체(3)와 외측덮개(5)와 내측덮개(6)로 간단하게 조립된다. 상기 체인본체(3)는 상하측에 원통형의 체결봉(2)이 형성되어 있고, 정면과 배면의 중앙에는 외측으로 일정두께 개방된 원형단면의 연결작동홈(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측덮개(5) 및 내측덮개(6)는 양끝단에 상기의 체결봉(2)의 지름보다 약간 작은 크기로 개방된 체결홈(4)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홈(4)이 상기의 체결봉(2)에 단단하게 체결됨으로써 외측덮개(5)와 내측덮개(6)는 체인본체(3)에 간편하게 고정되게 된다.
상기 체결홈(4)이 형성된 외측덮개(5) 및 내측덮개(6)의 양끝단은 일정간격 이격되어 있으므로, 외측덮개(5) 및 내측덮개(6)가 체결되는 체인본체(3) 또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케이블베어(100)의 단위체인(50) 중앙은 일정면적으로 개방되므로 기계시스템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케이블(12)을 삽지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케이블베어(100)의 단위체인(50)들은 도 3과 같이 케이블(12)의 길이방향으로 연결되어 케이블(12)을 보호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링크(60)가 단위체인(50)을 서로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의 링크(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끝단에 원형단면형상으로 융기된 돌조(7)가 형성되어 있어, 서로 연접하는 단위체인(50)의 양측 체인본체(3)에 형성된 연결작동홈(1)에 협지됨으로써 각각의 단위체인(50)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연결작동홈(1)에는 도 2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표면의 원주둘레를 따라 걸림턱(10)이 돌출되어 있고, 링크(60)에는 연결작동홈(1)에 협지될시 상기 걸림턱(10)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림홈(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턱(10)이 걸림홈(11)에 걸리게 됨으로써 케이블(12)의 움직임에 따른 케이블베어(100)의 요동으로 링크(60)가 연결작동홈(1)의 측면으로 미끄러져 분리되는 것을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링크(60)의 양단에 형성된 돌조(7)는 체인본체(3)의 연결작동홈(1)에 접촉되어 미끄럼 운동으로 회전동하게 되는데, 이 때 발생되는 접촉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링크(60)를 내마모성의 두랄루민(duralumin)재질로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링크(60)는 두랄루민으로, 또는 합성수지와 유리섬유 및 두랄루민의 합성물로 성형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링크(60)와 체인본체(3)가 마찰되더라도 윤활성이 좋아서 마찰에 의한 마모가 방지되고, 이에 의해 기타 구성품의 마모 분진 등을 예방할 수 있어 작업 환경이 개선되고 작업자의 건강을 유지시킬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외측덮개(5)와 내측덮개(6)가 체인본체(3)에 착탈되고, 상기의 구성으로 형성된 각각의 단위체인(50)은 링크(60)로 연결되는 구조이므로, 기계시스템에 케이블(12)을 추가로 연결할시에는 간단하게 체인본체(3)에 체결된 외측덮개(5) 또는 내측덮개(6)를 분리하여 추가할 케이블(12)을 삽입시킨 후 다시 체인본체(3)에 결합시키면 된다.
본 고안의 케이블베어(100)는 케이블(12)에 무리가 가지 않는 범위에서 케이블(12)과 함께 움직이면서 케이블(12)을 보호할 수 있도록 단위체인(50)의 회전반경이 결정된다.
이러한 회전반경은 체인본체(3)의 상부와 하부의 길이를 달리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의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에 더하여 본 고안은 도 2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인본체(3)에 스토퍼(8)와 스토퍼안착홈(9)이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단위체인(50)이 결합되어 작동하는 경우, 일측의 스토퍼(8)가 타측의 스토퍼안착홈(9)에 삽입되고, 스토퍼(8)의 모든 단부면이 스토퍼안착홈(9)의 내측 모든 벽면에 면접촉하게 되어, 종래에 대하여 좌우 횡력과 충격력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가 있게 되고, 이에 의해 특정의 곡률반경을 가지기도 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링크(60)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위체인(50)를 연결시키고, 단위체인(50)의 양측단에 형성된 스토퍼(8)와 스토퍼안착홈(9)의 견고한 체결력에 의해 좌우 횡력 및 충격력을 견고히 지지할 수가 있게 되고, 링크(60)에 의한 결합구조가 제공됨으로써 케이블베어(100)의 회전시 발생되는 접촉마찰 부위가 최소화되어 재료의 마모가 현저하게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마모에 의한 분진이 방지되므로 케이블베어(100)의 내구수명 증대는 물론이고, 작업자의 호흡기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환경이 개선된다.
또한 외측덮개(5) 또는 내측덮개(6)를 착탈식 구조를 가짐으로써 단위체인(50)의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케이블베어(100)를 설치한 후에도 새로운 케이블(12)을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전후부 양측의 가운데에 연결작동홈(1)이 형성되며, 상하부에 체결봉(2)이 형성된 체인본체(3) 두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입설되고, 양단부에 체결홈(4)이 형성된 외측덮개(5) 및 내측덮개(6)가 상기 체인본체(3)의 체결봉(2)에 체결홈(4)으로 결합되어 구성된 단위체인(50)과; 양단부에 형성된 둥근 돌조(7)가 상기 두개의 체인본체(3)의 연결작동홈(1)에 각각 끼워져 회동되어 다수개의 체인본체(3)를 연결하는 링크(6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베어.
  2. 제 1항에 있어서, 체인본체(3)의 전후부 중 일측 각각에 스토퍼(8)와 스토퍼안착홈(9)이 형성되어, 단위체인(50) 다수개가 연결될 경우 단위체인(50)의 스토퍼(8)가 인접된 단위체인(50)의 스토퍼안착홈(9)을 양측에서 협착하여, 충격력과 횡력을 지지하는 케이블베어.
  3. 제 1항에 있어서, 연결작동홈(1)에는 걸림턱(10)이 환설되고, 링크(60)의 돌조(7)에는 상기 걸림턱(10)과 결합되어 빠지지 않게 하는 걸림홈(11)이 환설된 케이블베어.
  4. 제 1항에 있어서, 링크(60)는 두랄루민이 혼합된 케이블베어.
KR20-2004-0025324U 2004-09-03 2004-09-03 케이블베어 KR2003703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324U KR200370351Y1 (ko) 2004-09-03 2004-09-03 케이블베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324U KR200370351Y1 (ko) 2004-09-03 2004-09-03 케이블베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351Y1 true KR200370351Y1 (ko) 2004-12-17

Family

ID=4935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324U KR200370351Y1 (ko) 2004-09-03 2004-09-03 케이블베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35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1329A1 (ko) * 2009-03-04 2010-09-10 주식회사 코닥트 소음과 분진의 저감 및 바디의 처짐을 완화한 케이블 베어
KR101196888B1 (ko) 2012-05-07 2012-11-01 (주)한신체인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CN112018710A (zh) * 2019-05-28 2020-12-01 纽特尔公司 用于管理导体在隔离件上的摩擦的装置
KR20220039140A (ko) * 2020-09-22 2022-03-29 삼원액트 주식회사 다관절 지지부재
KR102556065B1 (ko) * 2022-10-31 2023-07-19 (주)에스지유테크 추락방지용 그레이팅과 그레이팅에 장착되는 케이블관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01329A1 (ko) * 2009-03-04 2010-09-10 주식회사 코닥트 소음과 분진의 저감 및 바디의 처짐을 완화한 케이블 베어
KR101018293B1 (ko) 2009-03-04 2011-03-04 주식회사 코닥트 소음과 분진의 저감 및 바디의 처짐을 완화한 케이블 베어
KR101196888B1 (ko) 2012-05-07 2012-11-01 (주)한신체인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WO2013168887A1 (ko) * 2012-05-07 2013-11-14 (주)한신체인 로보체인과 이에 사용되는 연결 부재
CN104379965A (zh) * 2012-05-07 2015-02-25 株式会社韩新拖链 机器化链条以及用于其中的连接件
DE112013002350B4 (de) * 2012-05-07 2018-01-04 Hanshin Chain Co., Ltd. Robo-Kette und in dieser verwendete Verbindungselemente
US9933042B2 (en) 2012-05-07 2018-04-03 Hanshin Chain Co., Ltd. Robochain and connecting members used in the same
CN112018710A (zh) * 2019-05-28 2020-12-01 纽特尔公司 用于管理导体在隔离件上的摩擦的装置
KR20220039140A (ko) * 2020-09-22 2022-03-29 삼원액트 주식회사 다관절 지지부재
KR102464643B1 (ko) * 2020-09-22 2022-11-08 삼원액트 주식회사 다관절 지지부재
KR102556065B1 (ko) * 2022-10-31 2023-07-19 (주)에스지유테크 추락방지용 그레이팅과 그레이팅에 장착되는 케이블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0682B2 (en) Cable drag chain
EP1319865B1 (en) Closed cable drag chain
JP411197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11967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TWI613381B (zh) 導引複數供電線之能量鏈條
JP4789632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US880749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KR100748816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1779645B1 (ko) 케이블류 보호 안내 장치
KR200370351Y1 (ko) 케이블베어
KR20190004293A (ko) 관절식 에너지 체인
ITRM20000027A1 (it) Catena di sega per tagliare calcestruzzo con maglie ermetizzante.
KR101683951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KR101282232B1 (ko) 프레임용 조인트
JP2004270920A (ja) 封止チェーンリンクアセンブリ
KR101923417B1 (ko) 자켓 타입의 로보체인
JP6662405B2 (ja) シールチェーン
KR101923416B1 (ko) 자켓 타입의 로보체인
CA1073685A (en) Dredger chain joint
KR200307527Y1 (ko) 케이블베어용 연결구
KR101935517B1 (ko) 자켓 타입의 로보체인
KR102165784B1 (ko) 체인용 실링부재
KR20130000215U (ko) 배속체인 커버 및 배속체인 조립체
JP4827786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230041313A (ko) 슬러지 수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